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0535A -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0535A
KR19990050535A KR1019970069667A KR19970069667A KR19990050535A KR 19990050535 A KR19990050535 A KR 19990050535A KR 1019970069667 A KR1019970069667 A KR 1019970069667A KR 19970069667 A KR19970069667 A KR 19970069667A KR 19990050535 A KR19990050535 A KR 19990050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gmentation
segmentation result
region
uncertain
corre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072B1 (ko
Inventor
최재각
김문철
이명호
안치득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6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0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072B1/ko

Links

Landscapes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시간 또는 공간 분할된 결과 영역 경계 주위의 일정한 대역을 불확실한 영역으로 설정하고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 불확실한 영역에 속하는 화소를 주위의 확실한 영역중의 하나로 할당하므로써 영상 분할 결과를 정확하게 보정하는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에 대해 불확실한 영역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정된 불확실한 영역을 분할하여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는 제 2 단계; 및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여 보정된 영상 분할 결과를 재보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영상 분할에 이용됨.

Description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
본 발명은 동영상을 비디오 객체들 즉, 움직임 물체 및 배경으로 시간 또는 공간 분할한 후에 움직임 물체 및 배경의 정확한 경계를 보정하는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간 정보 및 분수령 알고리즘(watershed algorithm)을 이용하여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는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동영상을 움직임 물체와 배경으로 이진화한 후에 분할된 마스크에 대해 메디안 필터와 같은 단순한 방법을 사용하여 영역의 경계를 보정하였다. 즉, 메디안 필터와 같은 잡음 제거 필터를 사용하면 잘못 분할된 작은 점이나 간단한 잡음은 보정되지만 그외의 다른 형태의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는 보정이 불가능하여,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를 근본적으로 보정하여 정확한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를 정확히 보정하기 위해서 잘못 분할된 부분(불확실한 영역)을 예측하고 이 불확실한 영역에 속하는 화소를 주위의 가장 유사한 영역으로 할당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시간 또는 공간 분할된 결과 영역 경계 주위의 일정한 대역을 불확실한 영역으로 설정하고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 불확실한 영역에 속하는 화소를 주위의 확실한 영역중의 하나로 할당하므로써 영상 분할 결과를 정확하게 보정하는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 분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영상 분할기
102 : 영상 분할 결과 보정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 분할 시스템에 적용되는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에 있어서,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에 대해 불확실한 영역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정된 불확실한 영역을 분할하여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는 제 2 단계; 및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여 보정된 영상 분할 결과를 재보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 분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영상을 분할하고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는 시스템이다.
먼저, 영상 분할기(101)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하여 여러 가지 영상 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시간 분할 또는 공간 분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시간 분할 결과 마스크 또는 공간 분할 결과 마스크가 생성된다.
그런 다음, 영상 분할 결과 보정기(102)는 분할된 결과 마스크에 대해 잘못 분할된 화소 또는 잘못 분할된 영역을 보정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공간 정보 및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는 방법의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때, 시각적으로 의미있는 경계 보정을 위해서 밝기 정보도 이용한다.
먼저,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 즉 시간 분할 결과 또는 공간 분할 결과를 수신하면(201)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기 위해서 잘못 분할된 부분이 어디인지를 예측하여 잘못 분할된 영역을 불확실한 영역으로 설정한다(202). 불확실한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잘못 분할된 영역의 경계 주위의 일정한 범위내에 정확한 영역의 경계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잘못 분할된 영역 주위의 일정한 대역을 불확실한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때, 설정되는 대역의 크기는 적용되는 영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후, 불확실한 영역에 대해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불확실한 영역을 분할하므로써, 1차로 분할 결과를 보정한다(203). 불확실한 영역에 대해 공간 정보 및 분수령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불확실한 영역에 속하는 모든 화소에 대해 하나의 화소를 중심으로 일정한 크기의 윈도우를 설정한 후에, 이 윈도우에 속하는 화소중 이미 분할된 확실한 영역들의 평균 밝기값을 구하고, 이 평균 밝기값과 원도우의 중심 화소의 밝기값과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이 유사성에 따라 가장 유사한 확실한 영역중 하나에 불확실한 영역에 속하는 화소를 할당한다.
이후, 1차 보정된 영상 분할 결과에 대해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므로써, 2차 보정을 수행한 후에(204) 보정된 영상 분할 결과를 출력한다(20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므로써, 정확한 영역의 경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영상 분할 시스템에 적용되는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에 있어서,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에 대해 불확실한 영역을 설정하는 제 1 단계;
    공간 정보와 분수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정된 불확실한 영역을 분할하여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는 제 2 단계; 및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여 보정된 영상 분할 결과를 재보정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시간 분할 또는 공간 분할시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를 수신하는 제 4 단계; 및
    잘못된 영상 분할 결과를 보정하기 위해서 잘못 분할된 부분이 어디인지를 예측하여 잘못 분할된 영역을 불확실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이루어진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잘못 분할된 영역의 경계 주위의 일정한 범위내에 정확한 영역의 경계가 존재하므로, 잘못 분할된 영역 주위의 일정한 대역을 불확실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불확실한 영역에 속하는 모든 화소에 대해 하나의 화소를 중심으로 한 일정한 크기의 윈도우를 설정하는 제 6 단계;
    설정된 윈도우에 속하는 화소중 이미 분할된 확실한 영역들의 평균 밝기값을 구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평균 밝기값과 원도우의 중심 화소의 밝기값과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유사한 확실한 영역중 하나에 불확실한 영역에 속하는 화소를 할당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보정된 영상 분할 결과에 대해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여 재보정을 수행하는 제 9 단계; 및
    보정된 영상 분할 결과를 출력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상 분할 결과 보정 방법.
KR1019970069667A 1997-12-17 1997-12-17 공간정보와분수령알고리즘을이용한영상분할결과보정방법 KR100283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67A KR100283072B1 (ko) 1997-12-17 1997-12-17 공간정보와분수령알고리즘을이용한영상분할결과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67A KR100283072B1 (ko) 1997-12-17 1997-12-17 공간정보와분수령알고리즘을이용한영상분할결과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35A true KR19990050535A (ko) 1999-07-05
KR100283072B1 KR100283072B1 (ko) 2001-03-02

Family

ID=6609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667A KR100283072B1 (ko) 1997-12-17 1997-12-17 공간정보와분수령알고리즘을이용한영상분할결과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576A1 (ko) * 2017-09-15 2019-03-21 한국과학기술원 환자 맞춤형 최적 이진화 방법과 분수령 알고리즘에 기반한 관절의 완전 자동 영상 분할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576A1 (ko) * 2017-09-15 2019-03-21 한국과학기술원 환자 맞춤형 최적 이진화 방법과 분수령 알고리즘에 기반한 관절의 완전 자동 영상 분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072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6950B2 (en) Apparatus for creating interpolation frame
EP0113016B1 (en) Correction of shading effects in video images
US9390511B2 (en) Temporally coherent segmentation of RGBt volumes with aid of noisy or incomplete auxiliary data
JPH0944670A (ja) 特定画像領域抽出方法及び特定画像領域抽出装置
KR100557660B1 (ko) 영상 신호에서의 플리커 검출 방법
US20050276510A1 (en) Filtering of noisy images
US6141460A (en) Method for detecting edges in an image signal
ES2359985T3 (es) Un método y un aparato para la interpolación de imágenes.
KR960036789A (ko) 고화질 영상 시스템의 영역 분할 장치
JPH1117954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100283072B1 (ko) 공간정보와분수령알고리즘을이용한영상분할결과보정방법
US7245782B2 (en) Spatial smoothing process and device for dark regions of an image
US84519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lobal motion estimation using profile matching
KR100249823B1 (ko) 정지 영상의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0782848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140382B (zh) 一种屏幕区域检测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JPS60128791A (ja) ビデオ信号の動き検出回路
KR20040079550A (ko) 움직임 블록 검출 방법 및 이에 기초한 움직이는 물체추적 방법
JP2001521229A (ja) モホロジカル画像分割のための時空間結合マーカ抽出方法
KR100212844B1 (ko) 디지탈 영상에서 더블 윈도우를 이용한 경계선 검출방법
JP201619258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5390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H01168164A (ja) 画像処理装置
JPH11250264A (ja) 動きベクトル推定方法および装置
KR100448236B1 (ko) 체인코드 추적을 이용한 잡음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