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758A -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 - Google Patents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758A
KR19990063758A KR1019980702225A KR19980702225A KR19990063758A KR 19990063758 A KR19990063758 A KR 19990063758A KR 1019980702225 A KR1019980702225 A KR 1019980702225A KR 19980702225 A KR19980702225 A KR 19980702225A KR 19990063758 A KR19990063758 A KR 19990063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vehicle
toy
vehicle
vehicle according
ga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세 쿠르트
Original Assignee
카레라 센튜리 토이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레라 센튜리 토이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레라 센튜리 토이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6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4Arrangements for imitating the noise of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12Electric current supply to toy vehicles through th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 차량(3)의 샤시(2) 속에 통합된 전동기(1), 전동기(1)에 접속되어 전동기(1)에 전력을 공급하는 재충전 부재(7), 및 차량 샤시(2)에 부착되어 재충전 부재(7)에 접속되는 접점 부재(8, 8')를 구비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접점 부재는 완구 차량(3)을 안내 장치에 들여보내는 것에 의해 안내 장치 속에 통합되거나 그에 접속된 전력원(13)으로부터 안내 장치의 대응 접점 부재(9, 9')를 경유하여 재충전 부재(7)를 충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
배터리 또는 축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이 선행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다. 축전지는 완전히 소모된 상태에서는 완구 차량으로부터 제거되거나, 아니면 케이블 접속부를 구비한 외부 충전 장치를 완구 차량에 장착하여 충전을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완구 차량의 원리적인 결선도이고,
도 2는 램프 부재 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충전되는 완구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램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램프의 정면도이며,
도 5a는 차고 부재 속에 들어가서 아직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완구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차고 부재 속에 들어가서 고정된 상태의 완구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차고 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낮은 비용으로 재충전할 수 있는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 범위의 종속항들인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24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 차량에는 재충전 부재가 마련되고, 완구 차량은 안내 장치에 들어가서 충전되는데, 차량 샤시에 배치된 접점 부재가 대응하는 차량 안내 장치의 대응 접점 부재에 의해 전기를 공급할 수 있고, 대응 접점 부재 및 그에 접속된 전력원을 경유하여 완구 차량의 재충전 부재의 충전이 실시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완구 차량에서는 재충전 부재를 완구 차량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충전을 위해 추가의 외부 부재(예컨대, 케이블 또는 플러그)를 장착하거나 접속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완구 차량에서는 완구 차량의 운전을 중단하고 케이블 플러그를 접속해야 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완구 차량을 안내 장치에 들여보내는 것에 의해 충전 과정이 개시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놀이의 진행을 중단함이 없이 매우 실제에 가까운 놀이 방식을 실현시킬 수 있다. 완구 차량을 안내 장치에 들여보내는 것에 의해 개시되는 충전 과정은 일상 생활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이 주유소에 들어가서 급유를 하는 것과도 흡사하다.
완구 차량에 통합되는 재충전 부재로서는, 다양한 축전 용량에 맞춰 교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판용 축전지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양한 용량에 의해 각종의 출력 수요 전위에 맞춰질 수 있는 교환식 축전기도 역시 재충전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장치는 놀이하는 아동이 놀이의 진행을 중단함이 없이 완구 차량을 타고서 올라갈 수 있는 램프 부재로서 형성된다. 그러한 램프 부재는 실제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예컨대 주유소에서 사용되는 램프 구조물 또는 리프터 구조물과 흡사하다.
놀이하는 아동은 단순히 완구 차량을 타고서 램프 부재를 통행하는 것에 의해 충전에 요구되는 완구 차량의 접점 부재와 램프 부재의 대응 접점 부재와의 접촉을 이룰 수 있다. 완구 차량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복잡한 절차는 결코 불필요하고, 추가로 케이블을 접속하고 해제시킬 필요도 없다. 그 때문에, 램프 상에서의 충전 과정은 매우 실제에 가깝다.
놀이하는 아동이 완구 차량을 타고 램프 부재 상으로 올라감에 따라, 완구 차량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그에 의해 충전 과정 중에 접점 부재가 대응 접점 부재에 의해 연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이루어진 완구 차량의 고정은 해제가 가능한 것이고, 놀이 과정을 마친 후에는 추가의 수단이 없이도 놀이 아동이 차량을 타고 내려오는 것에 의해 저절로 해제될 수 있다.
고정 부재로서는, 고정 부재에 의해 클램핑 및 해제가 가능한 완구 차량의 들어올림이 이루어지도록 완구 차량의 차체의 일부에 의해 성형된 탄성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완구 차량이 램프 부재 상에 올라가는 것에 의해 스냅식으로 채워져서 완구 차량의 차체의 일부를 해제가 가능하게 클램핑하여 고정시킨다.
램프 부재 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차축은 그에 부속된 완구 차량의 바퀴와 함께 자유롭게 부동되도록 들어올려진다. 차량을 충전할 때에 전동기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완구 차량의 구동 차축이 회전하지만, 자유롭게 부동되도록 들어올려진 구동 차축이 바닥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충전 과정 중에도 완구 차량이 램프 부재에서 정지된 채 유지된다.
차량 샤시에 결합된 접점 부재는 후크 부재로서 형성되고, 충전 과정 중의 대응 점점 부재와의 상호 작용 시에 예컨대 램프 부재의 고정 부재와 연계되어 클램핑 작용 및 고정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러한 후크 부재는 전류 전도 기능과 함께 고정 부재로서의 추가의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관한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완구 차량은 램프 부재 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구동 차축이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채, 그리고 후크 부재로서 형성된 접점 부재가 충전 위치에 배치된 채 해제가 가능하게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그와 같이 고정되는 충전 위치는 놀이하는 아동이 추가의 위치 설정 또는 고정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완구 차량을 타고 램프 부재 상에 올라가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자연히, 놀이의 진행이 중단되지 않는다.
충전 과정을 마친 후에도, 놀이하는 아동이 단순히 완구 차량을 타고 램프 부재를 내려가는 것에 의해 고정 상태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램프 부재 상으로 매우 용이하게 운행하는 것은 추가의 측방 가이드에 의해 실현되고, 그에 의해 이동의 조절력이 덜 형성된 유아도 그러한 램프 부재 상을 매우 간단하게 운행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장치는 놀이하는 아동이 완구 차량을 타고 들어갈 수 있는 차고 부재로서 형성된다. 그 경우에도, 완구 차량의 충전 과정은 차고 부재 속에서 실제에 가깝게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차고 부재 속에 들어온 완구 차량은 차고 부재에서도 충전 위치로 고정되어 접점 부재와 대응 접점 부재의 정확하고도 지속적인 위치 설정이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고 부재 속에서 충전할 때에도, 전동기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은 경우에 각각의 구동 차축이 충전 과정 중에 자유롭게 부동되도록 들어올려져서 구동 차축이 바닥에 접촉되지 않은 채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점 부재는 후크 부재로서 형성되고, 차고 부재에서의 완구 차량의 고정과 관련하여 전류 전도 기능과 함께 고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역시 바람직하다.
차고 부재 속에 들어간 상태에서 완구 차량을 고정시키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차고 부재에 통합된 스위치 부재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는데, 그러한 스위치 부재는 작동 시에 차고 부재에 들어온 완구 차량을 경사진 위치로 이동시켜 구동 차축을 바닥으로부터 떨어뜨리고, 대응 접점 부재의 측방 구역에 지지된 후크형 접점 부재와 연계하여 차고 부재 속에 들어온 완구 차량의 고정을 실현시킨다.
차고 부재 속에 들어온 완구 차량의 차체가 고정 상태로 경사지는 것은 차고 부재에 통합된 스위치 부재의 경사면에 의해 실현되고, 그에 따라 스위치 부재가 작동하여 완구 차량의 차체에 그 경사면이 접촉됨에 따라 매우 간단하게 차체의 경사가 설정된다.
완구 차량의 전동기는 충전 과정 중에 그 작동이 정지되어 구동 차축이 회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 안내 장치는 핀 부재를 구비하고, 완구 차량이 안내 장치(특히, 램프 부재 또는 차고 부재)에 들어온 후에는 그러한 핀 부재에 의해 완구 차량 또는 그 차량 샤시에 포함된 대응 스위치가 작동되어 충전 과정 중에 전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핀 부재는 한편으로는 전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충전 과정 중에 예컨대 조명 부재 또는 소음 발생기와 같은 추가의 부재를 작동시켜 추가의 놀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 차량의 가변성을 높히기 위해, 차량 샤시 상에 끼워지는 차체는 교환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차량 샤시 상에 끼워지는 각종의 차체를 구비한 완구 차량도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램프 부재 상에 올라가거나 차고 부재 속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고 부재의 스위치 부재 및 램프 부재의 고정 부재는 각각의 차체에 대응하는 것으로 교환이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첨가물의 장착에 의해 각각의 차체에 꼭 맞게 맞춰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그와 같이 맞춰지는 안내 장치도 역시 각종의 차체를 구비한 완구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완구 차량의 차축은 탄성적으로 형성되고, 그에 의해 안내 장치에서의(특히, 램프 부재 상에서의 또는 차고 부재 속에서의) 충전 과정 중에 완구 차량의 고정이 용이해지고, 완구 차량의 탄성적인 이동성으로 인해 숙련되지 못한 유아의 조작에 의해서도 적은 노력으로 각각의 고정 위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따른 결선도는 예컨대 축전기와 같은 재충전 부재(7)에 의해 축전된 전동기(1)를 나타내고 있다. 전동기(1)의 회전 방향은 완구 차량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조작할 수 있는 극 전환 스위치(1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충전을 위해 완구 차량(3)을 안내 장치에 들여보냈을 때에 핀 부재(도시를 생략)에 의해 작동되어 충전 과정 중에 회로를 차단시키는 스위치(22)가 필요에 따라 마련된다.
또한, 도 1은 완구 차량(3)의 외부에 장착된 모습이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접점 부재(8, 8')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램프 부재(6) 상에 올라간 완구 차량(3)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인데, 완구 차량(3)을 보다 양호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램프 부재(6)의 측방 가이드(11, 1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측방 가이드에 관해서는 도3 및 도 4를 참조).
차체(4)는 도 2에서 램프 부재(6)의 운행면(12)에 대해 경사지고, 그에 따라 전방 구동 차축(5)이 운행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충전 과정 중에 완구 차량(3)을 이동시킴이 없이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전동기(1)의 작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도 1에 따른 전체 회로는 도 2의 차량 샤시(2) 속에 통합되어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외부로부터 조작할 수 있는 극 전환 스위치(15) 및 예컨대 램프 부재(6)에 설치된 핀 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치(22)도 역시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에 따른 램프 부재(6) 상에 올라간 위치에서, 고정 부재(10)의 아래에 있는 차체 부재, 즉 범퍼(23)의 클램핑에 의해 완구 차량(3)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그에 의해 동시에 전술된 바와 같이 차체(4)가 운행면(12)에 대해 경사지는 상태가 실현된다. 추가로, 후크형으로 형성된 접점 부재(8)가 대응 접점 부재(9)의 측방 구역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전술된 고정이 실현된다. 반구형으로 형성된 제 2 접점 부재(8')는 대응 접점 부재(9") 상에 놓여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 램프 부재(6)에 통합되는 전력원(13)이 접속 도선(14) 및 접점 부재(8, 9 또는 8', 9')를 경유하여 재충전 부재(7)를 충전시킨다.
놀이하는 아동이 단순히 완구 차량(3)을 타고 고정 부재(10)쪽을 향해 운행면 상으로 올라가는 것에 의해, 고정 부재(10)와 범퍼(23), 그리고 후크형 접점 부재(8)와 대응 접점 부재(9)가 상호 작용하여 전술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차량의 충전이 실시되고, 차량의 충전 후에는 단순히 전방 차축(5)을 들어올려 접점 부재(8)를 대응 접점 부재(9)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완구 차량(3)의 고정이 해제되어 운행면(12)으로부터 내려올 수 있다.
도 3은 램프 부재(6)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 특히 램프 부재(6)의 운행면(12) 상을 오르내릴 때에 완구 차량(3)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측방 가이드(11, 11')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응 접점(9, 9') 및 고정 부재(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놀이하는 아동이 힘들이지 않고 오르내릴 수 있는 운행면(12)의 정면도로서, 측방 가이드(11, 11')에 의한 안내가 보장된다.
도 5a 및 도 5b로부터, 투명한 측방 가이드(11, 11')에 의해 형성된 차고 부재(16)의 내부에 완구 차량(3)이 들어가서 고정되는 것을 알아볼 수 있다. 우선, 완구 차량(3)은 스위치 부재(18)의 작동이 없는 채로 놀이하는 아동에 의해 차고 부재(16) 속에 들어간다(도 5a를 참조). 후크형으로 형성된 접점 부재(8)는 차고 부재(16)의 측방 구역(17)에까지 이르게 되는데, 그 경우의 측방 구역(17)은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반구형으로 형성된 접점 부재(8')는 대응 부재(9')의 바로 위에 배치되지만, 아직 전기 접속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스위치 부재(18)의 작동 및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도 5b에 따른 고정이 이루어지면, 경사면(20)에 의해 지붕(24)에 압력이 추진되고, 그에 의해 완구 차량(3)이 차고 부재(16)의 바닥면(19)에 대해 경사져서 구동 차축(5)이 자유롭게 부동된 상태로 바닥면(19)으로부터 떨어진다.
동시에, 도 5a에서 대응 접점 부재(9')의 위에서 자유롭게 부동되어 있던 접점 부재(8')가 도 5b에 따른 바와 같이 대응 접점 부재(9')에 바로 접촉되고, 그에 따라 회로가 폐쇄되어 완구 차량(3)의 내부에 있는 재충전 부재가 충전될 수 있다.
도 5b에 따른 완구 차량(3)의 고정은 작동된 스위치 부재(18)의 경사면(20)의 작용과 접점 부재(8)가 대응 접점 부재(9)의 측방 구역에 접촉되는 것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실시된다.
도 6은 완구 차량(3)이 들어가 있지 않는 차고 부재(16)를 미작동 상태의 스위치 부재(18) 및 대응 접점 부재(9)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이동 조작이 숙련되지 못한 유아에 의해서도 완구 차량(3)을 차고 부재(16) 속에 들여보낼 수 있도록 하는 측방 가이드(11, 11')도 마련되어 있다.

Claims (24)

  1.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으로서,
    a) 완구 차량(3)의 차량 샤시(2) 속에 통합된 전동기(1),
    b) 전동기(1)에 접속되어 전동기(1)에 전력을 공급하는 재충전 부재(7), 및
    c) 차량 샤시(2)에 설치되어 재충전 부재(7)에 접속되고, 완구 차량(3)을 안내 장치에 들여보내는 것에 의해 안내 장치 속에 통합되거나 그에 접속된 전력원(13)을 경유하여 안내 장치의 대응 접점 부재(9, 9')에 의해 충전 부재(7)를 충전시키는 접점 부재(8, 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재충전 부재(7)는 축전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재충전 부재(7)는 축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내 장치는 완구 차량(3)이 올라갈 수 있는 램프 부재(6)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은 램프 부재(6) 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고정 부재(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10)는 탄성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10)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8. 제4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의 하나 이상의 차축(5 또는 5')은 램프 부재(6)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부동된 채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의 구동 차축(5, 5')은 자유롭게 부동된 채 들여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점 부재(8)는 후크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은 램프 부재(3) 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완구 차량(3)의 구동 차축(5)이 들여올려진 채로 완구 차량(3)의 차체(4)가 고정 부재(10)의 아래에 끼워지고, 후크 부재로서 형성된 접점 부재(8)가 대응 접점 부재(9 또는 9')의 측방 구역(17)에 지지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램프 부재(6)는 측방 가이드(11, 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내 장치는 완구 차량(3)이 들어갈 수 있는 차고 부재(16)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은 차고 부재(16) 속에 들어간 상태에서 스위치 부재(18)의 작동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의 하나 이상의 차축(5 또는 5')은 고정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부동된 채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은 차고 부재(3) 속에 들어간 상태에서 스위치 부재(18)가 작동되면 완구 차량(3)의 차체(4)가 차고 부재(16)의 수평의 바닥면(19)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그에 따라 구동 차축(5 또는 5')이 들여올려지고, 후크 부재로서 형성된 접점 부재(8)가 대응 접점 부재(9 또는 9')의 측방 구역(17)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작동 상태의 스위치 부재(18)는 스위치 부재(18)의 경사면(20)에 의해 압력이 추진되도록 차체(4) 상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8. 선행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의 전동기(1)는 충전 과정 중에 그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19. 제18항에 있어서, 안내 장치는 완구 차량(3)을 안내 장치에 들여보냈을 때에 완구 차량(3)에 있는 대응 스위치(22)를 작동시켜 충전 과정 중에 전동기(1)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20. 선행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0)은 충전 과정 중에 작동될 수 있는 조명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21. 선행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은 충전 과정 중에 작동될 수 있는 소음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22. 선행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완구 차량(3)은 차량 샤시(2) 상에 끼워질 수 있는 교환이 가능한 차체(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23. 선행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차고 부재(16)의 스위치 부재(18)는 및/또는 램프 부재(6)의 고정 부재(10)는 각종의 완구 차량(3)에 맞춰질 수 있도록 교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24. 선행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축(5 또는 5')은 탄성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차량.
KR1019980702225A 1996-07-26 1996-07-26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 KR19990063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DE1996/001392 WO1998004330A1 (de) 1996-07-26 1996-07-26 Aufladbares spielfahrzeug mit eigenmotorischem antrie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758A true KR19990063758A (ko) 1999-07-26

Family

ID=691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225A KR19990063758A (ko) 1996-07-26 1996-07-26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58360A1 (ko)
JP (1) JP2001508322A (ko)
KR (1) KR19990063758A (ko)
WO (1) WO19980043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670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컴퍼니 릴레이 주행이 가능한 레이싱 완구 런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09999T1 (de) * 1998-09-12 2001-12-15 Urs Bucher Werkstückträger mit speicherantrieb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30408T3 (es) * 1987-09-24 1992-11-01 Kurt Hesse Tramo de pista para vehiculos de juguete que se desplazan de forma libre y/o conducida.
JP3463344B2 (ja) * 1994-05-16 2003-11-05 株式会社セガ 充電式走行玩具、走行玩具用充電装置、及び走行玩具用走行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670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컴퍼니 릴레이 주행이 가능한 레이싱 완구 런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04330A1 (de) 1998-02-05
JP2001508322A (ja) 2001-06-26
EP0858360A1 (de) 199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7655A (en) Pit-stop recharger for fast recharge toy vehicle
JP3907166B2 (ja) 電動小型車両の充電システム
CN108394384B (zh) 移动系统、电池运输车、可电驱动的机动车辆及给该机动车辆的驱动电池充电的方法
KR920703948A (ko) 3차원적 차량 주차체계용 구동 매카니즘
CN107620505B (zh) 充电转接口装置及立体车库
US6762586B2 (en) Rechargeable system for movable toy
US4697133A (en) Rechargeable battery powered toy
KR101002784B1 (ko) 자기부상열차의 전원공급시스템
US5434494A (en) Use of batteries in children's electric vehicles
JP2003061253A (ja) 電動小型車両の充電システム
US6036574A (en) Charger/launcher for fast recharge toy vehicle
ES379770A1 (es) Vehiculo de carreras electrico de juguete en miniatura paraelevadas velocidades dotado de baterias recargable.
KR20200075293A (ko) 전기자동차용 인렛과 충전차의 충전 커넥터 결합장치
JP2001178000A (ja) 車両用充電装置
KR19990063758A (ko) 재충전이 가능한 자체 동력 추진식 완구 차량
CN208393137U (zh) 一种电池小车及使用该电池小车的电动汽车
CN112937357B (zh) 带有辅助驾驶功能的换电式电动汽车换电系统及换电方法
JP2001273945A (ja) 移動ロボットの外部電源接続構造
CN113320606A (zh) Agv装置
JPH0488804A (ja) 電気自動二輪車の充電装置
CN107795167B (zh) 一种充电转接装置、车库及充电转接方法
JPH0734370B2 (ja) 無人車両の自動バッテリー充電・交換装置
KR200151339Y1 (ko) 무인차
KR101154020B1 (ko) 레일바이크의 배터리 충전장치
CN215622331U (zh) Agv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