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726A -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726A
KR19990059726A KR1019970079940A KR19970079940A KR19990059726A KR 19990059726 A KR19990059726 A KR 19990059726A KR 1019970079940 A KR1019970079940 A KR 1019970079940A KR 19970079940 A KR19970079940 A KR 19970079940A KR 19990059726 A KR19990059726 A KR 19990059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battery
unit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909B1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90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909B1/ko

Link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자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보조 전원부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와; 상기 전원 인가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저전압 상태나 드럽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배터리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나 드럽 상태일 경우, 상기 보조 전원부를 이용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현재 배터리의 상태를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상기 보조 전원부를 통해 각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전압 공급부와; 무선 송수신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정상적인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원 부족으로 인한 오동작이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상태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 시스템으로 전송하므로, 차량 도난을 위한 전원 탈거 현상이 발생할 경우 도난 차량의 추적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현재 차량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이 발명은 차량의 도난 방지와 저전압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경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전원 차단 여부를 감지하여 전원 장치의 저전압 상태를 감지하여 도난 사고를 방지하고 저전압 상태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자 및 전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무선 전산망의 확대로 인해, 하나의 중앙 처리 센터에서 전국의 교통 상황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교통 시스템을 통하여, 전국 도로의 소통 상황이나 교통 사고나 긴급 상황의 발생 현황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고 수습 및 인명 구조 등의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교통 소통 및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난 차량의 신호가 접수되면, 전국 각지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도난 차량을 추적도 가능하고, 추적 상황을 관련 부서나 기관에 통보할 수도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반 시민의 경우에도, 차량의 도난 사고나 훼손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하는 경보 장치를 장착한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시동키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시동 동작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 경보 장치를 작동시켜 운전자나 소유주에게 위급 상황을 알려주거나, 또는 설정된 비밀 번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엔 차량의 시동 동작이 이루어져 운전을 방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이 손상될 정도로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경보음 등을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도난 목적을 위한 시동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나, 차량 손상의 우려가 발생할 경우 동작하여 차량의 도난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나 무선 데이터 전산망과 연결된 차량일 경우라도, 차량의 전원 공급 장치인 배터리 등을 탈거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 후 경고 장치의 동작이나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을 차단시킨 후 다른 차량을 이용하여 도난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가 장착된 차량일 경우라도, 차량의 시동 동작이 정지된 후에 정상적으로 무선 통신을 위한 전원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무선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터리 등의 탈거 등으로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이 중지되어, 차량의 도난 상태를 중앙 시스템에서 감지할 수 없어 차량 도난 사고나 손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운전자의 부주의로 장시간 자동차를 주차할 경우, 등화 장치 등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완전하게 오프시키지 않아,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다.
상기 경우, 자동차를 주행시키고자 할 경우 배터리 방전으로 시동 장치 등의 모든 전자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차량 운행을 할 수 없고, 차량 주행을 위해서는 가까운 차량 서비스 센터의 도움을 받거나 다른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의 도움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원 상태를 감시하여 차량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의 전원 단자가 절단되는 상태나 주 전원의 저전압 상태를 감지하여, 보조 전원을 통해 계속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처리 센터로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가 장착된 차량일 경우, 차량의 주 전원이 탈거되거나 저전압 상태가 감지될 경우, 중앙 시스템으로 현재의 차량 상태를 전송하여 그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도난 사고를 방지하거나 도난 차량을 추적하여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저전압시에는 차량의 소유주에게 사실을 통보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a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1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원 공급부의 상세 회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전자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보조 전원부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와;
상기 전원 인가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저전압 상태나 드럽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배터리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나 드럽 상태일 경우, 상기 보조 전원부를 이용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현재 배터리의 상태를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상기 보조 전원부를 통해 각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전압 공급부와;
무선 송수신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원 인가부는 배터리의 전원을 분압하는 저항과, 상기 저항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필터링하는 저항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보조 전압 공급부는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1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는 제2스위칭부와; 제1 및 제2스위칭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배터리나 보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설정된 정전압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전압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전원 인가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판독하여, 배터리의 전압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판정된 배터리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순간적인 드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배터리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이거나 또는 순간적인 드럽 상태일 경우, 배터리의 저전압이나 탈거 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무선 송신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와;
보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판단된 배터리의 상태가 정상 상태일 경우엔, 보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보조 전원부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을 경우, 보조 전원 공급부로 구동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여,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전원 인가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이 설정 전압 이하의 전압이 설정 시간동안 인가될 경우, 또는 설정된 저전압 상태가 설정 횟수 이상 검출될 때 배터리의 상태를 저전압 상태로 판단하며, 전원 인가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이 순간적으로 드럽될 때, 배터리가 탈거된 상태로 판단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a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1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원 공급부의 상세 회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1a와 도1b에 도시된 것처럼,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차량의 전자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B+)와,
상기 배터리(B+)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 전원(V1)과,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보조 전원 공급부(1)와,
상기 배터리(B+)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1,R2)과,
상기 저항(R1,R2)의 공통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가 동작 제어부(2)의 저전압 감지 단자(A)와 연결되어 있는 저항(R3)과,
상기 저항(12)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커패시터(C1)와,
상기 저전압 감지 단자(A)와 연결되어 배터리(B+)가 공급되는 단자의 절단 상태와 배터리(B+)의 저전압 상태를 감지하여 보조 전원 공급 단자(B)를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보조 전원 공급부(1)의 동작에 따라 보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현재 배터리(B+)의 상태를 무선 통신하여 신속한 필요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제어부(2)와,
상기 동작 제어부(2)와 연결되어, 동작 제어부(2)에서 출력되는 배터리(B+)의 전원 상태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 모뎀부(3)와,
상기 무선 모뎀부(3)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B+) 단자의 절단 상태를 감지하여 차량의 도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B+)의 저전압 상태를 감지하여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시스템(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1)는 동작 제어부(2)의 보조 전원 공급 단자(B)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11)와,
배터리의 보조 전원(V1)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트랜지스터(T11)의 에미터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트랜지스터(T11)의 컬렉터 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12)와,
상기 트랜지스터(T12)의 켈럭터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RY11)와,
상기 릴레이(RY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전압 출력부(11,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릴레이(RY11)는 트랜지스터(T12)의 컬렉터 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L11)과,
제2전압 출력부(12)에 고정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제1전압 출력부의 입/출력단자에 제1 및 제2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SW11)와,
제2전압 출력부(12)에 고정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보조 전원(V1)에 제1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배터리(B+)에 제2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치(SW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2)는 저전압 감지 단자(A)와 보조 전원 공급 단자(B)로 입/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A/D변환부(21)와,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또는 제어동작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와, 중앙 처리 장치(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을 도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전원 탈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부(2)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동작 제어부(2)의 동작이 시작되면, 중앙처리장치(23)는 A/D변환부(21)를 통해 인가되는 저전압 감지 단자(A)의 신호를 판독하여(S11), 배터리(B+)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상태를 판정한다(S12).
상기 저전압 감지 단자(A)는 분압 저항(R1,R2)을 통해 배터리(B+)의 전압이 분압된 후, 저항(R3)과 커패시터(C1)에 의해 노이즈 제거되어 동작 제어부(2)의 A/D 변환부(21)로 입력되어, 이용 가능한 디지탈 값으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저항(R1,2)의 동작에 의해 약 10V의 전압이 입력되면, 동작 제어부(2)로 약 2.5V가 저전압 감지 단자(A)로 입력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5V 이하의 전압이 약 3초 동안 100ms 이하의 저전압이 3회 이상 검출되거나, 또는 1초 이상 저전압 상태를 유지할 경우, 동작 제어부(2)의 중앙처리장치(23)는 배터리(B+)의 상태를 저전압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원의 저전압 감지 조건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정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B+)의 상태가 불안하면, 동작 제어부(2)의 중앙 처리 장치(23)는 차량의 주전원으로 이용되는 배터리(B+)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로 판단하여 배터리(B+)의 저전압 상태를 중앙 시스템(4)으로 통지하기 위한 정보 신호를 무선 모뎀부(3)로 출력한다(S14).
그러므로 무선 모뎀부(3)는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 동작 제어부(2)의 중앙 처리 장치(23)에서 출력되는 정보 신호를 중앙 시스템(4)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중앙 시스템(4)은 무선 통신 장치나 전화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소유주에게 배터리(B+)의 저전압 상태를 통지하여 배터리(B+)의 교체나 재충전등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배터리(B+) 방전에 따른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동작 제어부(2)의 중앙 처리 장치(23)는 저전압 상태인 배터리(B+)를 통해 전원 공급을 중지하고 보조 전원(V1)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 전원 공급 단자(B)로 저레벨인 "L" 신호를 출력하여 보조 전원 공급부(1)의 동작을 통해 보조 전원(V1)이 각 필요한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5).
그러므로 각 전자 장치나 제어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저전압의 공급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무선 데이터 송수신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동작 제어부(2)의 중앙 처리 장치(23)는 저전압 감지 단자(A)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의 상태가 순간적으로 "0V"로 드럽(Droup)된 상태로 판단되면, 중앙 처리 장치(23)는 배터리(B+)와 연결된 전원 공급 단자가 절단되고 전원 공급이 전면 중단되고 배터리(B+)의 탈거 상태로 판단하여, 중앙 처리 장치(23)는 무선 모뎀부(3)로 차량 전원이 탈거된 상태를 알려주는 정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23)에서 정보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무선 모뎀부(3)는 인가된 차량 전원의 탈거 상태에 해당하는 정보를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으로 중앙 시스템(4)으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모뎀부(3)에서 인가되는 정보를 수신한 중앙 시스템(4)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차량의 전원 탈거 상태, 즉 도난을 위한 전원 탈거 상태를 접수하여 도난 차량의 추적 등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차량 소유주에게도 이 사실을 통지한다.
또한 중앙 처리 장치(23)는 보조 전원 공급 단자(B)로 저레벨인 "L"신호를 출력하여, 보조 전원(V1)을 통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B+)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이거나, 탈거된 상태로 판단되어 저레벨인 "L"신호가 보조 전원 공급부(1)로 입력되면, 보조전원 공급부(1)의 트랜지스터(T11,T2)가 순차적으로 온되어, 릴레이(RY11)의 코일(L11)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
그러므로 릴레이(RY11)의 코일(L11)이 자화되어 도2b에 도시된 것처럼, 릴레이(RY11)가 작동한다.
상기 릴레이(RY11)의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스위치(SW12)의 고정 단자가 제1단자와 접속되어, 보조 전원(V1)이 +5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제2전압 출력부(12)로 인가되므로 정상적인 +5V의 전압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제1전압 출력부(11)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각 필요한 장치로의 전압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저전압 감지 단자(A)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B+) 전압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도 아니고 순간적인 드럽 현상도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의 중앙 처리 장치(23)는 배터리(B+)의 상태가 정상 상태이고 배터리(B+) 탈거를 위한 전원 공급 단자의 절단 동작 등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보조 전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해 보조 전원 공급 단자(B)로 저레벨인 "L"상태의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6).
판단된 보조 전원 공급 단자(B)의 상태가 "L"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중앙 처리 장치(23)는 주전압인 배터리(B+)를 통해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조 전원 공급 단자(B)의 출력 신호를 고레벨인 "H"상태로 변환하여(S17), 보조 전원 공급부(1)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상기 동작 제어부(2)의 중앙 처리 장치(23)의 보조 전원 공급 단자(B)로 고레벨인 "H"신호가 출력되면, 보조 전원 공급부(1)의 트랜지스터(T1,T2)는 턴오프되어, 릴레이(RY11)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릴레이(RY11)의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1 및 제2스위치(SW11,SW12)의 고정 단자가 제2단자와 연결되어, 배터리(B+)를 통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제1 및 제2전압 출력부(11,12)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중앙 처리 장치(23)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B+)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일 경우나 배터리(B+)의 단자가 절단되어 배터리(B+)가 탈거되는 상태일 경우, 중앙 처리 장치(23)는 중앙 시스템(4)으로 해당 상태를 전송하여 자동차 이용자가 배터리(B+)의 상태를 신속하게 원상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보조 전원(V1)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B+)를 보호하고 전원 부족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주전원인 배터리(B+)의 탈거 상황을 인식하여 도난 사고를 예방하거나, 도난된 차량의 추적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전원(V1)을 통해 정상적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무선 데이터 송수신 동작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차량에 이용되는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여 배터리(B+)의 탈거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나 저전압 상태가 발생할 경우, 보조 전원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정상적인 무선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원 부족으로 인한 오동작이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자동차의 상태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 시스템으로 전송하므로, 차량 도난을 위한 전원 탈거 현상이 발생할 경우 도난 차량의 추적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현재 차량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9)

  1. 차량의 전자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보조 전원부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와;
    상기 전원 인가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저전압 상태나 드럽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배터리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나 드럽 상태일 경우, 상기 보조 전원부를 이용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현재 배터리의 상태를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상기 보조 전원부를 통해 각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전압 공급부와;
    무선 송수신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인가부는
    배터리의 전원을 분압하는 저항(R1,R2)과,
    상기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필터링하는 저항(R3) 및 커패시터(C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보조 전압 공급부는,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1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는 제2스위칭부와;
    제1 및 제2스위칭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배터리나 보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설정된 정전압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전압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는,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턴온/오프 상태가 변화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부는
    상기 제1스위칭부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L11)과,
    제2전압 출력부에 고정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제1전압 출력부의 입/출력단자에 제1 및 제2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SW11)와,
    제2전압 출력부에 고정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보조 전원에 제1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배터리)에 제2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치(SW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릴레이(RY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의 탈거 상태나 저전압 상태를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장치.
  7. 전원 인가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판독하여, 배터리의 전압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판정된 배터리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순간적인 드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배터리의 상태가 저전압 상태이거나 또는 순간적인 드럽 상태일 경우, 배터리의 저전압이나 탈거 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무선 송신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와;
    보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판단된 배터리의 상태가 정상 상태일 경우엔, 보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보조 전원부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을 경우, 보조 전원 공급부로 구동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여,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전원 인가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이 설정 전압 이하의 전압이 설정 시간동안 인가될 경우, 또는 설정된 저전압 상태가 설정 횟수 이상 검출될 때 배터리의 상태를 저전압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제어 방법.
  9. 전원 인가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이 순간적으로 드럽될 때, 배터리가 탈거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 제어 방법.
KR1019970079940A 1997-12-31 1997-12-31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82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940A KR100282909B1 (ko) 1997-12-31 1997-12-31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940A KR100282909B1 (ko) 1997-12-31 1997-12-31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726A true KR19990059726A (ko) 1999-07-26
KR100282909B1 KR100282909B1 (ko) 2001-05-02

Family

ID=6618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940A KR100282909B1 (ko) 1997-12-31 1997-12-31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76B1 (ko) * 2000-10-25 2007-08-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원 공급장치
KR100820337B1 (ko) * 2006-10-23 2008-04-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투차량의 보조전원 급전장치 및 그의 급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181B1 (ko) * 2010-02-01 2010-12-22 (주)웨이브다임 전동장치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력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76B1 (ko) * 2000-10-25 2007-08-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원 공급장치
KR100820337B1 (ko) * 2006-10-23 2008-04-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투차량의 보조전원 급전장치 및 그의 급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909B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4705B2 (en) Emergency information terminal and emergency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terminal
EP3154039B1 (en) Method for operat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avn) system, avn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2000295669A (ja) 車載端末装置と情報転送システムと緊急通報システム
CN109669441B (zh) 一种自动断电控制方法、系统及设备
EP3326855B1 (en) A battery monitoring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US6166649A (en) DSRC on-vehicle device
JP2003132441A (ja) 盗難防止装置
JP2003112606A (ja) 盗難防止装置
KR100282909B1 (ko) 차량의 전원 상태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430866B2 (ja) 電源低下対応装置
JP3260127B2 (ja) 車載端末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US6304171B2 (en) Emergency call system with battery switching function
KR20110120635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31136B1 (ko) Avn의 동작 방법, avn, 이를 장착하는 차량
JP2699865B2 (ja) 車載型携帯無線電話機の電源供給方式
JP2003319567A (ja) 充電装置及び盗難防止装置
KR20100011564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전원공급 장치
JP4364479B2 (ja) 車載電子装置
JP2773769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盗難防止システム
KR100404087B1 (ko) 차량의 응급구조 요청장치 및 방법
JP3871830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KR20050010592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상태 경보 장치 및 방법
JP2001088631A (ja) 車載通信端末装置
JP2000108822A (ja) 自動緊急通報装置
KR0132416B1 (ko) 도난 차량 추적장치의 백업 전원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