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0797A -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장치 - Google Patents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0797A
KR19990060797A KR1019970081041A KR19970081041A KR19990060797A KR 19990060797 A KR19990060797 A KR 19990060797A KR 1019970081041 A KR1019970081041 A KR 1019970081041A KR 19970081041 A KR19970081041 A KR 19970081041A KR 19990060797 A KR19990060797 A KR 19990060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ata
block
image data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81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0797A/ko
Priority to US09/221,982 priority patent/US6342895B1/en
Publication of KR1999006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04N19/4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using memory downsizing methods
    • H04N19/427Display on the fly, e.g. simultaneous writing to and reading from decoding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단위로 복호화되는 데이타를 저장함에 있어, 블록단위로 메모리의 입력사이즈와 가장 근접하게 블록단위 집합을 만들고, 이 블록단위 집합들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메모리의 요구되는 대역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 입출력을 위한 메모리 할당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SDRAM에서 영상압축데이타를 저장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방식에 맞추어 한 스캔라인 단위로 픽셀들을 연속적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이 것을 읽어낼때, 랜덤한 움직임 벡터들이 모두 같은 뱅크의 서로다른 로(row)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소정의 매크로 블록의 양만큼의 데이타를 읽어오는데 적어도 1회 이상의 끊김이 발생하고 소요시간의 차이를 가져오게 되어 요구 대역폭 증가를 가져왔다.
본 발명은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를 매크로 블록의 집합으로 저장하고, 이때 매크로 블록 집합 데이타의 크기는 사용되는 메모리(SDRAM)의 한 뱅크(bank)의 한 로(row)의 총 데이타 크기와 가장 근접한 크기로 정함으로써, 뱅크내의 로변화(row change)에 의해 대기시간이 필요한 메모리의 경우 이 것을 줄이고 요구 대역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 장치
본 발명은 영상신호의 압축복원시스템에서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MPEG복호기에서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입출력을 위한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MPEG복호기에서 메모리(SDRAM)의 리드/라이트 콘트롤러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와 움직임 보상기(2), 오디오/서브픽쳐등의 처리부(3), 메모리(SDRAM)(4), 메모리 콘트롤러(5)를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5)와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 움직임 보상기(2), 오디오/서브픽쳐 등의 처리부(3)는 어드레스 및 데이타 버스(iaddr, idbus), 콘트롤버스로 연결되어 압축영상데이타의 복원,움직임 보상, 오디오/비디오 신호처리, 디스플레이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메모리 콘트롤러(5)와 SDRAM(4)은 콘트롤신호(Control signals), 메모리 어드레스(maddr), 메모리 데이타 버스(mdbus)로 연결되어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리드/라이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외부의 메모리(SDRAM:4)에 저장되어 있는 MPEG이미지 데이타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와 움직임 보상기(2)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읽혀지는데, 이러한 데이타는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16*16의 휘도와 색상정보를 가진 매크로 블록(macro block)들 MB0....MBn*m-1로 구성되어 한 픽쳐(picture)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SDRAM의 리드 사이클에서의 타이밍을 도3에 나타내었다.
도3에서 clk는 클럭신호이고, csb는 칩셀렉트신호이고, rasb는 로어드레스 스트로브신호이고, casb는 컬럼어드레스 스트로브신호이고, maddr은 메모리 어드레스신호이고, mdbus는 메모리 데이타신호이다.
또, Trcd(active to column command)=3이고, Tras(active to precharge)=6, Trp(precharge to active)=3, Tapr(last data out to active)=1, Trc(row cycle time)=9, Trrd(active to active with diff.bank)=2 이다.
도3에서 보는 바와같이, SDRAM에서 데이타를 읽기 위해서는 원하는 뱅크(bank)를 프리차지(precharge)시킨 후에 그 뱅크와 로를 액티브시키고, 컬럼 어드레스를 정해주면 정해진 사이클(CL:Column Latency)후에 데이타가 읽혀지는데, 일반적으로 리드작업이 끝나면 다음의 리드를 위해서 그 뱅크를 프리차지시켜 주고 있다.
이러한 리드 작업중 다른 뱅크의 데이타는 다른 로에 있어도 도4에 나타낸 바와같이 연속적으로 데이타를 읽어낼 수 있지만, 같은 뱅크의 다른 로의 데이타는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터널(internal)한 프리차지와 로, 뱅크 액티브를 거쳐야만 읽어낼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데이타를 읽어내지 못하고 도5의 경우는 6사이클(Tpenalty)만큼 기다려야 한다. 그러므로 이 만큼 대역폭이 증가하게 된다.
도6은 상기 도5의 경우가 일어나게 되는 종래의 메모리 할당방법에 의한 메모리 맵을 나타내고 있으며 일반적인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저장방식이다.
도6에서는 디스플레이의 표시방식에 맞추어 한 스캔(scan)라인 단위로 픽셀들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으로서, 비월주사의 경우를 예로들어 탑필드(top field)와 바텀필드(bottom field)로 맵핑되고 있으며,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가 랜덤하게 지정된 경우를 보이고 있다.
도6과 같이 움직임 벡터가 지정된 경우 필드 움직임 보상을 위해서는 1,2,3,4의 순서로 데이타를 읽어와야 하는데 이때 각 데이타들이 모두 같은 뱅크(bank)의 서로 다른 로(row)에 저장되어 있다(도6에서 동일한 해칭은 동일한 스캔라인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 매크로 블록의 데이타를 읽어오는데는 3회의 끊김이 발생하게 되고(상기 도5 참조), 또한 이러한 저장 방식은 읽어와야 하는 데이타의 위치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이 서로 큰 차이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도5의 타이밍도에서 볼때 그 요구되는 대역폭의 최대치가 매우 커지게 된다.
MPEG복호기에 의해 복호화된 I,P픽쳐의 데이타는 B픽쳐 복호를 위해 복호기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요구되며, 한번에 요구되는 데이타의 양이 적기 때문에 실제 데이타의 전송에 사용되는 시간내에 데이타 전송을 준비하기 위한 시간의 비율이 높아 매우 넓은 대역폭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MPEG복호기의 움직임 보상을 위해 필요한 데이타는 스캔라인에 걸쳐있어 메모리로부터 데이타 전송시에 연속적으로 데이타를 전송하지 못하고 일정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요구되는 메모리의 대역폭을 더욱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를 매크로 블록의 집합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를 저장하고자 하는 메모리 사이즈에 맞게 블록의 집합으로 만들고, 이 블록의 집합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메모리 데이타를 읽어올때 끊김현상을 최소화하고, 요구되는 메모리 대역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실시간에 가까운 고속 데이타리드를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 장치를 제시한다.
도1은 MEPG복호기에서 SDRAM의 리드/라이트 콘트롤에 관련된 회로의 블록도
도2는 디스플레이 데이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SDRAM의 리드 사이클 타이밍도
도4는 종래의 SDRAM 리드 사이클의 예1
도5는 종래의 SDRAM 리드 사이클의 예2
도6은 종래의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 저장방법을 나타낸 메모리맵
도7은 본 발명의 메모리 할당방법의 예1
도8은 본 발명의 메모리 할당방법의 예2
도9는 본 발명에서 매크로 블록 집합 구성방법의 예1
도10은 본 발명에서 매크로 블록 집합 구성방법의 예2
본 발명은 블록단위로 복호화되는 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함에 있어, 블록단위의 데이타를 메모리 사이즈 허용범위에 가장 가까운 최대수로 묶어서 복수개의 블록집합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블록집합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할당방법이다.
본 발명은 블록단위로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 블록단위의 데이타를 메모리 사이즈 허용범위에 가장 가까운 최대수로 묶어서 복수개의 블록집합을 구성하는 수단과,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블록집합 단위로 데이타가 저장되고 또 출력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타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블록갯수에 따라 상기 블록집합을 구성하는 방향성과 그 갯수를 결정하게 하는 수단과,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블록집합 단위로 데이타를 메모리수단에 저장하고 또 읽어내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메모리 할당장치이다.
상기 블록집합은 블록단위 디스플레이 데이타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묶어서 블록집합을 구성한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데이타 메모리 할당방법의 제 1 의 예를 나타내며, 디스플레이 이미지정보(Display):메모리(Memory:SDRAM) 맵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도7에서 동일한 해칭으로 표현된 부분은 하나의 매크로 블록(MB1_n)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부호MBset1_n으로 표기하였다.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를 매크로 블록의 집합으로 재구성(grouping)하고, 이 블록집합 단위로 메모리 할당을 수행하여 데이타를 저장하는 과정을 거친다.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를 매크로 블록의 집합으로 묶고 또 이 것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수단은 메모리 콘트롤러가 포함한다.
메모리 콘트롤러는 블록단위의 매크로 블록의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갯수에 따라, 또 메모리 사이즈에 따라서 한 매크로 블록집합에 포함되는 매크로 블록의 갯수와 매크로 블록집합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묶어서 구성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7은 매크로 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짝수개 있는 경우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매크로 블록의 집합을 만드는 것이 좋다.
하나의 매크로 블록의 집합에 속하는 매크로 블록의 갯수(데이타 크기)는 사용되는 메모리(Memory:SDRAM)의 한 뱅크(bank)의 한 로(row)의 총 데이타 크기와 가장 가까운(넘지않는 최대수)로 정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에 한 매크로 블록의 집합내에서는 로변화가 없게되고, 필요한 데이타가 수평 방향의 매크로 블록집합에 걸쳐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뱅크변화가 일어나므로 마찬가지로 데이타를 끊김없이 보낼 수 있다.
즉, 도7에서 살펴보면, 지정된 움직임 벡터에 대하여 1,2,3,4,5,6,7,8의 순서로 데이타를 읽어들일 경우 뱅크를 교번하여 데이타를 읽어오기 때문에 도3 내지 도5와같은 리드 타이밍으로 이미지 데이타를
이와같이 수직방향의 매크로 블록집합에 데이타가 걸쳐있을 경우에는 픽쳐의 넓이와 매크로 블록집합의 넓이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짝수개 또는 홀수개의 매크로 블록집합이 생길 수 있다.
짝수개의 경우는 도7과 같고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메모리 할당이 이루어진다.
즉, 매크로 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짝수개 생긴 경우에는 도7과 같이 매크로 블록집합을 수직방향으로 구성하여 저장하면 같은 뱅크의 다른 로의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읽어내야 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게된다.
그러나, 수직 방향으로 홀수개의 매크로 블록집합이 있을 경우는 도8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직방향의 순서로 매크로 블록집합을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것은 확률에 근거한다.
도9의 a,b,c는 매크로 블록집합을 만드는 방법의 예를 보인다.
도9의 경우는 수평방향의 순서로 저장하는 경우에 수직방향으로 많은 매크로 블록을 포함하도록 집합을 정하는 것이 유리함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번에 필요한 데이타가 한 매크로 블록의 양보다 많으므로 b와 같이 지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10의 a,b,c는 매크로 블록집합을 만드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수직방향의 순서로 저장하는 경우에 수평방향으로 많은 매크로 블록을 포함하도록 집합을 정하며, 한번에 필요한 데이타가 한 매크로 블록의 양보다 많으므로 b와같이 지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에서, 수직과 수평으로 짝수개의 매크로블록이 있는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매크로 블록집합을 만들고, 수직과 수평으로 홀수개의 매크로 블록이 있는 경우에는 수평방향으로 매크로 블록집합을 만드는 것이 유리함을 알았다.
본 발명의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에서, 수평방향으로 짝수개이고 수직방향으로는 홀수개의 매크로 블록이 있는 경우에는 매크로블록 집합들의 경계를 적게 만들수 있는 방법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선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에서, 수평방향으로 홀수개이고 수직방향으로는 짝수개의 매크로 블록이 있는 경우에도 매크로블록 집합들의 경계를 적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선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MPEG 복호기에 의해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 입출력을 위한 메모리 할당방법에 의하면, 매크로 블록집합 단위로 메모리 할당이 이루어짐으로써 메모리 데이타 리드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고, 요구되는 대역폭 또한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블록단위로 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또 읽어내기 위하여, 블록단위의 데이타 복수개를 하나의 묶음으로 묶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집합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블록집합들을 메모리에 블록집합단위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집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단위의 데이타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묶어서 블록집합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집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단위의 데이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갯수에 따라서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묶어서 블록집합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블록집합에 들어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의 갯수는 메모리 크기의 허용범위에 가장 가까운 갯수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
  5. 블록단위로 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또 읽어내기 위하여, 블록단위의 데이타를 메모리 사이즈 허용범위에 가장 가까운 최대수로 묶어서 복수개의 블록집합을 구성하는 수단과,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블록집합 단위로 데이타가 저장되고 또 출력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타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블록갯수에 따라 상기 블록집합을 구성하는 방향성과 그 갯수를 결정하게 하는 수단과,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블록집합 단위로 데이타를 메모리수단에 저장하고 또 읽어내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장치.
KR1019970081041A 1997-12-31 1997-12-31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장치 KR19990060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041A KR19990060797A (ko) 1997-12-31 1997-12-31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장치
US09/221,982 US6342895B1 (en) 1997-12-31 1998-12-29 Apparatus and method for memory allo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041A KR19990060797A (ko) 1997-12-31 1997-12-31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797A true KR19990060797A (ko) 1999-07-26

Family

ID=1953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041A KR19990060797A (ko) 1997-12-31 1997-12-31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42895B1 (ko)
KR (1) KR1999006079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411B1 (ko) * 2005-12-05 2008-05-21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방송망을 통해 인밴드로 송출된 정보리스트를 셋탑박스에서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KR100834443B1 (ko) * 2007-02-27 200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코덱을 위한 메모리 구조 및 메모리 액세스 방법
KR100861621B1 (ko) * 2005-09-12 2008-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1판넬 광학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
KR100883651B1 (ko) * 2006-05-18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을 저장할 디스크의 공간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40203B1 (ko) * 2003-02-18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그먼트 기반의 화소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5625B1 (en) * 1998-03-09 2004-07-20 Div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t-shuffling video data
SG111087A1 (en) * 2002-10-03 2005-05-30 St Microelectronics Asia Cache memory system
JP4099578B2 (ja) * 2002-12-09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画像データ処理装置
CN100382048C (zh) * 2005-11-08 2008-04-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内存管理方法
JP2008249977A (ja) * 2007-03-30 2008-10-1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表示装置の描画回路、電気光学表示装置の描画方法、電気光学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90225867A1 (en) * 2008-03-06 2009-09-10 Lee Kun-Bin Methods and apparatus for picture access
TW201026070A (en) * 2008-12-29 2010-07-01 Sunplus Technolog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data
JP2016218720A (ja) * 2015-05-20 2016-12-22 ソニー株式会社 メモリ制御回路およびメモリ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014A (ja) * 1994-10-26 1996-05-17 Sony Corp 画像信号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処理装置
US5737019A (en) * 1996-01-29 1998-04-07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resolution by direct DCT mapping
US5872577A (en) * 1996-02-28 1999-02-16 U.S. Philips Corporation Device for decoding signals of the MPEG-type
US6005624A (en) * 1996-12-20 1999-12-21 Lsi Log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otion compensation using a skewed tile storage format for improved efficiency
US5883679A (en) * 1997-02-20 1999-03-16 C-Cube Microsystems, Inc. Scanning scheme for images stored i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203B1 (ko) * 2003-02-18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그먼트 기반의 화소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1621B1 (ko) * 2005-09-12 2008-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1판넬 광학 장치의 데이터 변환 장치
KR100831411B1 (ko) * 2005-12-05 2008-05-21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방송망을 통해 인밴드로 송출된 정보리스트를 셋탑박스에서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KR100883651B1 (ko) * 2006-05-18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을 저장할 디스크의 공간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34443B1 (ko) * 2007-02-27 200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코덱을 위한 메모리 구조 및 메모리 액세스 방법
US8180195B2 (en) 2007-02-27 2012-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structures and methods for video code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42895B1 (en)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5502B2 (ja) Sdramに1フレームの画像信号を記録する方法
JPH1019123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データメモリ配置方法
KR19990060797A (ko)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의 메모리 할당방법과 그장치
US8918589B2 (en) Memory controller, memory system,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mory control method
GB2311434A (en) Image decompressing apparatus with efficient image data storage
US5754234A (en) Moving picture decoding system
US20170270996A1 (en) Semiconductor memory deivce and accessing method thereof
US8023565B2 (en)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icture memory
KR19980081641A (ko) 동화상 복호 방법 및 동화상 복호 장치
JP2008048258A (ja) 画像データ記憶装置、および記憶方法
JPH06276503A (ja) 信号処理装置
US6753871B2 (en) Memory access method
KR19980018884A (ko) 화상처리장치 (Image Processor)
JP5182285B2 (ja) デコード方法及びデコード装置
JPH0865686A (ja) 画像復号化装置
KR970025184A (ko) 예측매크로블럭 변환을 이용한 동화상 복호기
CN114697675B (zh) 解码显示系统与其存储器访问方法
JPH06189292A (ja) 動画像復号装置
KR950005061A (ko) 화상처리용 메모리 집적회로
WO2000044179A1 (en) Method of memory utilization in a predictive video decoder
US5731838A (en) Apparatus for decoding moving picture data
US6359660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converting macro-block data into raster data which is adaptable to various formats
JP2008146235A (ja) 画像処理装置
US20080263290A1 (en) Memory control apparatus and memory control method
JP2005222180A (ja) 画像データ配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418

Effective date: 2002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