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5688A - Acl 보상회로 - Google Patents

Acl 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5688A
KR19990055688A KR1019970075643A KR19970075643A KR19990055688A KR 19990055688 A KR19990055688 A KR 19990055688A KR 1019970075643 A KR1019970075643 A KR 1019970075643A KR 19970075643 A KR19970075643 A KR 19970075643A KR 19990055688 A KR19990055688 A KR 19990055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voltage
input
compensation circui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린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7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5688A/ko
Publication of KR1999005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688A/ko

Links

Landscapes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L 보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비디오 신호인 R·G·B신호가 입력되면 증폭시키는 제 1 증폭부(10)와; 상기 제 1 증폭부(10)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십 볼트로 다시 증폭시키는 제 2 증폭부(20)와; 상기 제 2 증폭부(20)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CRT(30)와; 상기 제 1 증폭부(10)의 CON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Q3)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디오 신호가 CON 단자에 입력되면 소정의 전압이 출력되고 화면의 밝기가 결정되는 액티브 소자부(40)와; 상기 액티브 소자부(40)에 공급되는 0V∼5V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의 ACL 보상회로가 비디오 입력 레벨에 따라 밝기를 제한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상하여 CRT의 캐소드 전류를 스팩내로 제한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ACL 보상회로
본 발명은 모니터(Moni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음극선 전자관 (Cathode Ray Tube : 이하 CRT라 칭함)을 채용한 모니터에, PC의 비디오 카드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레벨이 높을때도 상기 모니터의 화면 밝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CRT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콘트라스트 제한(Auto Contrast Limit : 이하 ACL라 칭함) 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ACL 보상회로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비디오 신호인 R(Red)·G(Green)·B(Blue)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 1 증폭부(1)와; 상기 제 1 증폭부(1)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수십 볼트로 다시 증폭시키는 제 2 증폭부(2)와; 상기 제 2 증폭부(2)에서 증폭된 수십 볼트의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시키며, 소정의 디스플레이용으로 이용되는 CRT(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 ACL 보상회로는, 소정의 R·G·B 비디오 신호가 PC 카드에서 모니터의 제 1 증폭부(1)에 입력되면, 상기 제 1 증폭부(1)의 CON 단자의 DC 전압을 외부에서 조정하여 비디오 출력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상기 CON DC 전압이 낮으면 출력이 낮게 되고, 상기 DC 전압이 높으면 출력전압이 높게 된다.
상기 DC 전압은 일반적으로 0V∼5V 범위로 조정되는데, 상기 제 1 증폭부(1)에서 1차적으로 증폭된 상기 비디오 신호는 제 2 증폭부(2)에 입력되어 수십 볼트로 증폭된 후, CRT(3)의 캐소드(Cathode)에 입력되어 전자빔의 방출과 더불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에 소정의 MCU 제어신호가 저항(R7)을 통해 출력되는데, 상기 0V∼5V까지 전압이 연속적으로 조정됨에 따라 인가된다. 이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5V에 가까워 짐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2)는 오프(Off)되고, 상기 제 1 증폭부(1)의 CON 단자의 전압이 따라서 올라가 상기 CRT(3)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은 밝아진다.
또한, 0V에 가까워 짐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2)는 온(On)되고, 상기 제 1 증폭부(1)의 CON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내려가 화면이 어두워 지며, 화면이 밝으면 FBT(Flay Back Transfer)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Ib가 증가되며, 저항(R3)에 인가되는 전압이 떨어져 도 1에 도시된 ⓐ포인트 전압은 내려간다.
일반적으로, 상기 ⓐ포인트 전압은 화면 밝기에 따라 2V∼7V 정도에 분포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포인트 전압에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인 Vbe 전압이 떨어진 전압이 걸린다.
이유는, 상기 Ib 전류는 화면 밝기에 따라 100㎂∼700㎂ 정도의 아주 미세한 전류가 흐르므로 저항(R4 및 R5)에 의해 떨어지는 전압은 미약하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걸리는 전압은 MCU 제어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으로 제어되어 상기 제 1 증폭부(1)의 CON 단자로 인가됨을 알수 있다.
상기 CON 단자를 사용자가 최대로 조정했을 경우 즉,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5V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전압이 4V라면 상기 트랜지스터(Q2)는 오프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ACL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증폭부(1)의 CON 단자의 입력이 상기 ⓐ포인트 전압에 의해 좌우되는 조건일 때, 비디오 입력 레벨이 700㎷(일반 입력전압)에서 800㎷, 혹은 900㎷에서도 700㎷ 입력일때와 같은 밝기가 나왔야 하는데, 상기 종래의 ACL 보상회로는 어느 정도의 밝기 제한은 되더라도 입력 레벨이 상승됨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에서 저항 R3 즉, 수동소자에 의해 떨어지는 전압으로 제어하다 보니 일률적인 밝기 제한 밖에 할 수가 없으며, CRT의 캐소드 전류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입력레벨이 상승됨에 따른 밝기 제한이 않되는 ACL 보상회로에서, 소정의 비디오 입력레벨이 높을때도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액티브(Active) 소자인 소정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상기 ACL 회로를 보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ACL 보상회로는, 소정의 비디오 신호인 R·G·B신호가 입력되면 증폭시키는 제 1 증폭부와; 상기 제 1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십 볼트로 다시 증폭시키는 제 2 증폭부와; 상기 제 2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CRT와; 상기 제 1 증폭부의 CON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Q3)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디오 신호가 CON 단자에 입력되면 소정의 전압이 출력되고 화면의 밝기가 결정되는 액티브 소자부와; 상기 액티브 소자부에 공급되는 0V∼5V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ACL 보상회로 구성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 는 종래의 비디오 신호입력에 따른 화면밝기를 나타낸 표,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L 보상회로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회 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입력에 따른 화면밝기를 나 타낸 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제 1 증폭부 2, 20 : 제 2 증폭부
3, 30 : CRT 40 : 액티브 소자부
50 : 전원제어부 D1 : 다이오드
R1∼R9 : 저항 Q1∼Q3 : 트랜지스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L 보상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L 보상회로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증폭부(10)는 소정의 비디오 신호인 R·G·B신호가 입력되면 증폭시키고, 제 2 증폭부(20)는 상기 제 1 증폭부(10)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십 볼트로 다시 증폭시키며, CRT(30)는 상기 제 2 증폭부(20)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시킨다.
또한, 액티브 소자부(40)는 상기 제 1 증폭부(10)의 CON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Q3)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디오 신호가 CON 단자에 입력되면 소정의 전압이 출력되고 화면의 밝기가 결정되며, 전원제어부(50)상기 액티브 소자부(40)에 공급되는 0V∼5V의 전압을 제어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입력에 따른 화면밝기를 나타낸 표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700㎷의 비디오 신호가 제 1 증폭부(10)에 입력되면, 상기 제 1 증폭부(10)의 CON 단자에 3.5V가 입력되며 화면 밝기는 100 ㏅/㎡가 되고, 800㎷의 비디오 신호가 제 1 증폭부(10)에 입력되면, 상기 제 1 증폭부(10)의 CON 단자에 3.1V가 입력되며 화면 밝기는 105 ㏅/㎡가 되며, 900㎷의 비디오 신호가 제 1 증폭부(10)에 입력되면, 상기 제 1 증폭부(10)의 CON 단자에 2.6V가 입력되며 화면 밝기는 105 ㏅/㎡가 되며, 1000㎷의 비디오 신호가 제 1 증폭부(10)에 입력되면, 상기 제 1 증폭부(10)의 CON 단자에 2.0V가 입력되며 화면 밝기는 105 ㏅/㎡가 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ACL 보상회로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R·G·B 비디오 신호가 PC 카드에서 모니터의 제 1 증폭부(10)에 입력되면, 상기 제 1 증폭부(10)의 CON 단자의 DC 전압을 외부에서 조정하여 비디오 출력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상기 CON DC 전압이 낮으면 출력이 낮게 되고, 상기 DC 전압이 높으면 출력전압이 높게 된다.
상기 DC 전압은 일반적으로 0V∼5V 범위로 조정되는데, 상기 제 1 증폭부(10)에서 1차적으로 증폭된 상기 비디오 신호는 제 2 증폭부(20)에 입력되어 수십 볼트로 증폭된 후, CRT(30)의 캐소드에 입력되어 전자빔의 방출과 더불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액티브 소자부(40)에서 PNP 형태의 트랜지스터(Q3)를 CON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능동부하로 작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비디오 입력이 700㎷이고 CON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3.5V일 때 ⓑ포인트 전압이 2.3V가 되도록 저항 R3와 R4의 값을 설정하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다이오드(D1)의 전압이 0.6V가 더해진 2.9V가 된다.
이때, 비디오 입력이 800㎷ 혹은 900㎷로 높아졌을 때 상기 ⓑ포인트 전압은 2.3V 이하로 떨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Q3)는 온이 되는 조건으로 가까워지면서 저항부하로써 저항값이 떨어지며, 상기 CON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을 낮추어서 화면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상기 ACL 보상회로를 적용시 화면이 어두울때는, 상기 ⓑ포인트 전압이 CON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보다 높으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되고, 전혀 동작되지 않는다.
또한, 다이오드(D1)는 화면이 어두울 때 즉,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전압이 낮고 상기 ⓑ포인트 전압이 높을 때,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역전압 수평동기 또는 수직동기 발진을 하는 역할을 하고, 저항(R8)은 적정하게 제어되도록 동작범위를 제한하는데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ACL 보상회로는, 종래의 ACL 보상회로가 비디오 입력 레벨에 따라 발기를 제한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상하여 CRT의 캐소드 전류를 스팩(SPEC)내로 제한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의 비디오 신호인 R·G·B신호가 입력되면 증폭시키는 제 1 증폭부와; 상기 제 1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십 볼트로 다시 증폭시키는 제 2 증폭부와; 상기 제 2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CRT와; 상기 제 1 증폭부의 CON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Q3)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디오 신호가 CON 단자에 입력되면 소정의 전압이 출력되고 화면의 밝기가 결정되는 액티브 소자부와; 상기 액티브 소자부에 공급되는 0V∼5V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L 보상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소자는, PNP 형태의 트랜지스터(Q3)를 제 1 증폭부의 CON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능동부하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L 보상회로.
KR1019970075643A 1997-12-27 1997-12-27 Acl 보상회로 KR19990055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643A KR19990055688A (ko) 1997-12-27 1997-12-27 Acl 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643A KR19990055688A (ko) 1997-12-27 1997-12-27 Acl 보상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688A true KR19990055688A (ko) 1999-07-15

Family

ID=6617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643A KR19990055688A (ko) 1997-12-27 1997-12-27 Acl 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56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728A (ko) * 1999-10-01 2001-05-07 박종섭 자동 스크린 전압 조절회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283A (ja) * 1985-02-06 1986-08-13 Asia Electron Kk 自動輝度制限装置
KR890016844A (ko) * 1988-04-12 1989-11-30 안시환 자동휘도 제한회로
JPH04156078A (ja) * 1990-10-19 1992-05-28 Toshiba Corp 映像信号レベル自動制限回路
KR19980030048U (ko) * 1996-11-28 1998-08-17 배순훈 모니터의 자동 휘도 제한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283A (ja) * 1985-02-06 1986-08-13 Asia Electron Kk 自動輝度制限装置
KR890016844A (ko) * 1988-04-12 1989-11-30 안시환 자동휘도 제한회로
JPH04156078A (ja) * 1990-10-19 1992-05-28 Toshiba Corp 映像信号レベル自動制限回路
KR19980030048U (ko) * 1996-11-28 1998-08-17 배순훈 모니터의 자동 휘도 제한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728A (ko) * 1999-10-01 2001-05-07 박종섭 자동 스크린 전압 조절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340A (en) Circuit for displaying screen control states of a monitor
US4442458A (en) CRT Video drive circuit with beam current stabilization
KR830002170B1 (ko) 자동 휘도 제어회로
KR940003512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KR19990055688A (ko) Acl 보상회로
KR830002171B1 (ko) 비데오 신호 처리장치
KR100454019B1 (ko) 모니터의화면밝기자동제어회로
JPH10268832A (ja) 映像表示装置
US6545717B1 (en) Display system having selectable automatic CRT cutoff stabilization or AKB with CRT feedback current simulation
KR200156516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US6262898B1 (en) Circuit for driving a switching transistor
KR20020014418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 제한회로
KR200150312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KR19990002378U (ko) 모니터의 자동휘도제한회로
KR100299171B1 (ko) 모니터의 백 라스터 휘도 조절 회로
KR940002188Y1 (ko) 모니터 화면 안정화 회로
KR960004979Y1 (ko) 음극 선관의 고압 안정화 회로
KR970003347Y1 (ko) 모니터의 자체 점검회로
KR200187011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전류제한회로
KR0134210Y1 (ko) 칼라 모니터의 보상회로
KR200310645Y1 (ko) 대형모니터에서acl/abl신호를공용화하는회로
KR19990003614U (ko) 모니터의 수평사이즈 보상회로
KR20010076474A (ko)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밝기 보상회로
KR19990003615U (ko) 모니터의 수직사이즈 보상회로
JPH1016461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受像管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