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3626A -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3626A
KR19990053626A KR1019970073287A KR19970073287A KR19990053626A KR 19990053626 A KR19990053626 A KR 19990053626A KR 1019970073287 A KR1019970073287 A KR 1019970073287A KR 19970073287 A KR19970073287 A KR 19970073287A KR 19990053626 A KR19990053626 A KR 1999005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in battery
power supply
pow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73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3626A/ko
Publication of KR1999005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시동되면 주배터리(60)의 전원을 전기장치(80)로 공급하며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제 1 단계(101 내지 105)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크면 주배터리(60)의 전원공급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작으면 주배터리(6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경고등(40)을 점멸하여 주배터리(60)의 과방전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동시에 보조 배터리(100)의 전원을 전기장치(80)로 공급하는 제 3 단계(106 내지 109)를 구비함에 따라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인한 차량의 스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배터리가 과방전되면 차량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전기장치로 공급하여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인한 차량의 스톨현상을 방지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초기 구동시 사용되는 시동모터, 실린더내로 공급된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 및 야간 주행시 장애물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헤드램프 등과 같은 다수의 전기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장치는 엔진룸에 장착된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데,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는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원이 전기장치로 공급되고, 차량이 정차중인 경우에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이 전기장치로 공급된다.
전해액과 극판 사이에 발생하는 화학작용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배터리는 단자전압이 방전 종지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방전하며, 차량의 주행시 구동되는 발전기에 의해 충전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발전기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전기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전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배터리(210)의 일단자(+)에는 전기장치(230)로 배터리(210)의 전원을 공급하는 시동스위치(SW)가 접속되어 있다.
시동스위치(SW)를 통해 공급된 배터리(210)의 전원은 제1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 제2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과 경고등(LAMP) 및 전기장치(10)로 인가되며, 제1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에는 배터리(210)의 방전전압을 검출하는 전압측정부(220)가 접속되어 있고, 제2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단은 경고등(LAMP)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전기장치(2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시동스위치(SW)를 스위칭하면 배터리(210)의 전원이 시동스위치(SW)를 통해 전기장치(230)로 공급된다. 이때, 전압측정부(220)는 배터리(210)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데,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기준전압인 6V 보다 작으면 로우레밸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제1 트랜지스터(TR1)는 턴오프되지만, 제2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에는 배터리(210)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턴온된다. 따라서, 경고등(LAMP)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배터리(210)의 과방전을 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가 과방전되면 차량의 구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시말해,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인하여 차량의 스톨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일측에 보조 배터리를 장착하고 주배터리가 과방전되면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전기장치로 공급하여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인한 차량의 스톨현상을 방지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이 시동되면 주배터리의 전원을 전기장치로 공급하며 주배터리의 출력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주배터리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크면 주배터리의 전원공급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주배터리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작으면 주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경고등을 점멸하여 주배터리의 과방전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동시에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전기장치로 공급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종래의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동스위치 20 : 전압측정부
30 : 전원표시부 40 : 경고등
50 : 제어부(ECM) 60 : 주배터리
70 : 제1 전원스위칭부 80 : 전기장치
90 : 제2 전원스위칭부 100 : 보조 배터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운전자가 차량을 시동하기 위한 시동스위치(10)가 제어부(ECM)(50)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제어부(50)에는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측정부(20)와 주배터리(60)의 과방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고등(40)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전압측정부(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주배터리(60) 또는 차량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100)의 전원을 전기장치(80)로 스위칭하는 제1 및 제2 전원스위칭부(70,90)를 제어하며, 또한 전원공급원의 변경시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전원표시부(30)를 구동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원 공급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운전자가 차량을 구동하기 위해 시동스위치(10)를 온시키면 제어부(50)는 제1 전원스위칭부(70)를 제어하여 주배터리(60)의 전원을 전기장치(80)로 공급한다(101 내지 102). 이때, 전원표시부(30)는 주배터리(60)의 전원이 전기장치(80)로 공급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린다(103).
상기와 같이 제어부(50)는 주배터리(60)의 전원을 전기장치(80)로 공급하며 전압측정부(20)를 통해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데,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크면 주배터리(60)의 전원공급상태를 유지한다(104 내지 105).
반면에,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작으면 제어부(50)는 경고등(40)을 점멸하여 운전자에게 주배터리(60)의 과방전을 알린다(106). 또한, 제어부(50)는 제1 전원스위칭부(70)를 제어하여 주배터리(6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 전원스위칭부(80)를 제어하여 보조 배터리(100)의 전원을 전기장치(80)로 공급한다(107 내지 108).
이때, 전원표시부(30)는 보조 배터리(100)의 전원이 전기장치(80)로 공급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린다(109).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일측에 보조 배터리를 장착하고 주배터리가 과방전되면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전기장치로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인한 차량의 스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보조 배터리(100)가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이 시동되면 주배터리(60)의 전원을 전기장치(80)로 공급하며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제 1 단계(101 내지 105)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크면 주배터리(60)의 전원공급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주배터리(60)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작으면 주배터리(6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경고등(40)을 점멸하여 주배터리(60)의 과방전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동시에 보조 배터리(100)의 전원을 전기장치(80)로 공급하는 제 3 단계(106 내지 10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
KR1019970073287A 1997-12-24 1997-12-24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 KR19990053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287A KR19990053626A (ko) 1997-12-24 1997-12-24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287A KR19990053626A (ko) 1997-12-24 1997-12-24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626A true KR19990053626A (ko) 1999-07-15

Family

ID=6609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287A KR19990053626A (ko) 1997-12-24 1997-12-24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36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085A (ko) * 2002-06-29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085A (ko) * 2002-06-29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748B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53626A (ko)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방법
KR20040074783A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전원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100320433B1 (ko) 이동 단말기의 밧데리 충전장치
KR200147895Y1 (ko) 자동차용 축전지의 과다 방전 방지장치
KR100215659B1 (ko) 차량의 에어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233295B1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감시 장치
KR100197495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충전시스템
KR0144043B1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960006004Y1 (ko)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KR100188649B1 (ko) 자동차의 연료 펌프 구동장치
KR200289720Y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20000072422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대책 시스템
KR100223617B1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20050023481A (ko) 자동차용 충방전시스템의 자기진단 방법
KR19990003993A (ko) 차량의 전원 제어 시스템
KR0124370Y1 (ko) 자동차 밧데리의 단자연결장치
KR0134554Y1 (ko) 알터네이터의 역전류 방지장치
KR200158160Y1 (ko) 배터리 충전 경고장치
KR19990023752U (ko) 충전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시스템
CN117246277A (zh) 多功能设备
KR100435655B1 (ko) 연료 전지 자동차의 구동 시스템
KR19980048513A (ko) 자동차의 밧데리 방전차단장치
KR200178370Y1 (ko) 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