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0768A - 외부 아이디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부 아이디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0768A
KR19990060768A KR1019970081012A KR19970081012A KR19990060768A KR 19990060768 A KR19990060768 A KR 19990060768A KR 1019970081012 A KR1019970081012 A KR 1019970081012A KR 19970081012 A KR19970081012 A KR 19970081012A KR 19990060768 A KR19990060768 A KR 19990060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
external
external device
portable computer
comput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0768A/ko
Publication of KR1999006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76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IDE 포트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외부 IDE 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IDE 포트에 외부 IDE 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함으로서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CD-ROM 드라이브, MOD 등의 장치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IDE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을 재부팅하지 않고 전원 온 상태에서 장착과 탈착이 가능해 사용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아이디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PORTABLE COMPUTER SYSTEM WITH EXTERNAL ID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외부IDE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IDE 포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을 보여주고 있다. 휴대용 컴퓨터(100)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데스크 탑 컴퓨터(a desk top computer)에 비해 부가적인 장치를 줄여 소형화, 경량화 하였다. 그러므로 CD-ROM 드라이브나 MOD(Magneto Optic Disk) 드라이브 등은 컴퓨터 본체에 장착하지 않고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도 2는 종래 휴대용 컴퓨터의 IDE 포트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CD-ROM 드라이브의 접속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1차 IDE(Integrated Device Electronics) 포트(120)와 2차 IDE 포트(130)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IDE 포트는 마스터(master)와 슬래브(slave)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IDE 포트는 두 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모두 4 개의 드라이브를 IDE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IDE 포트를 제어하는 IDE 컨트롤러(110)는 상기 1차 IDE 포트(120)와 상기 2차 IDE 포트(130)를 제어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IDE 컨트롤러(110)는 시스템 버스(112)를 통해 메인 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4 개의 포트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있다. 주로 1차 IDE 포트(120)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22)를 접속하고, 2차 IDE 포트(130)에는 CD-ROM 드라이브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데스크 탑 컴퓨터(a desk top computer)는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두 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마스터와 슬래브로 각각 나누어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는 포트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고, CD-ROM, MOD 등의 장치를 고가의 도킹 스테이션에 장착하여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IDE 포트에 외부 IDE 장치가 접속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 IDE 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할 경우 핫 플러깅(hot plugging)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컴퓨터의 IDE 포트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CD-ROM 드라이브의 접속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IDE 포트에 외부 IDE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터와 외부 IDE 장치의 접속에서 2차 IDE 포트와 관련된 부분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내부 신호의 타이밍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 외부 IDE 장치가 접속되었을 때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신호와 관련된 부분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 IDE 장치에 두 가지의 다른 장치가 구성되었을 때 휴대용 컴퓨터와의 접속을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외부 IDE 장치가 연결되었을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동작 순서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컴퓨터 110 : IDE 컨트롤러
120, 130 : IDE 포트 140 : 버퍼
150 : 마이크로 컨트롤러 200 : 외부 IDE 장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IDE 인터페이스 방식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와 접속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접속 수단에 접속시에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접속 수단에 접속시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시스템과 외부 IDE 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시 버퍼링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외부에 장착되는 컨넥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접속 수단에 접속시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에 스위칭되어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 단계는: 상기 스위칭 수단과 버퍼링 수단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외부 장치가 접속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해당 SMI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칭 수단을 온 시켜 외부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링 수단을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와;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여 시스템 내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은 상기 외부 장치에 해당되는 파라메터로 상기 외부 장치를 초기화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IDE 포트에 외부 IDE 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함으로서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CD-ROM 드라이브, MOD 등의 장치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IDE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을 재부팅하지 않고 전원 온 상태에서 장착과 탈착이 가능해 사용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IDE 포트에 외부 IDE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3a는 휴대용 컴퓨터(100)의 후면에 있는 IDE 포트(130)와 외부 IDE 장치(200)가 케이블(132)로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케이블 없이 IDE 포트(130)에 외부 IDE 장치(200)가 접속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컴퓨터 본체 후면의 IDE 포트(130)는 2차 IDE 포트이다. 1차 IDE 포트는 컴퓨터 본체 내부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CD-ROM 드라이브에 접속되어 사용되고 2차 IDE 포트(130)는 외부 IDE 장치와 결합하여 기능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터와 외부 IDE 장치의 접속에서 2차 IDE 포트와 관련된 부분의 회로를 블록 형태로 보여주고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E 컨트롤러(110)는 시스템 버스와 외부 IDE 장치, 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및 MOD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게 된다. 외부 IDE 장치(200)가 컴퓨터 본체(100)에 접속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50)에는 외부 IDE 장치 잠지 신호(PDS, Port in Detect Signal)와 장치 종류 감지 신호(DCS, Device Check Signal)가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50)는 PDS가 감지되면 시스템 버스에 SMI(System Management Interface) 신호를 실어 컴퓨터 내부에 외부 IDE 장치(200)가 접속되었음을 알린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50)의 단자(15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켜 전원을 외부 IDE 장치(200)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50)는 인에이블 단자(EN)를 액티브시켜 시스템 버스와 외부 IDE 장치(2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내부 신호의 타이밍 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IDE 장치(200)가 휴대용 컴퓨터에 접속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50)는 단자(152)를 통해 IDE 전원 온 신호를 내보낸다. 상기 IDE 전원 온 신호는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켜 전원을 외부 IDE 장치(200)에 공급한다. 다음, 마이크로 컨트롤러(150)는 버퍼(140)에 인에이블 신호를 내보낸다. 버퍼가 인에이블 되므로서 시스템 버스와 외부 IDE 장치(2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 외부 IDE 장치가 접속되었을 때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신호와 관련된 부분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휴대용 컴퓨터(100)에 외부 IDE 장치(200)가 접속되었을 때 마이크로 컨트롤러(150)에 입력되는 신호 PDS와, 외부 IDE 장치(200)가 접속되었을 때 외부 IDE 장치(200)가 어떤 장치인가를 나타내는 신호 DCS의 생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100)내부에는 풀업 저항 R1과 R2가 구성되고, 외부 IDE 장치(200)에는 풀다운 저항 R3와 R4가 구성되어 있다. 외부 IDE 장치(200)가 접속되기 전에는 전원(Vcc)은 저항 R1과 R2를 통해 PDS와 DCS가 하이(high)로 마이크로 컨트롤러(150)에 입력된다. 그러므로 휴대용 컴퓨터(100)의 IDE 포트에는 어떤 장치도 연결되지 않았음을 감지할 수 있다. 반면 외부 IDE 장치(200)가 접속되면 전원(Vcc)은 저항 R1을 통해 외부 IDE 장치(200) 내부의 저항 R3로 공급되므로, 마이크로 컨트롤러(150)의 PDS 단자는 로우(low)가 되어 외부 IDE 장치(200)가 접속되었음이 감지된다. 또한 전원(Vcc)은 저항 R2를 통해 외부 IDE 장치(200) 내부의 저항 R4에 공급되는데, 저항 R4의 용량은 접속되는 장치,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MOD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한다. DCS의 신호 레벨은 저항 R4의 용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되므로 어떤 장치가 접속되었는가는 DCS의 신호 레벨로 마이크로 컨트롤러(150)에 인식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 IDE 장치에 두 가지의 다른 장치가 구성되었을 때 휴대용 컴퓨터와의 접속을 보여주고 있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IDE 포트는 마스터와 슬래브로 구성되어 있어서 IDE 포트 하나에 두 가지의 다른 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IDE 장치(200)에 CD-ROM 드라이브(210)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20)가 구성된 경우 CD-ROM 드라이브(210)는 마스터 포트로 할당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20)는 슬래브 포트로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외부 IDE 장치가 연결되었을 때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수행하는 제어 동작 순서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 S10에서는 포트의 초기화가 수행된다.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내부에서 외부 IDE 포트로 나가는 IDE 신호와 전원 온 신호를 리셋 시킨다. 단계 S20에서는 외부 IDE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에 접속되었는가를 감지한다. 접속되지 않았다면 다시 단계 S20을 반복하고 접속되었다면 다음 단계 S30으로 진행한다. 단계 S30 에서는 SMI 신호를 발생하여 외부 IDE 장치가 접속되었음을 시스템 내부에 알린다. 다음 단계 S40에서는 외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단계 S40에 이어 단계 S50에서는 버퍼를 인에이블 시켜 시스템과 외부 IDE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단계 S60에서는 외부 IDE 장치가 어떤 것인가를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내부에 알린다. 시스템의 종류를 감지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외부 IDE 장치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해당 파라메터를 세팅한다. 그러므로 외부 IDE 장치는 정상 동작이 가능하도록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IDE 포트에 외부 IDE 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함으로서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CD-ROM 드라이브, MOD 등의 장치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 IDE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을 재부팅하지 않고 전원 온 상태에서 장착과 탈착이 가능해 사용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IDE 인터페이스 방식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와 접속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접속 수단에 접속시에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접속 수단에 접속시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시스템과 외부 IDE 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시 버퍼링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외부에 장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접속 수단에 접속시 상기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에 스위칭되어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 수단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 단계는:
    상기 스위칭 수단과 버퍼링 수단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외부 장치가 접속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해당 SMI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칭 수단을 온 시켜 외부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링 수단을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와;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여 시스템 내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은 상기 외부 장치에 해당되는 파라메터로 상기 외부 장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1019970081012A 1997-12-31 1997-12-31 외부 아이디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19990060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012A KR19990060768A (ko) 1997-12-31 1997-12-31 외부 아이디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012A KR19990060768A (ko) 1997-12-31 1997-12-31 외부 아이디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768A true KR19990060768A (ko) 1999-07-26

Family

ID=6618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012A KR19990060768A (ko) 1997-12-31 1997-12-31 외부 아이디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07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349B1 (ko) * 2002-03-27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킹 컴퓨터 및 아이디이 디스크 전원제어방법
KR100973851B1 (ko) * 2003-10-31 2010-08-0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의 내부 버스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
KR101134789B1 (ko) * 2005-05-09 201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349B1 (ko) * 2002-03-27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킹 컴퓨터 및 아이디이 디스크 전원제어방법
KR100973851B1 (ko) * 2003-10-31 2010-08-0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의 내부 버스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
KR101134789B1 (ko) * 2005-05-09 201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52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coupling an external peripheral device to either a universal serial bus port on a computer or hub or a game port on a computer
US6101076A (en) Electromagnetic safety enhancement circuit for universal serial bus systems
US6725318B1 (en) Automated selection between a USB and PS/2 interface for connecting a keyboard to a computer
KR100905795B1 (ko)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6813662B2 (en) Memory drive having multi-conn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040174B1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KR100621615B1 (ko) 마스터 및 슬레이브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스왑 베이 디바이스와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6691201B1 (en) Dual mode USB-PS/2 device
US6816939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I2C bus masters on a secondary side of an I2C multiplexor
US6845422B2 (en) Data-storing device
US69221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load balance on a graphics bus when an upgrade device is installed
KR0157129B1 (ko) 확장장치와 휴대용 컴퓨터간의 신호 연결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확장장치
KR20030031255A (ko) 범용직렬버스 호스트가 즉각적으로 리셋동작을 수행토록범용직렬버스의 신호 상태를 구현하는 로직 회로를구비하는 범용직렬버스 장치
JP2002297275A (ja) データ転送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デバイス、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WO1999021127A1 (fr) Support sous forme de carte et carte pour ordinateur personnel
US20050278469A1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9990060768A (ko) 외부 아이디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US200200849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B mode and PS/2 mode computer keyboard
JP2001306413A (ja) Usb通信デバイス
JP4524812B2 (ja) 電子機器
KR101206504B1 (ko) 외장형 멀티 디바이스 베이
US6919878B2 (en) Keyboard/mouse switching controller
JPH07168657A (ja) Scsiホストバスアダプタで用いるためのターミネート回路
KR100711006B1 (ko) Usb 장치에서의 vbus 전력 제어 장치
JP2002163051A (ja) 電子機器、usbコネクタ機構、及びusbデバイス接続用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