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990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990A
KR19990059990A KR1019970080208A KR19970080208A KR19990059990A KR 19990059990 A KR19990059990 A KR 19990059990A KR 1019970080208 A KR1019970080208 A KR 1019970080208A KR 19970080208 A KR19970080208 A KR 19970080208A KR 19990059990 A KR19990059990 A KR 19990059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ortion
common electrode
substrate
line pad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9990A/ko
Priority to KR1019980028547A priority patent/KR100271092B1/ko
Priority to US09/120,949 priority patent/US6229510B1/en
Priority to JP20783898A priority patent/JP3656940B2/ja
Priority to TW087112043A priority patent/TW505814B/zh
Publication of KR1999005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99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4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having more than one switching element per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공통 전극에 전압을 전달하는 접촉점을 활성 영역의 네 귀퉁이에 네 개 형성하고, 이 네 개의 접촉점을 따로따로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에 연결하여 각각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게이트선 패드부와 데이터선 패드부 양자 모두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고 있는 접촉점과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를 연결하는 도선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수리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 도선에는 연산 증폭기를 연결하여 도선 자체의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에 대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이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기판상의 위치에 따라 일정량씩 변화된 공통 전극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위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하 '활성 영역'이라 한다.)의 둘레로 일정한 간격으로 접촉점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접촉점 모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접촉점들은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에 연결되어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마주보고 있는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에 넓게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에 접촉되어 있어서, 공통 전극에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에서 인가하는 전압을 전달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모든 접촉점들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공통 전극에는 항상 전면에 걸쳐 일정한 전압이 걸리게 된다.
그런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은 저항 성분과 정전 용량 성분을 가지며, 따라서 게이트선에 구형파(矩形波)로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가 왜곡된다. 게이트 신호의 왜곡은 게이트 신호 입력단에서 게이트선 말단으로 갈수록 커지는데, 그 이유는 게이트선 말단으로 갈수록 신호가 거치는 저항 성분과 정전 용량 성분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게이트 신호의 왜곡이 점점 커지게 되면, 화소 전극에서의 킥백(kick back) 전압은 점점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킥백 전압의 변화는 화소 전극 전압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화소 전극과 전면에 걸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공통 전극 사이의 전압차는 위치에 따라 다른 값을 나타낸다. 그런데 킥백 전압의 차이가 커지면 화면의 깜박거림(flicker)도 심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공통 전극 전압 인가 방식에서는 공통 전극 전압을 변화시켜 화면 한쪽의 깜박거림을 제거하면 다른쪽에서 깜박거림이 발생하게 되어, 화면 전체의 깜박거림을 제거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이다.
도 1을 보면, 기판(1)의 상측에는 데이터선 구동을 위한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72)과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선 구동 집적 회로(8)가 위에서 아래로 뻗어 있는 데이터선의 패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고, 기판(1)의 좌측에는 PCB 기판(71)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선 구동 집적 회로(9)가 좌에서 우로 뻗어 있는 게이트선의 패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기판(1)의 중앙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활성 영역(2)이 있고, 기판(1)의 네 귀퉁이 중 우측 하부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귀퉁이에는 접촉점(31, 32, 33)이 형성되어 있다. 세 개의 접촉점(31, 32, 33)은 각각 도선(61, 62, 63)을 통해 구동 집적 회로(8, 9)와 PCB 기판(71, 72)을 거쳐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5)에 연결되어 있는데, 공통전극 전압 발생기(5)는 각 도선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공통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덮이게 되면, 각 접촉점(31, 32, 33)은 공통 전극에 접촉하게 되고,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가 인가하는 서로 다른 전압을 공통 전극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공통 전극의 각 부분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서, 공통 전극 전압의 조정을 통하여 화면의 깜박거림을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게이트선 신호나 데이터선 신호의 왜곡이 가장 큰 지점인 기판(1)의 우측 하부에는 접촉점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전압을 조정할 수 없고, 따라서 이 부근은 화면의 깜박거림에 취약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깜박거림을 제거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통 전극에 전압을 전달하는 접촉점을 활성 영역의 네 귀퉁이에 네 개 형성하고, 이 네 개의 접촉점을 따로따로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에 연결하여 각각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게이트선 패드부와 데이터선 패드부 양자 모두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고 있는 접촉점과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를 연결하는 도선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수리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 도선에는 연산 증폭기를 연결하여 도선 자체의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에 대비할 수 있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기판(10)의 상측에는 데이터선 구동을 위한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720)과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선 구동 집적 회로(80)가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의 패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고, 기판(10)의 좌측에는 게이트선 구동을 위한 PCB 기판(710)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선 구동 집적 회로(90)가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선의 패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기판(10)의 중앙에는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활성 영역(20)이 있고, 기판(10)의 네 귀퉁이에는 제1 내지 제4 접촉점(310, 320, 330, 340)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네 개의 접촉점(310, 320, 330, 340)은 각각 제1 내지 제4 도선(610, 620, 630, 640)을 통해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50)에 연결되어 있다.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50)는 각 도선(610, 620, 630, 640)에 각각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우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핀(340)에 연결되어 있는 도선(640)은 기판(10) 위에서는 수리선(repair line)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100)를 연결하여 도선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일어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해주고 우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점(340)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여기에, 상부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결합하면, 접촉점(310, 320, 330, 340)이 상부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도시하지 않음)의 네 귀퉁이에 접촉하여,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50)가 인가하는 각기 다른 전압을 공통 전극에 전달한다.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5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제1 접촉점(310), 제2 접촉점(320), 제3 접촉점(330), 제4 접촉점(330)의 순으로 점점 높아지도록 조정한다. 이 때, ITO(indium tin oxide)로 형성되는 공통 전극은 무시해서는 안될 정도의 저항을 가진다.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의 각 지점에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면, 전압이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을 향해 오옴(ohm)의 법칙에 따른 전류가 흐르면서 전압 강하가 일어나고, 결국 공통 전극 전압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에 걸쳐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변화하게 된다. 제1 내지 제4 접촉점 사이의 전압차는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화면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공통 전극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로 반전되는 화소 전극 전압이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조정한다.
이렇게 하면, 게이트선 신호 및 데이터선 신호의 지연으로 인한 기판 각 부분에서의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의 전압차가 변화하는 것을 공통 전극 전압을 변경시킴으로써 보상해 줄 수 있고, 나아가 공통 전극 전압을 조정하여 화면 깜박거림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4)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선 구동 회로와 연결되어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선 패드부,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데이터선 구동 회로와 연결되어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 패드부,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로 이루어져 있는 활성 영역,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고 있는 제 2 기판,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1 기판을 향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활성 영역의 네 귀퉁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통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접촉점,
    상기 네 개의 접촉점과 따로따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네 개의 접촉점에 각각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네 개의 접촉점 중 상기 게이트선 패드부와 데이터선 패드부 양자 모두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접촉점과 상기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를 연결하는 도선은 수리선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게이트선 패드부와 데이터선 패드부 양자 모두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접촉점과 상기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를 연결하는 도선에 연결되어 있는 연산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 전압 발생기가 접촉점에 인가하는 전압은 상기 데이터선 패드부와 게이트선 패드부 양쪽 모두에서 가장 먼 접촉점에서 가장 높고, 상기 데이터선 패드부와는 가깝고 게이트선 패드부에서는 먼 접촉점에서 두 번째로 높으며, 상기 데이터선 패드부에서는 멀고 게이트선 패드부와는 가까운 접촉점에서 세 번째로 높으며, 상기 데이터선 패드부와 게이트선 패드부 양쪽 모두에서 가장 가까운 접촉점에서 가장 낮은 값을 가지도록 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70080208A 1997-07-23 1997-12-31 액정 표시 장치 KR19990059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208A KR19990059990A (ko) 1997-12-31 1997-12-31 액정 표시 장치
KR1019980028547A KR100271092B1 (ko) 1997-07-23 1998-07-15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US09/120,949 US6229510B1 (en) 1997-07-23 1998-07-22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different common voltages
JP20783898A JP3656940B2 (ja) 1997-07-23 1998-07-23 液晶表示装置
TW087112043A TW505814B (en) 1997-07-23 1998-07-23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different common volt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208A KR19990059990A (ko) 1997-12-31 1997-12-31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990A true KR19990059990A (ko) 1999-07-26

Family

ID=6618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208A KR19990059990A (ko) 1997-07-23 1997-12-31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99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808B1 (ko) 등저항 배선을 위한 액정표시장치
US661811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49246B1 (ko)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365912B1 (ko) 표시장치
JP2003043512A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011679A (ko) 게이트 피씨비 및 에프피씨가 없는 액정표시장치
US693731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mplementing improved electrical lines and the fabricating method
KR100293982B1 (ko) 액정패널
KR100825093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74378A (ko) 액정표시장치
USRE48706E1 (en) Driving circu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865331B1 (ko) 티.에프.티. 표시장치
KR19990059990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864981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050086901A (ko)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장치
KR19990012232A (ko) 계조보정용 전압공급장치
KR19990059989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30321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560977B1 (ko) 칩 직접 실장형 액정 표시 장치
KR100508033B1 (ko) 액정표시장치
KR19990024712A (ko) 액정표시장치 하판 글래스의 배선구조
KR100188103B1 (ko) 탭-아이시
KR100855494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040098869A (ko) 액정표시장치의 패드구조
KR20060020896A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