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645Y1 - 대형모니터에서acl/abl신호를공용화하는회로 - Google Patents

대형모니터에서acl/abl신호를공용화하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645Y1
KR200310645Y1 KR2019980004031U KR19980004031U KR200310645Y1 KR 200310645 Y1 KR200310645 Y1 KR 200310645Y1 KR 2019980004031 U KR2019980004031 U KR 2019980004031U KR 19980004031 U KR19980004031 U KR 19980004031U KR 200310645 Y1 KR200310645 Y1 KR 200310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voltage
signal
abl
ac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095U (ko
Inventor
성 곤 김
Original Assignee
이미지퀘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지퀘스트(주) filed Critical 이미지퀘스트(주)
Priority to KR2019980004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64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6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9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beam current of cathode ray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모니터나 TV에 있어서, 빔전류의 변화에 따라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전압이 저항 R3와 R4에 따라 변하는 모니터의 콘트라스트부와, TV신호와 같은 동화상의 신호가 입력되면 다이오드 D1과 저항 R2에 의해 스팩의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TV/모니터 동작부(50)와; 상기 TV/모니터 동작부(50)에서 입력되는 전류와 DC전압을 CDT의 스팩에 따른 한계치 값으로 강제로 제어할 수 있도록 FBT(70)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분압저항 제어부(60)와; 상기 분압저항 제어부(60)의 제어를 받으면서 다이오드(D3, D4)와 캐패시턴스(C3, C4)에 의해 전압이 조절되고, 수직/수평동기의 전압값이 다이오드 D5와 저항 R6에 의해 제어되는 FBT(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고안의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장치에 의하면 불특정한 대형모니터의 회로에서 신호증폭후 브라운관까지를 직접결합 방식을 사용하면서 자동 애노우드 전류제한 회로 또는, 자동휘도 제한 회로를 동시에 TV 및 모니터에 사용하므로써, 화면중의 명암 대비가 좋아지고 동시에 안정된 고압으로 화상의 선명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의 충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회로
본 고안은 모니터의 화면상태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특정한 대형 모니터에서 TV 신호와 같은 동화상 신호의 ACL(Automatic Contrast Limit)신호와 ABL(Automatic Brightness Limit)신호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각종 TV나 PC등과 같은 각종 비디오 입력기능을 가진 대형인치의 모니터에서 화면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밝기의 비를 나타내는 콘트라스트(Contrast)와, 브라이트(Bright)의 적정값을 유지하는데 이용되는 기술이 개발중이다.
종래의 TV에서는 비디오의 콘트라스트 개념보다는 브라이트의 개념이 존재하여 브라이트를 제어하는 기술이 향상되었고, 모니터에서는 브라이트에서 -전압을 받아 CRT(Cathode Ray Tube)의 G1신호에 인가하여 -전압변동으로 휘도를 제어하고, 콘트라스트는 FBT(Fly-Back Transformer)의 수평/수직동기 전압을 제어하는 ACL라인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형모니터로 TV나 그 밖의 비디오를 시청할 경우 모니터를 기준으로 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휘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화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아직까지 활성화 되지 않은 대형인치의 모니터에서 지금까지 시장에 내놓은 제품들은 ACL이 향상되어 있는 경우 ABL이 떨어져 있고, 상기 ABL이 향상된 제품은 ACL이 상대적으로 뒤져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대형인치 모니터에서 ACL이 향상되어 있는 경우 ABL이 떨어져 있고 ABL이 향상된 제품은 ACL이 떨어져 있는 장치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ACL과 ABL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CDT(Color Display Tube)의 G1은 그라운드(GND)로 둔채모니터의 ACL제어 방식에 TV의 ABL을 인가함으로써, 콘트라스트와 브라이트를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회로는, 대형 모니터나 TV에 있어서, 빔전류의 변화에 따라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전압이 저항 R3와 R4에 따라 변하는 모니터의 콘트라스트부와, TV신호와 같은 동화상의 신호가 입력되면 다이오드 D1과 저항 R2에 의해 스팩의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TV/모니터 동작부와; 상기 TV/모니터 동작부에서 입력되는 전류와 DC전압을 CDT의 스팩에 따른 한계치 값으로 강제로 제어할 수 있도록 FBT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분압저항 제어부와; 상기 분압저항 제어부의 제어를 받으면서 다이오드(D3, D4)와 캐패시턴스(C3, C4)에 의해 전압이 조절되고, 수직/수평동기의 전압값이 다이오드 D5와 저항 R6에 의해 제어되는 FB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 하는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L/ABL 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폭부 20 : CDT
30 : ABL/ACL 제어회로부 40 : 레벨조정부
50 : TV/모니터 동작부 60 : 분압저항 제어부
70 : FB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불특정한 모니터에 입력되는 R·G·B신호를 소정의 CDT(2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도록 증폭시키는 증폭부(10)와; 상기 증폭부(10)에서 증폭된 R신호는 저항 R1과 캐패시턴스 C1에 의해 스팩의 한계치를 유지할 수 있게되고, G신호는 저항 R2와 캐패시턴스 C2에 의해 스팩의 한계치를 유지할 수 있게되며, B신호는 저항 R3와 캐패시턴스 C3에 의해 스팩의 한계치를 유지할 수 있게된후, 사용자가 볼수 있도록 칼라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CDT(20)와; 상기 CDT(20)에 입력되는 전압을 스팩의 기준에 맞게 다이오드 D1과 저항 R4에서 제어하고, 빔 전류값에 따라 상기 증폭부(10)에 입력되는 콘트라스트값을 트랜지스터 Q1에서 조절하여, 상기 증폭부(10)에 휘도의 레벨값을 입력시켜주는 ABL/ACL을 제어하는 ABL/ACL 제어회로부(30)와; 상기 ABL/ACL 제어회로부(30)에서 입력되는 TV 시그널이나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콘트라스트와 휘도의 레벨을 조정하는 레벨조정부(40)를 포함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L/ABL 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 모니터나 TV에 있어서, 빔전류의 변화에 따라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전압이 저항 R3와 R4에 따라 변하는 모니터의 콘트라스트부와, TV신호와 같은 동화상의 신호가 입력되면 다이오드 D1과 저항 R2에 의해 스팩의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TV/모니터 동작부(50)와; 상기 TV/모니터 동작부(50)에서 입력되는 전류와 DC전압을 CDT의 스팩에 따른 한계치 값으로 강제로 제어할 수 있도록 FBT(70)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분압저항 제어부(60)와; 상기 분압저항 제어부(60)의 제어를 받으면서 다이오드(D3, D4)와 캐패시턴스(C3, C4)에 의해 전압이 조절되고, 수직/수평동기의 전압값이 다이오드 D5와 저항 R6에 의해 제어되는 FBT(70)를 포함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회로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형 TV나 모니터에서 휘도와, 화면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밝기비를 나타내는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CDT의 G1은 그라운드로 둔채 모니터의 ACL 제어방식에 TV의 ABL 제어방식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와 휘도를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L/ACL제어회로부(30)의 평균 휘도가 상승해서 동작하기 시작하는 포인트를 PABL이라 칭하고, 상기 PABL이하의 평균휘도 레벨에서는 CDT(20)의 애노우드 전압은 얇아지고 ni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ABL/ACL제어회로부(30)의 ABL이 정상적인 동작 즉, 트랜지스터 Q2에 의해 전류가 인가되면서 다이오드 D1과 저항 R4에 의해 CDT(20) 구동을 위한 전류가 인가되는 동작을 하여 트랜지스터 Q1은 턴오프(Turn Off)된 상태에서 R(Red)·G(Green)·B(Blue)신호의 증폭부(10)에 연결된 콘트라스트의 레벨은 제어되어, 상기 CDT(20)의 전압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방식으로 이루어진 콘트라스트 제어 방식으로는 높은 이득의 효과를 얻을수 없기 때문에 동화상에서의 방법에 있어서는, 콘트라스트 및 브라이트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좀더 섬세하고 좋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PABL점에 선정된 화면상태에서 PBCL점을 동시에 맞추어 설정함으로써 위와 같은 이중의 효과를 얻을수 있으며, 상기 PABL점에서 콘트라스트 이득점을 설정한 후 TV 동화상으로 전환하여 화면 변화와 브라이트의 밝기를 감안하여 적정점에서 저항 R10과 R11값을 조정하여 좀더 섬세한 부분의 영상까지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 R11값은 저항 R8과 계산하여 설정하고, 저항 R10의 값은 신호라인의 레벨값에 맞게 설정하게 되면, 상기 PABL라인상에서 간단히 연결하여 극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레벨조정부(40)에서 TV 신호나 모니터 신호의 콘트라스트와 브라이트의 레벨을 조정하여, 다시 증폭부(10)에 R·G·B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레벨조정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BT(30)의 ACL에 흐르는 빔전류의 변화에 따라 전압이 변화하게 되며,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전압이 저항 R3와 R4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Q1이 턴온(Turn On)될 때 상기 ACL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저항 R1과 VR1값에 의해 동작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모니터단이 동작하고 있을 경우 TV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모니터의 ACL이 동작하고 TV를 온하였을 경우 TV의 ABL 형식으로 ACL이 동작하게 되며, 이때 저항 R2와 VR2에 의해 TV의 ABL값을 셋팅하는데 이용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회로는, 불특정한 대형모니터의 회로에서 신호증폭후 브라운관까지를 직접결합 방식을 사용하면서 자동 애노우드 전류제한 회로 또는, 자동휘도 제한 회로를동시에 TV 및 모니터에 사용하므로써, 화면중의 명암 대비가 좋아지고 동시에 안정된 고압으로 화상의 선명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의 충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형 모니터나 TV에 있어서, 빔전류의 변화에 따라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전압이 저항 R3와 R4에 따라 변하는 모니터의 콘트라스트부와, TV신호와 같은 동화상의 신호가 입력되면 다이오드 D1과 저항 R2에 의해 스팩의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TV/모니터 동작부와; 상기 TV/모니터 동작부에서 입력되는 전류와 DC전압을 CDT의 스팩에 따른 한계치 값으로 강제로 제어할 수 있도록 FBT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분압저항 제어부와; 상기 분압저항 제어부의 제어를 받으면서 다이오드(D3, D4)와 캐패시턴스(C3, C4)에 의해 전압이 조절되고, 수직/수평동기의 전압값이 다이오드 D5와 저항 R6에 의해 제어되는 FB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모니터에서 ACL/ABL 신호를 공용화하는 회로.
KR2019980004031U 1998-03-18 1998-03-18 대형모니터에서acl/abl신호를공용화하는회로 KR200310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031U KR200310645Y1 (ko) 1998-03-18 1998-03-18 대형모니터에서acl/abl신호를공용화하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031U KR200310645Y1 (ko) 1998-03-18 1998-03-18 대형모니터에서acl/abl신호를공용화하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095U KR19990038095U (ko) 1999-10-15
KR200310645Y1 true KR200310645Y1 (ko) 2003-07-10

Family

ID=4940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031U KR200310645Y1 (ko) 1998-03-18 1998-03-18 대형모니터에서acl/abl신호를공용화하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6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095U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304B1 (ko) 영상내 영상 설비를 구비한 텔레비젼 시스템용 빔 전류 제한장치
JP2808474B2 (ja) ビデオ制御回路
US5555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 video state of a video display having a picture-in-picture function
KR910009882B1 (ko) 비데오 신호 처리 시스템
KR950006235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명도 제어회로
JPS6351433B2 (ko)
KR200310645Y1 (ko) 대형모니터에서acl/abl신호를공용화하는회로
EP0841809A2 (en) Automatic black level stabilizing apparatus
US5453798A (en) Black compensation circuit for a video display system
US5345267A (en) AKB apparatus with hot start flash prevention
JPH10268832A (ja) 映像表示装置
KR20040030079A (ko) 키네스코프 증폭기에서의 적응적 대역폭 제어 방법
JPH0535194A (ja) 自動輝度制限回路
KR200156516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KR100296417B1 (ko) 블랙화면의 화질 보정장치
KR930000443Y1 (ko) 영상바이어스 안정화회로
KR910004793Y1 (ko) 칼라텔레비젼의 화면밝기 자동조절회로
KR960016850B1 (ko) 티브이의 칼라량 자동 제어 장치
KR970004902Y1 (ko) 21핀 유로 모니터짹의 전환스위칭(FAST/swithing)을 이용한 화면축소회로
KR100588140B1 (ko) 영상표시기기의 포커스전압 안정화회로
KR960002454Y1 (ko) 영상클램프회로
KR100275009B1 (ko) 멀티미디어 모니터의 휘도 제어 회로
KR20010060995A (ko) 모니터의 래스터 조정 회로 및 방법
JPH11150736A (ja) モニタ装置
JP2004519931A (ja) Akbとビーム電流の制限とを組み合わせる回路及び該回路を用いる投射テレ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