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284A -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284A
KR19990059284A KR1019970079483A KR19970079483A KR19990059284A KR 19990059284 A KR19990059284 A KR 19990059284A KR 1019970079483 A KR1019970079483 A KR 1019970079483A KR 19970079483 A KR19970079483 A KR 19970079483A KR 19990059284 A KR19990059284 A KR 19990059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data
digital trunk
dsp
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7007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9284A/ko
Priority to CN98126705A priority patent/CN1118172C/zh
Publication of KR1999005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트렁크(Digital Trunk) 접속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부에서 해당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 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톤(Tone)의 검사 및 에뮬레이션(Emulation)을 직접 수행하도록 한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방식은 트렁크 라인의 접속 시에 해당 접속 라인에 대해서만 가청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해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부에서 T1 또는 E1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 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톤을 DSP에서 분석하고 해당 분석한 PCM 데이타를 DRAM에 저장하고 어드레스와 데이타 버퍼를 통해 CPU에 인가하고 해당 CPU에서 테스트용 톤 데이타를 SRAM을 거쳐 톤 송신 로직에 의해 상대편 GSTN으로 전송하므로써, 해당 접속된 디지탈 트렁크 라인의 전기적인 특성인 잡음, 이득, 주파수 왜곡, 주파수 편차 등으로 인한 에러의 발생 시에 원인 규명과 이기종 간의 접속 시에 타이밍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사항에 있어 프로토콜의 미묘한 차이로 인한 에러의 발생에 대한 원인 규명 및 에뮬레이션을 통한 해결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
본 발명은 디지탈 트렁크(Digital Trunk) 접속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부에서 해당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 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톤(Tone)의 검사 및 에뮬레이션(Emulation)을 직접 수행하도록 한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디지탈 트렁크(예로, T1, E1)망의 접속 시에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측정 장비인 모니터링(Monitoring) 장비(11)가 제1 및 제2시스템(12-1, 12-2)과 T1, E1의 디지탈 트렁크 라인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온라인(On-line) 상에서 T1, E1 라인 특성 모니터, R2-MFC 신호 형식의 모니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톤 모니터, 이득(Gain) 및 주파수 측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해당 모니터의 기능에 따라 별도의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한편,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T1, E1망 접속 회로에 설치하여 운용되는 방식으로, 스위칭 칩(Switching Chip ; 13)과,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Framer ; 14-1 ~ 14-N)와,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Line Driver ; 15-1 ~ 15-N)와, DA 변환기(16)와, 스피커(1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해당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14-1 ~ 14-N)를 통해 해당 스위칭 칩(13)에 입력되거나 해당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14-1 ~ 14-N)를 통해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15-1 ~ 15-N)로 출력되는 32 채널의 수신 하이웨이(RxHW)와 송신 하이웨이(TxHW)로 각 구성 요소를 연결시켜 준다.
해당 스위칭 칩(13)은 해당 다수 개의 수신 하이웨이(RxHW)와 송신 하이웨이(TxHW) 중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송신 채널(TxCH)를 통해 해당 DA 변환기(16)에 인가시켜 주며, 해당 DA 변환기(16)는 해당 스위칭 칩(13)으로부터 인가되는 PCM(Pulse Code Modulaton)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해당 스피커(17)에 인가시키며, 해당 스피커(17)는 해당 DA 변환기(16)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 파형을 외부로 송출시켜 줌으로써, T1, E1 디지탈 트렁크 상에서 전송되는 음성 및 각종 톤의 가청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2의 구성에서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부의 음성, DTMF 톤, FAX 톤, R2-MFC 신호 및 각종 톤의 가청 방식에 대한 동작은 GSTN(General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서 24 채널의 T1 디지탈 트렁크나 32 채널의 E1 디지탈 트렁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해당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15-1 ~ 15-N)를 거쳐 해당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14-1 ~ 14-N)에 인가되어진다.
해당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14-1 ~ 14-N)는 해당 입력되는 신호를 해당 GSTN에서의 입력 32 채널의 다수 개의 수신 하이웨이(RxHW1 ~ RxHWN)에 TTL(Transister Transister Logic)이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레벨의 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스위칭 칩(13)에 인가하며, 해당 스위칭 칩(13)에 입력된 수신 하이웨이(RxHW)의 신호는 시스템 내부의 하이웨이(HW)로 연결되어진다.
또한, 시스템에서 GSTN으로의 출력은 시스템 내부의 하이웨이(HW)가 해당 스위칭 칩(13)으로 연결되어지며, 해당 스위칭 칩(13)은 입력된 시스템 내부의 하이웨이(HW)를 다수 개의 송신 하이웨이(TxHW1 ~ TxHWN)을 통해 해당 다수 개의 프레이머(14-1 ~ 14-N)으로 전송된다.
이에, 해당 다수 개의 프레이머(14-1 ~ 14-N)는 해당 스위칭 칩(13)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T1 또는 E1의 프레임 구조로 생성시켜 해당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15-1 ~ 15-N)를 거쳐 GSTN으로 전송되어진다.
이 때, 해당 스위칭 칩(13)은 입력되는 다수 개의 수신 하이웨이(RxHW)와 송신 하이웨이(TxHW) 중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송신 채널(TxCH)을 통해 해당 DA 변환기(16)에 인가시켜 주는데, 즉 해당 제1수신 하이웨이(RxHW1)와 제1송신 하이웨이(TxHW1)의 32 개 채널 중 어느 채널이나 선택하여 해당 DA 변환기(16)에 인가시켜 준다.
그러면, 해당 DA 변환기(16)는 해당 스위칭 칩(13)으로부터 인가되는 송신 채널(TxCH)을 아날로그 파형으로 변환시킨 후에 해당 스피커(17)를 통해 외부에서 가청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장비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 T1이나 E1 트렁크 상에 어떤 톤이나 음성이 송출되는지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을 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런데, 해당 GSTN과 접속되는 부가 서비스 장비, 예를 들어 VMS(Voice Mail System), ARS(Auto Response System), FMS(Fax Mail System), 음성 인식 시스템 등등은 DTMF 톤, FAX 톤, R2-MFC 톤 등의 인식 및 전송이 매우 중요하나, 망 접속 시에 접속 라인이나 해당 GSTN의 교환기와의 프로토콜(Protocol)의 차이로 인해 접속에 어려움이 많은 점이 있다.
즉, 기존의 방식은 접속 시에 해당 접속 라인에 대해서만 가청이 가능함으로 해당 접속 라인의 전기적인 특성인 잡음(Noise), 이득(Gain), 주파수 왜곡, 주파수 편차 등등으로 인한 에러의 발생 시에 원인 규명과 이기종 간의 접속 시에 타이밍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사항에 있어 프로토콜의 미묘한 차이로 인한 에러의 발생에 대한 원인 규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부에서 T1 또는 E1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 시에 발생하는 R2-MFC, DTMF, FAX 음 등 다양한 톤을 검사하고 에뮬레이션하므로써, 해당 접속된 디지탈 트렁크 라인의 전기적인 특성인 잡음, 이득, 주파수 왜곡, 주파수 편차 등으로 인한 에러의 발생 시에 원인 규명과 이기종 간의 접속 시에 타이밍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사항에 있어 프로토콜의 미묘한 차이로 인한 에러의 발생에 대한 원인 규명 및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종래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스위칭 칩 22 : 프레이머
23 : 라인 드라이버 24 : DA 변환기
25 : 스피커 31 : DSP
32 : ROM 33 : DRAM
34 : 어드레스 버퍼 35 : 데이타 버퍼
36 : CPU 37 : SRAM
38 : 톤 송신 로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위칭 칩과,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와,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와, DA 변환기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칩으로부터 하나의 수신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시스템과 GSTN 간의 다양한 송수신 톤을 분석하는 DSP와; 상기 DSP의 DSP 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과; 상기 DSP에서 분석한 PCM 데이타의 재분석위한 일정 분량을 저장하는 DRAM과; 상기 DSP에서 분석한 어드레스를 스위칭하는 어드레스 버퍼와; 상기 DSP에서 분석한 PCM 데이타를 스위칭하는 데이타 버퍼와; 상기 어드레스 버퍼와 데이타 버퍼를 통해 인가되는 PCM 데이타로부터 상기 시스템과 GSTN 간의 다양한 송수신 톤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에러 유무를 분석하며, 상기 GSTN을 테스트위한 톤 데이타를 다운로딩시키는 CPU와;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다운로딩되는 톤 데이타를 저장하는 SRAM와; 상기 SRAM에 저장되어 있는 톤 데이타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톤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시켜 하나의 송신 채널을 통해 상기 스위칭 칩에 전송시키는 톤 송신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T1 또는 E1 디지탈 트렁크를 통한 이기종 간의 망 접속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원인 규명하고 망 접속부에서 해당 문제점을 에뮬레이션하여 발생 원인에 해당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칩(21)과,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22-1 ~ 22-N)와,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23-1 ~ 23-N)와, DA 변환기(24)와, 스피커(25)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 31)와, ROM(32)과, DRAM(33)과, 어드레스 버퍼(34)와, 데이타 버퍼(35)와, CPU(36)와, SRAM(37)과, 톤 송신 로직(Tone Sender Logic ; 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22-1 ~ 22-N)와,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23-1 ~ 23-N)와, DA 변환기(24)와, 스피커(25)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스위칭 칩(21)은 입력되는 다수 개의 수신 하이웨이(RxHW1 ~ RxHWN)와 송신 하이웨이(TxHW1 ~ TxHWN) 중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수신 채널(RxCH)을 통해 상기 DSP(31) 또는 DA 변환기(24)에 인가하며, 상기 톤 송신 로직(38)으로부터 입력되는 하나의 채널을 상기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22-1 ~ 22-N)와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23-1 ~ 23-N)를 거쳐 GSTN의 교환기로 전송한다.
상기 DSP(31)는 하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DTMF 톤, FAX 톤, R2-MFC 톤 등의 다양한 톤을 분석하여 해당 분석 내용을 상기 DRAM(33)에 저장시키고 상기 어드레스 버퍼(34)와 데이타 버퍼(35)를 통해 상기 CPU(36)에 알려 주며, 하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1초당 8(Kbyte)의 PCM 데이타 일정 분량을 상기 DRAM(33)에 저장시키다.
상기 ROM(32)은 상기 DSP(31)의 DSP 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DRAM(33)은 상기 DSP(31)로부터 인가되는 PCM 데이타를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에 상기 CPU(36) 측으로 출력시켜 준다.
상기 어드레스 버퍼(34)는 상기 DSP(31)로부터 인가되는 분석된 내용의 어드레스를 상기 CPU(36)에 스위칭해 준다.
상기 데이타 버퍼(35)는 상기 DSP(31)로부터 인가되는 분석된 내용을 상기 CPU(36)에 스위칭해 준다.
상기 CPU(36)는 상기 어드레스 버퍼(34)와 데이타 버퍼(35)를 통해 분석한 내용과 어드레스를 인가받아 상기 GSTN에서 입력되는 각종 톤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에러로 입력되는 톤을 분석하며, 상기 GSTN의 상대편 단말기 또는 교환기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전송할 톤 데이타를 상기 SRAM(37)에 다운로딩(Downloading)시킨다.
상기 SRAM(37)은 상기 CPU(36)의 제어에 따라 인가되는 하나의 송신 채널(TxCH)을 통해 전송될 DTMF 톤, FAX 톤, R2-MFC 톤 등의 다양한 톤을 저장해 둔다.
상기 톤 송신 로직(38)은 상기 SRAM(37)에 저장되어 있는 톤 데이타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톤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시켜 상기 송신 채널(TxCH)를 통해 상기 스위칭 칩(21)에 전송시켜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의 동작은 크게 세 가지로, 즉 T1, E1 트렁크 입력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과, T1, E1 트렁크로의 출력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과, 각 톤에 대한 에뮬레이션 동작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상기 T1, E1 트렁크 입력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살펴보면, GSTN에서 24 채널의 T1 디지탈 트렁크 라인(TL)나 32 채널의 E1 디지탈 트렁크 라인(TL)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23-1 ~ 23-N)를 거쳐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22-1 ~ 22-N)에 인가되어진다.
이에, 상기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22-1 ~ 22-N)는 상기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23-1 ~ 23-N)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TTL이나 CMOS 레벨의 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시킨 신호를 다수 개의 수신 하이웨이(RxHW1 ~ RxHWN)를 통해 스위칭 칩(21)에 인가하면, 해당 스위칭 칩(21)은 해당 다수 개의 수신 하이웨이(RxHW1 ~ RxHWN) 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수신 채널(RxCH)을 DSP(31)로 입력시켜 준다.
이에 따라, 상기 DSP(31)는 ROM(32)에 저장되어 있는 DSP 관련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스위칭 칩(21)로부터 입력되는 하나의 수신 채널(RxCH)에 실려 있는 DTMF 톤, FAX 톤, R2-MFC 톤 등의 다양한 톤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한 톤의 종류 및 해당 톤의 전기적인 특성인 잡음, 이득, 주파수 왜곡, 주파수 편차 등을 분석한 내용을 어드레스 버퍼(34)와 데이타 버퍼(35)에 인가하며, 해당 어드레스 버퍼(34)는 상기 DSP(31)로부터 인가되는 분석된 내용의 어드레스를 CPU(36)에 스위칭하고 해당 데이타 버퍼(35)는 상기 DSP(31)로부터 인가되는 분석된 내용을 해당 CPU(36)에 스위칭해 준다.
그러면, 상기 CPU(36)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버퍼(34)와 데이타 버퍼(35)를 통해 분석한 내용과 어드레스를 인가받아 상기 GSTN에서 입력되는 각종 톤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에러로 입력되는 톤을 쉽게 분석한다.
두 번째로, T1, E1 트렁크로의 출력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살펴보면, 해당 시스템에서 상기 GSTN으로 전송하는 채널에 대한 모니터링으로써, 해당 시스템 내부의 하이웨이(HW)가 상기 스위칭 칩(21)으로 연결되어 해당 시스템 내부의 하이웨이(HW)를 다수 개의 송신 하이웨이(TxHW1 ~ TxHWN)을 통해 상기 다수 개의 프레이머(22-1 ~ 22-N)으로 전송되며, 상기 다수 개의 프레이머(22-1 ~ 22-N)는 상기 스위칭 칩(21)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T1 또는 E1의 프레임 구조로 생성시켜 상기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23-1 ~ 23-N)를 거쳐 상기 GSTN으로 전송되어진다.
그런데, 상기 스위칭 칩(21)은 상기 GSTN으로 전송되는 다수 개의 송신 하이웨이(TxHW1 ~ TxHWN) 중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하나의 채널을 상기 수신 채널(RxCH)을 통해 상기 DSP(31)로 입력시켜 준다.
이에, 상기 DSP(31)는 상기 스위칭 칩(21)로부터 상기 수신 채널(RxCH)를 통해 실려 오는 DTMF 톤, FAX 톤, R2-MFC 톤 등의 다양한 톤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한 톤의 종류 및 해당 톤의 전기적인 특성인 잡음, 이득, 주파수 왜곡, 주파수 편차 등을 분석한 내용을 상기 어드레스 버퍼(34)와 데이타 버퍼(35)에 인가하여 상술한 바와동일한 동작으로 상기 CPU(36)에 스위칭에 스위칭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CPU(36)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버퍼(34)와 데이타 버퍼(35)를 통해 분석한 내용과 어드레스를 인가받아 상기 GSTN으로 각종 톤을 전송할 경우에 시스템 자체 내에서 에러 발생 여부와 발생 시에 원인 분석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SP(31)는 상기 스위칭 칩(21)로부터 상기 수신 채널(RxCH)을 통해 인가되는 PCM 데이타를 DRAM(33)에 저장시키며, 필요 시에 해당 DRAM(33)에 저장된 PCM 데이타를 판독하여 다시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채널(RxCH)에 실리는 DTMF 톤, FAX 톤, R2-MFC 톤 등의 다양한 톤은 1초당 8(Kbyte) 용량의 PCM 데이타로 인가되는데, 해당 인가되는 PCM 데이타를 약 3분 동안, 즉 8(Kbyte)*3(분)*60(초)인 1,44(Mbyte)의 용량으로 상기 DRAM(33)에 녹음시키며, 해당 녹음된 데이타를 상기 CPU(36)에서 다시 판독하여 재분석이 가능하다.
세 번째로, 각 톤에 대한 에뮬레이션 동작을 살펴보면, 해당 톤의 에뮬레이션 기능은 해당 시스템에서 전송하는 DTMF 톤, FAX 톤, R2-MFC 톤 등의 다양한 톤을 상기 GSTN에 속해 있는 상대편 교환기 또는 단말기에서 인식하지 못 하는 경우에 다양한 여러 종류의 톤을 전송함으로써 상대방의 성능 및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상기 CPU(36)에서 테스트하기 위하여 전송할 톤 데이타를 SRAM(37)에 다운로딩(Downloading)하면, 해당 SRAM(37)은 상기 CPU(36)로부터 다운로딩되는 톤 데이타를 저장한다.
이에, 톤 송신 로직(38)에서는 상기 SRAM(37)에 저장되어 있는 톤 데이타를 하드웨어적으로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톤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시켜 송신 채널(TxCH)를 통해 상기 스위칭 칩(21)에 전송시켜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 칩(13)은 상기 톤 송신 로직(38)으로부터 상기 송신 채널(TxCH)을 통해 톤 데이타를 인가받아 상기 다수 개의 송신 하이웨이(TxHW) 중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며, 해당 선택한 하나의 송신 하이웨이(TxHW)를 통해 해당 인가가받은 톤 데이타를 해당 선택한 하나의 송신 하이웨이(TxHW)에 접속된 T1, E1 프레이머(22-1 ~ 22-N)와 라인 드라이버(23-1 ~ 23-N)를 거쳐 상기 GSTN의 상대측 교환기 또는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해당 시스템에서 주파수가 900(Hz)이고 이득이 -20(db)의 톤을 전송하였으나 상대편 교환기 또는 단말기가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였으면, 즉 해당 상대편 교환기 또는 단말기가 예로, 주파수가 920(Hz)이고 이득이 -18(db)인 톤으로 인식하였을 경우, 해당 주파수와 이득이 변화되어 상기 SRAM(37)에 저장하여 전송하는 것을 상대측 교환기 또는 단말기에서 인식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해 줌으로써 상대측의 인식 레인지(Range)를 찾아낼 수가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DTMF 톤, FAX 톤, R2-MFC 톤 등의 다양한 톤을 예뮬레이션할 수 있고, 또한 DA 변환기(24)에서는 상기 스위칭 칩(21)으로부터 상기 수신 채널(RxCH)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파형으로 변환시킨 후에 스피커(25)를 통해 외부에서 가청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렇게 본 발명을 해당 시스템의 T1 또는 E1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부에 설치함으로 다른 기종의 교환기나 해당 시스템에 접속 시 DTMF 톤, FAX 톤의 각종 톤과 톤을 이용한 R2-MFC 신호 방식의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톤과 관련된 시스템 연동 상의 다양한 문제점을 쉽게 발견하고 원인 규명 및 에뮬레이션을 통한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부에서 T1 또는 E1 디지탈 트렁크망 접속 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톤을 DSP에서 분석하고 해당 분석한 PCM 데이타를 DRAM에 저장하고 어드레스와 데이타 버퍼를 통해 CPU에 인가하고 해당 CPU에서 테스트용 톤 데이타를 SRAM을 거쳐 톤 송신 로직에 의해 상대편 GSTN으로 전송하므로써, 해당 접속된 디지탈 트렁크 라인의 전기적인 특성인 잡음, 이득, 주파수 왜곡, 주파수 편차 등으로 인한 에러의 발생 시에 원인 규명과 이기종 간의 접속 시에 타이밍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사항에 있어 프로토콜의 미묘한 차이로 인한 에러의 발생에 대한 원인 규명 및 에뮬레이션을 통한 해결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스위칭 칩(21)과, 다수 개의 T1, E1 프레이머(22-1 ~ 22-N)와, 다수 개의 라인 드라이버(23-1 ~ 23-N)와, DA 변환기(24)와, 스피커(25)를 구비하는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칩(21)으로부터 하나의 수신 채널(RxCH)을 통해 입력되는 시스템과 GSTN 간의 다양한 송수신 톤을 분석하는 DSP(31)와;
    상기 DSP(31)의 DSP 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32)과;
    상기 DSP(31)에서 분석한 PCM 데이타의 재분석위한 일정 분량을 저장하는 DRAM(33)과;
    상기 DSP(31)에서 분석한 어드레스를 스위칭하는 어드레스 버퍼(34)와;
    상기 DSP(31)에서 분석한 PCM 데이타를 스위칭하는 데이타 버퍼(35)와;
    상기 어드레스 버퍼(34)와 데이타 버퍼(35)를 통해 인가되는 PCM 데이타로부터 상기 시스템과 GSTN 간의 다양한 송수신 톤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에러 유무를 분석하며, 상기 GSTN을 테스트위한 톤 데이타를 다운로딩시키는 CPU(36)와;
    상기 CPU(36)의 제어에 따라 다운로딩되는 톤 데이타를 저장하는 SRAM(37)와;
    상기 SRAM(37)에 저장되어 있는 톤 데이타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톤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시켜 하나의 송신 채널(TxCH)을 통해 상기 스위칭 칩(21)에 전송시키는 톤 송신 로직(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 시스템.
KR1019970079483A 1997-12-30 1997-12-30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시스템 KR19990059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483A KR19990059284A (ko) 1997-12-30 1997-12-30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시스템
CN98126705A CN1118172C (zh) 1997-12-30 1998-12-30 数字中继线接口电路的音调监测和仿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483A KR19990059284A (ko) 1997-12-30 1997-12-30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284A true KR19990059284A (ko) 1999-07-26

Family

ID=1953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483A KR19990059284A (ko) 1997-12-30 1997-12-30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90059284A (ko)
CN (1) CN111817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45178A1 (en) * 1997-10-30 1999-05-14 Novozymes A/S .alpha.-amylase mut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172C (zh) 2003-08-13
CN1227450A (zh)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5240B1 (en) System and methods for measuring quality of communications over packet networks
US4965795A (en) D channel monitor
KR100290675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디지털라인신호모니터링방법
CA1238734A (en) Speech response interface circuit
US67511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ound trip delay of voice packets in a telephone system
US6594344B2 (en) Auto latency test tool
KR19990059284A (ko) 디지탈 트렁크 접속부에서 톤 감시 및 에뮬레이션시스템
JPH10276266A (ja) 交換機テスト装置
US20050071109A1 (en) Media platform testing
KR100227612B1 (ko)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음성채널 검사 장치
JP2001326726A (ja) 音声品質評価システム
KR100247034B1 (ko) 교환기에서 반향제거 테스트 장치
JPH09130483A (ja) 加入者線試験方式
KR0119149Y1 (ko) 사설 교환기의 다기능톤 수신장치
KR100416804B1 (ko)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탠덤기능활용을 위한 디티엠에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4814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디엘아이 녹취 보드의 음성 및 데이터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24478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절단 호 검출 장치 및 방법
JPS5853838B2 (ja) 時分割通話路装置
KR920010409B1 (ko) μ-법칙/A-법칙 공용형 R2 MFC/DTME/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
KR0186031B1 (ko) 티-원 디지탈 트렁크 인터페이스장치 및 채널 제어방법
JPS5875361A (ja) 翻訳装置および翻訳装置を備えた通信装置
KR200231053Y1 (ko) 맥-큐를 이용한 아이에스피의 품질 모니터링장치
JPH01317069A (ja) 音声圧縮伝送におけるフォーマット変換装置
KR20030047295A (ko) 퀵 퓨리에 변환을 이용한 티디엑스 계열신호서비스시스템의 신호상태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KR940013051A (ko) 셀룰라 베이스 시스템의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