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2684A -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2684A
KR19990052684A KR1019970072201A KR19970072201A KR19990052684A KR 19990052684 A KR19990052684 A KR 19990052684A KR 1019970072201 A KR1019970072201 A KR 1019970072201A KR 19970072201 A KR19970072201 A KR 19970072201A KR 19990052684 A KR19990052684 A KR 19990052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ox panel
vehicle
air box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7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2684A/ko
Publication of KR1999005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684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시키는 에어박스 패널의 압력저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면유리와 후드의 사이에 구비되는 종래 에어박스 패널의 구조가 차량의 외부로 돌출된 유입구가 에어박스 패널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의 유출구가 중앙부에 위치되는 관계로 인하여 공기 통로의 내부에서 공기저항 등으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되어 유입 풍량보다 유출 풍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상측 에어박스 패널(51)의 상부면 일측에 외기 도입부(55)를 중심에서 치우치게 형성하며, 하측 에어박스 패널(52) 내부에서 공기 유출부(59) 구비면 직상단에 중간 통로(57)를 형성하여, 상기 외기 도입부(55)와 중간 통로(57)가 서로 엇갈리는 대칭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 내부로 공급되는 외기의 속도가 증가됨과 동시에 원활한 순환이 되어 차량 내부 공기의 순환이 순조롭게 이루어져 항상 쾌적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PROTECTION STRUCTURE AIR BOX PANEL FROM PRESSURE DROP FOR A CAR)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시키는 에어박스 패널의 압력저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면유리와 후드의 사이에 구비되는 종래 에어박스 패널의 구조가 차량의 외부로 돌출된 유입구가 에어박스 패널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의 유출구가 중앙부에 위치되는 관계로 인하여 공기 통로의 내부에서 공기저항 등으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되어 유입 풍량보다 유출 풍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 중 발생되는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고 이때 발생되는 주행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와 격리된 밀폐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어와 창유리 사이에 형성된 고무패킹의 압착력으로 인하여 차량의 내부는 완전 밀폐되어 차량 외부의 공기와 순환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어 차량의 내부에 탑승한 인원에게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자동차에는 차량의 내부로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구조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공조구조는 차량에 설치된 블로워 모터를 회전시켜 차량의 내부로 공기를 압축시켜 차량의 내부로 송풍하고 계절에 따라서 열교환용 히터나 냉매 등을 이용하여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다. 이 블로워 모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차량에 탑승한 인원의 스위치 조작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내부 전방에 구비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표면과 하부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공간을 순환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순환하는 방식과 더불어 차량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는 자연 순환식이 있다.
이 자연 순환식 환기구조는 에어박스 패널에 의하여 구성되며 첨부된 도면의 도 1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전면 엔진룸을 덮고 있는 후드면 하부에 구비되고, 이 후드면의 일단부에 접하여 경사지게 전면 유리의 하부가 접하며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박스 패널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한 용적을 갖는 장방형의 공기 통로(21)가 구비되고 이 사각단면을 갖는 에어박스 패널의 본체는 다시 상·하로 절곡된 형상으로 어긋나게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되는 접합 부위의 내부로 상기 공기 통로(21)가 서로 연통된다.
이와 같이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박스 패널은 일측부가 후드와 접하게 되고, 절곡되어 하부 방향으로 어긋나며 연결된 또다른 일측부의 상부면에는 자동차 전면유리의 하단부와 결합되거나 밀폐능력을 갖도록 패킹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후드면과 접하는 에어박스 패널 상부면의 중앙부에는 체임버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일정길이로 개방된 슬릿(SLIT)형식을 갖는 공기 도입부가 구비되고, 차량의 전면유리 하단부와 접하는 에어박스 패널의 일부는 인스트루먼트와 접하며 상기의 공기 도입부와 동일한 형식으로 공기 유출부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차량에 장착되는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박스 패널(1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유입부(19)와 중간 통로(17)를 연통하는 내부구조를 가지며 주행 중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기 흐름량의 일부를 공기 유입부(19)로 도입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도입되는 공기는 통로를 거쳐서 차량의 내부와 연통된 중간 통로(17)로 유입되어 차량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작용을 하고 밀폐된 차량의 내부에 탑승한 인원들에게 신선한 외기를 공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적인 공기순환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박스 패널(11)의 구조가 직각으로 변환되는 공기 통로(21)를 갖는 관계로 박스 패널(11)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공기 통로(21)의 수직벽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이 상승되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또한 공기 유입부(19)와 연통되는 에어박스 패널(11)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고 저항이 발생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속도에 비하여 유출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챠량 내부 공기의 순환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의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구조가 차량의 외부로 돌출된 유입구가 에어박스 패널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차량 내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통로인 유출구가 중앙부에 위치되는 관계로 인하여 유입된 공기가 에어박스 패널의 내부에서 급격한 방향전환을 하게되어 통로의 내부에서 압력이 상승되어 공기의 유입량에 비해 차량내로 유출되는 공기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던 것을 배제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에어박스 패널의 공기 통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에어박스 패널 내부에 형성된 중간 통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에어박스 패널내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박스 패널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상측 에어박스 패널 52 : 하측 에어박스 패널
55 : 외기 도입부 57 : 중간 통로
59 : 공기 유출부 61 : 전면 유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곡률과 체적을 갖는 상·하측 에어박스 패널(51)(52)이 구비되고 이 상측 에어박스 패널(51)의 일측부 상부면에 형성된 외기 도입부(55)와, 하측 에어박스 패널(52)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 유출부(59)와, 하측 에어박스 패널 내부 공간에 구비된 중간 통로(57)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과 체적을 갖는 상·하측 에어박스 패널(51)(52)이 장방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각각의 상·하측 에어박스 패널(51)(52)은 상측 에어박스 패널(51) 일측부의 하부면과 하측 에어박스 패널(52) 일측부의 상부면이 서로 겹치며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측 에어박스 패널(52)의 우측 또는 좌측상부면의 일단부에 공기 유출부(59)를 갖는 슬릿이 구비되고 상측 에어박스 패널(51)의 상부면에는 상기 공기 유출부(59)와 반대 측면에 외기 도입부(55)를 갖는 슬릿이 형성된다.
상·하측 에어박스 패널(51)(52)의 내부에는 공기 유출부(59)와 외기 도입부(55)를 연통하는 중간 통로(57)가 형성되고 하측 에어박스 패널(52)의 상부면은 전면유리(61) 또는 유리와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패킹 등이 안착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압력저하방지 에어박스 패널은 자동차의 중심선과 전면유리(61)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쪽에 공기 통로가 구비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외기 도입부(55)로 도입되는 공기는 연장된 중간 통로(57)를 거치게 됨으로써 짧은 구간에서 급격한 방향 전환을 하는 종래의 에어박스 패널에 비하여 공기의 저항이 감소되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에어박스 패널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지 않게 되며 동시에 외기 도입부(55)로 유입되는 공기량과 내부의 공기 유출부(59)로 빠져나가는 공기량이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에어박스 패널에서 외기 도입부와 공기 유출부가 전면 유리면과 차량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때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취하는 관계로 에어박스 패널내의 압력이 증가해서 유입되는 공기량에 비해 차량 내부로 유출되는 공기량이 현저히 감소되던 문제점을 초래하였던 것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로 공급되는 외기의 속도가 증가됨과 동시에 원활한 순환이 되어 차량 내부 공기의 순환이 순조롭게 이루어져 항상 쾌적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일정 단차를 두고 일체로 형성된 상·하측 에어박스 패널(51)(52)로 구성되는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에 있어서, 상측 에어박스 패널(51)의 상부면 일측에 외기 도입부(55)를 중심에서 치우치게 형성하며, 하측 에어박스 패널(52) 내부에서 공기 유출부(59) 구비면 직상단에 중간 통로(57)를 형성하여, 상기 외기 도입부(55)와 중간 통로(57)가 서로 엇갈리는 대칭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
KR1019970072201A 1997-12-23 1997-12-23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 KR19990052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201A KR19990052684A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201A KR19990052684A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684A true KR19990052684A (ko) 1999-07-15

Family

ID=6609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201A KR19990052684A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26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40B1 (ko) * 2004-02-13 2007-03-2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정전형 액츄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40B1 (ko) * 2004-02-13 2007-03-2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정전형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050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EP1674310B1 (en)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of vehicles
KR10072397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2350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745078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365480B1 (ko)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KR19990052684A (ko) 자동차 에어박스 패널 압력저하 방지구조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35287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745077B1 (ko) 2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94614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US20190375272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316532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6116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759425B1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KR10086771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20030006411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20050103799A (ko) 이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도어 씰링 구조
JP41301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0134039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흡입구조
JP2000355208A (ja) 車両用空調装置
RU2141409C1 (ru) Отопительно-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807751B1 (ko) 2층 공기유동구조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기
KR2022003440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12009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