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9032A -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9032A
KR19990049032A KR1019970067869A KR19970067869A KR19990049032A KR 19990049032 A KR19990049032 A KR 19990049032A KR 1019970067869 A KR1019970067869 A KR 1019970067869A KR 19970067869 A KR19970067869 A KR 19970067869A KR 19990049032 A KR19990049032 A KR 19990049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display
camera
imag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근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70067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9032A/ko
Publication of KR1999004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0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ewfind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고, 촬영된 피사체 정보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무선 송신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메라 장치와 착탈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피사체의 상을 화상으로 나타내고, 상기 카메라 장치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카메라 장치와 화상 표시 장치가 착탈식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컴팩트화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리모콘 기능을 가지므로 촬영 대상인 사람이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촬영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치에 착탈 가능하고, 각 장치가 분리되었을 때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상이 화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렌즈로 입사되는 피사체를 반사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처리한 다음 액정 표시 장치(LCD:Liquid Crystal Device;이하 LCD라 칭함) 화면에 피사체의 영상이 나타나도록 하는 카메라이다.
그러므로,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일반 카메라와는 사용자가 달리 파인더(finder) 광학계를 통해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하지 않고, 뷰 파인더(view finder)로 이용된 표시 장치인 LCD에 나타난 피사체의 상을 확인하므로써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피사체의 상을 나타내기 위해 LCD의 사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그중 LCD를 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있고, LCD를 본체에 부착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임의로 착탈시킬 수 있는 것도 있다.
상기에서 LCD를 본체에 내장하고 있는 경우에,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LCD를 부착함에 의해 카메라 전체 크기가 커지고 상기 LCD의 전력 소모가 커서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에는 항상 촬영자의 의도에 따라 피사체의 구도가 설정되어, 인물 촬영시, 촬영되는 사람의 의도대로 촬영 구도를 설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사체의 상을 영상으로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를 디지탈 스틸 카메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착탈시 무선으로 전송되는 촬영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카메라 전체의 크기가 소형화된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구체화한 형상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이 발명은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고, 촬영된 피사체 정보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무선 송신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메라 장치와 착탈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피사체의 상을 화상으로 나타내고, 상기 카메라 장치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는 파인더가 장착되어 단독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고, 촬영된 피사체 정보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무선 송신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리모콘 신호에 따라 해당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장치(1)와;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착탈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장치(1)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1)에서 직접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피사체의 상을 화상으로 나타내고, 상기 카메라 장치(1)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카메라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하여 촬영이 수행되도록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11)와,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렌즈군(L1)과,
사용자가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군(L1)에 의해 결상된 상을 나타내는 뷰 파인더(L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리모콘 수신부(12)와,
상기 렌즈군(L1)에 의해 결상된 광을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하 결합 소자부(CCD:Charge coupled device;이하 CCD라 칭함)(13)와,
상기 CCD부(13)에서 출력하는 결상 광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디지탈 영상 신호로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4)와,
상기 스위치부(11) 또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12)에서 출력하는 해당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14)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마이컴(15)과,
상기 제1 마이컴(15)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6)와,
상기 제1 마이컴(15)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해당하는 반송파에 실어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17)와,
외부 장치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장치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1 마이컴(15)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장착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는,
상기 카메라 장치(1)의 제1 장착부(18)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장치(1)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장착부(21)와,
상기 스위치부(11)와 동일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장치(1)의 동작을 원격으로 조정하도록 하는 리모콘 스위치부(22)와,
상기 무선 송신부(17)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반송파로부터 디지탈 영상 신호를 분리하는 무선 수신부(23)와,
상기 제2 장착부(21) 또는 무선 수신부(2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가 화상으로 나타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콘 스위치부(22)에서 출력하는 신호가 해당하는 리모콘 신호로서 상기 카메라 장치(1)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2 마이컴(24)과,
상기 리모콘 스위치부(22)의 해당 신호를 해당하는 리모콘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카메라 장치(1)로 출력하는 리모콘 송신부(25)와,
상기 제2 마이컴(24)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정보를 LCD 화면에 화상으로 나타내는 화상 표시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는 텔레비젼의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271)와, 음향과 채널을 조정할 수 있는 튜너(tuner)(27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신한 전파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24)를 통해 텔레비젼 영상이 나오도록 하는 텔레비젼부(2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스위치부(11)는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 릴리즈 스위치(release switch)(S1)와, 해당하는 카메라 기능이 선택되도록 하는 제1 메뉴(menu) 스위치(S2)와, 광각단으로 렌즈를 변배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와이드(wide) 스위치(S31)와 망원단으로 변배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텔레(tele) 스위치(S32)로 이루어진 제1 줌 스위치(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 스위치부(22)는 상기 스위치부(1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릴리즈 스위치(S4)와, 제2 메뉴 스위치(S5)와, 제2 텔레 및 와이드 스위치(S61, 62)로 이루어진 제2 줌 스위치(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구체화한 형상도이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카메라 장치(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며, 전면에 상기 렌즈군(L1)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렌즈군(L1)의 상측에 상기 뷰 파인더(L2)가 그리고, 하측에 상기 리모콘 수신부(16)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 측면에 상기 스위치부(11)를 구성하는 제1 릴리즈 스위치(S1)와 제1 메뉴 스위치(S2)와 제1 텔레, 와이드 스위치(S31, S32)가 장착되어 있고, 일측면에 상기 제1 장착부(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는,
전면에 상기 화상 표시부(26)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화상 표시부(24)의 옆에 튜너부(27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 측면에 상기 카메라 장치(1)의 스위치부(11)와 동일한 스위치(S4, S5, S61, S62)로 구성된 리모콘 스위치부(22)와 상기 수신부(271)가 장착되어 있고, 일측면에 상기 제1 장착부(18)와 연결될 수 있는 상기 제2 장착부(21)가 장착되어 있고, 후면에 리모콘 수신부(26)가 장착되어 있고, 상측면에 수신부(27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장착부(18)와 상기 제2 장착부(21)가 연결되면, 상기 카메라 장치(1)의 렌즈군(L1)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2)의 화상 표시부(26)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착탈형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설명한다.
이 발명의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화상 표시 장치(2)의 제2 장착부(21)를 카메라 장치(1)의 제1 장착부(18)로부터 이탈시키고,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래서, 촬영자는 이동시 각 장치(1, 2)를 분리시켜 크기를 줄임으로써 휴대하기가 편해진다.
그리고, 이 발명의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촬영자에게 촬영의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
다시말해, 이 발명은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결합시켜 촬영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분리하여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장치(1)만을 사용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카메라 장치(1)만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1)는 상기 렌즈군(L1)이 장착된 전면에 뷰 파인더(L2)가 장착되어 있다.
그래서, 촬영자는 상기 렌즈군(L1)에 의해 결상된 상을 상기 뷰 파인더(L2)를 통해 확인하고, 릴리즈 스위치(S1)를 동작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에서 촬영자는 피사체의 구도를 설정할 때, 텔레 스위치(S31)와 와이드 스위치(S32)로 구성된 제1 줌 스위치(S3)를 조작하여 피사체의 촬영 영역을 가변시켜 피사체의 구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릴리즈 스위치(S1)는 동작하여 동작 신호를 상기 카메라 장치(1)의 상기 제1 마이컴(15)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1 마이컴(15)은 상기 릴리즈 스위치(S1)의 동작 신호에 따라 현재 입력되고 있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저장부(16)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 마이컴(15)으로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는 상기 렌즈군(L1)이 CCD부(13)에 결상한 광을 상기 CCD부(13)가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로서 신호 처리부(14)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14)가 신호 처리하여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킨 신호이다.
상기 저장부(16)는 상기 제1 마이컴(15)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1 프레임(frame) 단위로 저장하게 되어 1매의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 모두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으며, 그중 첫 번째는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결합하여 촬영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분리시켜 촬영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결합하여 촬영하는 방법은 종래의 디지탈 스틸 카메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분리하여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분리시켜 촬영하는 방법은 촬영자가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와, 피사체인 사람의 요구에 따라 피사체 구도를 설정하여 촬영하는 경우에 따라 촬영하는 방법이 달라지므로, 우선 촬영자가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촬영자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두고, 상기 카메라 장치를 자신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상기 렌즈군(L1)이 자신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촬영자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2)에 나타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고, 원하는 자세를 취한 후에 촬영이 수행되도록 상기 릴리즈 스위치(S1)를 누른다.
상기에서, 화상 표시 장치(2)와 상기 카메라 장치(2)는 분리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카메라 장치(2)의 제1 마이컴(15)은 상기 신호 처리부(14)에 의해 신호 처리된 디지탈 영상 신호를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로 전송하기 위해 내장된 무선 송신부(17)로 상기 디지탈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무선 송신부(17)는 입력된 디지탈 영상 신호를 반송파에 실어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로 출력한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는 무선 수신부(23)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송신부(23)에서 상기 무선 수신부(17)에서 출력한 반송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반송파로부터 디지탈 영상 신호를 분리하도록 하여 제2 마이컴(24)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마이컴(24)은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구동 신호를 화상 표시부(26)로 출력한다.
상기 화상 표시부(26)는 상기 제2 마이컴(24)에서 출력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피사체 상을 LCD 화면에 화상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촬영자는 화상 표시부(26)에 나타난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원하는 촬영 모습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해당하는 자세를 취한 다음, 상기 화상 표시 장치(2)에 장착된 리모콘 스위치부(22)의 제2 릴리즈 스위치(S4)를 눌러 촬영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리모콘 스위치부(22)는 상기 카메라 장치(1)의 스위치부(11)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2 메뉴 스위치(S5)와 제2 줌 스위치(S6)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촬영자는 상기 제2 줌 스위치(S6)의 제2 와이드 스위치(S61) 또는 제2 텔레 스위치(S62)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촬영 구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와이드 및 제2 텔레 스위치(S61, 62)의 신호 처리 경로는 상기 제2 릴리즈 스위치(S4)의 신호 처리 경로와 동일하다.
상기에서 촬영자가 상기 제2 릴리즈 스위치(S4)를 누르면, 상기 제2 릴리즈 스위치(S4)는 작동하여 작동 신호를 상기 제2 마이컴(24)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마이컴(24)은 상기 제2 릴리즈 스위치(S4)의 작동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리모콘 송신부(25)로 출력한다.
상기 리모콘 송신부(25)는 상기 제2 마이컴(24)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릴리즈 스위치(S4)의 동작 신호에 해당하는 광 신호를 상기 카메라 장치(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 송신부(26)는 상기 메뉴 스위치(S6) 또는 텔레 스위치(S7) 또는 와이드 스위치(S8)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2 마이컴(24)의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광 신호를 상기 카메라 장치(1)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2)의 리모콘 송신부(25)에서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카메라 장치(1)는 리모콘 수신부(16)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콘 송신부(26)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 수신부(16)는 수신한 신호를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제1 마이컴(15)으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마이컴(15)은 상기 리모콘 수신부(16)에 의해 상기 제2 릴리즈 스위치(S4)의 동작 신호에 따라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된 피사체의 상의 디지탈 영상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저장부(16)로 디지탈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마이컴(15)에서 상기 저장부(16)로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는 상기 신호 처리부(1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중 상기 제1 릴리즈 스위치(S1)의 동작 신호에 따라 판단된 1 프레임에 해당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이다.
이상과 같이, 촬영자는 상기 카메라 장치(1)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분리시켜 원격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하와 같이 피사체인 사람의 뜻에 따라 촬영을 할 수 있다.
촬영자는 사람을 피사체로써 촬영하고자 피사체로부터 해당거리를 두고 뷰 파인더(L2)를 통해 피사체의 구도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는 피사체에 의해 촬영 구도가 확인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피사체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2)의 화상 표시부(26)에 나타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사체는 상기 화상 표시부(26)에 나타난 자신의 촬영 구도가 자신이 원하는 촬영 구도가 아니라면 스스로 원하는 촬영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촬영 자세의 설정이 끝나면 촬영자에게 촬영을 수행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와 달리 이 발명은 피사체인 사람의 의도대로 촬영이 수행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텔레비젼의 화상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2)에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즉, 이 발명은 상기 화상 표시 장치(2)에 텔레비젼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로서의 TV 수신부(271)가 장착되어 있고, 수신된 텔레비젼 전파로부터 영상 신호를 분리하고 신호 처리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24)에 텔레비젼 영상이 나타나도록 하고 채널과 음성을 선택할 수 있는 튜너부(272)가 장착될 수 있다.
그래서, 이 발명은 상기 TV 수신부(271)를 통해 텔레비젼 전파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마이컴(24)에서 수신한 텔레비젼 전파로부터 텔레비젼 영상 신호를 분리하도록 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26)에 텔레비젼 영상이 나타나도록 한다.
그리고, 이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튜너부(272)를 조작하면 원하는 채널 및 음성이 선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안이나 여행지에서 이 발명의 상기 화상 표시 장치(2)를 이용하여 텔레비젼 시청이 가능하다.
이 발명은 카메라 장치와 화상 표시 장치가 착탈식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컴팩트화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리모콘 기능을 가지므로 촬영 대상인 사람이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촬영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고, 촬영된 피사체 정보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무선 송신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메라 장치와 착탈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피사체의 상을 화상으로 나타내고, 상기 카메라 장치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여 해당 카메라 촬영 동작이 수행되도록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피사체에 반사되고 입사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렌즈군과,
    사용자가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군에 의해 결상된 상을 나타내는 뷰 파인더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리모콘 수신부와,
    상기 렌즈군에서 결상한 광을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하 결합 소자부와,
    상기 전하 결합 소자부에서 출력하는 결상 광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디지탈 영상 신호로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스위치부 또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에서 출력하는 해당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마이컴과,
    상기 제1 마이컴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1 마이컴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해당하는 반송파에 실어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와,
    외부 장치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장치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1 마이컴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위치부는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 릴리즈 스위치와, 해당하는 카메라 기능이 선택되도록 하는 제1 메뉴 스위치와, 광각단으로 렌즈를 변배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와이드 스위치와 망원단으로 변배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텔레 스위치로 이루어진 제1 줌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제1 장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장착부와,
    상기 스위치부와 동일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원격으로 조정하도록 하는 리모콘 스위치부와,
    상기 무선 송신부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반송파로부터 디지탈 영상 신호를 분리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제2 장착부 또는 무선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가 화상으로 나타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콘 스위치부에서 출력하는 신호가 해당하는 리모콘 신호로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2 마이컴과,
    상기 리모콘 스위치부의 해당 신호를 해당하는 리모콘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카메라 장치로 출력하는 리모콘 송신부와,
    상기 제2 마이컴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정보를 LCD 화면에 화상으로 나타내는 화상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상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전파를 수신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에 텔레비젼 영상이 나타나도록 하고, 채널 및 음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리모콘 스위치부는
    카메라의 해당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 장치에 장착된 스위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KR1019970067869A 1997-12-11 1997-12-11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KR19990049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869A KR19990049032A (ko) 1997-12-11 1997-12-11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869A KR19990049032A (ko) 1997-12-11 1997-12-11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032A true KR19990049032A (ko) 1999-07-05

Family

ID=6608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869A KR19990049032A (ko) 1997-12-11 1997-12-11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90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416A (ko) * 2001-07-13 2001-08-22 이영만 무선통신기능을 내장한 디지탈 카메라 장치
KR20020067444A (ko) * 2002-05-09 2002-08-22 정성주 -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셀프 캠코더 및 카메라
KR101137922B1 (ko) * 2009-09-17 2012-04-25 주식회사 비.엘.아이 정수필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416A (ko) * 2001-07-13 2001-08-22 이영만 무선통신기능을 내장한 디지탈 카메라 장치
KR20020067444A (ko) * 2002-05-09 2002-08-22 정성주 -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셀프 캠코더 및 카메라
KR101137922B1 (ko) * 2009-09-17 2012-04-25 주식회사 비.엘.아이 정수필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61663A1 (en) Digital camera with touch screen display panel usable a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JPH04211593A (ja) テレビ電話装置
US20110199498A1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11259065A (ja) 撮像装置
JP2005278020A (ja) 遠隔撮影装置
JP3773242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4064877B2 (ja) 複数表示画面を有するデジタルカメラ
JP2001326845A (ja) 電子カメラ装置
KR19990049032A (ko) 화상 표시 장치 착탈식 디지탈 스틸 카메라
JP434500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4304517A (ja) カメラ付き携帯機器
JP5600413B2 (ja) 撮影機器システム、外部機器、カメラ、および撮影機器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1223310A (ja) 撮像装置
JP2004007296A (ja) カメラ撮影システム及びカメラ撮影装置
JP2001230954A (ja) 撮像装置
JP4091850B2 (ja) 画像撮影装置
JP2637713B2 (ja) 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100261598B1 (ko) 화상표시장치분리형디지탈스틸카메라
KR100403369B1 (ko)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JPH11174576A (ja) カメラ
JPH1188728A (ja) テレビカメラの情報表示装置
JP2005217877A (ja) 撮像装置およびリモコン装置
JPH0738797A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を備えたvtr一体型カメラ
JPH10301196A (ja) カメラの遠隔操作装置
JP2015005990A (ja) 撮影機器システム、外部機器、カメラ、および撮影機器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