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9048A - 과전류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과전류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9048A
KR19990049048A KR1019970067885A KR19970067885A KR19990049048A KR 19990049048 A KR19990049048 A KR 19990049048A KR 1019970067885 A KR1019970067885 A KR 1019970067885A KR 19970067885 A KR19970067885 A KR 19970067885A KR 19990049048 A KR19990049048 A KR 19990049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overcurrent
voltage regulator
integrated circuit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7006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9048A/ko
Publication of KR1999004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048A/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업 발생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집적회로 및 전압 레귤레이터를 보호하여 회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집적회로로 전달되는 과전류를 접지단으로 바이패스시키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에미터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레스홀드 전압을 결정하는 저항 R1,R2 및 로드(LOAD)저항 R3,R4와, 과전류가 전압 레귤레이터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온/오프를 결정하는 제 4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5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과전류 보호회로
본 발명은 CMOS집적회로에 있어서, 래치-업(Latch-up)발생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집적회로 및 레귤레이터(Regulator)를 보호하기 위한 과전류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압 레귤레이터(11)와 집적회로(12)사이에 구성되어 래치업 발생시 전압 레귤레이터(11)를 통해 집적회로(12)로 전달되는 과전류를 접지단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에미터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다이오드(D1)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레스홀드 전압을 결정하는 저항 R1,R2와, 그리고 로드(LOAD)저항 R3,R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고, 제 2 트랜지스터(Q2)는 PNP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과전류 보호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동작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Q1,Q2)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전류는 Vin에서 전압 레귤레이터(11)를 통해 집적회로(12)쪽으로 전달된다.
이어, 래치-업 발생시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제 2 트랜지스터(Q2)는 래치-업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하며, 래치-업이 발생되면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래치-업이 발생되면, 전압 레귤레이터(11)와 집적회로(12)사이의 전압(Vout)은 낮은 임피던스(Impedance)되어 전류는 증가하게 되고, 전압은 낮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는 미리 설정된 저항 R1,R2값에 의해 스레스홀드 전압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Vout)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스레스홀드 전압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스레스홀드 전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1.4(V)는 상기 다이오드(D1)와 제 2 트랜지스터(Q2)의 스레스홀드 전압을 합한 값이다.
이와같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됨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됨으로 인하여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와 집적회로(12)사이의 전압(Vout)을 접지단으로 바이패스시켜 더 이상 집적회로쪽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한다.
이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C1과 R2에 의해서 결정),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가 되고, 이에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도 턴-오프상태가 됨으로써, 래치-업상태에서 정상동작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과전류 보호회로는 래치-업 발생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집적회로를 보호할 수는 있으나 과전류가 전압 레귤레이터로 입력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래치-업 발생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집직회로를 포함한 전압 레귤레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과전류 보호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과전류 보호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 전압 레귤레이터 12,22 : 집적회로
23 : 바이패스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전류 보호회로는 래치-업 발생시 과전류로부터 집적회로 및 전압 레귤레이터를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회로에 있어서,집적회로로 전달되는 과전류를 접지단으로 바이패스시키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에미터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레스홀드 전압을 결정하는 저항 R1,R2 및 로드(LOAD)저항 R3,R4와, 과전류가 전압 레귤레이터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온/오프를 결정하는 제 4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5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전류 보호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종래 과전류 보호회로가 집적회로만 보호할 수 있었던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과전류를 전압 레귤레이터로부터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부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집적회로 및 전압 레귤레이터를 과전류로부터 모두 보호하고자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과전류 보호회로는 전압 레귤레이터(21)와 집적회로(22)사이에 구성되어 래치-업 발생시 전압 레귤레이터(21)를 통해 집적회로(22)로 전달되는 과전류를 접지단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에미터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21)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다이오드(D1)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레스홀드 전압을 결정하는 저항 R1,R2와, 그리고 로드(LOAD)저항 R3,R4와, 래치-업 발생시 과전류가 전압 레귤레이터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 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온/오프를 결정하는 제 4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5 트랜지스터(Q5)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Q5)의 스레스홀드 전압을 결정하는 저항 R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제 4, 제 5 트랜지스터(Q3,Q4,Q5)에 의해 전압 레귤레이터에 인가되는 과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부(23)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의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래치-업 발생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집적회로를 보호하는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래치-업 발생시 전압 레귤레이터(21)와 집적회로(22)사이의 전압(Vout)의 점차 낮아지게 된다.
결국, 제 2 트랜지스터(Q2)의 스레스홀드 전압이 이하로 낮아지면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상기 Vout이 제 1 트랜지스터(Q1)를 통해 접지단으로 바이패스되어 더 이상 집적회로(22)로 과전류가 들어가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래치-업 발생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집적회로(22)를 보호하게 된다.
이어, 과전류로부터 전압 레귤레이터를 보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 트랜지스터(Q2)는 래치-업이 발생하는 것을 모니터링한다.
이에 래치-업이 발생하면,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도 턴-온된다.
래치-업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Q1,Q2)는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 5 트랜지스터(Q5)는 턴-온상태가 된다.
상기 제 5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됨에 따라 다이오드(D1)의 출력단 전압이 제 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결국, 제 4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된다.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됨에 따라 접지전압이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제 3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킴으로써,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래치-업이 발생하면,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전압이 제 5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상기 제 5 트랜지스터(Q5)를 턴-오프시킨다.
상기 제 5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됨에 따라 제 4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된다.
결국,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됨에 따라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래치-업 발생에 따른 과전류가 전압 레귤레이터(21)로 들어가는 경로가 차단되어 더 이상 과전류가 전압 레귤레이터(21)로 들어가지 못한다.
이후,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됨에 따라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21)의 입력이 컷-오프되어 래치-업이 끝나게 되면,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Q1,Q2)는 턴-오프되고, 상기 제 3, 제 4, 제 5 트랜지스터(Q3,Q4,Q5)가 턴-온되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과전류 보호회로는 래치-업 발생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집적회로뿐만 아니라 전압 레귤레이터까지도 보호하므로써, 회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래치-업 발생시 과전류로부터 집적회로 및 전압 레귤레이터를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회로에 있어서,
    집적회로로 전달되는 과전류를 접지단으로 바이패스시키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에미터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레스홀드 전압을 결정하는 저항 R1,R2 및 로드(LOAD)저항 R3,R4와,
    과전류가 전압 레귤레이터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온/오프를 결정하는 제 4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5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보호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트랜지스터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제 3 트랜지스터가 오프되어 전압 레귤레이터로 입력되는 과전류의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보회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와 집적회로 사이의 전압변화에 따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오프가 결정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집적회로로 입력되는 과전류를 접지단으로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보호회로.
KR1019970067885A 1997-12-11 1997-12-11 과전류 보호회로 KR19990049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885A KR19990049048A (ko) 1997-12-11 1997-12-11 과전류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885A KR19990049048A (ko) 1997-12-11 1997-12-11 과전류 보호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048A true KR19990049048A (ko) 1999-07-05

Family

ID=6608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885A KR19990049048A (ko) 1997-12-11 1997-12-11 과전류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90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719B1 (ko) * 2001-07-13 2005-03-10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719B1 (ko) * 2001-07-13 2005-03-10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 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1701A (en) Transistor protection circuit
JPH0510522Y2 (ko)
JPH0683042B2 (ja) 出力ドライバ回路
US4291357A (en)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US3074006A (en) Transistor circuit overload protective device
US5764088A (en) Control circuit for an electronic switch, and a switch constituting an application thereof
US5285346A (en) Current driven control circuit for a power device
EP0917338B1 (en) Dual-limit current-limiting battery-feed circuit for a digital line
KR19990049048A (ko) 과전류 보호회로
US4644294A (en) Device for protecting a push-pull output stage against a short-circuit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positive pole of the supply
JPH11113169A (ja) 半導体回路の保護装置
KR100195527B1 (ko) 전력 공급기의 과잉 음전압에 대한 집적회로용 보호회로
JP3192437B2 (ja) 電源用icの短絡保護回路
KR100218359B1 (ko) 쇼트 전류 방지회로
JP3440636B2 (ja) パワー素子駆動回路
JPH06245366A (ja) 過電圧保護回路
KR900009468Y1 (ko)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KR910005626Y1 (ko) 과전류 보호 회로
EP0921638B1 (en) Bus driver circuit
JPH0422571Y2 (ko)
SU1238047A1 (ru)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с защитой (его варианты)
JP3023484U (ja) 電源回路の出力電圧制御回路における過電流保護回路
JPH08289458A (ja) 過電流保護回路装置
JPS61245222A (ja) 定電圧電源回路
JP2964567B2 (ja) 過電流防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