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535A - 헤드 드럼 조립체 - Google Patents

헤드 드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535A
KR19990054535A KR1019970074364A KR19970074364A KR19990054535A KR 19990054535 A KR19990054535 A KR 19990054535A KR 1019970074364 A KR1019970074364 A KR 1019970074364A KR 19970074364 A KR19970074364 A KR 19970074364A KR 19990054535 A KR19990054535 A KR 19990054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drum
guide surface
head drum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부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7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4535A/ko
Publication of KR1999005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535A/ko

Links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드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 드럼 조립체는 입구에서 출구를 향하여 감김각이 커질수록 테이프의 부상량이 감소하면서 마찰 계수가 커져 테이프의 주행 특성이 저하되며, 테이프의 손상 및 화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로워 드럼의 리드 라인의 상부에 테이프가 감겨져 주행되는 주행안내면이 형성되고, 로워 드럼의 주행안내면에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입구에서 출구를 향하여 깊이 및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다수의 산형 그루브들이 형성되며, 산형 그루브들이 이루는 각도는 출구를 수평 기준선으로 하여 리드 라인이 이루는 각도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테이프가 감겨져 주행되는 로워 드럼의 주행안내면에 산형 그루브들이 형성되어 테이프의 부상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아울러 마찰 계수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유지되므로, 테이프의 주행 특성이 개선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헤드 드럼 조립체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에 사용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head drum assembl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워 드럼(lower drum)의 외주면에 테이프의 주행을 안내하는 주행안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헤드 드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데크(deck)의 상면에 설치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카세트(cassette)의 테이프에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를 재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드럼 조립체는 테이프를 감아서 주행시키는 상태에서 비디오 헤드를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이른 바 헬리컬 스캔 방식(helical scan type)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 드럼 조립체에 대한 하나의 예를 도 1에 나타내어 설명하면, 헤드 드럼 조립체(10)는 어퍼 드럼(upper drum: 11)과 로워 드럼(lower drum: 12)이 축(13)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된다. 어퍼 드럼(11)의 중앙에 플랜지(flange: 14)가 축구멍(14a)을 갖도록 장착되며, 플랜지(14)는 축구멍(14a)이 축(13)의 상부에 압입(壓入)되어 장착된다. 로워 드럼(12)의 중앙에 베어링 하우징(bearing housing: 12a)이 축구멍(12b)을 갖도록 형성되고, 로워 드럼(12)은 축구멍(12b)이 두 개의 베어링(15a, 15b)에 의해 지지되어 축(13)의 하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로워 드럼(12)의 외주면에는 리드 라인(lead line: 12c)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리드 라인(12c)의 상부에는 테이프(T)가 감겨져 주행되는 주행안내면(12d)이 형성된다.
또한, 어퍼 드럼(11)의 하면에 두 개이상의 비디오 헤드(16)가 조립되고, 어퍼 드럼(11)과 로워 드럼(12) 사이의 공간에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로터리 트랜스포머(rotary transformer: 17)가 장착된다. 로워 드럼(12)의 하부에는 드럼 모터(drum motor: 18)가 설치되며, 이 드럼 모터(18)의 구동에 따라 축(13)과 함께 어퍼 드럼(11)이 회전되면서 비디오 헤드(16)의 작용에 의해 테이프(T)에 비디오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헤드 드럼 조립체(10)는 테이프(T)가 진입하는 입구(20)와 이탈하는 출구(21)를 갖는다. 즉, 헤드 드럼 조립체(10)의 양쪽에는 위치되어 테이프(T)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좌,우측 폴 베이스 조립체(pole base assembly: 25, 26)가 각각 위치되는 바, 좌측 폴 베이스 조립체(25)의 슬랜트 폴(slant pole: 25a)에 안내되어 로워 드럼(12)의 리드 라인(12b)에 테이프(T)가 밀착되도록 진입하는 지점을 입구(20)라 하며, 로워 드럼(12)의 리드 라인(12b)으로부터 우측 폴 베이스 조립체(26)의 슬랜트 폴(26a)로 테이프(T)가 이탈하는 지점을 출구(21)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헤드 드럼 조립체(10)는 좌측 폴 베이스 조립체(25)의 슬랜트 폴(25a)에서보다 우측 폴 베이스 조립체(26)의 슬랜트 폴(26a)에서 테이프(T)의 텐션(tension)이 크기 때문에 입구(20)에서 출구(21)를 향하여 감김각이 커질수록 테이프(T)의 부상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면서 마찰 계수가 커지게 된다. 즉, 로워 드럼(12)의 주행안내면(12d)에 감겨져 주행되는 테이프(T)가 입구(20)에서 출구(21)를 향하여 마찰력을 크게 부여받게 되면서 테이프(T)의 주행 특성이 저하되며, 이로 인하여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또한, 로워 드럼(12)의 주행안내면(12d)에 감겨져 주행되는 테이프(T)는 마찰에 의한 열의 영향을 받아 흡착이 발생되기 쉽고, 테이프(T)의 흡착은 주행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 흡착의 정도가 지나친 경우에는 소손(燒損), 즉 테이프(T)가 주행안내면(12d)에 눌러붙게 되면서 손상 및 화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digtal VCR)의 헤드 드럼 조립체와 같이 어퍼 드럼이 비교적 고속 회전하는 것과 아울러 테이프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 심각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의 주행 특성이 개선되도록 한 헤드 드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헤드 드럼 조립체에서 테이프의 주행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안내면의 가공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안내면의 주행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헤드 드럼 조립체 11: 어퍼 드럼
12: 로워 드럼 13: 축
16: 비디오 헤드 17: 로터리 트랜스포머
20: 입구 21: 출구
25: 좌측 폴 베이스 조립체 26: 우측 폴 베이스 조립체
30: 주행안내면 31: 산형 그루브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두 개이상의 비디오 헤드가 조립되는 어퍼 드럼과 리드 라인을 갖는 로워 드럼이 축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비디오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헤드 드럼 조립체에 있어서, 로워 드럼의 리드 라인의 상부에 테이프가 감겨져 주행되는 주행안내면이 형성되고, 로워 드럼의 주행안내면에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입구에서 출구를 향하여 깊이 및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다수의 산형 그루브들이 형성되며, 산형 그루브들이 이루는 각도는 출구를 수평 기준선으로 하여 리드 라인이 이루는 각도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헤드 드럼 조립체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헤드 드럼 조립체(10)는 어퍼 드럼(11)과 로워 드럼(12)이 축(13)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된다. 어퍼 드럼(11)의 중앙에 플랜지(14)가 축구멍(14a)을 갖도록 체결에 의해 장착되며, 플랜지(14)는 축구멍(14a)이 축(13)의 상부에 압입되어 장착되고, 이에 따라 어퍼 드럼(11)이 축(13)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로워 드럼(12)의 중앙에 베어링 하우징(12a)이 축구멍(12b)을 갖도록 형성되며, 로워 드럼(12)은 축구멍(12b)이 두 개의 베어링(15a, 15b)에 의해 지지되어 축(13)의 하부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베어링(15a, 15b)은 축구멍(12b)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축(13)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로워 드럼(12)의 외주면에는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하는 리드 라인(12c)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어퍼 드럼(11)의 하면에 두 개이상의 비디오 헤드(16)가 조립되고, 어퍼 드럼(11)과 로워 드럼(12) 사이의 공간에는 비디오 신호를 무접촉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로터리 트랜스포머(17)가 장착된다. 로워 드럼(12)의 하부에는 드럼 모터(18)가 설치되며, 이 드럼 모터(18)의 구동에 따라 축(13)과 함께 어퍼 드럼(11)이 회전되면서 비디오 헤드(16)의 작용에 의해 테이프(T)에 비디오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헤드 드럼 조립체(10)는 테이프(T)가 진입하는 입구(20)와 이탈하는 출구(21)를 갖는다. 헤드 드럼 조립체(10)의 양쪽에는 테이프(T)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좌,우측 폴 베이스 조립체(25, 26)가 각각 위치되며, 좌,우측 폴베이스 조립체(25, 26)는 데크(20)의 도시하지 않은 로딩구멍을 따라 테이프(T)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좌측 폴 베이스 조립체(25)의 슬랜트 폴(25a)에 안내되어 로워 드럼(12)의 리드 라인(12b)에 테이프(T)가 밀착되도록 진입하는 지점을 입구(20)라 하며, 로워 드럼(12)의 리드 라인(12b)으로부터 우측 폴 베이스 조립체(26)의 슬랜트 폴(26a)로 테이프(T)가 이탈하는 지점을 출구(21)라 한다.
한편, 테이프(T)의 신호 기록은 입구(20)를 기준으로 출구(21)를 향하여 대략 0~180도 정도 구간에서 이루어지며, 좌,우측 폴 베이스 조립체(25, 26)의 슬랜트 폴(25a, 26a)은 헤드 드럼 조립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185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로워 드럼(12)은 리드 라인(12c)의 상부에는 테이프(T)가 감겨져 주행되는 주행안내면(30)이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로워 드럼(12)의 주행안내면(30)에는 입구(20)에서 출구(21)를 향하여 깊이 및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산형 그루브(groove: 31)들이 형성된다. 이때, 산형 그루브(31)들은 로워 드럼(12)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출구(21)를 향하여 수렴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헤드 드럼 조립체(10)의 출구(21)를 로워 드럼(12)의 하면에 대해 수평 기준선으로 하여 리드 라인(12c)이 이루는 각도(θ)에 대하여 산형 그루브(31)들이 이루는 각도(θ1, θ2, ...)가 점진적으로 커지게 가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로워 드럼(12)의 주행안내면(30)에 산형 그루브(31)들이 형성되면, 로워 드럼(12)의 리드 라인(12c)을 따라 주행안내면(30)에 안내되는 테이프(T)의 주행 특성이 개선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행안내면(30)과 종래의 주행안내면(12d)에서 나타나는 주행 특성을 도 5a, 5b 및 도 5c에서 실선과 은선으로 나타낸 그래프를 통하여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행안내면(30)에는 산형 그루브(31)들이 입구(20)에서 출구(21)를 향하여 깊이 및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산형 그루브(31)들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테이프(T)의 부상력이 점진적으로 크게 부여되고, 이로 인하여 테이프(T)의 감김각이 커지는 것에 대해서 테이프(T)의 부상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주행 특성이 개선된다. 즉, 로워 드럼(12)의 주행안내면(30)에 테이프(T)가 감겨져 주행될 때, 테이프(T)가 주행되는 것과 대응하여 산형 그루브(30)들에는 로워 드럼(12)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서 입구(20)에서 출구(21)를 향하여 흐르게 되며,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한 압력이 출구(21)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커지면서 테이프(T)의 부상력을 크게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T)의 부상량은 입구(20)에서 출구(21)까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테이프(T)의 주행 특성이 개선된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행안내면(30)은 테이프(T)의 감김각이 커지는 것에 대하여 마찰 계수가 완만한 기울기로 유지되므로, 종래 주행안내면(12c)에서 마찰 계수가 급격한 기울기로 변화하는 것에 비하여 테이프(T)의 주행 특성이 개선된다. 요컨대, 주행안내면(30)은 입구(20)에서 출구(21)를 향하여 주행되는 테이프(T)에 마찰력이 완만하게 증가되어 테이프(T)의 주행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주행안내면(30)의 마찰 계수가 완만한 기울기로 유지되는 것과 테이프(T)의 부상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에 따라 테이프(T)의 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측 폴 베이스 조립체(25, 26)의 슬랜트 폴(25a, 26a)에서 유지되는 테이프(T)의 텐션이 종래의 주행안내면(12c)에 비하여 산형 그루브(31)들에 의해 완만한 기울기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테이프(T)의 주행 특성이 개선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로워 드럼(12)의 주행안내면(30)에 형성되는 산형 그루브(31)들에 의해 테이프(T)의 주행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면서 화질이 선명해질 뿐만 아니라, 테이프(T)의 소손으로 인한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특히,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헤드 드럼 조립체와 같이 어퍼 드럼이 비교적 고속 회전하는 경우에도 테이프의 주행 특성이 개선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는, 테이프가 감겨져 주행되는 로워 드럼의 주행안내면에 산형 그루브들이 형성되어 테이프의 부상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아울러 마찰 계수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유지되므로, 테이프의 주행 특성이 개선되어 화질이 선명해지는 등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두 개이상의 비디오 헤드가 조립되는 어퍼 드럼과 리드 라인을 갖는 로워 드럼이 축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비디오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헤드 드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로워 드럼(12)의 리드 라인(12c)의 상부에 상기 테이프(T)가 감겨져 주행되는 주행안내면(30)이 형성되고,
    상기 로워 드럼(12)의 주행안내면(30)에는 상기 헤드 드럼 조립체(10)의 입구(20)에서 출구(21)를 향하여 깊이 및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다수의 산형 그루브(31)들이 형성되며,
    상기 산형 그루브(31)들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출구(21)를 수평 기준선으로 하여 리드 라인(12c)이 이루는 각도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드럼 조립체.
KR1019970074364A 1997-12-26 1997-12-26 헤드 드럼 조립체 KR19990054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364A KR19990054535A (ko) 1997-12-26 1997-12-26 헤드 드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364A KR19990054535A (ko) 1997-12-26 1997-12-26 헤드 드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535A true KR19990054535A (ko) 1999-07-15

Family

ID=6609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364A KR19990054535A (ko) 1997-12-26 1997-12-26 헤드 드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45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831A (en) Pneumatic static guide for a tape
US4719528A (en) Guide drum
KR19990054535A (ko) 헤드 드럼 조립체
US7050265B2 (en) Negative pressure type rotary head drum unit and magnetic tape drive using the same
US6081403A (en) Tape guide members for a tape travel system for a tape loading mechanism in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220475A (en) Rotary head drum unit with grooves or protrusions on a stationary drum for lessening tape contact during rewinding
EP0822548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tilting head drum for dynamic tracking
JP4538961B2 (ja) 記録再生装置
US5774307A (en) Head drum assembly designed to prevent a magnetic tape from adhering to a drum surface
KR970005049Y1 (ko) 광테이프 카세트
KR20014929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드럼
JPH028131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回転ヘッドアセンブリ
US5237478A (en) Rotary head drum unit
JPS60154349A (ja) ガイドドラム装置
KR100200869B1 (ko) 테이프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주행 가이드 장치
KR19980040414A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KR0113199Y1 (ko) 브이씨알의 주행테이프 유동방지장치
EP0605056B1 (en) Magnetic-tape apparatus and magnetic-head unit suitable for use in the magnetic-tape apparatus
JPH01311447A (ja) ヘッドドラム
JPH02121150A (ja) 回転ドラム装置
JPH08147824A (ja) テープガイド
JPH0229914A (ja) 回転ヘツドシリンダ装置
JPH05334768A (ja) テープ走行案内体
JPH01315058A (ja) ヘッドドラム
KR20000034753A (ko) 헤드드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