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003A - 전기 컨넥터용 결합된 보조 록킹부재 - Google Patents

전기 컨넥터용 결합된 보조 록킹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003A
KR19990064003A KR1019980702480A KR19980702480A KR19990064003A KR 19990064003 A KR19990064003 A KR 19990064003A KR 1019980702480 A KR1019980702480 A KR 1019980702480A KR 19980702480 A KR19980702480 A KR 19980702480A KR 19990064003 A KR19990064003 A KR 19990064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passages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s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윌크너
롤프 제터
Original Assignee
세이취크 제이 엘.
더 와이타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취크 제이 엘., 더 와이타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세이취크 제이 엘.
Publication of KR1999006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0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Abstract

내부에 터미널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터미널 수용 통로들(12, 14)을 구비한 하우징(2)과 터미널들이 통로(12, 14)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제 1 위치와 터미널들이 통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제 2 위치를 갖는 보조 록킹부재(26, 28)를 포함한 전기 컨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보조 록킹부재(26, 28)는 제 2 스테이지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 1 스테이지(26)를 포함하며, 제 1 스테이지(26)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 제 2 스테이지(28)와 관련된 스트로크보다 큰 스트로크(stroke)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 컨넥터용 결합된 보조 록킹부재
전기 터미널들이 컨넥터 하우징내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조 록킹부재들(secondary locking members)을 결합하는 것은 전기 컨넥터 산업분야에서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보조 록킹부재들은 터미널이 내부에 위치된 후 터미널 수용 통로 내에서 이동가능한 견부(shoulder)에 결합됨으로서 터미널이 록킹부재의 일부분을 지나 이동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것은 동일 또는 유사한 규격의 콘택트를 내부에 결합하는 전기 컨넥터용으로 매우 간단한 것이다.
콘택트들의 규격간에 현저한 불균형이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콘택트들을 내부에 갖는 하이브리드 컨넥터(hybrid connector) 분야에 특히 문제가 존재한다. 하나의 해결방법은 컨넥터내 특정 영역들에 여러 규격의 콘택트를 위치시킨 후 특정영역들 각각에 맞게 한 개별적인 보조 록킹부재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다른 해결방법은 다양한 규격의 모든 통로들을 위한 가장 최적의 견부들이 아니라 통로 내에 일부 오버랩(overlap)을 제공하기 위한 절충된 보조 록킹부재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제 1 해결방법에서의 문제점은 조립시 다수의 보조 록킹부재들이 컨넥터 하우징내에서 작동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록킹부재들이 적절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어렵게 한다. 제 2 해결방법에서의 문제점은 최적의 보조 록킹부재를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필요로 하는 것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보조 록킹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전기 컨넥터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터미널들이 컨넥터 하우징내에 지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조 록킹부재를 이용한 전기 컨넥터들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2 부분의 록킹부재와 결합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컨넥터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컨넥터내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록킹부재의 상부 사시도;
도 3은 제 1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단일체 보조 록킹부재의 대표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전기 컨넥터의 일부 단면 대표도;
도 4는 제 2 위치에서의 보조 록킹부재를 도시한 도 3과 유사한 일부 단면 대표도; 및
도 5는 제 3 위치에서의 보조 록킹부재를 도시한 도 3과 유사한 일부 단면 대표도.
이러한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은 내부에 터미널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터미널 수용 통로들을 구비한 컨넥터 하우징과 터미널들이 통로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제 1 위치 및 수용통로로부터 터미널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위치를 갖는 보조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되며, 상기 전기 컨넥터는 보조 록킹부재가 제 2 스테이지(stage)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 1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제 1 스테이지는 제 1 및 제 2 위치들 사이에 제 2 스테이지와 관련된 스크로크보다 긴 스트로크(strok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보조 록킹부재의 제 1 및 제 2 스테이지가 작동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스테이지들중 하나를 향하는 보조 록킹작동을 하는 다른 보조 록킹부재들을 필요로 하는 다른 규격의 터미널들을 하나의 하이브리드 컨넥터내에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장치의 작동이 간단하며, 최적의 보조 록킹을 이룰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해결책은 다른 형상의 적어도 2개의 다수의 콘택트들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컨넥터 하우징용 단일 보조 록킹부재를 제공함으로서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며, 보조 록킹부재는 각각 다른 형상을 갖는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트들의 지지를 보장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견부를 포함하고, 보조 록킹부재는 제 1 콘택트들이 삽입될 수 있는 제 1 위치, 제 2 콘택트들이 삽입될 수 있는 제 2 위치 및 제 1 및 제 2 콘택트들이 대응 견부들에 의하여 하우징내에 지지되는 제 3 위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제 2 위치에서 보조 록킹부재의 일부분이 위치내의 제 1 콘택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록킹하도록 보조 록킹부재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조립공정시 제 1 콘택트들이 이동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제 1 위치에서 보조 록킹부재의 일부가 제 2 콘택트의 하우징으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그로 인하여 적절한 조립공정들이 후속되는 것을 보장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컨넥터가 부호 2로 도시되어 있다. 전기 컨넥터(2)는 캠잉 슬라이드(camming slide :6)를 이용하는 메인 하우징(4)과 결합하며, 캠잉 슬라이드는 컨넥터 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결합방향에 대하여 횡으로의 변위가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컨넥터들은 본 산업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또한 이러한 특징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넥터 하우징(4)은 와이어 수용면(8)과 결합면(10)을 포함한다. 내부에 제 1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의 터미널 수용 통로들(12)의 하우징 부분들이 관통하여 연장된다. 하우징(4)은 또한 내부에 넓은 제 2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넓은 터미널 수용 통로들(14)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 하우징(4)내에 위치될 수 있는 이러한 형태들의 터미널들의 예는 터미널 수용 통로들(14)내에 수용되어지는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AMP Incorporated)의 2.5mm 만곡 콘택트 시스템과 작은 통로들(12)내에 수용될 수 있는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의 마이크로 콰드록 시스템 콘택트(Micro Quadlok System Contacts)들이다.
컨넥터(2)는 하우징(4)내에 수용되는 밀봉부재(16)를 더 포함하며, 결합 컨넥터(도시되지 않음)의 시라우드(shroud)가 결합부(10)내에 삽입되고 컨넥터들이 함께 당겨지면 견고한 접속(contaminant-tight)이 이루어진다. 이 구조 역시 공지된 것이다. 전기 컨넥터(2)는 터미널 수용 통로들을 완전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메인 하우징(4)에 끼워맞추어지는 노즈부(nose portion: 18)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노즈부(18)는 하우징부 터미널 수용 통로들(12)과 대응하는 노즈부 터미널 수용통로들(20)을 포함한다. 노즈부(18)는 개방 절개부(cutout : 22)를 더 포함하며, 그 표면(24)의 일부는 제거되어져 있다.
전기 컨넥터(2)는 제 1 스테이지(26)와 제 2 스테이지(28)를 포함하는 보조 록킹부재와 결합한다. 제 1 스테이지(26)가 노즈(18)의 절개부(22)내에 안착되는 반면 제 2 스테이지(28)는 메인 하우징(4)과 노즈부(18)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제 1 스테이지(26)는 노즈부(18)의 표면(24)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구성된 표면부(30) 및 넓은 터미널 수용 통로들(14)을 노출시키는 하우징(4)의 부분을 접근시키기 위하여 연장되는 보조 록킹 페데스탈(pedestal: 32)을 포함한다. 제 2 스테이지(28)는 보조 록킹 제품들 분야에서 잘 알려진 플레이트 부재이다.
이제 도 2를 참고하여 보조 록킹부재(26, 28)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보조 록킹부재의 제 1 스테이지(26)를 참고하면, 제 1 스테이지(26)는, 도 1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즈부(18)의 면(24)과 대략적으로 동일 평면인 결합면(30)을 포함한다. 면부(30)는 T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페데스탈(3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분들(overhanging portions: 34a, 34b)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플레이트(32)의 일부분이다. 결합 터미널 수용 개구들(36)은 플레이트 부분들(34a, 34b)을 통하여 연장되어 컨넥터(2) 내에 지지된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상호 접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 터미널은 개구를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다. 나아가 보조 록킹부재를 이송시키는데 이용되는 작동 탭(actuation tab: 38)은 플레이트(32)내로 결합된다.
제 1 스테이지(26)의 페데스탈(33)은 개구들(36)사이에서 T자 형태로 플레이트(32)로부터 연장(hang)되어 있다. 페데스탈(33)은 제 1 스테이지(26)가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컨넥터 하우징(4)의 대응 부분과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된 한쌍의 위치 리브들(positioning ribs: 40)을 지지한다. 페데스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록킹 리브들(42)이 페데스탈(33)의 종단에 위치한다. 각 록킹 리브(42)는 부채꼴 형태의 부분들(scalloped portions: 44)을 포함하며, 이 부채꼴 부분들은 제 1 위치에서 대응하는 넓은 통로들(14)과 함께 정렬됨으로서 보조 록킹부재(26)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터미널들은 부채꼴 부분들과 통로(14)의 일부분을 걸치는 록킹 견부들(46)로부터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어 그 내부의 터미널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장 극단적인 예로서, 제 1 스테이지(26)가 부채꼴 부분(44)이 하우징 터미널 통로(14)와 동심원이 되는 위치에서 록킹 견부(46)가 통로(14)를 완전히 걸쳐지는 위치로 이동되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넓은 터미널들에 있어서 의미있는 변위가 된다. 모서리부(50)를 포함하는 한쌍의 커플링 암들(coupling arms : 48)은 플레이트(42)에 달려있다. 커플링 암들(48)은 후술할 바와 같이 제 1 스테이지(26)를 제 2 스테이지(28)에 작동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2 스테이지(28)는 하우징(4)내의 작은 터미널 수용 통로들(12)과 대응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개구들(52)을 포함한다. 각 개구(52)는 그 3개의 측부상에 안내 모따기면들(guiding chamfers : 54) 및 하나의 절단되지 않은 모서리(56)를 포함하며, 모서리(56)는 터미널이 터미널 수용 통로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미널 수용 통로(12)의 일부분을 가로지르게 되는 보조 록킹 견부 역할을 한다. 제 2 스테이지(28)는 통로들(52)이 관통 연장되는 메인 본체(58)로 이루어진다. 메인 본체(58)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한쌍의 슬롯들(slots: 60)은 탄성 스트랩들(62:straps)을 한정한다. 스트랩들(62)은 그 내부에 제 1 및 제 2 노치들(notches: 64a, 64b)을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노치들은 터미널들(도시되지 않음)이 작은 통로들(12)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제 1 위치와 터미널들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견부(56)가 통로(12)의 일부분에 걸쳐지는 제 2 위치를 한정한다. 나아가, 플레이트(58)는 플레이트(58)의 측부상에 U자형 개구들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한쌍의 커플링 노치들(66)을 포함한다.
제 1 스테이지(26)와 제 2 스테이지(28)는 작동 레그들(48)의 작동부(50)가 노치들(66)내로 연장됨으로서 서로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치(66)의 길이는 레그(48)의 작동부(50)의 폭보다 크다. 이것은 제 1 스테이지(26)가 화살표 A방향으로 변위될 때 U자형 노치(66)의 일측면과 접촉하기 전에 제 1 스테이지가 노치(66)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서 그 후 제 1 스테이지와 함께 이동되는 제 2 스테이지가 픽-업(picking-up)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스테이지가 단지 제 1 노치와 제 2 노치(64a, 64b)간의 거리를 이동하는 반면, 제 1 스테이지(26)는 작동부(50)보다 긴 노치(66)의 길이에 제 1 노치와 제 2 노치(64a, 64b)간의 거리를 더한 양만큼 이동한다. 이 구조는 또한 역으로 작동한다. 더욱이, 결합된 스테이지들(26, 28)은 상호작용할수 있어 중간위치가 설정된다. 이 중간위치는 제 1 스테이지(26)가 초기에 노치(66)들 간의 거리를 이동할 때 설정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제 1 스테이지(26)의 일부는 대응하는 통로(12)의 일부분을 지나 이송되어져 취급 및 그 후의 조립시 그 내부에 위치한 콘택트들이 이동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제 본 발명의 단일체 보조 록킹부재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컨넥터의 일부분이 부호 102로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컨넥터(102)는 내부에 다른 터미널들(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터미널 수용 통로들(112)과 제 2 터미널 수용 통로들(114)을 갖는 하우징(104)을 포함한다. 또한 컨넥터(102)는 보조 록킹부재(125)를 포함하며, 보조 록킹부재는 제 1 및 제 2 통로(112, 114)와 각각 대응하는 제 1 부분(126)과 제 2 부분(128)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록킹부재(125)는 단일체 구조이다.
보조 록킹 부재(125) 및 그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콘택트들이 통로들(114)중 하나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제 1 위치를 나타낸다. 제 1 위치는 탄성 랫치 암(130)이 컨넥터 하우징(104)내의 일련의 3개의 캐치들(catches: 132, 134, 136)중 제 1 캐치(132)와 결합하는 보조 록(125)내로 결합됨으로서 설정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유리하게는, 제 1 위치에서 보조 록(125)이 다른 통로들(1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형성됨으로서 적절한 조립공정들이 후속되는 것을 보장한다. 터미널들이 그들 각각의 통로(114)내에 위치하면, 보조 록(125)은 도 4에 도시된 제 2 또는 중간위치로 변위된다. 보조 록(125)이 중간위치에 위치함으로서 제 1 록킹 견부(140)의 한 부분(138)은 제 1 통로들(114)의 한 부분을 차단하게 되어 제 1 통로들 내부에 놓여진 터미널들은 지지되어지며 제 2 통로들(112)은 차단되지 않게 되어 터미널들이 제 2 통로들 내에 놓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위치에서, 랫치 아암(130)은 일련의 캣치들(132, 134, 136)중 제 2 캣치(134)내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안착된 모든 터미널들과 함께 보조 록(125)이 도 5에 도시된 그의 마지막 록 위치로 변위되며, 마지막 위치에서 랫치 암(130)이 일련의 캣치들(132, 134, 136)중 제 3 캣치(134)내에 수용된다. 이 위치에서, 제 2 견부(142)는 제 2 통로(1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며 그로 인하여 어떠한 터미널도 그 내부에 지지된다. 더 나아가, 도 3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112)를 초기에 차단하는데 사용된 보조 록킹부재(125)의 일부는 추가적인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인접한 통로를 위한 보조 록킹부재(125)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후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는 보조 록킹부재를 구비한 전기 컨넥터가 제공되어 각 스테이지의 변위가 대응 스테이지와 다르게 된다. 컨넥터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개시되었지만, 2개의 스테이지간의 여러 가지 결합방법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생각되며 또한 원형 컨넥터 내에서 결합된 이러한 다수의 스테이지를 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나아가, 단지 2개의 스테이지들이 설명되었지만, 요구되는 보다 많은 스테이지들이 개발될 수 있다는 것도 상상된다. 마지막으로, 비록 하이브리드 컨넥터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단지 한 종류의 콘택트들을 갖는 컨넥터에 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할수도 있으나, 다른 스테이지들의 삽입을 위하여 제공하면서 적소에 다수의 스테이지들 내에 콘택트들을 적재하고 스테이지를 록킹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Claims (10)

  1. 내부에 대응하는 터미널들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터미널 수용 통로들(12, 24)을 구비한 컨넥터 본체(4)와 각 통로(12, 24)내에 그들의 터미널들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록킹 부재(26, 28)를 포함하며, 록킹 부재는 위치가능하여 터미널들이 그들의 각 통로들(12, 24)내에 삽입가능하고 또한 록킹부재는 터미널들이 그들의 통로들(12, 24)내에 지지되는 위치로 변위가능한, 다수의 터미널들을 위치시키기 위한 전기 컨넥터 하우징(2)에 있어서, 록킹부재(26, 28)는 통로들(14)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제 1 스테이지(26)와 통로들(12)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대응하는 제 2 스테이지(28)를 구비하며, 제 1 스테이지(26)는 대응 통로(14)용 삽입 위치와 제 2 위치간에 이동가능하며, 제 1 스테이지(26)는 제 2 위치로의 제 2 스테이지(28)의 변위를 이루기 위하여 제 2 스테이지(28)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하우징(2)
  2. 관련된 통로(14)에 대응하는 터미널이 삽입가능한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제 1 스테이지(26)의 변위는 관련된 통로(12)에 대응하는 터미널이 삽입가능한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제 2 스테이지(28)의 변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전기 컨넥터 하우징.
  3. 록킹 부재(26, 28)는 통로들(12, 14)에 횡적인 변위가 가능하며, 제 1 스테이지와 제 2 스테이지(26, 28)는 각 통로들(12, 24)과 대응하여 제 2 위치에 있을 때 통로(12, 24)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견부들(46, 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전기 컨넥터 하우징.
  4. 제 1 및 제 2 스테이지(26, 28)는 서로 결합되어 양 스테이지(26, 28)를 위한 제 2 위치에서 삽입 위치로의 횡방향 변위가 제 1 스테이지(26)의 변위에 의하여 가능한 선행하는 한중 어느 한 항의 전기 컨넥터 하우징.
  5. 제 1 스테이지(26)는 제 2 스테이지(28)내의 노치(66)내에 수용되는 접촉부(50)를 갖는 결합 암(48)을 포함하며, 노치(66)의 길이는 노치와 접촉부간의 상대적 변위를 허용하기 위하여 접촉부(66)의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 항의 전기 컨넥터.
  6. 컨넥터 하우징은 제 1 스테이지(14)와 대응하는 다수의 통로들(12, 14)을 포함하며, 제 2 스테이지(28)와 관련된 다수의 통로들(12)과 제 1 스테이지(26)와 관련된 통로들(14)중 적어도 일부는 제 2 스테이지(28)와 관련된 통로들(12)중 적어도 일부와는 다른 형태의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한중 어느 한항의 전기 컨넥터 하우징.
  7. 제 1 및 제 2 스테이지들(26, 28)은 협동하여 중간위치를 설정하며, 제 1 스테이지(26)는 제 2 위치로 간격의 일부를 이동하여 대응 통로(14)내의 터미널들이 지지되며 제 2 스테이지(28)가 위치되어 터미널들이 대응하는 통로들(12)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한중 어느 한항의 전기 컨넥터 하우징.
  8. 제 2 스테이지(28)는 대응 통로들(14)내에 터미널들의 삽입을 위한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제 2 스테이지(28)를 유지하는 위치 한정 부재들(64a, 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한중 어느 한항의 전기 컨넥터 하우징.
  9. 상기 제 1 스테이지(26)는 그의 변위를 이루기 위하여 작동 탭(38)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하는 한중 어느 한항의 전기 컨넥터 하우징(2)
  10. 상기 작동 탭(38)은 제 2 스테이지(26)로부터 통로들(12, 14)을 따라서 오프셋(offset)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 항의 전기 컨넥터 하우징.
KR1019980702480A 1995-10-04 1996-09-30 전기 컨넥터용 결합된 보조 록킹부재 KR19990064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20518.3 1995-10-04
GBGB9520518.3A GB9520518D0 (en) 1995-10-04 1995-10-04 Coupled secondary locking memb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PCT/IB1996/001011 WO1997013296A1 (en) 1995-10-04 1996-09-30 Coupled secondary locking memb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003A true KR19990064003A (ko) 1999-07-26

Family

ID=1078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480A KR19990064003A (ko) 1995-10-04 1996-09-30 전기 컨넥터용 결합된 보조 록킹부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28037A (ko)
EP (1) EP0853830B1 (ko)
JP (1) JPH11512871A (ko)
KR (1) KR19990064003A (ko)
CN (1) CN1096724C (ko)
DE (1) DE69607363T2 (ko)
GB (1) GB9520518D0 (ko)
WO (1) WO1997013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5314B2 (ja) * 1999-08-02 2005-08-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き雌コネクタ及び端子係止具付き電気コネクタ
DE10017868B4 (de) * 2000-04-11 2004-03-04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teil
US6945830B2 (en) * 2003-10-20 2005-09-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having opposing biasing beam and lance
DE102013014753B4 (de) * 2013-09-06 2021-03-18 Lisa Dräxlmaier GmbH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mehreren Bauelementen einer Palette mit Sekundärverriegelung, und Verfahren
US9407026B2 (en) * 2014-07-14 2016-08-02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CN112531410B (zh) * 2020-11-16 2022-07-19 胡连电子(南京)有限公司 一种具有锁定装置的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333A (en) * 1977-05-23 1978-09-12 Sloan Valve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EP0275066A1 (de) * 1987-01-13 1988-07-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schlussfeld mit rastermässig in einer Isolierstoffplatte befestigten Anschlusspfosten und einer an den Pfosten fixierbaren Lochplatte
DE8812014U1 (ko) * 1988-09-22 1988-11-10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De
JPH07226251A (ja) * 1994-02-09 1995-08-22 Amp Japan Ltd ロック型コネクタ
JP3218139B2 (ja) * 1994-02-28 2001-10-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
JP2923519B2 (ja) * 1994-05-30 1999-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7363D1 (de) 2000-04-27
GB9520518D0 (en) 1995-12-13
CN1096724C (zh) 2002-12-18
EP0853830B1 (en) 2000-03-22
US5928037A (en) 1999-07-27
WO1997013296A1 (en) 1997-04-10
JPH11512871A (ja) 1999-11-02
CN1198846A (zh) 1998-11-11
EP0853830A1 (en) 1998-07-22
DE69607363T2 (de) 200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4821B1 (en) Housing latch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5252084A (en) Lever type connector
JP3212210B2 (ja) カム部材付きコネクタ
US524440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astening cam member
EP0843386B1 (en) A lever connector
US20070082551A1 (en) Electrical connector bridge arrangement with release means
EP092316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retainer system
JPH04306573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KR20020060090A (ko) 맞물림 어시스트 부재 및 커넥터 위치 보증 장치를 갖춘커넥터 어셈블리
KR100326219B1 (ko) 단자위치보장장치를갖는전기커넥터
JPH04218281A (ja) 電気コネクター
JP416221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9990064003A (ko) 전기 컨넥터용 결합된 보조 록킹부재
US4352537A (en) Cord adapter
US6749469B2 (en) Connector with side mounted retainer and support for retainer in connector housing
JPH08255647A (ja) 電気コネクタ
US410119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easable contact members
JP3919137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6666731B2 (en) Secondary lock for a cable harness plug having different types of contacts
US5624284A (en) Electrical plug-type connector having an interlock mechanism
US5772477A (en) Electrical connector
US5624285A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ment
GB2115625A (en) Mounting electrical terminals in a connector housing
US20040229485A1 (en) Electrical connector locking lever
US5800217A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an apparatus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