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409B1 - μ-법칙/A-법칙 공용형 R2 MFC/DTME/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μ-법칙/A-법칙 공용형 R2 MFC/DTME/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409B1
KR920010409B1 KR1019900009048A KR900009048A KR920010409B1 KR 920010409 B1 KR920010409 B1 KR 920010409B1 KR 1019900009048 A KR1019900009048 A KR 1019900009048A KR 900009048 A KR900009048 A KR 900009048A KR 920010409 B1 KR920010409 B1 KR 920010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
signal
cct
mfc
dtm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904A (ko
Inventor
김덕환
이형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0000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409B1/ko
Publication of KR92000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μ-법칙/A-법칙 공용형 R2 MFC/DTME/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 기능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부, 송신부, 수신부의 상세 블럭도,
제3도는 PCM 신호 데이터가 내장된 128K 바이트 EP롬의 메모리 맷 구성도,
제4도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디지를 신호처리기간 통신용 I/O 메모리 내용 구성도,
제5도는 I/O 메모리의 송신영역중 μ-법칙/A-법칙 코딩 규칙 선택정보 내용 구성도,
제6도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내의 기능수행을 나타낸 펌웨어의 흐름도,
제7도는 디지틀 신호처리기 내의 기능 수행을 나타낸 펌웨어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TD-버스 인터페이스부 2 : 제어부
3 : 송신부 4 : 수신부
5 :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 21 : 마이크로 콘트롤러
22 : 디지틀 신호처리기 리셋회로 23 : 상태표시 레지스터
31 : S램 32 : EP롬
33 : 선택 단자 41 : 제1디지틀 신호처리기
42 : 제2디지틀 신호처리기 43 : 제1 I/O 메모리
44 : 제2 I/O 메모리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 호(call) 접속과 진행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μ-법칙(law) 또는 A-법칙(law) 코딩 규칙을 공용가능하도록 구성된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T1 및 CEPT 중계선을 모두 수용하는 전자 교환기에서는 음성 및 신호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μ-법칙와 A-법칙 코딩 규칙이 각각 적용되며, 이에 따라 전자 교환기에서 호 접속 및 진행에 사용되는 신호들로서 개별선 신호방식(channel associated signaling)에서 교환국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R2 MFC(R2 Multi-Frequency Compelled)신호, 푸쉬버튼 가입자로부터 교환기로 보내오는 DTME(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 교환기에서 전화기로 호의 접속 및 진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각종 가청 톤(audible Tone)그리고 공통선 신호방식(common channel signaling)이 사용되는 교환국간의 중계선 통화로에 대해서 정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속성 시험음(이하, CCT라 한다)에 대해서도 해당코딩 규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종전에는 이들 신호 송수신 서비스는 중계선 종류에 따라 별개의 하드웨어가 사용되거나 혹은 하나의 하드웨어를 이용하더라고 서로 다른 롬(ROM)의 선택에 의해 제공되므로 경제성과 운용성 및 유지보수성면에서 큰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중계선 종류에 따른 하드웨어 변경없이 단지 펌웨어(firmwore)를 부가하여 해당되는 코딩 규칙을 적용한 신호 송수신 서비스를 할 수 있는 μ-법칙/A-법칙 공용형 R2-MFC/DTMF/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이중화된 제어 장치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TD-버스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TD-버스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이중화된 제어장치로부터의 기능 정보를 받아 해당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외부의 타임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유무를 확인하여 외부의 이중화된 제어장치로 통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된 μ-법칙(law) 또는 A-법칙(law) 코딩 규칙에 의한 신호를 발생하고 외부의 타임스위치로 송출하는 송신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타임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컴팬딩(companding)된 PCM 신호를 선형(linear) 변환하여 검출 및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제어수단, 송신수단 및 수신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타임스위치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서브하이드웨이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 기능블럭도로서, (1)은 TD-버스 인터페이스, (2)는 제어부, (3)은 송신부, (4)는 수신부, (5)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를 각각 나타낸다.
TD-버스 인터페이스부(1)는 TD-버스로 연결된 외부의 이중화된 제어 장치와 제어부(2)를 인터페이스 하며, 제어부(2)는 외부의 이중화된 제어장치로부터 TD-버스 인터페이스부(1)를 통하여 전달된 기능 모드 정보를 읽어서 송신될 신호가 있으며 해당되는 신호를 송신부(3)에서 보내도록 제어하여, 또한 외부의 타임스위치로부터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5)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수신부(4)에서 검출한후에 신호유무를 확인하여 외부의 이중화된 제어장치에게로 통보한다. 송신부(3)내에도 각 채널별로 지정된 PCM 신호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롬 룩업(Look-up) 테이블 방식을 사용하여 PCM 신호데이터를 생성하였는데, 이때 롬은 EP롬을 사용하여 각 신호 서비스 기능에 해당되는 표본화된 신호데이터를 내장하였다. 그리고 수신부(4)는 외부의 타임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PCM 화된 신호 정보의 직렬 데이타를 검출하며 서브하이 웨이 인터페이스부(5)는 외부의 타임스위치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부(2), 송신부(3), 수신부(4)의 상세 블럭도로서 도면에서(21)은 마이크로 콘트롤러, (22)는 디지틀 신호처리기 리셋회로, (23)은 상대표시 레지스터, (31)는 S램, (32)는 EP롬, (33)은 선택단자, (41)은 제1디지틀 신호처리기, (42)는 제2디지틀신호처리기, (43)은 제1 I/O 메모리, (44)는 제2 I/O 메모리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신호 서비스 기능을 신호의 발생 및 송출기능과 신호의 수신 및 검출 기능이 있는데, 신호의 발생시 컴팬핑(companding) PCM 신호데이타를 생성하여 송출하며, 또한 신호의 수신시 컴팬딩된 PCM 신호 데이타를 선형(linear) 데이타로 변환하여 검출한다. 또한 PCM 신호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롬 룩업(look-up) 테이블 방식을 사용하고, 신호의 검출을 위해 디지틀 신호처리기에 디지틀 신호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μ-법칙 및 A-법칙 코딩 규칙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규칙에 따라 컴팬딩 된 PCM 신호 데이터를 EP롬에 내장하고, μ-법칙 혹은 A-법칙 컴팬딩 데이터로부터 선형 데이터로의 변환 테이블을 디지틀 신호처리기에 내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 부의 동작은 살펴보면, 본 발명의 초기화 단계에서 선택단자(33)를 셋팅시켜 μ-법칙 또는 A-법칙으로의 신호 코딩 규칙을 선택한다. 이는 선택단자(33)의 전체에 따라 EP(32)의 어드레스 16(AB16) 단자를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상태로 만들어 주므로써, 즉, EP롬(32)내의 신호 데이타 영역을 선택하게 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선택단자(33)의 상태는 상태표시 레지스터(23)에 기억되고 마이크로 콘트롤러(21)가 상태표시 레지스터(23)를 검사하여 상태정보를 I/O 메모리(43,44)를 통하여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에 통보한다. 이와같은 초기화 작업이 완료되면, 외부제어장치로부터 신호발생요구를 받는 마이크로 콘트롤러(21)가 S램(31)에 송출할 데이터의 채널 정보와 신호 정보를 쓰게되고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받은 채널 정보와 신호 정보에 따라 각 채널 별로 지정된 PCM 신호 데이타를 롬 룩업(Look-up) 테이블 방식을 사용하여 해당신호를 발생하여 외부의 타임스위치로 송출함으로 본 발명의 신호 발생 및 송출기능이 수행되어 진다. 그리고 신호수신 및 검출기능은, 외부의 타임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R2MFC, DTME 및 CCT 신호의 PCM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 후 펌웨어(firmware)로 구현된 신호검출 알고리즘이 내장된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에서 신호를 검출하고,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에서 검출된 신호 정보를 마이크로 콘트롤러(21)를 통해서 외부의 제어장치로 통보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디지틀 신호처리기를 사용하였는데 하나의 디지틀 신호처리기는 R2MFC, DTMF 및 CCT 신호 각각에 대해 8채널 씩 검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는 16채널의 신호 서비스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 콘트롤러로(21)부터 정보를 받아 μ-법칙 혹은 A-법칙 코딩 규칙의 각각에 해당하는 선형 변환 데이블을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내에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 가능토록 하며, 여기서 마이크로 콘트롤러(21)와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간 각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단방향 4×4 레지스터인 TTL 로직으로 I/O 메모리 회로(43,44)를 구성하였다.
한편, 디지트 신호처리기 리셋트, 회로(22)는 초기화 단계에서 디지틀 신호 처리기(41,42)의 제기능들을 초기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를 리셋시킬때와 I/O 메모리(43,44)를 액세스할 경우, 그리고 상태표시 레지스터(23)의 내용을 읽을땐, 그리고 마이크로 콘트롤러(21)가 S램(31)에 송출한 신호정보를 쓸때 해당하는 인에이블(enable) 신호로서 WP5,WP0, RP0,RP2,WP1, RP1, RP3, RP5 및 WP2등을 각각 사용한다.
제3도는 PCM 신호 데이터를 내장한 128K 바이트 EP롬(32)에 대한 매모리 맷 구성도로서, PCM 신호 데이터 내장 EP롬은 64K 바이트와 128K 바이트 EP롬을 사용할 수 있다. EP롬(32)에는 각 신호 서비스 기능에 해당되는 포본화된 신호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는데, 128K 바이트 EP롬을 사용할 경우 μ-법칙 및 A-법칙 코딩 규칙을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이들 EP롬(32)에, 대한 용량의 선택과 함께 코딩 규칙의 선택은 본 발명을 시스팀에 실장하기 전에 선택 단자(33)에 의해 이루어진다.
128K 바이트 용량의 EP롬을 사용할 경우 μ-법칙과 A-법칙 데이터를 모두 저장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위 64K 바이트에 μ-법칙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상위 64K 바이트에는 A-법칙 데이터를 저장하며, 6K 바이트 용량의 EP롬을 사용할 경우에는 μ-법칙 데이터만을 저장한다. 제3도에 나타낸 EP롬(32)의 메모리 맷은 가청 톤인 경우는 1종의 톤이 2,048 바이트 식 총 16종을 제공할 수 있는 32K 바이트가 사용되고, 그외의 R2 MFC 전진 신호 및 후진 신호, DTMF, CCT 신호인 경우는 1종의 신호가 400 바이트 씩 구성되어 신호별로 16종을 제공할 수 있는 8K 바이트가 사용되며, 가청 톤과 R2 MFC 전진 및 후진 신호영역에 영(Null) 신호데이타를 내장하고 있다.
제4도는 I/O 메모리(43,44) 내용 구성도로서, 그의 구성은 마이크로 콘트롤러(21)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4바이트의 송신영역과 검출된 정보를 마이크로 콘트롤러(21)로 전송하기 위한 8바이트의 수신영역이 있다. 송신영역은 1채널 당 2비트 씩 8채널을 처리함에 따라 2바이트가 사용되고, 송신영역의 1바이트 μ-법칙 혹은 A-법칙정보 전달에 사용되며, 나머지 1바이트는 여분이다. 수신영역은 1채널당 1바이트 씩 8채널을 처리함에 따라 8바이트 모두 사용된다.
이와같은 I/O 메모리(43,44)는 본 발명 내의 2개의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 각각에 구성되는데, 마이크로 콘트롤러(21)가 I/O 메모리(43,44)를 액세스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인에이블 신호를 사용한다.
제1디지틀 신호처리기(41)의 송신영역을 액세스 할 때에는 WP0 신호를, 수신영역을 액세스 할 때에는 첫번째 채널에서 네번째 채널까지는 RP0 신호를 그리고 다섯번째 채널에서 여덟번째 채널까지는 RP1 신호를 각각 사용하며, 제2디지틀 신호처리기(42)에 대해서는 디지틀 신호처리기(41)와 유사한 방법으로 WP1,RP2 및 RP3 신호를 각각 사용한다. 그리고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에서 I/O 메모리(43,44)를 액세스 할 경우에는 제1디지틀 신호처리기(41)와 제2디지틀 신호처리기(42)가 동일한 어드레스를 사용하는데, 송신영역은 8000H∼8003H 번지를 그리고 수신영역은 8000H∼8007H 번지를 각각 사용한다.
제5도는 마이크로 콘트롤러(21)로부터 I/O 메모리(43,44) 송신영역의 8002H 번지를 통해서 전달되는 μ-법칙 및 A-법칙 코딩 규칙 선택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서, I/O 메모리(43,44) 송신 영역인 8002H 번지의 내용이 “OOH” 값이면 μ-법칙 코딩 규칙에 대한 정보이고, “OFFH” 값이면 A-법칙 코딩 규칙에 대한 정보이다.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는 I/O 메모리 송신 영역인 8002H 번지의 내용에 따라 선택된 코딩 규칙에 해당되는 선형 테이블을 적용하여 신호 검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6도는 마이크로 콘트롤러(21)가 서비스해야할 기능들의 수행단계와 단계별 운용 방법의 흐름도로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된다. 첫번째로 마이크로 콘트롤러(21)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먼저 마이크로 콘트롤러(21)가 내의 각종 기능을 초기화 한다(100). 두번째로 마이크로 콘트롤러(21)는 RP5 신호를 이용하여 산택단자(33)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 표시 레지스터(23)의 내용을 읽은 후(200), 세번째로 상태 표시 레지스터(23)의 내용중 선택단자(33)의 상태를 기록한 비트 4(B4)를 검사한다. 이때, B4=0이면, μ-법칙 코딩 규칙이 적용되는 것으로 WP0와 WP1 신호를 이용하여 제5도의 메시지 형태로 “OOH” 데이터를 I/O 메모리(43,44) 송신 영역의 8002H 번지에 쓰고, B4=1이면, A-법칙 코딩규칙이 적용되는 것으로 WP0와 WP1 신호를 이용하여 제5도의 메시지형태로 “OFFH” 데이터를 I/O 메모리(43,44) 송신 영역의 8002H 번지에 쓴다(300). 그리고 네번째 WP2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틀 신호처리기를 리셋트시켜서 재동작시킨 후에(400), 끝으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이후의 USTA 내의 각종 제어 서비스 기능을 계속 수행한다(500).
제7도는 마이크로 콘트롤러(21)로부터 I/O 메모리(43,44) 송신영역의 8002H 번지를 통해서 전달받은 μ-법칙 및 A-법칙 코딩 규칙에 관한 정보에 따라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가 서비스해야 할 기능들의 수행 단계와 단계별 운용 방법의 흐름도로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된다. 첫번째로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먼저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 내의 각종 기능을 초기화한 후(600) 두번째 I/O 메모리(43,44) 송신 영역인 8002H 번지의 내용을 읽고(700), 세번째 읽혀진 I/O 메모리(43,44)의 내용을 검사한다. 이때, I/O 메모리(43,44) 송신 영역인 8002H 번지의 내용이 “OOH” 값이면, μ-법칙 코딩 규칙이 적용되는 것으로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내에 μ-법칙 규칙에 따라 컴팬딩된 신호 데이터를 선형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해당변환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셋트(set)하고, I/O 메모리(43,44)송신 영역인 8002H 번지의 내용이 “OFFH” 값이면, A-법칙 코딩 규칙이 적용되는 것으로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내에 A-법칙 규칙에 따라 컴팬딩 된 신호 데이터를 선형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해당 변환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셋트한 후에(800), 끝으로 디지틀 신호처리기(41,42)는 이후의 신호 검출 서비스 기능을 선택된 코딩 규칙에 따라 계속 수행한다(900).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기존 장치들의 경제성과 생산성 및 유지보수성등의 큰 단점들을 해결하는 것 이외에도 운용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적용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전자 교환기의 신호송수신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 TD-버스로 연결된 외부의 이중화된 제어장치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TD-버스 인터페이스 수단(1), 상기 TD-버스 인터페이스 수단(1)에 연결되어 외부의 이중화된 제어장치로부터의 기능 정보를 받아 해당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외부의 타임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유무를 확인하여 외부의 이중화된 제어장치로 통보하는 제어수단(2), 상기 제어수단(2)에 연결되어 μ-법칙(law) 또는 A-법칙(law) 코딩규칙에 의한 신호를 발생하고 외부의 타임스위치로 송출하는 송신수단(3), 상기 제어수단(2)에 연결되어 외부의 타임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컴팬딩(companding)된 PCM 신호를 선형(linear)변환하여 검출 및 수신하는 수신수단(4), 상기 제어수단(2), 송신수단(3) 및 수신수단(4)에 연결되어 외부의 타임스위치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수단(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μ-법칙 또는 A-법칙 공용형 R2-MFC/DTMF/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는 펌웨어로 구성된 마이크로 콘트롤러(21),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21)에 연결된 디지틀 신호처리기 릿세회로(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μ-법칙/A-법칙 공용형 R2-MFC/DTMF/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3)은 송출한 데이터의 채널정보와 신호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S램(31), μ-법칙 또는 A-법칙으로의 코딩 규칙을 선택하는 선택단자(33), 및 상기 S램(31)과 선택단자(33)에 연결되어 송출한 PCM 데이타를 발생하는 EP롬(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μ-법칙/A-법칙 공용형 R2-MFC/DTMF/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4)는 수신된 R2-MFC,DTMF 및 CCT 신호 각각에 대해 16채널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제1디지틀 신호 처리기(41)와 제2디지틀 신호처리기(42), 및 상기 제1,제2디지틀 신호처리기(41,42)에 각각 연결되어 마이크로 콘트롤러(21)와의 각종 정보를 교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제1,제2 I/O 메모리(43,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μ-법칙 공용형 R2-MFC/DTMF/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3)은 컴팬딩(companding)된 PCM 신호 데이터를 생성 및 송출하기 위해 롬 룩업(Look-up) 테이블 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μ-법칙/A-법칙 공용형 R2-MFC/DTMF/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 I/O 메모리(43,44)는 TTL 논리소자들로서 회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μ-법칙/A-법칙 공용형 R2-MFC/DTMF/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디지틀 신호처리기(41,42)는 펌웨어의 제어만으로 μ-법칙 혹은 A-법칙 코딩 규칙을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컴팬딩 된 PCM 데이터로부터 선형 테인터로의 변환테이블을 내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μ-법칙/A-법칙 R2-MFC/DTMF/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 장치.
KR1019900009048A 1990-06-20 1990-06-20 μ-법칙/A-법칙 공용형 R2 MFC/DTME/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 KR920010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048A KR920010409B1 (ko) 1990-06-20 1990-06-20 μ-법칙/A-법칙 공용형 R2 MFC/DTME/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048A KR920010409B1 (ko) 1990-06-20 1990-06-20 μ-법칙/A-법칙 공용형 R2 MFC/DTME/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904A KR920001904A (ko) 1992-01-30
KR920010409B1 true KR920010409B1 (ko) 1992-11-27

Family

ID=1930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048A KR920010409B1 (ko) 1990-06-20 1990-06-20 μ-법칙/A-법칙 공용형 R2 MFC/DTME/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4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904A (ko) 199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15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data message to a selected station during a silent interval between ringing
US4694452A (en) Switching configuration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in particular a PBX system with subscriber lines, trunk groups, and interface modules
JPH0120829B2 (ko)
US5661785A (en) Flexible telecommunications line interface
KR930018891A (ko) 아날로그 전화기 및 디지탈 데이타 단말기와 종합정보통신망(isdn)선로의 접속장치
US5263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hook transmission for digital loop carrier channel units
EP0774197B1 (en) Switching in a telecommunications service node
US5063592A (en) Control of non-locally switched telecommunication services
CA1238734A (en) Speech response interface circuit
EP0203151A1 (en) RETURN LOOP IN A DATA CHANNEL UNIT.
US4535198A (en) Digital terminal keyboard dialing
KR920010409B1 (ko) μ-법칙/A-법칙 공용형 R2 MFC/DTME/CCT/TONE 겸용 신호 송수신 서비스장치
US59434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ISDN call between parties
US4751696A (en) CENTREX attendant console interface
RU21274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соединения модема к одной из множества телефонных линий
US4723274A (en)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data to an attendant console
KR100617721B1 (ko) 사설교환기의 비동기전송모드망 인터페이스 장치
US4706278A (en) Interface circuit for transmitting keycodes to a CENTREX
US4706276A (en)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data to a centrex
KR0176398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원격교환장치를 수용하는 방법
KR016116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정보 부호화 방법
US4706277A (en) Interface circuit for transmitting command codes to an attendant console
US4706279A (en) Arrangement for initializing a CENTREX console interface circuit
KR100358703B1 (ko) 국가간 게이트웨이 교환기의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
KR0143535B1 (ko) 서비스톤과 복합주파수톤을 음성메세지로 처리하기 위한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