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7530A -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7530A
KR19990057530A KR1019970077583A KR19970077583A KR19990057530A KR 19990057530 A KR19990057530 A KR 19990057530A KR 1019970077583 A KR1019970077583 A KR 1019970077583A KR 19970077583 A KR19970077583 A KR 19970077583A KR 19990057530 A KR19990057530 A KR 1999005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appro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7007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7530A/ko
Publication of KR1999005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5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4Relative 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전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정보, 즉 차속이나 각속도 그리고 브레이크 상태 등을 감지하여 전방 차량과의 안전거리나 후방차량의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전방차량 접근시 전방 차량의 번호판을 판독하는 번호판 판독수단과, 차량의 전후방에 설치되어서 전후방 차량과의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는 송수신수단과, 전방차량 접근시 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요청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고, 후방차량 접근시 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전후방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받아 전후방 차량의 차속과 각속도 그리고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을 판단하여 전후방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이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에 의한 주행중인 차량과 전후방 차량의 주행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구성된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중인 차량의 전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정보, 즉 차속이나 각속도 그리고 브레이크 상태 등을 감지하여 전방 차량과의 안전거리나 후방차량의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이 급정거하거나 혹은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경우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차선변경이나 추월 및 방향전환시 이를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운전자의 조심운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위한 가속페달과 차량의 속도를 줄이기위한 브레이크 페달 그리고 차량의 조향각을 조절하기위한 스티어링 휠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가속페달의 조작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서 주행하고자 하는 주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여 주행중인 속도를 줄이거나 주행중인 차량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만을 가지고는 많은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현시점에서 전방차량과의 안전거리가 후방차량의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게 된다. 즉, 운전자는 육안으로 전방차량이나 후방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고, 위에서 언급한 가속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 그리고 스티어링 휠 등을 조작하여 차량의 주행상태를 조절하는데, 이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차량의 전방에 전방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를 설치해서 전방차량과의 거리를 일정거리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전방차량과의 거리를 일정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은 가지나,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전방차량에 알리거나,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알지 못해서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돌발적인 주행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주행중인 차량의 전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정보, 즉 차속이나 각속도 그리고 브레이크 상태를 등을 감지하여 전방 차량과의 안전거리나 후방차량의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이 급정거하거나 혹은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경우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차선변경이나 추월 및 방향전환시 이를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운전자의 조심운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은 전방 차량 혹은 후방차량의 접근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전방차량 접근시 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요청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후방 차량접근시 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는 단계와, 전후방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받아 전후방 차량의 차속과 각속도 그리고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의 판단하는 단계와, 이러한 전후방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장치는 전방차량 접근시 전방 차량의 번호판을 판독하는 번호판 판독수단과, 차량의 전후방에 설치되어서 전후방 차량과의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는 송수신수단과, 전방차량 접근시 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요청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고, 후방차량 접근시 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전후방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받아 전후방 차량의 차속과 각속도 그리고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을 판단하여 전후방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이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에 의한 주행중인 차량과 전후방 차량의 주행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안전 운행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탈 카메라11 : 수신부
12 : 송신부13 : ECU
14 : 디스플레이부21 : 수신부
22 : 송신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안전 운행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로서, 전방차량 접근시 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요청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고, 후방차량 접근시 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전후방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받아 전후방 차량의 차속과 각속도 그리고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을 판단하여 전후방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ECU(13)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이 ECU(13)에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서 전방에 주행중인 차량의 번호판을 판독하고, 그 정보를 ECU(13)에 인가하는 디지탈 카메라(10)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서 ECU(13)에서 출력되는 주행정보를 전방차량으로 송출하게 되는 송신부(12)와, 전방차량으로부터 송출되는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1) 그리고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서 후방차량으로부터 송출되는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 ECU(13)에서 출력되는 주행정보를 후방차량으로 송출하게 되는 송신부(22),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2에 의해서 살펴본다.
먼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디지탈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어 입력되는 전방차량의 번호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받은 ECU(13)는 이를 분석하여 전방차량이 접근하는지를 확인(S21)하게 된다. 즉, 전방차량의 번호판의 크기변화 등에 의해 전방차량의 접근여부를 확인하면서 전방차량의 고유번호인 차량번호를 인지하게 된다.
그 결과 전방차량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요청신호와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신부(12)를 통해서 전방차량으로 송출(S22)(S23)하게 된다. 이때 송신부(12)를 통해서 전방차량으로 송출되는 주행정보로는 주행중인 차량의 차량코드(예를 차량번호)와 차속 그리고 각속도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전방차량으로부터 송출되는 주행정보를 수신부(11)를 통해 입력받아 전방차량의 차속과 각속도 등을 인지하게 된다(S24)(S25).
그 결과 전방차량이 감속되거나 혹은 가속되어 안전거리 이내로 접근되거나 혹은 너무 멀리 떨어지게 되면, ECU(13)는 미도시된 브레이크 페달이나 가속페달을 작동시켜 전방차량과의 이격거리를 안전거리 이상으로 조절하는 한편, 이러한 상태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4)를 구동시켜 전방차량의 주행상태와 주행중인 차량의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30)(S31).
또한, ECU(13)는 전방에는 차량이 없고 후방에 차량이 있어(S26) 수신부(21)를 통해서 후방의 차량으로부터 송출된 요청신호와 후방차량의 주행정보가 수신(S27)(S28)되게 되면, 후방차량의 정보변화를 판독하여 후방차량이 차선변경이나 추월 혹은 방향전환을 실시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29).
그 결과 후방차량이 차선변경이나 추월 혹은 방향전환을 실시하는 경우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4)로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후방차량의 차선변경이나 추월 혹은 방향전환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S30)(S31).
바람직하게는 주행중인 차량의 전후방에 다른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구동제어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주행중인 차량의 전후방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전방차량의 속도와 각속도 등을 수신받아 전방차량과의 이격거리를 안전거리 이상으로 조절하는 한편, 후방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추방차량으로부터 속도와 각속도 등의 정보를 수신받아 후방차량의 차선변경과 추월 그리고 방향전환 등을 인지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전자는 후방차량의 차선변경이나 추월 그리고 방향전환 등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상태를 운전자의 육안에만 의존하지 않고 전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으로부터 수신받아 주행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표시하거나 혹은 차량의 구동을 강제로 제어함으로써, 다른 차량의 주행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른 차량의 상태변화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전방 차량 혹은 후방차량의 접근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전방차량 접근시 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요청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후방 차량접근시 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전후방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받아 전후방 차량의 차속과 각속도 그리고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의 판단하는 단계;
    이러한 전후방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차량으로 송출하는 주행정보에는 전방차량에 대한 고유한 코드가 포함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후방 차량으로 송출하는 주행정보에는 주행중인 차량에 대한 고유한 코드가 포함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4. 전방차량 접근시 전방 차량의 번호판을 판독하는 번호판 판독수단과;
    차량의 전후방에 설치되어서 전후방 차량과의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는 송수신수단과;
    전방차량 접근시 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요청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고, 후방차량 접근시 후방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면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전후방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받아 전후방 차량의 차속과 각속도 그리고 차선변경, 추월, 방향전환 등을 판단하여 전후방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이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에 의한 주행중인 차량과 전후방 차량의 주행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운행장치.
KR1019970077583A 1997-12-30 1997-12-30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57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583A KR19990057530A (ko) 1997-12-30 1997-12-30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583A KR19990057530A (ko) 1997-12-30 1997-12-30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530A true KR19990057530A (ko) 1999-07-15

Family

ID=6617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583A KR19990057530A (ko) 1997-12-30 1997-12-30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75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913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차량간 통신 시스템
WO2012081915A1 (ko) * 2010-12-17 2012-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3177550A (zh) * 2021-05-12 2021-07-27 的卢技术有限公司 一种车牌识别方法、车牌识别装置、车牌识别系统及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913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차량간 통신 시스템
WO2012081915A1 (ko) * 2010-12-17 2012-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3177550A (zh) * 2021-05-12 2021-07-27 的卢技术有限公司 一种车牌识别方法、车牌识别装置、车牌识别系统及存储介质
CN113177550B (zh) * 2021-05-12 2024-04-09 的卢技术有限公司 一种车牌识别方法、车牌识别装置、车牌识别系统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61120B (zh) 高级驾驶员辅助系统、具有该系统的车辆及车辆控制方法
JP4161938B2 (ja) 走行制御装置
US6307484B1 (en) Intersection warning system
US7834746B2 (en) Two-wheel-vehicle detecting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KR20210083220A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1824088A (zh) 车辆控制装置
US20210291836A1 (en) Vision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JPH08282326A (ja) 自動追従走行システム
KR20120135697A (ko) 차량의 차선 이탈 경고 및 차선 유지 지원 시스템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20150051550A (ko) 성능이 개선된 운전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518372B2 (en) Vehicle driving assist apparatus
US11767057B2 (en) Collision avoidance support apparatus
JPH09270097A (ja) 路車間通信を用いた右折運転支援装置
JP7119405B2 (ja) 鞍乗型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2003025937A (ja) 車線逸脱警報装置
KR20220119229A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를 가지는 차량
JP2000113394A (ja) 車両用制御装置
JP3171916B2 (ja) 車両の安全装置
KR19990057530A (ko) 차량의 안전 운행방법 및 그 장치
CN111791894A (zh) 车辆行驶控制装置
JP2003034205A (ja) 走行支援装置
JP7072591B2 (ja) 車両用衝突防止装置および車両用衝突防止方法
KR20210082303A (ko) 경사길 전방충돌방지 보조기능 경고장치 및 방법
JP2009093431A (ja) 速度規制システム
JP3754571B2 (ja) 車両走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