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004Y1 -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004Y1
KR960006004Y1 KR2019930000636U KR930000636U KR960006004Y1 KR 960006004 Y1 KR960006004 Y1 KR 960006004Y1 KR 2019930000636 U KR2019930000636 U KR 2019930000636U KR 930000636 U KR930000636 U KR 930000636U KR 960006004 Y1 KR960006004 Y1 KR 960006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rminal
transistor
resisto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762U (ko
Inventor
오현웅
Original Assignee
오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웅 filed Critical 오현웅
Priority to KR2019930000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004Y1/ko
Publication of KR940019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0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실용신안의 명칭]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전부 2 : 전압조정부
3 : 전원부 4 : 제2전압검출회로
G : 발전기 RD : 정류기
FC : 계자코일 BT : 축전지
SW : 키스위치 PL : 충전표시램프
RY : 에어콘 릴레이 L : 램프단자
F : 계자입력단자 E : 접지단자
R : 전압검출단자 TR1: 스위칭용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
TR2,TR3: 트랜지스터 R1-R8: 저항
C1-C3: 콘덴서 D1: 다이오드
ZD1-ZD2: 제너다이오드 TD1: 온도보상용 다이오드
[실용신안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의 이용분애)
본 고안은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2전압검출회로를 이용하여 발전기가 무제어 상태로 되어 전압이 급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차량용 전압조정기는 차량탑재용 기기에 사용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에서는 시동후에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차량탑개용 기기자체가 노후화됨에 따라 측전지전원이 단선되거나 접속상태가 불완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이 축전지전원이 단선되거나 접속상태가 불완전하게 됨으로써, 발전기의 출력이 무제어상태로 되어 전압이 급상승하여 전압조정기 및 차량탑재용 기기가 손상될 수도 있다는 등의 문제가 있있다.
(고안의 목적)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이진 것으로 시동후에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차량탑재용 기기자체의 노후화로 인하여 축전지전원이 단선되거나 접속상태가 불완전하게 됨으로써 발전기의 출력이 무제어상태로 되어 전압이 급상승하더라도 항시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제2전압검출회로를 갖춘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는 계자코일(FC)과 발전기(G) 및 정류기(RD)로 이루어진 발전부(1)와, 역기전력방지용 다이오드(Dl)와 스위치용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TR1), 발진방지용 콘덴서 및 저항(C1C2R1,R2) 트랜지스터(TR2), 제1제너다이오드(ZD1), 온도보상용 다이오드(TD1). 분압저항(R3R4R5)으로 이루어진 전압조정부(2) 및 키스위치(SW)와 충전표시용 램프(PL) 과부하를 막아주기 위한 전압강하용 저항(R) 및, 축전지로 이루어진 전원부(3)로 구성된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정부(2)와 전원부(3) 사이에 저항(R6R7R8)과 그 콜랙터단자가 저항(R6)을 매개하여 상기 발선부(l)내의 정류기(RD)의 출력단자(b)와 상기 전원부(3)의 램프단자(L)간의 전류통로에 접속되고 그 에미터단자가 상기 전압조정부(2)내의 온도보상용 다이오드(TD1)의 애노드단자 및 저항(R8)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2전압검출용 트랜지스터(TR3) 그 애노드단자가 트랜지스터(TR3)의 그 베이스단자에 접속되고 그 캐소드단자가 저항(R7)을 매개하여 상기 전류통로에 접속되이 있는 제2너다이오드(ZD2) 및,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자와 제2제너다이오드(ZD2)의 애노드단자의 접속점과 접지간에 접속되어 있는 베이스단자전압 안정화용 콘덴서(C3)로 구성된 제2전압검출회로가 부가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며, 전압조정부(2)와 전원부(3)사이에 제2전압검출회로(4)를 설치함으로써, 시동후에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탑재용 기기자체의 노후화로 인하여 측전지(BT)의 단선 혹은 접속상태가 불완전하게 됨으로써, 발전기의 출력을 무제어상태로 되어 전압이 급상승하더라도, 상기 제2전압검출회로(4)에 의해 항시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여 차량탑재용 기기를 보호함과 더불어 제품의 성능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도면중 참조부호 1은 발전부, 2는 전압조정부, 3은 전원부, 4는 제2전압검출회로이다.
발전부(1)는 그 접점(a)이 키스위치(SW)에 접속되고, 접점(c)이 접지되며 점점(b)이 전압조정부(2)의 전류통로를 매개하여 램프단자(L)에 접속되어 있는 정류기(RD)와, 그 일단이 상기 접점(b)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계자입력단자(F)에 접속되어 있는 계자코일(FC) 및 발전기(G)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계자코일(FC)은 그 일단이 전류통로를 통하여 상기 램프단자(L)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은 계자입력단자(F)에 접속되어, 키스위치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계자코일(FC)에 전류가 흐르고 전압조정부(2)의 스위치용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TR1;switching darlington transister circuit)가 온되면 계자입력단자(F)와 접지단자(E)간에 전류통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발전기(G)가 구동되게 된다. 상기 발전기(G)의 출력은 정류기(RD)와 콘덴서(C)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 전압조정부(2)를 매개하여 축전지(BT)에 공급되게 된다.
전압조정부(2)는 대칭형 달링턴(darlington) 접속된 2개의 트랜지스터(Q1,Q2)와 다이오드 및 지항으로 이루어져 스위치용 트랜지스터로서 동작하는 스위치용 달링턴 트랜시스터회로(TR1)와, 그 콜렉터가 이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TR1)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되고, 그 에미터단자가 접지단자(E)에 접속되며, 그 베이스단자가 발진방지용 저항(R1)을 매개해서 상기 계자입력단자(F) 및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TR1)의 콜렉터 상호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2), 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와 상기 저항(R1)의 일단간에 접속되어 발진을 방지해주는 제1발진방지용 콘덴서(C1)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단자와, 상기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TR1)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의 접속점과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간에 접속되어 발진을 방지해주는 제2발진방지용 콘덴서(C2)와 상기 계자입력단자(F)와 램프단자(L)간에 접속되어 계자코일(FC)의 역기전력을 방지해주기 위한 다이오드(D1)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와 후술할 전압검출단자(R)간에 접속되이 있는 온도보상용 다이오드(TD1) 이 다이오드(TD1)의 캐소드와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간에 접속되어 문턱치 이하의 전압이 걸릴 때 상기 트랜지스터(TR2)를 턴오프시키는 제너다이오드(ZD1) 및 분압용 지항(R3R4R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부(3)는 키스위치(SW)와, 그 일단이 키스위치(SW)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램프단자(L)를 매개해서 계자코일의 일단에 접속되어 상기 키스위치(SW)가 온됨에 따라 점등되는 충전표시용 램프(PL) 상기 충전표시램프(PL)의 과부하를 막아주기 위한 전압강하용 저항(R) 및 축전지(BT)로 구성되어 있다.
제2전압검출회로(4)는 그 콜렉터단자가 일정전압유지용 저항(R7)을 매개하여 상기 계자코일(FC)과 램프단자(L)간의 전류통로에 접속되어 있고 그 이미터단자는 점점(A)과 저항(R8)간의 전류통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베이스단자는 제2제너다이오드(ZD2)와 이 베이스단자 안정화용 콘덴서간의 전류통로에 접속되어 제2제너다이오드(ZD2)와 저항(R7)에 의해 설정된 문턱치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된 제3트랜지스터(TR3), 그 캐소드가 저항을 매개하여 상기 계자코일(FC)과 램프단자(L)간의 전류로에 접속되어 있고, 그 애노드가 상기 제3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자와 콘덴서간에 접속되어 있는 제2제너다이오드(ZD2) 및 그 일단이 전압검출단자에 그 타단이 점점(A)에 접속되어 기준전압을 설정해주는 역할을 하는 저항(R8)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를 설명한다.
먼저, 전원부(3)의 키스위치(SW)가 온되면, 축전지전원(BT)의 충전표시램프(PL) 및 램프단자(L)와 계자코일(FC)간의 전류로를 통하여 상기 계자코일(FC)에 인가되는 바, 이 전류는 스위치용 달링턴 트랜시스터회로(TR1)를 매개하여 흐르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 스위치용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TR1)는 제2트랜지스터(TR2)의 온오프의 여부에 따라 역으로 온·오프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램프단자(L)의 전압이 문턱치이하일 경우에는 저항(R3, R4, R5)에 의해 그 전압이 분압되므로 제너다이오드(ZD1)에 인가되는 전압은 문턱치 이하로 떨어져 제너다이오드(ZD1)를 항복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스위치용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TR1)는 온되고, 이에 따라 계자입력단자(F)와 접지단자(E)간의 전류통로가 형성되어 계자코일(FC)에 의해 발전기(G)는 구동되므로 충전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축전지(BT)가 충전되어 램프단자(L)의 전압이 문턱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제너다이오드의 특성에 따라 높은 전위차에 의해 항복현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2)는 턴온되고, 스위치용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TR1)는 턴오프되어 계자코일(FC)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서 발전기(G)는 구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충전동작은 중지되게 된다.
이어서, 차량탑재용 주변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축전지전원(BT)이 소모되게 되면 다시 램프단자(L)의 전압은 문턱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트랜지스터(TR2)는 오프되고, 스위치용 달링턴 트랜지스터(TR1)는 온되게 되어 계자코일(FC)에 의해 구동된 발전기(G)는 동작하고 재충전동작을 개시하게 되어 이와같은 동작이 반복됨에따라 축전지(BT)의 전위가 일정전압으로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시동후에 정상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가 전원부(3)의 축전지(BT)가 단선 되었을 때, 램프단자(L)와 접지단자(E)간의 전압이 급상승하게 되는데 이때의 전압상태를 분석해보면, 도면중 접점(A)과 접지단자(E)간의 전압은 변동이 없으나 램프단자(L)와 점점(A)간의 전압은 급상승하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할 수 없는 상태로 됨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램프단자(L)와 점점(A)간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그 사이에 제너다이오드(ZD2)와 저항(R7) 및 트랜지스터(TR3)를 설치한 것으로, 상기 램프단자의 전압이 급상승되어 문턱치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때만 작동되도록 하여 트랜지스터(TR3)를 제어하도록 하며 저항(R6)의 설정으로 일정진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콘덴서(C3)는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전압 안정화용이고, 저항(R8)은 기준저압설정용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 설멍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압조정부(2)와 전원부(3) 사이에 제2전압검출회로(4)를 설치함으로써, 시동후에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탑재용 기기자체의 노후화로 인하여 축전지(BT)의 단선 혹은 접속상태가 불완전하게 됨으로써, 발전기의 출력을 무제어상태로 되어 전압이 급상승하더라도 상기 제2전압검출회로(4)에 의해 항시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여 차량탑재용 기기를 보호함과 더불어 제품의 성능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계자코일(FC)과 발전기(G) 및 정류기(RD)로 이루어진 발전부(1)와, 역기전력방지용 다이오드(D1)와 스위치용 달링턴 트랜지스터회로(TR1) 발진방지용 콘덴서 및 저항(C1, C2, R1, R2) 트랜지스터(TR2), 제1 제너다이오드(ZD|1), 온도보상용 다이오드(TD1), 분압저항(R3, R4, R5)으로 이루어진 전압조정부(2) 및 키스위치(SW)와 충전표시용 램프(PL) 과부하를 막아주기 위한 전압강하용 저항(R) 및, 축전지로 이루어진 전원부(3)로 구성된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정부(2)와 전원부(3) 사이에 저항(R6, R7, R8)과 그 콜렉터단자가 저항(R6)을 매개하여 상기발전부(1)내의 정류기(RD)의 출력단자(b)와 상기 전원부(3)의 램프단자(L)간의 전류통로에 접속되고, 그 에미터단자가 상기 전압조정부(2)내의 온도보상용 다이오드(TD1)의 애노드단자 및 저항(R8)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2전압검출용 트랜지스터(TR3), 그 애노드단자가 트랜지스터(TR3)의 그 베이스단자에 접속되고, 그 캐소드단자가 지항(R7)을 매개하여 상기 전류통로에 제2 제너다이오드(ZD2) 및,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자와 제2제너다이오드(ZD2)의 애노드단자의 접속점과 접지간에 접속되어 있는 베이스단자전압 안정화용콘덴서(C3)로 구성된 제2전압검출회를 구비해서 부가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KR2019930000636U 1993-01-19 1993-01-19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KR960006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636U KR960006004Y1 (ko) 1993-01-19 1993-01-19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636U KR960006004Y1 (ko) 1993-01-19 1993-01-19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762U KR940019762U (ko) 1994-08-22
KR960006004Y1 true KR960006004Y1 (ko) 1996-07-19

Family

ID=1934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636U KR960006004Y1 (ko) 1993-01-19 1993-01-19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0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941B1 (ko) * 2007-07-26 2009-03-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폭충격에 강인한 발사체용 래치형 릴레이 구동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405B1 (ko) * 2019-05-03 2021-03-08 (주)에이텍티앤 전장시스템에서 전원 안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941B1 (ko) * 2007-07-26 2009-03-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폭충격에 강인한 발사체용 래치형 릴레이 구동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762U (ko) 199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9766A (en) Vehicle ac generator control device with overvoltage limiter and dummy load unit
EP0019864B1 (en) Power generat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generator
US5138246A (en) Battery protecting system in a car stereo
JP2001508638A (ja) 三相発電機の出力電圧の制御装置
KR100421094B1 (ko) 차량용 발전기의 외장형 레귤레이터
JP2522639Y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制御装置
KR960006004Y1 (ko)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JPH09285035A (ja) 自動車用充電電圧制御回路
KR0138531Y1 (ko)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US6943532B1 (en) Voltag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generator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CN220382753U (zh) 一种具有故障保险功能的汽车发电机调节器
US3379958A (en) Transistorized voltage regulator providing reverse bias for output transistor
KR100221193B1 (ko) 전압조정기의 안정화 회로
US4574275A (en) Battery charge indicating circuit
KR0175748B1 (ko) 차량용 발전기의 과전압 발생 방지회로
KR920008363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전압조정기회로
KR200295193Y1 (ko) 축전지경고장치
JP2000245139A (ja) 車載用電源装置及び車載装置
KR100187177B1 (ko) 알터네이터 출력부족 감지 장치
KR200289720Y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890006237Y1 (ko) 차량용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차단회로
KR920002184Y1 (ko) 차량용 전압조정기회로
KR200146557Y1 (ko) 화재수신기용 축전지의 충방전회로
KR0129033Y1 (ko) 무선 전화기의 정전류 충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