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3405A -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 Google Patents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3405A
KR19990053405A KR1019970073028A KR19970073028A KR19990053405A KR 19990053405 A KR19990053405 A KR 19990053405A KR 1019970073028 A KR1019970073028 A KR 1019970073028A KR 19970073028 A KR19970073028 A KR 19970073028A KR 19990053405 A KR19990053405 A KR 19990053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signal
lan
logic level
telepho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6674B1 (ko
Inventor
전병천
이재용
김경희
임주형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7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6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60Software-defined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더넷 랜을 구현하기 위한 매칭 어뎁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요지
본 발명은 이더넷 LAN에서 사용되던 기존 LAN 하드웨어를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여 기존 가정내 전화 선로상에서 이더넷 LAN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매칭 어뎁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랜 카드로부터의 랜신호를 입력받아 송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송신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전화선으로부터의 전화신호를 입력받아 수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수신제어신호 발생수단; 랜(LAN) 신호를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신호 변환수단; 및 전화선으로부터의 전화신호를 입력받아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신호 변환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2선 공유 버스 방식의 전화선로를 그대로 사용하여 이더넷 LAN을 구축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본 발명은 이더넷 랜(Ethernet Local Area Network)을 구현하기 위한 매칭 어뎁터(matching adapt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에 가정내에 포설되어 있는 2선 공유 버스 방식의 전화선로를 그대로 사용하여 이더넷 LAN을 구축하기 위한 매칭 어뎁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점차로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각종 컴퓨터와 정보기기들을 연결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넷 통신망이 크게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종단부분에서 실제 컴퓨터나 정보기기들이 접속되는 통신망중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이더넷 LAN이라 할 수 있다. 이더넷 LAN은 장기간에 걸쳐 검증된 안정성과 신뢰성을 가지며, 대량 생산에 의해 가장 경제적으로 구축될 수 있는 LAN이다.
요즈음, 이더넷 랜(Ethernet LAN)은 데이터 통신을 목적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더넷 LAN은 사용되는 물리적 매체, 통신 가능 거리 등의 특성에 따라 10Base5, 10Base2, 10BaseT로 나뉘어 진다. 10Base5와 10Base2는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으며, 10BaseT는 물리 매체로 특성 임피던스가 100Ω인 UTP (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을 사용한다.
그러나, 가정내에 포설되어 있는 전화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약 120Ω이 사용되므로, 기존 LAN에서 사용되는 물리 매체의 특성과 가정내에 포설된 전화선로의 물리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 LAN 하드웨어의 수정없이 전화선로를 이용하여 LAN을 구축한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더넷 LAN에서 사용되던 기존 LAN 하드웨어를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여 기존 가정내 전화 선로상에서 이더넷 LAN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비용을 들여 빠른 시간내에 가정내에서 이더넷 LAN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매칭 어뎁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이더넷 랜(Ethernet LAN)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랜의 매칭 어뎁터의 일실시예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랜의 매칭 어뎁터의 다른 실시예 회로도.
도 4는 도 2의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부의 일실시예 회로도.
도 5는 도 2의 수신제어신호 발생부의 일실시예 회로도.
도 6은 도 2의 제 1 신호 변환부의 일실시예 회로도.
도 7은 도 2의 제 2 신호 변환부의 일실시예 회로도.
도 8a 및 도 8b는 전화신호 변환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특성도.
도 9a 및 도 9b는 랜신호 변환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특성도.
도 10a는 랜카드의 Tx단을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의 특성도.
도 10b는 랜카드의 Tx단을 통해 송신하는 링크 테스트 펄스의 특성도.
도 11a는 랜카드의 Rx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특성도.
도 11b는 랜카드의 Rx단을 통해 수신된 링크 테스트 펄스의 특성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매칭 어뎁터에서 전화선으로 보내는 출력 특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송신제어신호 발생부 200: 수신제어신호 발생부
300: 제 1 신호 변환부 400: 제 2 신호 변환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회로와 전화선간의 신호를 접속하는 매칭 어뎁터에 있어서, 상기 LAN 회로로부터의 LAN신호를 입력받아 송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송신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전화선으로부터의 전화신호를 입력받아 수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수신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LAN 신호를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송신신호 변환수단; 상기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 1 신호 변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논리 레벨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전화선으로 전달하는 제 2 송신신호 변환수단; 상기 수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화선으로부터의 전화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수신신호 변환수단; 및 상기 수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 1 수신신호 변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논리 레벨 신호를 상기 랜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랜카드로 전달하는 제 2 수신신호 변환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Ethernet LAN)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매칭 어뎁터와 PC 사이는 UTP (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로 연결되고 매칭 어뎁터들간에는 전화선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매칭 어뎁터를 이용하여 4선을 사용하는 10BaseT를 2선 공유 버스 방식의 전화선로에서 구동시키는 것이다. 전화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약 120Ω이기 때문에 PC1과 PC2측의 매칭 어뎁터에서는 120Ω저항으로 터미네이션을 시켜 신호의 반사를 막는다. 그리고, 나머지 PC에 연결되는 매칭 어뎁터에서는 임피던스 교란을 막기 위해 전화선측에서 본 입력 임피던스 값을 매우 크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의 매칭 어뎁터의 일실시예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의 매칭 어뎁터는, 랜 카드로부터의 랜신호를 입력받아 송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송신제어신호 발생부(100)와, 전화선으로부터의 전화신호를 입력받아 수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수신제어신호 발생부(200)와, 상기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랜 카드로부터 입력되는 랜신호를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수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입력되는 논리 레벨 신호를 랜신호로 변환하여 랜카드로 전달하는 제 1 신호 변환부(300)와, 상기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논리 레벨 신호를 전환신호를 변환하여 전환선으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제어신호에 의해 전화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전화신호를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신호 변환부(300)로 전달하는 제 2 신호 변환부(400)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매칭 어뎁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2의 매칭 어뎁터는 PC(Persnal Computer)에서 내보내는 데이터 신호와 통신 링크를 검사하기 위한 링크테스트 펄스를 모두 통과시켜 전화선으로 내보내게 된다. 10BaseT에서는 링크테스트 펄스를 내보내고 되돌아오는 펄스를 수신하여 비정상적인 펄스를 받은 경우에는 모든 기능을 중지시킨다. 그래서, 상기 도 2의 매칭 어뎁터에서는 링크테스트 펄스를 전화선으로 내보내서 다른 매칭 어뎁터에게 링크 테스트 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자신도 링크 테스트 펄스를 수신하여 링크가 정상임을 확인하게 한다. 또한, 랜카드에 접속된 Tx 단을 통하여 데이터를 내보낼 때, 랜 카드에 접속된 Rx단에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고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기 때문에 Tx단에서 데이터 전송시에는 Rx단에 신호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런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재 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retriggerable multivibrator)를 이용해 라인 드라이버(line driver)와 수신기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만들어 낸다. 10BaseT에 사용되는 UTP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100Ω인데, PC의 LAN 카드에서 매칭 어뎁터를 보았을 때 기존의 UTP 케이블을 연결한 것과 같이 보이도록 도 2의 Tx+, Tx-에 50Ω 저항을 각각 연결하였다. 전화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약 120Ω이기 때문에, 인버터(411, 421)들과 전화선을 연결한 곳에 두 개의 60Ω 저항을 연결하여 120Ω으로 터미네이션하여 신호의 반사를 막았다. 여기서, 저항값을 반으로 나누어 각각 접지와 연결한 것은 멀티바이브레이터로 입력되는 트리거(trigger) 신호가 플로팅(floating)되지 않도록 하고, 신호가 차동(differential) 모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LAN의 매칭 어뎁터의 다른 실시예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제어신호 발생부(100)가 도 2와 다르다.
도 3의 매칭 어뎁터는 PC에서 나오는 데이터 신호만 통과시키고 링크테스트 펄스는 전화선으로 내보내지 않는다. 도 3의 매칭 어뎁터에서는 Tx-단으로 입력되는 신호만을 트리거 신호로 사용하여 링크 테스트 펄스는 매칭 어뎁터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 점이 도 2의 매칭 어뎁터와 다르다.
도 4는 도 2의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부의 일실시예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부는, PC의 랜카드에서 Tx+ 단을 통해 전달되는 링크 테스트 펄스를 검출하여 전달하는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부(110)와, PC의 랜카드에서 Tx- 단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전달하는 데이터 검출부(120)와,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부(110)의 출력신호와 데이터 검출부(12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인버터(311)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송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기(130)와,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기(13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인버터(411)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제 2 송신제어신호 발생기(140)를 구비한다.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부(110)와 데이터 검출부(120)는 각각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11, 121)로 이루어진다.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기(130)는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부(110)의 출력신호와 데이터 검출부(120)의 출력신호를 부정논리합하는 부정논리합 게이트(131)로 이루어진다.
제 2 송신제어신호 발생기(140)는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기(130)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141)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도 2의 제 1 송신신호제어 발생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Tx+ 단과 Tx- 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인버터(311, 411)들에 대한 인에이블신호를 만들어 내는 부분을 다시 나타낸 것으로, PC에서 나오는 신호를 전화선으로 전달시키는 기능을 한다.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11, 121)에에서 생성된 인에이블신호를 이용해 링크테스트 펄스 및 데이터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한다.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11, 121)의 트리거 신호는 Tx+ 단 및 Tx- 단을 통해 입력되는 PC의 랜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한다. Tx+ 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트리거 신호로 사용하는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11)는 링크 테스트 펄스를 통과시켜 전화선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고, Tx- 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트리거신호로 사용하는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21)는 데이터 신호가 매칭 어뎁터를 통과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11, 121)의 출력은 길이가 300ns인 펄스가 나오는데, 데이터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한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21)의 출력은 300ns가 지나기 전에 계속 재 트리거가 되어 데이터 신호의 길이 이상으로 펄스가 나오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10Mbps로 동작하는 이더넷 LAN은 맨체스터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고, 한 비트 시간이 0.1μs가 되기 때문에 신호가 통과되는데 충분한 시간을 주기위해 각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11, 121)의 단일 펄스 길이를 300ns로 하였다. 그리고, 각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11, 121)는 신호가 상승시 트리거 되도록 하였다. 인버터(311, 411)는 PC에서 데이터나 링크 테스트 펄스가 나오는 경우, 이를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정논리합 게이트(131)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와 링크 테스트 펄스를 부정논리합하여 전달한다.
도 5는 도 2의 수신제어신호 발생부의 일실시예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수신신호 발생부는, 전화선으로부터 전달되는 링크 테스트 펄스를 검출하여 전달하는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부(210)와, 전화선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전달하는 데이터 검출부(220)와, 전화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서 TTL 신호를 검출하는 논리레벨신호 검출부(230)와,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부(210)의 출력신호, 데이터 검출부(220)의 출력신호 및 논리레벨신호 검출부(23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인버터(321)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송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수신제어신호 발생기(240)와, 제 1 수신제어신호 발생기(24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인버터(421)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제 2 수신제어신호 발생기(250)와, 데이터가 송신중에 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달 방지부(260)와, 인에이블신호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호를 논리레벨신호 검출부(230)로 출력하는 인에이블신호 차단 방지부(270)를 구비한다.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부(210), 데이터 검출부(220) 및 논리레벨신호 검출부(230)는 각각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211, 221, 231)로 이루어진다.
제 1 수신제어신호 발생기(240)는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부(210)의 출력신호와 데이터 검출부(220)의 출력신호를 부정논리합하는 논리합 게이트(241)와, 논리합 게이트(241)의 출력신호와 논리레벨신호 검출부(231)의 출력신호를 논리합하는 논리합 게이트(242)와, 논리합 게이트(242)의 출력신호와 역전달 방지부(260)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논리곱게이트(243)를 구비한다.
제 2 수신제어신호 발생기(250)는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기(240)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141)로 구성된다.
역전달 방지부(260)는 하나의 3-상태 버퍼로 구성된다.
인에이블신호 차단 방지부(270)는 접지에 의해 항상 인에이블상태를 유지하며, 두 입력단이 전화선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논리레벨신호 검출부(230)의 입력단에 연결된 3-상태 버퍼(27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도 2의 수신제어신호 발생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선의 신호를 감지하여 데이터 및 링크테스트 펄스를 수신하도록 인버터(321, 421)에 인에이블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수신제어신호 발생부의 기능은 전화선으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 신호 및 링크테스트 펄스를 LAN 카드의 Rx단에 전달하고, Tx단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Rx단으로 자신이 보낸 데이터가 곧바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여 잘못된 충돌 감지를 하지 않도록 한다. 도 4에서 설명한 송신제어신호 발생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211, 221, 231)에서 나오는 단일 펄스의 길이는 300ns이고, 신호가 상승시 트리거 되도록 하였다.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211)는 링크 테스트 펄스를,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221)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해 낸다. 전화선에서는 데이터 신호가 들어올 때, 그 신호 레벨이 작아서 TTL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는 데이터 신호는 계속 들어오고 있지만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211, 221, 231)를 트리거시켜 주지 못하기 때문에,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221)의 출력에서 인에이블신호가 끊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 인버터가 데이터를 통과시키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전송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데이터 신호 레벨이 작아서 인에이블신호가 끊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인버터(271)를 이용하여 전화선상의 신호에 대한 TTL 레벨 신호를 생성한 다음, 이 TTL 레벨 신호로 또 다른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인에이블신호를 만든다.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211, 221, 231)의 출력신호를 논리조합한 인에이블신호를 인버터(321, 421)로 전달한다. 10BaseT에서는 Tx단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 Rx단으로 데이터가 들어오게 되면 충돌로 감지한다. 그런데, 10BaseT는 4선을 사용하여 Tx와 Rx가 따로 분리되어 있지만, 가정 전화선로는 2선 공유 버스 방식이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칭 어뎁터에서 전화선으로 데이터를 내보내게 되면 그 데이터가 다시 되돌아 들어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잘못된 충돌 감지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을 멈추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의 수신제어신호 발생부에서는 3-상태 버퍼(261)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는 데이터가 Rx단으로 되돌아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였다. Tx- 신호와 Tx+ 신호는 위상 (phase)이 180° 차이가 생겨 링크 테스트 펄스가 나올 때 Tx- 에서는 음의 값을 유지하게 되어 TTL 레벨을 벗어나기 때문에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21)의 출력은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데이터 신호가 나올 때는 트리거가 되기 때문에 하이를 유지하게 되고 Q'의 값은 로우가 된다. 이때,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21)의 Q'와 연결된 3-상태 버퍼가 논리곱 게이트에 로우값을 전달하여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121, 221)에 공급되는 인에이블신호를 차단하게 된다.
도 6은 도 2의 제 1 신호 변환부의 일실시예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제 1 신호 변환부(300)는, 상기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랜카드로부터 전달된 랜신호를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여 제 2 신호 변환부(400)로 전달하는 제 1 논리레벨신호 변환부(310)와, 상기 수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2 신호 변환부(400)로부터 전달된 논리 레벨 신호를 랜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랜카드로 전달하는 랜신호 변환부(320)를 구비한다.
제 1 논리레벨신호 변환부(310)는 인버터(311)로 구성된다.
랜신호 변환부(320)는 인버터(321)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도 2의 제 1 신호 변환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제 1 신호 변환부는 랜 카드에서 나오는 랜신호를 TTL 레벨 신호로 변환하거나 TTL 레벨 신호를 랜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는 수행한다.
Tx와 Rx는 RJ-45(칩 명칭)의 8핀중 랜에서 사용하는 4핀을 나타낸 것이다. Tx+와 Tx- 각각에 연결된 50Ω 저항은 랜 카드에서 입력되는 트리거 신호가 플로팅(floating)되지 않도록 한다. Tx단에서의 랜신호는 인버터(311)의 수신기를 통과한 다음 TTL 레벨 신호로 바뀌어 제 2 신호 변환부로 입력된다.
데이터 수신시에는, 제 2 신호 변환부에서 전달된 TTL 레벨 신호가 인버터(321)의 라인 드라이버를 통과하여 랜카드의 수신단인 Rx+와 Rx-로 전달되게 된다.
도 7은 도 2의 제 2 신호 변환부의 일실시예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제 2 신호 변환부는, 상기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논리레벨신호 변환부(310)로부터 전달된 논리 레벨 신호를 전화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선으로 전달하는 전화신호 변환부(410)와, 상기 전화선으로부터 입력된 전화신호를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논리레벨신호 변환부(420)를 구비한다.
전화신호 변환부(410)는 인버터(411)로 구성된다.
제 2 논리레벨신호 변환부(420)는 인버터(42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도 2의 제 2 신호 변환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선(Phone+, Phone-)상의 신호를 TTL 레벨로, 또는 TTL 레벨 신호를 전환선상의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도 7의 좌측에서의 TTL 레벨신호는 인버터(411)의 라인 드라이버를 통과하여 전화선상으로 전달되게 되고, 전화선(Phone+, Phone-)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인버터(411)의 수신기를 통과한 다음 TTL 레벨신호로 바뀌게 된다. Phone+와 Phone- 각각에 연결된 60Ω 저항은 전화선에서 신호반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사용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전화신호 변환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특성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랜신호 변환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특성도이고, 도 10a는 랜카드의 Tx단을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의 특성도이고, 도 10b는 랜카드의 Tx단을 통해 송신하는 링크 테스트 펄스의 특성도이고, 도 11a는 랜카드의 Rx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특성도이고, 도 11b는 랜카드의 Rx단을 통해 수신된 링크 테스트 펄스의 특성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매칭 어뎁터에서 전화선으로 보내는 출력 특성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더넷 랜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는, 기존 가정내 전화선로를 그대로 이용하고, 기존의 저렴한 이더넷t LAN 하드웨어를 그대로 이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가정내 LAN을 구축할 수 있어서, 가정내 정보기기들을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특히 차세대 초고속 정보통신망 시대에 필요한 가정내망을 가장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어 정보화 사회를 앞당기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회로와 전화선간의 신호를 접속하는 매칭 어뎁터에 있어서,
    상기 LAN 회로로부터의 LAN신호를 입력받아 송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송신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전화선으로부터의 전화신호를 입력받아 수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수신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LAN 신호를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송신신호 변환수단;
    상기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 1 신호 변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논리 레벨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전화선으로 전달하는 제 2 송신신호 변환수단;
    상기 수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화선으로부터의 전화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논리 레벨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수신신호 변환수단; 및
    상기 수신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 1 수신신호 변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논리 레벨 신호를 상기 랜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랜카드로 전달하는 제 2 수신신호 변환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LAN 회로에서 전달되는 링크 테스트 펄스를 검출하여 전달하는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수단;
    상기 LAN 회로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전달하는 데이터 검출수단;
    상기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데이터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송신신호 변환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송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송신신호 변환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송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2 송신제어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AL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수단은,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수단은,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데이터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부정논리합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1 송신제어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전화선으로부터 전달되는 링크 테스트 펄스를 검출하여 전달하는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수단;
    상기 전화선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전달하는 데이터 검출수단;
    상기 전화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서 논리레벨신호를 검출하는 논리레벨신호 검출수단;
    상기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 상기 데이터 검출수단의 출력신호 및 상기 논리레벨신호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수신신호 변환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수신제어신호 발생부;
    상기 제 1 수신제어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수신신호 변환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신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2 수신제어신호 발생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송신중에 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달 방지수단; 및
    인에이블신호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논리레벨신호 검출수단으로 출력하는 인에이블신호 차단 방지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수단은,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수단은,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10. 제 7 항에 있었서,
    상기 논리레벨신호 검출수단은,
    재트리거 멀티바이브레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링크 테스트 펄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데이터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부정논리합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논리레벨신호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논리합하는 수단; 및
    상기 논리합하는 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역전달 방지수단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1 수신제어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13. 제 7 항에 있었서,
    상기 역전달 방지수단은,
    3-상태 버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신호 차단 방지수단은,
    3-상태 버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더넷 LAN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KR1019970073028A 1997-12-24 1997-12-24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KR10025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028A KR100256674B1 (ko) 1997-12-24 1997-12-24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028A KR100256674B1 (ko) 1997-12-24 1997-12-24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405A true KR19990053405A (ko) 1999-07-15
KR100256674B1 KR100256674B1 (ko) 2000-05-15

Family

ID=1952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028A KR100256674B1 (ko) 1997-12-24 1997-12-24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345A (ko) * 2001-10-25 2001-11-29 에세텔 주식회사 이더넷 단말을 이용한 전화선로 근거리 통신망 구축용매칭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62A (ko) * 2001-02-26 2002-09-05 주식회사 씨엘씨소프트 한 쌍의 신호선을 통한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더넷시스템
KR100436749B1 (ko) * 2001-04-11 2004-06-22 주식회사 씨엘씨소프트 8선 또는 4선식 이더넷 시스템을 2선으로 통신이가능하도록 하는 외장형 장치
KR20030068265A (ko) * 2002-02-14 2003-08-21 임성호 디지털 로직을 이용하여 10 베이스 티를 2선식으로구현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345A (ko) * 2001-10-25 2001-11-29 에세텔 주식회사 이더넷 단말을 이용한 전화선로 근거리 통신망 구축용매칭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6674B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7369A (en) AUI to twisted pair loopback
US6175556B1 (en) Remote powered ethernet repeater
US4959833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bus extender
US9203640B2 (en) Long distance subsea can bus repeater cable
US4809361A (en) Optical composite transceiver
JPS63279635A (ja) 電気的及び光学的な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EP28756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optical can buses
JPH01503347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媒体アダプタ
JPS5819044A (ja) 電気−光インタフエ−ス回路
US52630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MOS differential drive having a rapid turn off
KR940001612A (ko) 자동 감지 및 재편성 기능을 갖춘 네트워크칩
KR100256674B1 (ko)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구현을 위한 매칭 어뎁터
KR100277699B1 (ko) 기존 댁내 전화선로상에서 이더넷 랜 구축을 위한 매칭 어댑터
US5212685A (en) Control circuit for half-duplex/simplex interface in communication system
EP3005624A2 (en) Long distance subsea can bus repeater cable
JPH06224976A (ja) 半2重シリアル伝送用インターフェース変換回路
US5717714A (en) Inter-repeater backplane with mixed signal state machine interconnect
US6933745B2 (en) Bus network interface
KR100732830B1 (ko) 임베디드 시스템의 고속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KR20010106345A (ko) 이더넷 단말을 이용한 전화선로 근거리 통신망 구축용매칭 어댑터
KR0128896B1 (ko) 캐스캐이드로 접속된 원격 송수신장치
Hildin Connecting network-based data acquisition nodes to the network
JPS59183554A (ja) バス構造光ネツトワ−クの衝突検出方式
Sun A Half-duplex Synchronous Serial Fieldbus S^ sup 2^ CAN with Multi-host Structure
JPH02186854A (ja) 光データ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