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387A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59387A KR19990059387A KR1019970079588A KR19970079588A KR19990059387A KR 19990059387 A KR19990059387 A KR 19990059387A KR 1019970079588 A KR1019970079588 A KR 1019970079588A KR 19970079588 A KR19970079588 A KR 19970079588A KR 19990059387 A KR19990059387 A KR 199900593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ttery
- case
- housing
- connec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를 용이하게 탈,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10) 상부에 체결부재(52)에 의해 설치되는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 내측에 설치되며, 배터리(10)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단자와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삽입부(51)와; 상기 배터리(10)의 전원을 자동차의 각종 기기류에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50)에 결합되는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삽입부(51)에 삽설하기 위한 접촉단자(6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배터리(10)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삽입부(51)에 접촉단자(61)를 원터치 형식으로 탈, 장할 수 있고, 수분과 이물질로부터 접촉단자(61)와 단자삽입부(51)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0)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를 용이하게 탈,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입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전원으로는 배터리(Battery)와 충전장치의 두 계통이 있고, 엔진의 운전중에는 알터네이터에서 전력을 공급하나, 엔진의 정지시나 시동시에는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가솔린에서는 12볼트(V), 대형 디젤 엔진에서는 24볼트(V)의 납전지가 시용되고 있고, 사용한 전기를 보충(충전)하면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용량은 방전한 전류와 방전시간을 가산한 것으로 암페어 아워(Ah)로 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는 배터리(1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11)에 결합되어 차량의 각종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0)에는 상기 단자(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23)을 가지며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22)와, 상기 단자(11)에 결합된 링부(22)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그 소정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체결부재(30, 31)가 설치되는 제1체결돌기(24)와, 상기 배터리(1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케이블(40)이 체결되는 고정홀(27)을 가지며 상기 제1체결돌기(24)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6)로 구성힌다. 상기 체결부재는 일반적인 볼트(30)와 너트(3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10)의 단자(11)에서 상기 클램프(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30)와 너트(31)를 풀어야지만 상기 단자(11)에서 이탈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배터리(10)의 단자(11)와 상기 클램프(2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볼트(30)와 너트(31)를 조여야지만 결합시키게 되므로 정비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배터리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를 용이하게 탈,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 11 : 단자
20 : 클램프 22 : 링부
23 : 결하공 24 : 체결돌기
30 : 볼트 31 : 너트
40 : 케이블 50 : 케이스
51 : 단자삽입 52 : 볼트
53 : 실링 60 : 하우징
61 : 접촉단자 62 : 러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 상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단자와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삽입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자동차의 각종 기기류에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 삽입부에 삽설하기 위한 접촉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배터리(10) 상부에 체결부재(52)에 의해 케이스(50)가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10)의 상부에 상기 케이스(50)가 체결부재(52)에 의해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통상적인 볼트(52)에 의해 상기 배터리(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에 삽설되어 상기 케이스(50)가 상기 배터리(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10)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단자와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삽입부(51)가 상기 케이스(50)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접촉단자(61)가 상기 단자삽입부(51)에 설치될 시에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53)이 상기 케이스(50) 상부 외주연에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10)의 전원을 자동차의 각종 기기류에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50)에 결합되는 하우징(60)이 케이블(4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단자삽입부(51)에 삽설하기 위한 접촉단자(61)가 상기 하우징(60)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0)에 결합될 시에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러버62)가 상기 하우징(60) 내측에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배터리(10)를 배터리 트레이(미도시)에 안착시키고, 자동차의 각종 기기류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삽입부(51)에 하우징(60)을 삽설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0)이 상기 케이스(50)에 삽설될 시에 사용자는 상기 단자삽입부(51)에 상기 하우징(6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단자(61)가 제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촉단자(61)가 상기 단자삽입부(51)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하징(60)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러버(62)가 상기 케이스(5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러버(62)가 상기 케이스(50)에 약간 압입되는 정도로 삽설되어 외부에서 침투되는 수분과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60)과 상기 케이스(50)가 결합되어 있는 내측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10)를 배터리 트레이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터리(10) 상부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50)에서 상기 하우징(60)을 분리시킨다. 상기 하우징(60)이 케이스(50)에서 분리되면, 상기 하우징(6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단자(61) 또한 따라서 분리되으로 사용자는 배터리(10)를 배터리 트레이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접촉단자(61)를 쉽게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까지 성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상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단자와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삽입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자동차의 각종 기기류에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 삽입부에 삽설하기 위한 접촉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배터리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삽입부에 접촉단자를 원터치 형식으로 탈, 장할 수 있고, 수분과 이물질로부터 단자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 배터리 상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단자와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삽입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자동차의 각종 기기류에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 삽입부에 삽설하기 위한 접촉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 상부에는 상기 접촉단자가 상기 단자삽입부에 설치될 시에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될 시에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러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9588A KR19990059387A (ko) | 1997-12-30 | 1997-12-30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9588A KR19990059387A (ko) | 1997-12-30 | 1997-12-30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59387A true KR19990059387A (ko) | 1999-07-26 |
Family
ID=6618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79588A KR19990059387A (ko) | 1997-12-30 | 1997-12-30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59387A (ko) |
-
1997
- 1997-12-30 KR KR1019970079588A patent/KR1999005938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59387A (ko)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
KR200190991Y1 (ko)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
KR19990031270U (ko)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
KR200198944Y1 (ko) | 배터리 터미널 | |
KR19990031310U (ko)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
KR19990031311U (ko)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
KR100259660B1 (ko) | 알터내이터 출력 단자와 케이블 연결용 클램프 | |
KR100231663B1 (ko)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 접속장치 | |
KR19990026661U (ko) |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 |
KR200181196Y1 (ko) | 매몰형 터미널 포스트를 갖는 배터리 | |
KR0185275B1 (ko) | 자동차용 축전지의 전원 스위치 | |
KR0171726B1 (ko) |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축전지 단자 취부구조 | |
KR100258843B1 (ko) | 알터네이터의 b+ 단자 고정구조 | |
KR200180572Y1 (ko) | 차량용 배터리와 케이블 결합구조 | |
KR19980078374A (ko) | 자동차용 배터리의 단자 연결 구조 | |
KR200180580Y1 (ko) |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 |
KR19990053305A (ko) | 자동차용 배터리단자구조 | |
KR19980019866U (ko) | 밧데리 단자 및 밧데리 단자 클램프 구조 | |
KR19990052096A (ko) | 전기자동차용 충전커넥터 체결구조 | |
KR200155735Y1 (ko) | 자동차용 축전지 터미널의 단자 장착 구조 | |
KR19980029693U (ko) |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블 지지구조 | |
KR200150111Y1 (ko) | 긴급시동장치 | |
KR19980017979U (ko) | 배터리 착탈장치 | |
KR0134564Y1 (ko) |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 연결구조 | |
KR19980061535U (ko) | 자동차 배터리의 터미널 고정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