KR19990064078A - 유연성이 있는 융기형 차도 표지, 그 장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연성이 있는 융기형 차도 표지, 그 장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078A
KR19990064078A KR1019980702557A KR19980702557A KR19990064078A KR 19990064078 A KR19990064078 A KR 19990064078A KR 1019980702557 A KR1019980702557 A KR 1019980702557A KR 19980702557 A KR19980702557 A KR 19980702557A KR 19990064078 A KR19990064078 A KR 19990064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mounting
mounting device
label
road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씨. 챔버스 데이빗
지. 피트만 로빈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1999006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07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E01C23/094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specially for forming recesses to receive marking materials or markers, e.g. cutters for milling traffic line channels, core drills for button-se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65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 E01F9/571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displaceable vertically under load, e.g. in combination with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removable without tools, e.g. of stud-and-sock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통행 또는 제설 블레이드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 베이스부(31)로 하향으로 용이하게 변형하는 상부(32)를 갖춘 유연성이 있는 제설 가능한 융기형 차도 표지(10)에 관한 것이다. 차도에 보어된 공동 내에 설치된 표지는 그라우트로써 또는 환형 링 장착 장치 내에 적절히 고정된다. 표지 본체는 표지 수행능과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태양 작용의 잇점을 얻도록 검은색이 되고, 차도 표지의 상부의 하향으로의 편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기와 연통된다. 역반사 시이트(12)는 표지가 야간 운전시에 차량 운전자에게 매우 잘 보이도록 표지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유연성이 있는 융기형 차도 표지, 그 장착 장치 및 방법
지난 60여년 동안 개발되어온 융기형 차도 표지는 차도 표면 상의 차선과 같이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차도 표지는 운전자가 야간에 볼 수 있는 능력(이하, "야시능"이라 칭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몇몇 종류의 반사기를 포함한다. 융기형 차도 표지의 장점은 습식 반사능(wet reflectivity)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차도 표면 상의 침전물이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차도에 칠해진 표지가 불명료하게되는 경우에, 융기형 차도 표지는 영역을 구분한다. 융기형 차도 표지의 또 다른 장점은 먼 거리에 걸쳐 야시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운전자의 시각 스트레스를 줄여, 피로를 감소시키는 것에 기여하여, 야간 운전 동안 안전을 향상시킨다.
융기형 차도 표지는 금속 핀, 못, 나사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다양한 고정수단을 사용해서 차도 표면에 설치되어 왔다. 이러한 표지는 코넬리우스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1,802,940호, 테일러에게 허여된 제4,088,416호, 쉐퍼드 등에게 허여된 제4,717,281호에 개시되어 있다. 금속을 사용하면, 이러한 부재가 이동하여 차량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위협이 부과된다. 이동된 금속 핀과 나사는 차량 타이어내에서 발견되거나, 표지 자체로서, 특히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의하여 이동될 때 발사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표지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확신되는 것은 제설기의 작용에 기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제설기의 작용을 해결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제설기성 융기형 차도 표지는 고정 수단을 위해 차도 표면에 공동을 천공하거나 절단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 제설기성 융기형 차도 표지는 그 구조에 있어서 크게 3 가지 종류가 있다.
a) 헤넨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47,447호, 제프리스에게 허여된 제4,577,992호, 클라크에게 허여된 제4,634,31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속의 제설기 블레이드의 상당한 충격력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의 비분절, 비변형 유닛이 있다. 그 구성이 다소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유닛은 제설기에 의해 유닛에 부여된 높은 충격력에 견디도록 주조 금속 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표지의 일부는 차도 표면 상에 배치되고, 표지 상에 장착된 반사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제설기 블레이드를 차도 표면에서 편향시킨다. 또한, 이들 유닛에 장착된 역반사기의 구조는 단단한 것이 일반적이다. 비록 이러한 표지가 유용하지만, 차도의 유지관리 작업에 대해 몇 가지 어려움을 제공한다. 제설 블레이드와 그 제설 블레이드가 부착된 차량은 제설 블레이드가 주조 금속 표면에 고속으로 충돌함으로써 상당한 피로와 손상을 입게된다. 이러한 종류의 차도 표지상의 주조 금속 램프는 제설 블레이드를 차도 표면에서 상방으로 편향시킨다. 이에 의하면 표지 충격 지점의 둘레와 그 넘어의 인접 영역의 차도 표면 상에 눈과 얼음을 남길 수 있다. 또한, 차도 표면으로 복귀한 제설 블레이드는 충격시에 차도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고, 차도 표지를 손상시키거나 파괴시켜, 차도 유지관리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설 차량에 전달된 충격 에너지와 소음이 운전자 스트레스 레벨을 증가시키므로, 제설차 운전자는 그러한 표지를 사용하는 차도 상에서 장기간의 제설 작업으로 멀미를 겪게된다. 간선차도의 속도상, 표지와 제설기의 충격은 초당 1번씩 일어난다. 폭설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고속으로 제설 작업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피곤한 것이다.
b) 관절 유닛(articulated unit) 또는 차도 표면 상으로 융기형 표지 부분이 제설기와 차량 타이어로부터의 충격을 견디도록 이동하거나 후퇴하게 하는 압축성 부재를 사용하는 관절 유닛이 있다. 홀리에게 혀여된 미국 특허 제4,140,418호 및 쉘던에게 허여된 제4,848,9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구식 유닛은 눈과 결빙 상태 동안에 차도에 소금 및 모래 재료가 사용되는 영향으로 궁극적으로 악화될 수 있는 금속성 부재를 사용한다. 비록 이러한 종류의 표지가 차도 제설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다 하여도, 이러한 표지는 작동을 위해 차도에 개방 공동을 을 필요로 한다.
공동은 조각들을 포획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문제점이 있다. 공동 내부에서 물이 결빙되면 유닛의 적절한 기능을 방해하고, 제설기에 의해 파괴된다. 그러나, 파울로스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302,048호는 다수의 교환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할 수 있는 차도 표지를 개시하지만, 그 표지는 그렇게 제공되도록 정교한 기구적 부재를 사용하고, 표지의 상부를 편향시키기에 충분한 충격 에너지는 강성 유닛과 관련된 많은 차도 유지관리 관심을 나타내는 강성의 비변형 유닛에 겪게되면서 동일한 크기인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표지의 유지는 어렵다.
c) 표지를 위치 및 고정시키기 위해 차도 내에 공동을 사용하는 탄성 변형가능한 유닛이 있다. 대부분은 반사기를 구비하는 본체 구조를 포함하는데, 오코너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90,054호와 토마스에게 허여된 제4,815,818호는 반사되는 탄력적인 손가락형 돌출부의 어레이를 개시한다. 변형가능한 본체 형태는 로빈슨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97,051호, 플래너간에게 허여된 제4,659,248호, 머피에게 허여된 제5,069,57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플래너간의 특허에는 차도 표면 아래에 모두 존재하고, 제설기의 작용에 제거되지 않을 것 같지만, 상기 홀리 및 쉘던 특허의 기계적 유닛과 같은 유닛을 개시하는데, 실질적인 차도 공동은 부스러기이나 물로 채워지는 것이 필요하고, 차량 통행에 인지할 수 없는 역반사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로빈슨 특허, 상기 머피 특허 및 콘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50,536호에는 차도 내로 절단된 공동을 사용하는데, 상기 공동은 차량 통행과 제설기에 의해 변형될 때 표지 본체의 상부를 조정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개시된다. 상기 콘 특허에는 표시 공동 내에 트랩된 공기를 원하는데, 표지의 적합한 작동을 보조하는 것을 개시한다. 상기 로빈슨 특허에는 적합한 그라우트로서 내부 공동이 공밀하고, 표지가 변형 이후에 보통의 형태 및 태차도 돌아가도록 보조하는 것을 개시한다. 표지는 적정 그라우트를 사용해서 표지 본체의 스커트 및 플랜지부를 포착함으로로써 차도의 공동 내에 고정된다. 표지 본체의 측벽 또는 스커트부가 유연한 상부에 일체적으로 주형됨에 따라, 제설차 충격시에 측벽이 변형될 잠재력이 있다. 상기 로빈슨 특허에는 제설기 충격시에 장치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지 본체의 부분을 강화시키고 경화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제설 가능한 차도 표지는 금속 베이스에 부착식으로 결합된(보통 에폭시) 강성의 입방체 코너 역반사기를 포함하는 강성의 비변형 가능한 주조 금속 베이스형 표지이다. 그러한 표지는, 이미 전술되고 인용된 바와 같이, 금속 베이스의 하부를 수납하도록 차도 내의 적합한 공동의 절단 또는 천공, 및 적합한 에폭시, 시멘트 또는 유사한 강성 그라우트에 의해 공동 내에 유닛을 고정시킴에 의해서 설치된다. 차도 폐쇄 시간의 제한 때문에, 이들 그라우트는 신속 세팅/급속 경화형 재료이다. 표지 본체 내에 의도된 공동에서 벗어나서, 차도 내에 절단된 전체적인 공동은 그라우트로 채워지는 것이 통상적이고, 표지 본체 재료는 차도 내에 공극을 남기지 않는다.
제설 가능한 융기형 차도 표지 상의 역반사기가 통행, 스터드가 형성된 타이어(studded tire), 타이어 체인, 제설기, 차도 화학물 및 기후에 노출되면, 그 역반기는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 이성적인 수명은 2 내지 3년 정도이다. 역반사기의 유효한 배치는, 역반사기가 대체되기 위해 용이하게 제거된다면, 차량 통행 또는 제설차에 의한 충격으로 철거될 것 같은 문제점을 나타낸다. 다수의 공개 공보에 있어서, 유지 또는 개장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개시되고, 차도 재포장이 필요한 때 당연한 필요물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 또는 제설 블레이드에 의한 충격시에 아래로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유연성이 있는 융기형 차도 표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도의 보링구멍에 표지 또는 다른 물체를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치 및 상기 장치에 수납된 물체의 지속적인 유지관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역반사 재료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도 표지의 사시도.
도 2는 표지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 환형의 분절링 장착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유연하고 밀폐된 발포성 밀봉부의 사시도.
도 4는 표지의 상면도.
도 5는 선 11-11을 따라 취한 도 4의 표지의 횡단면도.
도 6은 선 21-21을 따라 취한 도 2의 환형링의 횡단면도.
도 7은 차도에 설치된 표지 시스템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을 위한 밀폐된 발포 밴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폐된 발포 밴드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0은 부분(a),(b) 및 (c)을 구비하며, 표지를 가로질러 지나는 제설 블레이드를 묘사하는 일련의 개략적인 도면.
도 11은 표지 본체에 역반사기를 일체화시키는 3M의 "VHB" 접착제로써 유연한 역반사 재료의 횡단면도.
도 12는 보링구멍 천공 장비 및 부재를 보여주며, 차도 표지 시스템용 신규한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천공 장비 및 부재의 부분적인 횡단면차도서의 측면도.
본 발명은 새롭고, 유연하며, 제설 가능한 융기형 차도 표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도의 보링구멍 내에 표지, 또는 다른 유용한 물체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재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표시 시스템을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표지는 구조, 횡단면 및 기능이 다양하고, 적절하 수명 동안 표지의 존재를, 특히 극한 조건 하에서 고속의 제설기로부터의 반복된 충격으로부터 존재하는 것에 관하여 보장하도록 단일 본체로서 주형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있어서, 차도의 보링구멍 내에 설치를 위해 융기형 단향성 차도 표지가 마련된다. 표지는 베이스부와 주로 돔형의 상부를 구비한 본체 부재를 구비한다. 상부는 제1 강성 부분과 제2 연성 부분을 구비하며, 제1 부분은 역반사 재료를 수납하기 위한 표면을 가진다. 여기서 사용된 "경화됨(cured)" 이라는 용어는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비해 강성인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사용된 "유연함(flexible)"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덜 강성인 것을 의미한다. 제2 부분의 유연한 부분 특성은 힘이 상부의 제1 부분 상에 수납될 때, 상부가 베이스로 하향으로 편향되도록 보조한다. 표지 본체 내부 상에, 유연한 제3 부분은 전체 상부용 힌지로서 작용한다. 베이스부 1/3 상부에 포함된 유연한 제4 부분은 측방 유연성을 상부에 부가한다. 차도 표지는 제1 부분으로부터 힘을 해제할 때 상부가 일반적으로 돔형 형상으로 복귀하도록 충분히 탄력적이다. 탄성은 제2 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공급되는데, 그것의 유연성으로 상부는 돔형 형상으로 "펑"하며 돌아가게 한다.
차도 표지의 상부는, 설치될 때, 차도 표면 상으로 돌출하고, 자외선, 많은 형태의 석출물, 화씨 영하 40도부터 160도까지의 높은 극한 온도를 포함하는 기후 요소, 소금과 모래와 함께 제설 블레이드 및 차량 타이어로부터 잠재적인 해로운 영향에 노출된다. 본 발명에 적용할 때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재료는, 특히 영하 40도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가지고 폴리에테르 형태의 열가소성 풀리우레탄이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태양광선 노출의 저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상부에서, 강성의 제1 부분은 제설기 충격의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 강서의 부분은 장착 수단을 구비하고, 반사기용 보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의 부분은 유연한 표지 재료의 두꺼운 횡단면에 의해서, 또한 상기 부분을 "코링"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코링은 부재의 벌크에 비례적으로 부가함이 없이 효과적으로 영역을 경화시키고 강화시키는 리브 구조의 함유물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다. 차도 표지가 제설 충격을 표지 상부의 다른 부분 내에 다른 반응에 영향을 주도록 즉시 이동시키고 즉시 전송시킬 때, 제1 부분의 높은 관성이 차도 표지의 존속에 해롭다면 차도 표지 제1 부분의 벌크를 최소화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충격에 대한 표지 본체의 붕괴 작용 반응은 1000분의 21초 동안의 짧은 시간 내에 일어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관점에 있어서, 제1 부분의 형상은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코사인 곡선인데(제1 부분을 양분하는 평면에서 볼 때), 이것은 제설기의 충격 에너지를 종래 표지의 볼록한 돔같은 다른 형상에서 일어나는 것보다 보다 점진적인 방법으로 표지에 전송되게 한다. 에너지의 이러한 점진적인 증강은 제설 블레이드와 표지 본체 표면 사이의 초기의 낮은 접선 접근 각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제설 블레이드가 탄성 표지 본체 재료를 통과하여, 장착으로부터 표지의 절단, 파열 또는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적 형태의 충격 에너지에 대한 포텐셜을 최소화시킨다. 이 작용은 제설기에 의해 표지의 초기 충격시에 표지의 상부의 측방 이동을 허용하는 얇은 상부 베이스부에 의해 보조를 받는다. 표지의 반응 시간은 측방 운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증가되고, 상부의 변형이 시작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1000분에 0.5초 만큼 부가될 수 있다. 제설 블레이드가 표지 본체 제1 부분을 가로질러 진행함에 따라, 제1 부분은 하향으로 가압되고 제설 블레이드와 표지 본체 표면 사이의 낮은 접선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낮은 접선각은 제설 블레이드로부터 표지 본체로의 에너지 전송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표지 재료 및 형태의 전체적인 높은 순응성과 힌징 작용은 표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제설 블레이드가 표지 상을 지나가도록 허용하는 표지 상부를 내리누르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최소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덜 효과적인 디자인으로 표지 내에 분산되는 제설 블레이드로부터 더 높은 에너지를 뽑아내고, 일반적으로 표지의 악화 또는 손상을 일으킨다.
제1 부분은, 충격의 영향하에 하향으로 힌징될 때, 에너지를 전송하고 제2 부분 상에 작용한다. 차도 표지는 차도 상에 설치되어, 제2 부분이 제설기 충격의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에 의해 작용될 때 하향으로 편향하도록 제2 부분을 미리 배치시키는 그 중앙에 대칭적인 오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부분은 보다 강성인 부분이 보다 유연한 부분과 만나는 부분들 사이의 전이 영역의 제1 부분으로 효과적으로 힌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보다 얇아져서 제2 부분보다 유연한 제3 부분은 표지 상부와 하부 스커트 부분 사이의 계면에 마련되고, 표지가 장착될 때, 차도 기준면 아래 또는 차도 기준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부분은 표지 본체의 내부 주변 둘레에 위치되어, 표지가 충격 변형에 영향을 받을 때 제1 및 제2 부분 모두에 대해 힌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제설 블레이드가 표지 상으로 지나갈 때 이들 부분이 원통형 베이스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공동 내에 편향되게 한다. 유연한 제4 부분은 표지 측벽 베이스부의 1/3 상부 주변에 위치된다. 이 부분은 비교적 감소된 두께로 형성됨에 의해서 하부 측벽부보다 유연하고, 유연한 상부 측벽은 하부 측벽의 두께에 대략 1/2이며, 제2 연성 부분의 두께와 동일하다. 유연한 제4 부분은 제설기 충격시에 표지 돔의 측방 이동을 위해 마련된다. 돔의 측방 이동은 제1 및 제2 부분이 제설기 충격에 즉시 반응하는 것을 감소시켜서, 이들 부분의 반응 시간을 증가시키며, 충격에 견디는 표지 돔에 보다 큰 능력을 부여한다. 얇은 상부 측벽 부분은 표지 돔을 위한 효과적인 측방 힌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차도의 보링구멍 내에 물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된다. 장치는 내부면 및 외부면을 구비하며 유연한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 환상 형태의 벽을 구비한다. 내부면은 물체를 마찰식으로 맞물고, 외부면은 보링구멍 내에서 차도와 결합하는 다수의 환형 리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서, 베이스부와 일반적인 돔형 상부를 갖춘 본체 부재를 구비한 융기형 차도 표지가 마련된다. 상부는 표지를 대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구멍을 구비한다. 상부는 그 상부 상에 힘을 수납할 때 베이스부 내로 하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차도 표지는 충분히 탄력적이어서 힘을 해제할 때 상부가 일반적으로 돔형 형태로 돌아가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서, 검은색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차도 표지가 마련된다.
표지는 장착 장치를 사용해서 차도의 보링구멍 내에 설치된다. 다른 유용한 물체는 본 발명의 장착 장치를 사용해서 설치될 수도 있다.
유연한 금속의 역반사기 재료는 독특하고, 유연하고, 기후적 부착 시스템에 붙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융기형 차도 표지는 차도에 보어된 공동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표지의 상부는 차량 통행 또는 제설 블레이드에 의해 충격받을 때, 그 상부가 공동 내로 용이하게 변형되고 편향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성되며 힌지된다. 표지 본체는 대기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설기에 의해 충격받을 때, 표지의 상부가 베이스부로 빠르게 편향되게 한다. 또한, 벤팅은 표지 본체 내에 수집된 습기가 증발되게 한다. 또한, 표지 공동 내에 공기의 압력 효과를 제거함으로써 표지 설치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표지는 그라우트 재료로써 차도 공동 내에 설치되거나, 또한 공동 내에 설치된 장착 장치 내에 설치된다. 표지 본체는 설치를 위해 일체적인 플랜지를 갖춘 베이스부를 구비한 주변의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의 스커트부의 하부 2/3은 장착 장치에 대해 예정된 방향 내에 본체부를 레지스터(register)하기 위한 양각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장착 장치는 결합 음각(mating reverse relief)을 포함한다. 표지 본체와 장착 장치의 이러한 정합은 통행 방향에 대해 장착 장치의 적합한 설치를 보장하고, 장착 장치 내에 표지의 본체의 회전을 방지한다. 회전력은 장착 장치 내의 표지 본체 상에 가해진다. 회전력은 제설 블레이드의 통상적인 경사진 충격 각에 의해 표지 상에 가해진다. 스커트부 내에 그러한 정합 양각을 포함하는 표지 본체를 설치하도록 그라우트가 사용될 때, 결합 정합 양각은 그라우트 내에 형성된다.
환형 링을 형성하는 장착 장치는 강성 또는 유연한 그라우트를 사용해서 차도 내에 표지를 장착하도록 제공된다. 장착 장치는 다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적합한 높이로 차도 공동 내에 표지의 용이한 장착, 표지 내부에 벤팅성, 재포장이 필요할 때 표지 본체의 용이하고 빠른 대체, 아스팔트 크립 중화를 포함한다. 장착 장치는 차도 공동의 내부면을 변형시키고 크립 주변 둘레에 다수의 유연한 리브를 포함한다. 소정의 조건하에서, 적합한 그라우트는 차도에 장착 장치의 부가적인 고정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장착 장치용 바람직한 재료는 장착 장치와 표지가 차도 지형에 순응하게 되는 상당히 차가운 온도 유연성을 가진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냉간 충격 강도는 이러한 재료의 또 다른 특징이다. 유연성을 위해 부착된 EVA(에틸 비닐 아세테이트)로서 제조된 폴리에틸렌 발포재같은 유연하고, 밀폐 기포의 발포재로 제조된 링 밀봉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밀봉부는 장착 장치가 그 밀봉부 상에 설치될 때 가압된다. 밀봉부는 차도 표지 아래에 습기가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상기 습기는 얼어서 링 상부를 압착한다.
신규 방법과 부재는 차도의 표지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장착 장치로써 차도 내에 표지를 고정시키는 경우에, 차도 내의 보링구멍을 형성하도록 사용된 통상적인 수압식 구동 드릴 장비는 삽입 고정구와 결합하여 사용되어, 표지와 장착 장치의 에비 조립된 조합체를 보링구멍 내로 구동시킨다. 드릴 비트는 독특한 "커프(kerf)" 절단 부재를 포함하여, 표지가 차도의 적합한 작동 깊이로 설치된다. 그라우트로써 차도 내에 설치된 표지의 경우에, 보링구멍 중앙 코어 둘레에 배치된 유연한 발포 밴드는 고정 그라우트의 설치 전에 보링구멍 내에 표지가 적합한 작동 높이로 현가되게 한다. 유연한 발포 밴드는 그라우트가 표지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그라우트가 경화된 이후에 보링구멍 내에 장착 장치의 이로운 균등물을 생성시킨다.
우선, 도 4, 5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하고 융기형 차도 표지의 본체 부재 전체는 도면부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다. 본체 부재는, 예컨데 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40℉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가지는 유연한 폴리우레탄을 사출 주형에 의해 성형된다. 본체 부재(10)는 관형 베이스부(31)와 거의 돔형 상부(32)를 구비한다. 상부(32)는 차량 통행 또는 제설 블레이드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크기 및 형태가 정해진다. "거의 돔형"으로서의 상부의 특징은 상부가 베이스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지만, 예컨데 반구상의 돔에 의해 나타내지는 것과 같은 단순한 기하학 형태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표지 본체 상부(32)는 제1 부분(33)과 제2 부분(14)을 구비한다. 제2 부분(14)은 제2 부분(33)보다 유연하다. 제1 부분(33)과 비교할 때, 제2 부분(14)의 더 큰 유연성은 부분(33)보다 얇은 재료로 제조된 부분(14)을 형성시켜서 달성된다. 또한, 표지 본체 상부는, 제1 부분(33)의 잔부보다 두꺼운 일반적으로 U형태의 두께를 가진 섹션(17)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1 부분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반사기를 수납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한정하는데, 상기 반사기는 금속의 입방 코너 역반사 시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는 단향성, 즉 반사기(12)의 방향으로부터 표지에 접근하는 차량에 빛을 반사시킨다. 두꺼운 섹션(17)은 제설 블레이드에 의해 유발된 손상으로부터 반사기를 보호한다. 두꺼운 섹션 및 리세스는 제설 블레이드가 반사기보다 두꺼운 섹션(17)에 충격을 가한다.
두꺼운 섹션(17) 상에 제설 블레이드의 충격은 표지의 상부(32)를 베이스부(31)로 하방으로 편향시킨다. 하방으로의 선회이동은 힌지된 부분(18), 특히 선(35,36) 사이에 연장하는 힌지된 부분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가능하다. 제1 부분이 편향될 때, 제2 부분(14)도 하향으로 편향되고, 제1 부분(33)에 의해 아래로 가압되는데,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부분은 부분(14)보다 두껍고 강성이다. 일반적으로, 상부(32)의 얇은 부분(14) 내의 오목부(15)는 관형 기저부(31) 내로 표지 본체의 상부(32)를 편향시키는데 도움을 주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15)과, 또한 전체적인 표지 본체는 돔의 제1 및 제2 부분을 양분하는 가상면(11-11)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 대칭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적인 구멍(16) 둘레에 중앙 상부 내에 두꺼운 섹션(17)의 연속성에 의해 부분(15)에서 작용한다.
상부(32)의 편향성과 관련하여 제4 부분은 베이스부(31)의 상부 1/3을 포함한다. 이 부분(19b)은 제2 부분(14)과 동일한 두께와 유연성을 가지고 그 제2 부분 만큼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베이스부(31)의 하부 2/3의 두께의 절반인 것이 통상적이다. 이 유연한 제4 부분은 제설기 충격시에 표지 돔의 측방 이동을 허용한다. 돔의 측방 이동은 상부(32)의 제1 및 제2 부분의 즉시성을 감소시켜서, 베이스부(31) 내로 편향시켜서, 이들 부분의 필요한 반응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은 충격을 견디는 표지 돔의 보다 더 큰 성능을 유발한다. 베이스부(31)의 얇은 상부 부분(19b)은 표지 돔을 위한 효과적인 측방 힌지이다.
베이스부(31)의 하부 2/3은 표지 본체를 결합 음각(mating inverse relief)을 갖는 장착 장치에 정합시키기 위해 양각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지 본체와 장착 장치의 이러한 정합은 통행 방향에 대해 장착 장치의 적합한 설치를 보장하고, 장착 장치 내에 표지 본체의 회전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체부(10)의 충격 섹션(33) 반대쪽에 이러한 양각을 위치시키는 이러한 정합 양각(23a)이 도 1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결합 음각(23b)은 장착 장치(20)용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회전력은 제설 블레이드의 통상적인 사선의 충격각에 의해 본체부 상에 가해진다. 그라우트가 스커트 섹션 내의 이러한 정합 양각을 포함하는 본체부를 설치하도록 사용될 때, 결합 정합 양각은 그라우트 내에 형성된다.
부분(17)의 두꺼운 섹션에 제설기 충격으로, 그 충격으로부터 즉각적이고 동시적인 에너지는 베이스부(31)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동 내로 부분(14)을 편향시키면서, 구멍(16) 둘레의, 얇은 전이 부분으로 두께를 통하는 부분(17)에 의해서 보다 얇고, 보다 유연한 부분(14)에 부여된다. 힌징 작용은 부분(33,14)의 연결부를 따라, 관형 베이스(31)에 대해 주변의 힌지 부분, 특히 유연한 얇은 부분(18) 둘레에 일어난다. 이들 작용에 동시적으로, 전체 표지 상부(32)는 측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이동은 베이스부(31)의 유연한 부분(19b)에 의해 허여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부분(33)은 상부(32)의 주변의 세그먼트에 인접한 아치형 베이스로부터 상부의 중앙을 지나는 종지 구역으로 내부로 연장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선(35,3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아치형 베이스 부분(33)은 돔의 주변의 대략 1/3로 연장하고, 장착 수단 및 역반사기(12)용 충격 보호 수단을 제공한다. 본체 부재(10)의 제2 부분(14)은 제1 부분(33)보다 실질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부분(18)은 관형 베이스부 또는 스커트(31)의 전체 상부 내부 주변을 제한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32)가 베이스부(31)로 편향되게 하도록 얇다.
본 발명에 따른 표지 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장 두꺼운 섹션은 역반사기 재료(12)를 수납하는 영역 둘레에 위치되는 강성의 제1 부분(33) 내의 두꺼운 섹션(17)이다. 섹션(17)은 두께가 대략 5 내지 15mm인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mm이다. 두꺼운 섹션(17)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대략 4 내지 12mm이고,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대략 6 내지 10mm 이다. 제1 부분(33)의 잔부는 두께가 대략 3 내지 9mm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이다. 제2 연성 부분(14)은 두께가 대략 1 내지 5mm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이다. 힌지 부분(18)은 두께가 제2 부분(14)보다 약 20% 이하이다. 하부 플랜지(19a)와 베이스부(31)의 벽은 두께가 대략 3 내지 9mm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mm이다. 베이스부(31)의 얇은 상부 1/3(19b)은 제2 부분(14)과 동일한 두께이다. 이것은 제1 부분(33)이 하부 측벽 베이스부(31)와 적어도 동일한 강성 요인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베이스부(31)의 유연한 상부 측벽(19b)이 베이스부(31)의 하부 측벽으로 부터 측방으로 상부 섹션(32)을 힌지하는 동안, 얇은 가장자리 부분(18)은 상부 섹션(32)을 수직으로 힌지시킨다. 제1 강성부(33)는 전술된 "코링"을 이 섹션에 벌크 및 그 이후의 관성을 부가함이 없이 강성을 생산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배출구(16)의 바람직한 부분은 적어도 25mm2이지만, 50mm2만큼 크다.
표지 본체용 바람직한 재료는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으로, 그 재료는
동역학적 분석 하에서, 약 -40℉ 이하의 Tg(유리 전이 온도),
80A가 바람직한 약 75A 내지 90A의 쇼어 경도(ASTM 표준 D2240-1991하에서 측정됨),
ASTM 방법 D412-1992 하에서 측정될 때, 대략 3,300psi 를 초과하는 인장 강도,
ASTM D1053 하에서 측정될 때, 최대 -40℃에서 최대 1700psi의 저온 강성의 모듈러스 강성률,
ASTM 방법 D1525(레이트 B-1991) 하에서 측정될 때. 최대 68℃의 비켓(Vicat) 연화 온도,
이러한 필요와 만나는 재료는 굿리치 케미칼 그룹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Estane" 5881을 함유한다.
제설 블레이드에 의해 충돌될 때, 폴리우레탄은 좋은 편향과 내구성을 제공하는 이러한 특성을 포함한다. 검은색으로 채색될 때, 상기 폴리우레탄은 그 폴리우레탄들이 노출되는 차갑고 위험한 조건 하에서 특출한 내구력을 나타낸다.
표지 본체 부재는 주형될 때, 일체적으로 채색된다. 일체적으로 채색된 차도 표지는 그 후에 표면을 반대로 착색하듯이 제조 중에 표지 본체 재료 내로 통합된 착색제를 구비한다. 희거나 또는 노란 또는 다른 색은 소정의 관할구 내의 차도 표지를 조절하도록 사용될 수 있지만, 이후에 설명될 이유 때문에 검은색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본체 재료 내에 검은 색의 탄소의 1 내지 5 중량 퍼센트 분산을 사용하는 표지의 검은 착색은 다음에 따르는 표지의 수행성과 수명을 증가시킨다.
a) 태양열 효과;
ⅰ) 표지의 태양열은 차도 표지를 노출시키는 제설되지 않고 눈이 덮인 표지 상의 눈을 녹인다.
ⅱ) 태양열은 표지의 내부로부터 습기를 증발시키는데 보조한다. 그 밖의 습기는 모아져 얼어서, 그것에 의해 충격으로부터 견디는 표지의 능력을 손상시킨다.
ⅲ) 직접적인 태양열 복사는 높은 기압에 의해 조절되는"콜드 스냅(cold snap)" 동안에 효과있다. 낮 동안에 상승하는 표지 본체 온도는,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Tg) 근처의 온도에 연장된 노출에 따라 우레탄에서 일어나는 때때로 "콜드 오더링(cold ordering)"로서 언급되는 본체 연화를 감소시킨다. 태양열은 모든 온도에서 표지를 보다 유연하게 한다.
b) 융기형 검은색 본체 표지는 검은색 본체 자체가 하얀 눈과 대조되는 눈이 덮힌 차도 상에 높은 대조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눈은 역반사 재료 수행성을 손상시키면서 차도 상에 남겨질 수 있다. 또한, 갓 내린 눈은 그 자신의 빛을 반사시킨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검은색 본체는 대조적으로 보다 가시적이 될 수 있다.
c) 자외선은 폴리우레탄같은 재료를 통과하고 저하시킨다. 검은 채색은 자외선의 통과를 감소시키고 표지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차도 상으로 연장하는 표지 본체 부재(10)가 모터 차량 운전자에게 가시적인 것이 정상적일지라도, 상기 부재에 특히 야간에 표지의 가시성을 증가시키는 반사기 재료, 특히 역반사 재료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반사 재료는 빛이 시작되는 방향으로 입사 빛의 실질적인 부분을 되돌리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수 많은 공지된 역반사기가 사용될지라도, 본 발명에서는 입방체 코너 역반사 요소를 구비하며, 고도의 유연성, 양호한 밝기 및 내구성을 포함하는 복합 역반사 시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입방체 코너 역반사 시이트는 1993년 10월 20일 출원된 미국 특허 제 08/139,914호에 개시되어 있고, 참조로 이하에서 인용되고 있다.
간단히 언급하면, 상기 특허 출원은 함께 순응적으로 결합된 다수의 별개의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정합의 프리즘적 또는 입방체 코너 역반사 시이트를 개시한다. 각각의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는 거의 편평한 정면과 측벽 및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의 입방체 코너측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미소한 입방체 코너 역반사 요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본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사용된 "순응적(conformable)"이라는 말은 성형되거나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재료를 나타낸다. 특히, 여기서 사용된 "순응적"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대기 적용 온도 또는 증가된 온도에서 전방향적으로 연장가능하고, 재료가 순응되는 비평면 기재와 주로 같은 형태를 취하는 운반층과 시이트같은 재료를 개시한다. "별개의"란 말은 입방 코너 세그먼트가 함께 서로 견고히 연결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있다. "함께 순응적으로 결함됨"이라는 구와 상기 구에 비슷한 표현은 인접한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1) 약 1mm 이하의 갭에 의해 분리되고 순응적인 운반층을 통해 함께 결합됨; 또는 (2) 인접한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를 함께 결합하는 순응성 수지로 실질적으로 채워진 갭에 의해 분리됨. 각각의 입방체 코너 역반사 요소는 본체부에 인접한 다수의 면과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통상적으로, 본체부의 측벽에 가장 밀접하게 배치된 모든 입방체 코너 역반사 요소는 손상되지 않고 빛을 역반사시킬 수 있다.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의 주변은 입방체 코너 측으로부터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의 정면까지 연장하는 다수의 분리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데, 상기 분리선은 인접한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들 사이에 배치된다.
인접한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는 순응성 운반층을 통해 함께 순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이고, 보통은 투명한 부착층을 통해 입방체 코너 요소의 정면에 결합된 연속적이고 투명한 박막을 상기 순응성 박막층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데, 순응성 층은 두께가 2 mil(50μ)이고, 가소성 폴리(염화 비닐) 박막 또는 폴리우레탄 박막(오하이오 소재의 B.F. 굿리치 컴패니, 스페셜티 폴리머 & 케미칼 디비젼 오브 클레버랜드의 상표 58227호인 폴리우레탄 펠릿 또는 뉴햄프셔 시브룩 소재의 모르톤 인터내셔날, 스페셜티 케미칼 그룹의 상표 PN-3429 또는 PN-03호인 폴리우레탄 펠릿으로 제조됨)을 구비한다. 또한, 순응성 운반층은 윌밍톤 델라웨어 소재의 듀 퐁 컴패니, 폴리머 제품부로부터 "SurlynTM9910"같은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메타크릴릭 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아크릴 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플루오르카본 중합체의 이오노머를 구비한다. 입방체 코너 세그먼트는, 에컨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구비한다. 순응성 운반층과 선택적 부착층은 입방체 코너 반사 요소의 재료에 비해 낮은 모듈러스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유연한 입방체 코너 역반사 시이트는 미국 특허 제08/472,444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는 미국 출원 번호 제08/285,648호의 부분 후속이고, 상기 출원은 1993년 10월 20일 출원된 출원 번호 제08/139,433호의 부분 후속이며, 상기 모두는 참조로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있다.
간단히, 이들 특허 출원은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입방체 코너 요소의 어레이 및 제1과 제2 주요면을 가지는 중첩 박막 또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복합 역반사 시이트를 개시한다. 입방체 코너 요소는 중첩 박막의 제1 주요면에 결합된다. 어레이와 중첩은 적어도 1 내지 1.5x107파스칼의 탄성율로 차이를 가지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1 및 제2 중합 재료를 구비한다. 입방체 코너 요소의 어레이는 16x108파스칼 이상의 탄성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18x108파스칼 이상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x108파스칼 이상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중첩 박막은 낮은 탄성율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즉, 13x108파스칼 이하의 탄성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7x108파스칼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x108파스칼 이하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입방체 코너 어레이는 각각의 입방체 코너 요소 둘레에 파쇄되어, 둘러싸는 입방체 코너 요소로부터 각각의 개별적인 입방체 코너 요소의 파쇄 분리선을 제공한다. 입방체 코너 시이트는 중첩 박막과 입방체 코너 요소 사이의 랜드층(land layer)을 포함한다. 상기 랜드층은 입방체 코너 요소의 평균 높이의 약 1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방체 코너 요소의 후방은 크롬, 알루미늄, 은 또는 그 조합체 같은 마이크로 두께의 금속층으로 코팅되어 역반사를 증가시킨다.
전술된 순응성 입방체 코너 역반사 시이트는 본 발명의 제설 가능한 차도 표지 상에서 매우 잘 수행된다. 이들 역반사 시이트는, 특히 입방체 코너 요소의 후면이 금속으로 코팅될 때, 제설 가능한 차도 표지를 위해 필요한 엄격한 조건하에서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낸다. 이 역반사 시이트는 역반사능의 감소없이 우수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전술된 바와같이, 유연한 기후적 부착 시스템(13), 특히 미네소타 세인트 폴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메뉴팩츄어링 컴패니로부터 구매할 수 있는 3M VHB(매우 강한 결합) 테이프를 갖춘 표지 본체부(10)의 리세스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역반사 시이트(12)를 보여준다. 역반사 색은 차도상에서 사용될 때 그 위치와 기능에 비해 특정적이고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은 매우 유연한 역반사기(12)의 구성과 표지 본체(10)에 적용된 매우 유연한 부착 시스템(13)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두께가 대략 0.01in인 역반사 재료와 두께가 대략 0.02in인 부착 시스템에서의 두께에서 균형잡힌 것을 보여준다. 매우 유연한 부착부(58,60)(고전단 아크릴 형태) 때문에, 부착부(58)는 역반사기(12)와 부착 부재(13)의 두께 치수가 중첩되도록 조립체의 전체 금속화 입방체 코너 면부(57) 둘레에 일체화된다.
미세 사방정계의 입방체 코너 요소에 의해 생성된 효과적인 높은 표면 영역은 입방 코너 시이트과 부착부 사이에 예외적으로 강한 결합이 달성되게 한다.
입방체 코너 요소(57)가 서로에 대해 독립적이고, 상기 요소들이 유연한 라미네이트층(56)에 결합된 베이스부에 힌지되는 사실로서, 역반사기(12), 부착 라미네이트(13) 및 표지 본체(10)의 총 조합체가 일제히 작용하게 하고, 표지 본체(10)의 충격에 의해 구부러질 때 결합된다. 부착 시스템에서, 그 삽입층(59)은 유연하고, 탄력적이고, 아크릴 발포재이다. 역반사기 상부 라미네이트(55)는 유연하고, 내마모성 박막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 플라우 충격에 영향을 받을 때, 베이스부(31)의 상부 부분(19) 둘레에 표지 본체의 주변 성장은 작거나 거의 없고, 차도의 공동에 배치된 환형 링 장착 장치 내의 강성 그라우트 또는 대체물로써 표지이 차도 내에 설치되게 한다. 유연한 그라우트는 소정의 적용시에 바람직하고, 사용될 수 있다. 표지 본체는 공동 내에 포획된 공기가 본체 부재 상부의 변형을 방해하는 것을 막도록 대기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같이, 통기는 차도 표지의 내부로부터 습기를 해제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다. 예컨데, 통기는 표지 본체(10)의 상부의 부분 구멍(16)을 완성함으로써 달성되고, 환형 링 장착 장치(이하에서 논의되는)가 차도 내에 표지 본체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상기 장치 내의 통기 채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표지 벤팅과 차도 표지의 최대 유연성의 조합으로, 표지 본체 부재가 제설 블레이드에 의한 변형에 매우 작은 저항을 나타내게 한다. 제설 블레이드로부터의 충격에 낮은 저항은 표지 본체 부재 상에 절단 및 포착 작용을 막는다.
도 2 및 도 6은 강성 또는 유연한 그라우트로써 차도에 표지를 장착하는데 대체물로서 사용되는 환형 링 형태의 장착 장치를 보여준다. 상기 장착 장치는 내부면과 외부면(도면 부호 없음)을 가지는 유연한 인조 재료의 환형 벽을 구비한다. 내부면(25)은 물체, 특히 표지 본체 부재와 기계적으로 맞물린다(장착 장치가 차도의 보링구멍의 다른 유용한 물체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지라도). 장착 장치의 외부면은 보링구멍 둘레에 차도와 맞물리게되는 다수의 환형 리브(26)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는 그 리브가 차도와 맞물릴 때 상향으로 편향되도록 보링구멍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적어도 3.3% 더 큰 것이 바람직함). 상기 리브의 상향 편향은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링구멍으로부터 표지가 제거되는데 저항하게 한다.
장착 장치는 다중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중 기능에는, 적합한 높이로 차도 공동 내에 표지의 장착; 차도 재포장이 필요할 때, 표시물 본체 부재의 용이하고 빠른 교체 제공; 표지 공동의 완전성을 손상시키고 불안전한 차도 조건이 되는 아스팔트 크립 공정을 방해 기능이 있다. 고온 조건과 무거운 차량 통행 하에서, 아스팔트는 유연해지고, "크립"되는 경향이 있고, 차도 내의 공동을 채운다. 크립이 체크되지 않고 남아있다면, 표지의 베이스부의 완전성은 손상될 수 있고, 침하가 표지의 주변 둘레의 차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습하고, 추운 기후라면, 얼음은 통행에 위험을 나타내는 이러한 침하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20)의 내부면(25)은 베이스부(31)의 플랜지(19a)를 수납하도록 설계된다. 베이스부(31)의 외부면은 링(20)의 내부표면(25)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가능한 끼워맞춤은 차도 표지의 수행성을 손상시키는 조립체 내로 습기와 부스러기의 진입을 감소시킨다. 상기 분리가능한 끼워맞춤은 장착 장치 링(20)과 표지 본체의 베이스부(31)의 하부 부분에 제한되지 않고, 도 7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지 본체부의 베이스부(31)와 그 베이스부(31)의 상부 부분의 장착 장치 링의 내부면(25) 사이에 환형의 공기공간 또는 갭(28)을 제공한다. 이러한 갭(28)은 표지 상부 섹션에 부가의 유연성을 제공하여, 제설기 충격에 표지의 상부(32)의 보다 빠르고 보다 유순한 반응이 표지의 오래 견딤성을 증가시킨다. 전술한 바와같이, 표지 본체 베이스부(31)의 상부 1/3은 하부의 벽 두께의 절반이 되게 얇아서 표지 본체(10)에 부가적인 측방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크기는 장착 장치(20)의 갭과 함께 일제히 작용한다. 고속 통행 흐름에 의해 유발되는 차도 표면 상의 공기 흐름은 갭에 입자들을 없게 하는 경향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형의 링 장착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표지 본체는 적절히 그라우트되고, 상기 플랜지(19a)를 부분적으로 그라우팅하는 것은 상기 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장착 장치 링은 그라우트없이 보어된 차도 공동 내로 가압될 수 있다. 이것은 빠른 장착을 허용하는데, 쏟아져 나오는 물 드릴로써 차도 내에 보어된 공동이 그라우팅 전에 건조를 필요로하기 때문이다. 표지(10) 또는 다른 물체 및 장착 장치 링(20)의 효과적인 설치 방법은 장착 장치(20)와 표지(10)의 예비 조합체를 차도의 보링구멍(40) 내로 가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해머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수압력 램을 사용함으로써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링구멍을 형성하는 드릴은 상기 수압력 램을 사용하면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13은 독특한 드릴 비트(74)와 삽입 고정구(77)를 포함하는 보링구멍 천공 장비(70)를 보여주고, 차도 표지 시스템용 신규한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수압력에 의한 천공 장비(70)는 20 마력과 80 마력 사이가 통상적인 비율로 수압력 유닛을 운반할 수도 있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차량(단지 부분으로 도시됨)은 수백 갤론의 물을 드릴 비트 냉각용 및 차도의 보링구멍(40)으로부터 부스러기를 확 뽑아내는용으로 운반할 수도 있다. 수압식 모터(73)는 수압식 램(72)이 차도내로 하향으로 드릴 비트(74)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반면에 보링구멍 천공 중에 드릴 비트(74)를 회전시킨다. 물은 천공 작동 중에 드릴 비트의 내부로 펌프된다. 드릴 비트(74)는 독특한 "커프" 절단 부재(75)(드릴 비트의 상부 주변에 위치됨)를 포함하여, 차도 표지(10)이 차도(42)의 적합한 작동 깊이로 설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커프 절단기"는, 드릴 비트(74)의 하부 절단 부재(76)가 적당한 보링구멍 깊이에 도달할 때, 차도 상부 표면에 보링구멍의 한계를 정하는 커프(43)를 절단한다. 그 후, 드릴 비트(74)는 수압식 램(72)에 의해 일어나고, 보링구멍(40)은 물과 부스러기를 없앤다. 그 후, 표지(10)과 장착 장치(20)의 예비 조립체는 보링구멍(40) 내에 끼워맞춰지도록 충분히 작은 장착 장치(20)의 하부 힐을 갖춘 보링구멍(40) 내에 배치되어, 예비 조립체용 중앙 기능을 제공한다. 장착 장치 상부 림(24)에 순응하고 그 중앙에 있는 하부 플랜지를 구비한 삽입 고정구(77)는 예비 조립된 표지/장착 장치 상에 배치된다. 삽입 장치는 표지(10)에 접촉하지 않는다. 삽입 고정구(77)의 하부 플랜지(78)는 장착 장치(20)의 주변을 지나서 반경으로 연장하지만, 보링구멍(40)의 커프(43)의 직경 내에 끼워맞춰지도록 반경 크기가 충분히 작다. 또한, 상기 고정구(77)는 드릴 비트 하부 절단 요소(76)에 의해 접촉되도록 설계된 매우 탄력있는 재료로 제조된 상부 표면(79)을 구비한다. 보링구멍(40) 상에서 중심에 있는 드릴 비트(74)는 수압식 램에 의해 하향으로 구동되고, 삽입 고정구(77)와 표지/장착 장치 조립체를 보링구멍(40) 에 접촉시키고 구동시킨다. 모든 부재의 하향 이동은 제어되고, 삽입 고정구(77)의 하부 반경으로 연장된 플랜지(78)가 보링구멍(40)의 커프면(43)과 접촉할 때 정지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표지/장착 장치의 적합한 삽입 깊이가 드릴 비트 절단 요소(75,76)의 비교적 크기, 삽입 고정 플랜지(78)와 보링구멍 커프(4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과잉의 수압 압력이 보링구멍 내에 장착된 장치에 적용되지 않는다. 삽입 방법 중에, 장착 장치(20)의 리브(26)은 상향으로 변형되고, 보링구멍(40)의 내부표면을 그립한다. 드릴 비트(74)는 삽입 방법 중에 수압식 모터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드릴 비트(74)에 펌프된 물에 의해 회전되지도 않는다. 차도 표지(10)의 적합한 삽입과 이러한 방법에 의한 장착 장치(20)는 수 초안에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링 시일(30)은 이러한 방법에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은 차도 공동(40) 내에 환형 링 장착 장치로 장착된 표지(10)의 절단면을 보여준다. 그립핑 리브(26)은 장착 장치 링(20)의 외부면과 차도(42) 사이에 주입된 그라우트 내에 변형되고 포획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상부 림(24)은 수직 절단 크기 내의 차도 표면(41) 바로 아래에 존재한다. 링(20)의 내부 상부-섹션(27)은 제설 블레이드에 의한 포착을 피하기 위해 최상의 리브에 감소된 상승으로 이르고, 차도 표면(41) 아래에 존재한다.
도 2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채널(22)을 보여주는데, 각각은 인접 채널에 대략 90차도 간격을 둔다. 상기 채널은 환형 링(20)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고, 내부 공동을 벤트하며, 또한 차도 내에 링을 또 다시 고정시키기 위해서 그라우트(50)용 채널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단일 채널이 만족스런 벤팅을 제공하지만, 다수의 채널이 양호한 벤팅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데, 단일 채널이 부스러기에 의해 저지된다면 일어날 수 있는 부적절한 벤팅의 가능성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라우트의 사용은 보어 캐버티의 크기와 질, 포장 재료 및 차도 조건에 따른다. 장착 장치의 링(20)은 단일 부재(즉, 일체적으로)로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두 편으로 제조된 제조된 링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함께 로크되는 다수의 분리 부분으로서 주형된다. 링을 분할 함으로써, 표디외 링이 차도에서 철거되면 잠재적인 돌출 위험에 관한 잇점을 제공하는데, 링은 60g 정차도 중량이 반감되고, 유연한 우레탄 표지는 160g으로 반감된다. 그러한 중량과 재료는 운전자에게 상당항 위험을 제공할 것 같지가 않다. 링에 대한 바람직한 재료는 다우 케미칼 컴패니로부터 구매할 수 있는 HD 10062같은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이다. 장착 장치 링(20)은 차도 지형에 순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연한 본체 부재를 가짐으로써, 설치된 고도에 순응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스템의 주요 장점은 차도 표지가 용이하게 링의 안쪽 및 바깥쪽으로 비집고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차도 표지의 설치 및 제거는 단순한 도구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표지는 과잉의 차량 통행에 의한 힘 하에서 링에 남아있고, 제설기 이들 힘에 따라 프라이 제거 힘에 정상적으로 작용한다
도 3은 환형 링(20) 바로 아래의 차도 공동에 끼워지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링 시일을 보여준다. 교차식으로 링크된 폴리에틸렌 발포재(예컨데, 마스 로렌스 소재의 볼텍사로부터 구매할 수 있는 T200)같은 밀폐식 발포재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착 링(20)이 그 위에 설치될 때 가압되도록 의도된다. 링 시일(30)은 유체 시일이 차도 표지의 내부 및 대기 분위기 사이에 유지되도록 탄력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시일은 차도 표지의 내부에 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링 시일(30)은 차도 공동 내에 습기가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20) 아래의 차도 공동 내의 공간을 차지한다. 얼을 때, 습기는 링(20)을 제설블레이드에 노출시키면서 상향으로 구동시키도록 팽창될 수 있다. 링 시일(30)이 장착 장치 링(20) 아래의 갭을 충분히 차지하지 않을지라도, 과잉의 차도 보어 공동 깊이 때문에, 장착 장치 링(20)이 습기가 얼어서 보어 공동의 상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보어 공동 내에서 얼을 때, 습기의 팽창은 그것이 높은 마찰 하에서 장착된 장착 장치 링(20)에서 작용하기 전에 링 시일(30)을 가압하는 경향이 있다.
시스템 부재의 다른 조합으로, 다양한 조건 하에서 시스템 설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콘크리이트는 폴리에틸렌 링의 마찰 로크를 감소시키는 비교적 부드럽게 보어된 공동을 제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라우트(50)는 차도 공동 내에 링(20)을 로크하도록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이트는 낮은 기공을 가지고, 그러므로 배수를 늦출 수 있는 공동 내의 습기를 가진다. 링 시일(30)은 그러한 환경하에서 사용되어, 습기가 링 아래에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30)은 벤트용으로 작동하지 않고, 그래서 그라우트(50)가 너무 많은 벤트 채널(22)(도 2)을 부여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표지 벤팅(16)은 표지 부재(10)의 상부 내에 구멍(16)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표지의 본체 부재의 주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단지 부분적인 구멍이 형성된다. 펀칭 또는 천공에 의해 용이하게 완료된다.) 또한, 공동이 드릴 장비 동심 때문에 특대사이즈가 될 때, 그라우트(50)는 아스팔트 차도에 사용될 수 있다. 그라우트는 차도 재료에 부착되고, 환형 링(20)의 다수의 리브(26)에 기계적 로크를 성형할 수 있다. 예컨데, 주차장같이 차량 통행이 크기가 작은 적용시에, 표지 본체(10)는 강성 그라우트(50)로써, 또는 부드럽고 보다 유연한 그라우트로써 직접적으로 보어된 공동 내에 설치된다. 그라우트는 환형 링(50)없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 설치는 표지 악화를 증진시키지 않을 것 같고, 대체의 용이성으로 문제가 덜하다. 링 시일(30)은 환형 링 장착 장치(20)를 포함하지 않는 적용에 필요하지가 않는데, 그라우트가 표지 높이를 설치하며, 시일(30)의 기능을 수행하고, 표지 포획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환형 링 장착 장치에 의해 수행되도록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벤팅은 표지 본체(10) 내의 구멍(16)을 제공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밀페된 발포 밴드(51)를 사용한다. 이 밴드는 본체 부재(10)가 그라우트(52)로써 차도 내에 고정되도록 의도될 때 사용된다. 상기 밴드(51)는 신장되고, 보링구멍(40) 내의 중앙의 융기형 코어부 둘레에 삽입된다. 그 후, 본체 부재(10)는 발포 밴드(51) 상에 그리고 둘레에 위치되고, 상기 밴드(51)는 본체 부재(10)를 탄력적으로 가압하고 지지한다. 본체 부재(10)는 이 실시예에 발포 밴드를 사용함으로써 차도 표면(41)에 비해 적합한 설치 높이로 수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 후, 그라우트(52)는 표지 본체 부재(10)의 주변 둘레의 보어 구멍 내로 삽입된다. 발포 밴드(51)는 그라우트가 보링구멍 공동(40)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중요하게, 그라우트가 플랜지에 대향하는 표지 하부 베이스부의 "힐" 뒤에 들어가거나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라우트(52)가 차도 공동 내에 남아있고, 재포장 작동 시에 교체될 필요가 없다. 주로, 표지 본체의 설치 방법은 그라우트가 경화된 이후에 보링구멍 내에 장착 장치와 동일한 잇점을 생성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분적인 그라우팅(61)은 도 7에 도시된 장착 장치 갭(28)과 동등한 잇점을 생성한다. 그라우트(52)와 발포 밴드(51) 모두는 효과적으로 대기 분위기로부터 본체 부재(10)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밀봉하고, 구멍(16)은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지 본체 부재(10)를 대기와 연통시기키 위해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발포 시일(30)같이, 도 8에 도시된 발포 밴드(51)는 밀폐 폴리에틸렌 발포재로부터 제조된다.
제설 블레이드에 의한 충격에 반응하여 표지 본체의 작용은 도 10에 부분(a),(b) 및 (c)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참조 번호 54를 부여함으로써 도 5와 같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는데, 제설 블레이드를 표시하고, 도 10의 부분(a)의 초기 충격으로부터 도 10의 부분(b) 및 (c)의 나중 스테이지까지 표지 본체의 제1 강성 부분(33)을 가로질러 유지되는 낮은 접선각의 충격 A 를 나타내는 참조 문자 "A" 를 표시한다. 또한, 도 10은 플라우 충격이 진행함에 따라 표지(10)의 하부로 변형하는 유연한 제2 섹션(14)을 보여주는데, 상기 유연한 제2 섹션(14)은 표지(10)의 상부의 주변 둘레의 비교적 고정되지만 매우 유연한 힌지 부분(18)에 의해 보조되고, 표지 본체의 상부의 측방 이동을 제공하는 유연한 상부 베이스 부분(19b)에 의해 보조된다.
또 다른 힌지 지점이 제1 강성 부분(33)과 제2 연성 부분(14) 사이에 위치된 힌지 부분(34)으로서 보여진다.
본 발명의 장점은 주로 완전히 비금속 시스템인 것이다. 차도가 재포장 될 때, 주형 금속 유닛은 잭-햄머같은 도구에 의해 차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재포장에 사용된 "스캐러파이어(scarifier)"에 의해 소모되고, 불필요한 표지를 제거시킨다. 모든 부재는 연속적인 사용을 위해 재활용되는 사용된 아스팔트 내로 녹거나 또는 일체화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균등물이 후술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진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요소를 대체하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6)

  1. 차도의 보링구멍에 설치되는 융기형 차도 표지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베이스부와 거의 돔형인 상부를 갖는 본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는 제1 강성 부분과 제2 연성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강성 부분은 역반사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의 제1 부분 상에 힘을 인가될 때 제2 연성 부분에 의하여 그 상부가 베이스부로 하향 편향되며, 상기 차도 표지는 상기 인가된 힘이 해제될 때 상부가 돔 형태의 구조로 복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제1 및 제2 부분보다 유연한 주변 가장자리 부분에 의하여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제1 두께를 갖는 하부 섹션 및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갖는 상부 섹션을 포함하는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3.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두께는 제1 두께의 약 절반이며, 제1 섹션의 높이는 제2 섹션 높이의 약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보다 상당히 크며, 상기 제1 부분은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상부의 중앙부를 지나서 내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부의 약 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 근처에 배치된 하향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제1 및 제2 부분을 교차하는 가상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는 -40℉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검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8. 제2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평균 두께를 가지고, 제2 부분은 제2 평균 두께를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제3 평균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평균 두께는 제1 평균 두께보다 작으며, 제3 평균 두께는 제2 평균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균 두께는 리세스부와 두꺼운 섹션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서 약 3 내지 9 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mm이며, 제2 평균 두께는 약 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mm이며, 제3 평균 두께는 제2 평균 두께보다 약 20% 작고, 리세스부는 대략 4 내지 12 mm의 평균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를 대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수단은 상부에 구멍 또는 베이스부 둘레에서 이격된 복수개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12. 차도의 보링구멍 내에 물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내부면 및 외부면을 가지는 환형 벽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면은 물체와 마찰식으로 결합하며, 외부면은 보링구멍 내에서 차도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환형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보링구멍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며, 장치가 보링구멍 내에 강제로 삽입될 때, 상기 리브는 보링구멍으로부터 제거에 저항하기 위해 보링구멍의 주변 측벽과 결합 상태에서 상방으로 편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4. 제12항 및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끼워져서 환형 벽을 형성하는 두 개의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면은 물체에 환형 플랜지를 수납하도록 환형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체의 바닥 표면을 수납하기 위하여 내부로 배향된 바닥 플랜지를 부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 둘레로부터 분리 이격되고 상기 리브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채널을 부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7. 베이스부와 거의 돔형인 상부를 갖는 본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는 표지를 대기와 연통시키는 통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상에 힘을 인가되면 베이스부로 하향 편향되며, 상기 차도 표지는 상기 인가된 힘이 해제되면 상부가 돔 형태의 구조로 복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보다 유연하고, 상기 상부는 힌지로서 작용하는 주변 가장자리에 의하여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가 베이스부를 향하여 하향 편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
  19. 차도 표지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링구멍의 바닥 상방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중앙 코어가 융기된 상태로, 차도에 보링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비신장된 상태에서의 직경이 상기 중앙 코어의 직경보다 작은, 밀폐된 셀 발포 재료로 이루어진 밴드를 신장시키는 단계,
    상기 신장된 밴드를 코어 둘레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표지가 차도의 표면 상방으로 연장하는 상부를 갖도록, 밴드가 압축 및 표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표지의 관형 베이스부를 밴드상에 그리고 그 둘레에 위치설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표지 장착 방법.
  20. 청구항 1에 기재된 표지와 밀폐된 셀 발포재로 이루어진 밴드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신장되어 차도의 보링구멍의 중앙 코어 둘레에 삽입되며, 상기 코어는 차도의 표면 하방이 아니라 보링구멍 바닥 상방으로 융기되고, 상기 벤드의 비신장된 직경은 중앙 코어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밴드가 표지를 압축 및 지지하는 상태에서 표지의 상부가 차도의 표면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표지의 베이스부는 밴드 상에 그리고 그 둘레에 위치하며, 상기 표지는 그라우트(grout)를 갖는 차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차도 표지와 밴드의 조립체.
  21. 차도의 보링구멍에 물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와, 유연하고 밀폐된 셀 발포재로 이루어진 링 밀봉부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링 밀봉부는 그 밀봉부 상의 장착 장치에 의하여 보링구멍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링 밀봉부는 장착 장치가 보링구멍에 장착될 때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2. 차도 상에 설치될 때, 차도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차도 표지에 있어서,
    상기 차도 표지는 베이스부 및 거의 돔 형태의 상부를 갖는 본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는 역반사 시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을 가지며, 상기 상부는 그 위에 힘이 인가되면, 상부가 베이스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편향될 수 있도록 변형되고, 적어도 차도 표지의 상부는 전체가 검은색인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표지.
  23. 장치와,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는 장착 장치 링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차도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동력 램과, 드릴 비트에 제공된 단부를 갖는 천공기로 차도에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b) 상기 드릴 비트를 보링구멍에 대하여 센터링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구멍으로부터 회수하는 단계,
    c) 장착 장치 링과 일치하는 하부 환형 표면, 공극이 없이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공동, 천공 장치의 드릴 비트에 의하여 상기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고탄력 상부 표면을 구비하는 삽입 고정구를 드릴 비트의 단부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d) 조립체 장착 장치의 하부 단부를 구멍에 배치시키는 단계,
    e) 삽입 고정구를 링까지 하강시키는 단계,
    f) 조립체가 구멍 내에서 소정 거리로 삽입될 때까지, 고정구와 조립체를 하방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드릴 비트를 회전시키지 않고, 동력 램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차도 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25. 차도의 보링구멍 내에 차도 표지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차도에 보링구멍을 제공하는 단계,
    b) 차도 표지의 베이스부와 헐겁게 결합된 내부면과 차도의 보링구멍과 결합되는 외부면을 구비한 장착 장치 내에 상부와 베이스부를 갖는 차도 표지를 상부가 장착 장치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시키는 단계,
    c) 장착 장치를 차도의 보링구멍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고정구 상에 환형 플랜지가 커프에 배치될 때까지 고정구와 조립체를 하향으로 구동시키고 구멍의 상부에 인접하여 외부로 연장하는 환형 커프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체가 구멍 내로 원하는 길이에 삽입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KR1019980702557A 1995-10-05 1996-08-26 유연성이 있는 융기형 차도 표지, 그 장착 장치 및 방법 KR199900640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965095A 1995-10-05 1995-10-05
US8/539,650 1995-10-05
PCT/US1996/013596 WO1997013038A1 (en) 1995-10-05 1996-08-26 Flexible raised pavement marker, mounting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078A true KR19990064078A (ko) 1999-07-26

Family

ID=2415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557A KR19990064078A (ko) 1995-10-05 1996-08-26 유연성이 있는 융기형 차도 표지, 그 장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95170A (ko)
EP (2) EP0853707A1 (ko)
JP (1) JPH11512797A (ko)
KR (1) KR19990064078A (ko)
CN (1) CN1198790A (ko)
AU (1) AU6856096A (ko)
CA (1) CA2233954A1 (ko)
WO (1) WO19970130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378A (ko) * 2017-09-05 2019-03-13 옥물결 파빙이 가능한 유동부재 및 그를 이용한 파빙 도로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742A (en) * 1996-03-06 2000-04-18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Pavement marker
FR2785307B1 (fr) * 1998-10-30 2001-01-05 Andre Bigazzi Dispositif de signalisation routiere comprenant un element de signalisation retractabl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US6955496B2 (en) * 2001-05-16 2005-10-18 Shaun Burchell Road marker
US20070258763A1 (en) * 2003-05-14 2007-11-08 Shaun Burchell Embedded-Type Reflective Road Maker
GB2426540B (en) * 2005-05-23 2008-06-18 Ind Rubber Plc Road stud
PL2205795T3 (pl) * 2007-10-05 2017-02-28 Thomas Dudley Limited Drogowy odblaskowy znacznik
US7993073B2 (en) * 2008-05-29 2011-08-09 Ji Hyun Ryu Road marker
US9534351B2 (en) * 2008-07-02 2017-01-03 Roadvision Technologies, Inc. Method of installing depressible pavement marker
CN102831821A (zh) * 2012-09-11 2012-12-19 上海应用技术学院 汽车安全标志放置器
CN105980143B (zh) * 2014-02-13 2019-03-22 3M创新有限公司 具有高温稳定性的柔性微球体制品
WO2018194835A1 (en) * 2017-04-18 2018-10-25 R & D Plastics Of Hickory, Ltd. Ring d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ing dam
US11011082B2 (en) 2017-05-16 2021-05-18 Promedica Health System, Inc. Stairway safety device
CN110552281B (zh) * 2019-09-02 2022-01-14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沥青路面缺陷修补方法及加固工件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74A (en) * 1887-02-22 Nventdrs
US1802940A (en) 1928-05-25 1931-04-28 Wesley F Cornelius Collapsible traffic button
US2156681A (en) * 1936-06-18 1939-05-02 Goodrich Co B F Sealing strip
US2192878A (en) * 1938-07-23 1940-03-12 Goodrich Co B F Traffic marker
US2157059A (en) 1938-09-19 1939-05-02 Raymond Meidl Road marker
US2760757A (en) * 1953-06-25 1956-08-28 Charles H Donaldson Coring machine
FR1080983A (fr) * 1953-07-07 1954-12-15 Borne de signalisation routière
US3216335A (en) * 1962-03-05 1965-11-09 Stolarczyk Gregory Highway marker with reflectors
US3257552A (en) * 1963-09-03 1966-06-21 Victor E Converso Flush lamp mounting device
GB1163751A (en) * 1965-07-30 1969-09-10 Robert Stuart Macrae An Improved Type of Self-Cleaning Reflecting Road Stud
US3392639A (en) * 1966-10-12 1968-07-16 Elastic Stop Nut Corp Pavement marker for day and night visibility
GB1327759A (en) * 1969-12-16 1973-08-22 Unistud Ltd Road studs
US3850536A (en) 1971-12-22 1974-11-26 Traffic Standard Inc Light-reflective road marker
US3924958A (en) * 1972-12-21 1975-12-09 Rowland Dev Corp Highway retroreflecting marker
US3890054A (en) 1974-04-01 1975-06-17 Connor Sean E O Flexible highway marker
GB1563798A (en) 1975-09-11 1980-04-02 Molehurst Ltd Road studs
US4078867A (en) * 1975-12-24 1978-03-14 Grandview Industries, Limited Traffic marker post
US4195945A (en) * 1977-04-20 1980-04-01 Amerace Corporatio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and base member therefor
US4147447A (en) 1977-04-20 1979-04-03 Amerace Corporatio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and base member therefor
US4140418A (en) 1978-02-13 1979-02-20 Holley Neil K Traffic indicator
US4297051A (en) 1979-06-01 1981-10-27 Robinson Jesse L Deformable highway marker
FR2480323A1 (fr) * 1980-04-09 1981-10-16 Signal Applic Fourn Equip Rout Plot de balisage routier
US4597691A (en) * 1981-10-06 1986-07-01 Animotion Inc. Retractable traffic delineator
GB2109039B (en) * 1981-11-03 1985-07-31 Inoventors Ltd Reflective road studs and a method of forming such studs
US4659248A (en) 1981-11-17 1987-04-21 Amerace Corporation Self cleaning pavement marker
US4557624A (en) * 1983-09-09 1985-12-10 Walker Floyd E Snow plowable pavement marker
US4839122A (en) * 1983-09-26 1989-06-13 Libbey-Owens-Ford Co. Reaction injection molding of window gasket
CA1207174A (en) 1984-02-14 1986-07-08 Ronald A.W. Clarke Traffic marker and housing
US4577992A (en) 1984-08-31 1986-03-25 Jefferies George S Snowplowable road marker apparatus
DE8427790U1 (de) * 1984-09-21 1985-01-31 Berleburger Schaumstoffwerk Gmbh, 5920 Bad Berleburg Fahrdynamische Schwelle für Kraftverkehrswege
US4815818A (en) 1984-12-18 1989-03-28 Eagle Industries, Inc. Three-dimensional flexible reflectors
US4747981A (en) * 1985-10-07 1988-05-31 Robinson Jesse L Method of molding a urethane reflector
US4717281A (en) 1986-10-10 1988-01-05 Shepherd Kathleen P Road marker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S63145951A (ja) * 1986-12-09 1988-06-18 Daipoole:Kk 糸状材料の物性量測定装置
US4871280A (en) * 1987-03-09 1989-10-03 Modlin Delbert J Retractable pavement marker/reflector
US4955982A (en) * 1987-03-26 1990-09-11 Olympic Machines, Inc. Raised depressible pavement marker
US5074706A (en) * 1987-03-26 1991-12-24 Olympic Machines, Inc. Raised depressible pavement marker
US4848958A (en) 1988-10-06 1989-07-18 Sheldon Steven A Recessed deflecting road reflector
GB9008886D0 (en) * 1990-04-20 1990-06-20 Sherwin Godfrey P Road marking studs
US5069577A (en) 1990-10-23 1991-12-03 Murphy Patrick E Flexible raised pavement marker
US5066163A (en) * 1990-12-20 1991-11-19 Kerry Whitaker Resilient sign and guidepost
US5302048A (en) 1992-02-18 1994-04-12 Olympic Machines, Inc. Resilient pavement marker
US5529430A (en) * 1993-09-21 1996-06-25 Jenkins; David H. Reflective road stud
US5450235A (en) * 1993-10-20 1995-09-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exible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378A (ko) * 2017-09-05 2019-03-13 옥물결 파빙이 가능한 유동부재 및 그를 이용한 파빙 도로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95170A (en) 1999-04-20
EP0853707A1 (en) 1998-07-22
EP0959181A2 (en) 1999-11-24
WO1997013038A1 (en) 1997-04-10
AU6856096A (en) 1997-04-28
CA2233954A1 (en) 1997-04-10
EP0959181A3 (en) 2002-03-06
CN1198790A (zh) 1998-11-11
JPH11512797A (ja) 199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4078A (ko) 유연성이 있는 융기형 차도 표지, 그 장착 장치 및 방법
CA1284283C (en) Raised depressible pavement marker
US5074706A (en) Raised depressible pavement marker
EP0522148B1 (en) Impact recovery delineation system
US4000882A (en) Contrasting marker panel for highway guardrails and the like
US4195945A (e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and base member therefor
US4245922A (en) Traffic delineator post
US4534673A (en) Elastomeric pavement marker
US4297051A (en) Deformable highway marker
KR101568970B1 (ko) 부착식 도로표지병
US4174184A (e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same
US5857801A (en) Roadway reflector
US4155666A (e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and base member therefor
US6102612A (en) Controlled tire impact pavement marker
EP0125785B1 (en) Elastomeric pavement marker
US6050742A (en) Pavement marker
WO2019102481A1 (en) Depressible road marker
JP2843516B2 (ja) ブロック状路面標識体、および、その取付方法
CN214005544U (zh) 一种废旧轮胎制成的新型节能环保防撞桶
KR200370448Y1 (ko) 도로 표지병
EP0161332B1 (en) Elastomeric pavement marker
CA2158908A1 (en) Flexible raised pavement marker, mounting device and method
NO833629L (no) Tilbaketrekkbar trafikkmarkoer
JPH0327056Y2 (ko)
AU2004100648A4 (en) Surface flush, road-terrain mar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