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0938A -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 Google Patents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0938A
KR19990060938A KR1019970081185A KR19970081185A KR19990060938A KR 19990060938 A KR19990060938 A KR 19990060938A KR 1019970081185 A KR1019970081185 A KR 1019970081185A KR 19970081185 A KR19970081185 A KR 19970081185A KR 19990060938 A KR19990060938 A KR 19990060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ed
work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8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0938A/ko
Publication of KR1999006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938A/ko

Links

Landscapes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작차 개발시 사용되어지는 작업다이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의 양측 상면에 단면형상이 베츄리관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고정레일(111)이 설치되어진 고정 베이스(110)와; 상기 고정레일(111)에, 고정레일(111)의 형상과 같이 형성되어진 슬라이드홀(121)이 체결되어진 가동레일(120)과; 상기 고정레일(110)과 가동레일(120)상에 설치되어 위치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진 지지대(130)로 구성된 것에 의해 지지대의 위치이동이 용이하고 가동레일에 의한 폭조절이 가능하여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 등을 조립 해체시 사양에 관계없이 호완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 등이 일체화된 상태에서도 조립 해체 작업이 가능하여 조립 해체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켰으며, 작업다이의 단일화로 작업다이 제작 생산에 따른 경제적인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노동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본 발명은, 시작차 개발시 사용되어지는 작업다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 등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개발시 시작차의 엔진 및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 서스펜션 등을 조립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작업다이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한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 서스펜션 등을 조립 해체작업을 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다이를 제작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이 시작차 개발단계에서 엔진 및 트랜스밋션 등을 조립 해체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부분별(엔진,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 등) 작업다이를 제작 사용하였고, 엔진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진 작업다이일 경우에도, 다른 사양의 차종 엔진을 조립 해체할 때 호완성 있게 사용할 수가 없어서 각각의 작업다이 제작 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조립 해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베이스의 양쪽으로 고정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레일에서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한쌍의 가동레일이 설치되어지며, 상기한 고정레일상에서 슬라이드되어 위치고정되어 지도록 지지대가 설치되어서 된 것으로서, 지지대의 위치이동이 용이하고 가동레일에 의한 폭조절이 가능하여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 등을 조립 해체시 사양에 관계없이 호완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 등이 일체화된 상태에서도 조립 해체 작업이 가능하여 조립 해체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켰으며, 작업다이의 단일화로 작업다이 제작 생산에 따른 경제적인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노동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00 :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110 : 고정 베이스
111 : 고정레일 120 : 가동레일
121 : 슬라이드홀 130 : 지지대
131 : 슬라이드홀 132 : 프레임
133 : 나사봉 134 : 플레이트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의 양측 상면에 단면형상이 베츄리관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고정레일(111)이 설치되어진 고정 베이스(110)와;
상기 고정레일(111)에, 고정레일(111)의 형상과 같이 형성되어진 슬라이드홀(121)이 체결되어진 가동레일(120)과;
상기 고정레일(110)과 가동레일(120)상에 설치되어 위치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진 지지대(130)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지지대(130)는 고정레일(111)과 가동레일(120)에 설치되어질 수 있게, 상기한 고정레일(111) 또는 가동레일(120)과 같은 형상의 슬라이드홀(131)을 가지는 프레임(132)과, 상기 프레임(132)의 상부로 나사결합되어 길이조정 되어지는 나사봉(133)과 이 나사봉(133)의 상부로 고정설치되어서 엔진 등을 받쳐주는 플레이트(134)로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의 사시도 이고, 따른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의 평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100)를 이용하여 시작차량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 등을 조립 해체하게 되는데, 먼저 조립 해체하기 위한 작업물이 선정되어지면, 작업물의 크기에 맞게 폭과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한 폭 조절은 고정레일(111)에 슬라이드홀(121)이 체결되어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어진 가동레일(120)을 이동시켜 폭조절을 한다.
이때 상기한 가동레일(120)은 고정레일(111)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어 폭조절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폭조절이 완료되어지면, 상기한 고정레일(111)과 가동레일(120)에 설치되어진 지지대(13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고, 지지대(130)의 프레임(132)이 고정레일(111)과 가동레일(120)에 긴밀하게 체결되어 있어 위치고정되질 수 있으며, 위치고정되어진 상태에서 프레임(132)에 나사결합된 나사봉(133)을 잠김 방향 또는 풀어지는 방향으로 돌려 길이를 조절 한다.
이와 같이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100)의 폭과 지지대(130)의 길이가 조절되어진 상태에서 지지대(130)의 나사봉(133) 상부로 설치되어진 플레이트(134)에,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가 받쳐지도록 얹져놓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130)의 플레이트(134)에,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을 얹져 놓은 상태에서 조립 해체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는, 고정 베이스의 양쪽으로 고정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레일에서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한쌍의 가동레일이 설치되어지며, 상기한 고정레일상에서 슬라이드되어 위치고정되어 지도록 지지대가 설치되어서 된 것으로서, 지지대의 위치이동이 용이하고 가동레일에 의한 폭조절이 가능하여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 등을 조립 해체시 사양에 관계없이 호완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 트랜스밋션 및 프론트서스펜션 등이 일체화된 상태에서도 조립 해체 작업이 가능하여 조립 해체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켰으며, 작업다이의 단일화로 작업다이 제작 생산에 따른 경제적인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노동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의 양측 상면에 단면형상이 베츄리관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고정레일(111)이 설치되어진 고정 베이스(110)와;
    상기 고정레일(111)에, 고정레일(111)의 형상과 같이 형성되어진 슬라이드홀(121)이 체결되어진 가동레일(120)과;
    상기 고정레일(110)과 가동레일(120)상에 설치되어 위치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진 지지대(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고정레일(111)과 가동레일(120)에 설치되어질 수 있게, 상기한 고정레일(111) 또는 가동레일(120)과 같은 형상의 슬라이드홀(131)을 가지는 프레임(132)과, 상기 프레임(132)의 상부로 나사결합되어 길이조정 되어지는 나사봉(133)과 이 나사봉(133)의 상부로 고정설치되어서 엔진 등을 받쳐주는 플레이트(13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KR1019970081185A 1997-12-31 1997-12-31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KR19990060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185A KR19990060938A (ko) 1997-12-31 1997-12-31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185A KR19990060938A (ko) 1997-12-31 1997-12-31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938A true KR19990060938A (ko) 1999-07-26

Family

ID=6618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185A KR19990060938A (ko) 1997-12-31 1997-12-31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09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43B1 (ko) * 2008-04-03 2008-10-29 (주)신라하이텍 팔레트 랙 거치대
KR101468280B1 (ko) * 2012-12-21 2014-12-03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43B1 (ko) * 2008-04-03 2008-10-29 (주)신라하이텍 팔레트 랙 거치대
KR101468280B1 (ko) * 2012-12-21 2014-12-03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25816A8 (fr) Robot dote d'une structure mixte libre de couplage a cinq elements
KR100196418B1 (ko) 연속주조용 주조두께가변금형
KR19990060938A (ko) 다기능 서보 작업다이
JPH1096553A (ja) 室内機用伸縮据付板
IT1284918B1 (it) Macchina pannellatrice dotata di un premilamiera avente lunghezza programmabile
KR100225096B1 (ko) 엔진 서브 지그
US20020195028A1 (en) Table support device having changeable support members
KR100922588B1 (ko) 기계가공용 부품 지지장치
CN209157412U (zh) 一种双工位fpc紫外激光切割设备
JP6334015B1 (ja) 線形伝動装置
KR200314549Y1 (ko) 판넬의 두께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KR200150217Y1 (ko) 가공용 지그
KR100194862B1 (ko) 슬롯홀 가공용 툴
JP2000285753A (ja) ワイヤハーネス布線治具
JP2003136158A (ja) プレス機のパンチ位置決め機構
CN218925956U (zh) 一种带有导向功能的加工模具
KR102002990B1 (ko) 조명등커버 가공장치
CN113478242A (zh) 应用于自动化数控机床的悬臂操作箱
ATE388774T1 (de) Geteiltes formwerkzeug mit mindestens zwei formwerkzeugkomponenten
KR0178630B1 (ko) 자동차 조립용 정반
CN108284267B (zh) 一种用于焊接显示灯的治具
KR970014930A (ko) 자동차의 엔진 센터멤버 조립용 지그
JPS6427905A (en) Apparatus for preparing diffraction grating
KR100199895B1 (ko) 프레스의 다이와 액튜에이터의 취부구조
KR200188825Y1 (ko) 벨로우즈 성형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