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8752A -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 Google Patents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8752A
KR19990048752A KR1019970067523A KR19970067523A KR19990048752A KR 19990048752 A KR19990048752 A KR 19990048752A KR 1019970067523 A KR1019970067523 A KR 1019970067523A KR 19970067523 A KR19970067523 A KR 19970067523A KR 19990048752 A KR19990048752 A KR 1999004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ye
right eye
left eye
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933B1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933B1/ko
Priority to US09/208,849 priority patent/US6522310B1/en
Publication of KR1999004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6Image reproducers using prisms or semi-transparent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입체영상장치는 두 개의 LCD 장치를 이용해 하나는 좌안용, 다른 하나는 우안용으로 촬영된 영상신호를 각각 90°위상차를 갖는 편광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반반사경 및 전반사경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을 믹싱 및 반사하도록 함으로써 편광안경을 통해 두 방향에서 동시에 3차원 입체영상을 볼 수 있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는 일체화된 두 대의 카메라가 각 기 다른 각도에서 피사체를 좌안 및 우안용으로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부(100)와, 스테레오 카메라부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별도의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영상을 상호 90°만큼 위상이 차이나도록 편광시킨 후 두 개이상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서로다른 방향으로 출력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와, 상호 90°위상차를 가진 편광렌즈로 구성되어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편광되어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좌측 눈에만 그리고 우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우측눈에만 각각 전달시켜주는 편광안경(600)(7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외부 명령에 따라 스테레오 카메라부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소정의 매체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저장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동시에 두 방향으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효율 100%에 가까운 입체영상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음극선관 대신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표시장치의 폭 및 부피가 줄어듦으로 인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경박단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본 발명은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LCD 장치를 이용해 하나는 좌안용, 다른 하나는 우안용으로 촬영된 영상신호를 각각 90°위상차를 갖는 편광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반반사경 및 전반사경을 이용해서 좌·우 영상을 믹싱 및 반사하도록 함으로써 편광안경을 통해 두 방향에서 동시에 3차원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영상표시 분야 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따른 시대적인 요구로서 인간의 감각중 가장 많은 정보량을 받아 들이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입체영상의 실현이 다각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술의 빠른 진보도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 가고 있다.
그리고 현재, 입체영상의 구현기술은 컴퓨터에 의해 수학적으로 합성된 인위적인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3차원 활동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이나 게임, 광고, 더 나아가서는 현실세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현실까지도 경험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이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원리는 인간의 두 눈에 의한 사물의 깊이감(View)을 나타내기 위한 양안시차를 실현하는 것에 있으며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는 이 원리의 한 실현예로서, 편광필터(Polaroid filter)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좌·우 영상을 각각 동일한 편광각을 가지는 편광안경과 같은 또다른 편광필터를 통해 좌·우측 눈에 각각 전달하는 방식이다.
도1은 이러한 종래의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2는 도1을 구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는 특히 의료용으로 응용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내시경 수술이나 특수 진단시 자연스러운 3차원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여 의사로 하여금 더 정확한 시술과 진단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는 일체화된 두 대의 카메라가 각 기 다른 각도에서 피사체를 좌안 및 우안용으로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부(100)와, 스테레오 카메라부(100)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별도의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영상을 상호 90°만큼 위상이 차이나도록 편광시킨 후 반반사경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을 투과 및 반사하도록 하여 한 방향으로 출력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200)와, 스테레오 카메라부(100)에 구비된 좌안용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좌·우측을 바꾸어 주는 상전환 미러(300)와, 외부 명령에 따라 스테레오 카메라부(100)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소정의 매체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저장부(400)와, 상호 90° 위상차를 가진 편광렌즈로 구성되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200)로부터 편광되어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좌측 눈에만, 그리고 우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우측눈에만 각각 전달시켜주는 편광안경(8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부(100)는 일반적으로 CCD 카메라로 구성되게 되며 인간의 우측 눈과 좌측 눈에 각각 해당하는 우안용 CCD 카메라(110)와 좌안용 CCD 카메라(120)가 일체화되어 구성된다.
또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200)는 스테레오 카메라부(100)의 우안용 CCD 카메라(110)가 촬영한 우안용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우안용 음극선관(CRT) 모니터(210)와, 우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1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소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우안용 편광판(220)과, 우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10)와 직각으로 장착되며 스테레오 카메라부(100)의 좌안용 CCD 카메라(120)가 촬영한 좌안용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좌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40)와, 우안용 편광판(220)과 직각으로 장착되며 좌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1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우안용 편광판(220)으로부터 편광되는 영상과 90°차이나도록 편광시키는 좌안용 편광판(250)과, 우안용 편광판(220) 및 좌안용 편광판(250)으로부터 편광되는 영상의 50%는 각각 좌안용 편광판(250)과 우안용 편광판(220)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50%는 직진하도록 투과시키는 반반사경(2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외부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되는 영상저장부(400)는 다시, 스테레오 카메라부(100)로부터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상전환 미러(300)를 통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200)로 출력하는 브이씨알(VCR)부(420)와, 스테레오 카메라부(100)와 VCR부(420)와의 사이에서 신호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부(410)와, VCR부(420)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200)와의 사이에서 신호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430)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종래의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안용 CCD 카메라(110)와 좌안용 CCD 카메라(120)는 인간의 두 눈에 해당하며 두 눈의 간격(약 65~75[mm])만큼 서로 떨어져 우안용과 좌안용 영상을 촬영해 우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10)와 좌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40)로 각각 전송한다.
이때, 우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10)와 좌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40)의 전면에 각각 장착된 우안용 편광판(220) 및 좌안용 편광판(250)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되므로, 출력되는 영상은 서로 90°의 위상차가 발생한다.
반반사경(260)은 입사되는 빛의 50%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50%는 그대로 투과시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편광안경(800)을 통한 관측자 시점에서는 우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10)에서 출력되는 우안용 영상이 우안용 편광판(220)을 통해 반반사경(260)을 투과해 보여지고, 좌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40)에서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은 좌안용 편광판(250)을 통한 후 반반사경(260)에서 반사되어 보여지게 됨으로써 우안용 영상은 오른쪽 눈에 좌안용 영상은 왼쪽 눈에 전달되어 입체영상을 느끼게 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좌안용 음극선관 모니터(240)에서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은 반반사경(260)을 통해 반사됨으로써 좌·우의 상이 반전되게 되므로 관측자 시점에서 이를 정상적으로 보여지게 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부(100)에 구비된 좌안용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좌·우측을 바꾸어 주는 상전환 미러(300)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영상 저장부(400)는 외부명령에 따라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VCR부(420)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역시 외부 명령에 따라 출력해준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는 종래의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는 한 사람의 관측자만이 입체영상을 관측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예를 들면 내시경 수술시 수술부위를 관찰하기 위해 집도의사와는 별도로 보조의사를 위해 도2와 같은 종래의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가 한 세트 더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극선관이 사용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의 부피와 무게가 크기 때문에 여유로운 수술공간의 확보가 쉽지 않았다.
또한, 반반사경을 사용하여 좌·우측 영상을 50%씩 믹싱하여 출력함으로써, 촬영되는 영상에 비해 출력되는 영상의 효율이 50%밖에 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관측되는 입체영상이 어둡게 보이게 되고, 이는 정교한 수술시 수술부위를 나타내는 영상의 화질을 떨어뜨려 수술의 성공적인 수행에 있어서 하나의 장애요소가 될 수도 있다는 부담감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두 방향에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영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LCD)를 표시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음극선관(CRT)을 표시장치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2는 도1을 구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4는 도3을 구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테레오 카메라부 400 : 영상 저장부
500 :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 600,700 : 편광안경
110 : 우안용 CCD 카메라 120 : 좌안용 CCD 카메라
410 : 입력 인터페이스부 420 : VCR
430 : 출력 인터페이스부 510 : 우안용 LCD 장치
520 : 우안용 편광판 530 : 좌안용 LCD 장치
540 : 좌안용 편광판 550 : 반반사경
560 : 전반사경 570,580 : 커버 유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의 특징은 일체화된 두 대의 카메라가 각 기 다른 각도에서 피사체를 좌안 및 우안용으로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부와, 스테레오 카메라부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별도의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영상을 상호 90°만큼 위상이 차이나도록 편광시킨 후 두 개이상의 반상경을 이용하여 서로다른 방향으로 출력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90°위상차를 가진 편광렌즈로 구성되어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편광되어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좌측 눈에만, 그리고 우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우측눈에만 각각 전달시켜주는 편광안경으로 구성된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는 일체화된 두 대의 카메라가 각 기 다른 각도에서 피사체를 좌안 및 우안용으로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부(100)와, 스테레오 카메라부(100)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별도의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영상을 상호 90°만큼 위상이 차이나도록 편광시킨 후 두 개이상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서로다른 방향으로 출력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와, 상호 90°위상차를 가진 편광렌즈로 구성되어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편광되어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좌측 눈에만, 그리고 우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우측눈에만 각각 전달시켜주는 편광안경(600)(700)과,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부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소정의 매체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저장부(400)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1에 도시된 종래의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에 비하여 상전환 미러(300)가 없을 뿐만 아니라 두 방향에서 관측이 가능하도록 편광안경이 두 개로 구성되어 있다(600)(700).
도4은 도3을 구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를 구현한 일 실시예는 의료용으로 창안된 도2의 구성요소 중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가 다르게 구성되었으며, 이외에도 영상의 좌·우측을 바꾸어 주는 상전환 미러(300)가 생략되었고 편광안경이 두 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2와 같은 구성요소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 특유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4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는 스테레오 카메라부(100)가 촬영한 우안용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우안용 LCD 장치(510)와, 우안용 LCD 장치(51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소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우안용 편광판(520)과, 우안용 LCD 장치(510)와 직각으로 장착되며, 스테레오 카메라부(100)가 촬영한 좌안용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좌안용 LCD 장치(530)와, 우안용 편광판(520)과 직각으로 장착되며, 좌안용 LCD 장치(53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우안용 편광판(520)으로부터 편광되는 영상과 90°차이나도록 편광시키는 좌안용 편광판(540)과, 우안용 편광판(520)및 좌안용 편광판(540)으로부터 편광되는 영상의 50%는 각각 좌안용 편광판(540)과 우안용 편광판(520)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50%는 직진하도록 투과시키는 반반사경(550)과, 반반사경(550)을 투과한 우안용 영상과 반반사경(55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좌안용 영상을 직각으로 반사시켜 반반사경(550)에서 반사된 우안용 영상의 진행경로와 반대방향으로 출력하는 전반사경(560)과, 반반사경(550) 및 전반사경(560)으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영상의 경로상에 위치하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의 하우징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커버 유리(570)(58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간의 두 눈에 해당하는 우안용 CCD 카메라(110)와 좌안용 CCD 카메라(120)가 각각 우안용과 좌안용 영상을 촬영해 우안용 LCD 장치(510)와 좌안용 LCD 장치(530)로 각각 전송한다.
이때, 우안용 LCD 장치(510)와 좌안용 LCD 장치(530)의 전면에 각각 장착된 우안용 편광판(520) 및 좌안용 편광판(540)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되므로, 출력되는 영상은 서로 90°의 위상차가 발생한다.
반반사경(550)은 입사되는 빛의 50%씩을 반사 및 투과시키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편광안경(600)을 통한 관측자 시점에서는 좌안용 LCD 장치(530)에서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이 좌안용 편광판(540)을 통해 반반사경(550)을 투과해 보여지고, 우안용 LCD 장치(510)에서 출력되는 우안용 영상은 우안용 편광판(540)을 통한 후 반반사경(550)에서 반사되어 보여지게 됨으로써 우안용 영상은 오른쪽 눈에 좌안용 영상은 왼쪽 눈에 전달되어 입체영상을 느끼게 한다(제2입체영상출력).
여기서, 주의할 점은 우안용 LCD 장치(510)에서 출력되는 우안용 영상은 반반사경(550)을 통해 반사됨으로써 좌·우의 상이 반전되게 되므로 관측자 시점에서 이를 정상적으로 보여지게 해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없애주기 위해 종래에는 상전환 미러(300)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부(100)에 구비된 우안용 카메라(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좌· 우측을 바꾸어 주는 수단으로 우안용 LCD 장치(510)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좌·우가 바뀌어 지도록 구성된 우안용 LCD 장치(510) 드라이버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또다른 편광안경(700)을 통한 관측자 시점에서는 우안용 LCD 장치(510)에서 출력되는 우안용 영상은 반반사경(550)을 투과한 후 전반사경(560)에서 반사되어, 다시 좌·우가 바뀌게 되므로 정상적인 우안용 영상으로 관측되게 되고, 좌안용 LCD 장치(530)에서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은 반반사경(550)에서 반사된 후 다시 전반사경(560)에서 반사되게 되므로 역시 정상적인 영상이 관측되게 된다(제1입체영상출력)
한편, 전반사경(560)은 반반사경(550)을 투과한 좌안용 영상과 반반사경(55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우안용 영상을 직각으로 반사시켜 반반사경(550)에서 반사된 좌안용 영상의 진행경로와 반대방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상술한 원리에 의해 좌안용 LCD 장치(530)가 좌·우가 바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야 한다.
또한, 영상 저장부(400)는 외부 명령에 따라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VCR 부(420)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역시 명령에 따라 출력해준다.
그리고 커버유리(570)(580)는 각 편광안경(600)(700)측으로 제2 및 제1입체영상이 출력되는 경로상에 장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도4에 도시된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에 의하면, 동시에 두 방향으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음으로 인하여 내시경 수술시 한 세트의 입체영상장치만으로도 집도의사와 보조의사가 수술부위를 동시에 관찰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반사경에 의해 좌·우측 영상이 50%씩 믹싱되어 출력되는 두 개의 입체영상을 모두 관측할 수 있게 되므로써 촬영되는 영상에 비해 출력되는 영상의 효율을 100%에 가깝게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각 입체영상이 가진 50%의 효율로 인해 어둡게 관측되는 영상은 좌안용 및 우안용 LCD 장치의 해상도를 높여 줌으로써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음극선관 대신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표시장치의 폭 및 부피도 줄어들게 되어 본 발명의 장치를 수술하는 경우에 적용시, 종래에 비해 보다 여유로운 수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에 의하면, 동시에 두 방향으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효율 100%에 가까운 입체영상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음극선관 대신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표시장치의 폭 및 부피가 줄어듦으로 인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경박단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체화된 두 대의 카메라가 각 기 다른 각도에서 피사체를 좌안 및 우안용으로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부;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부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별도의 영상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영상을 상호 90°만큼 위상이 차이나도록 편광시킨 후 두 개이상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서로다른 방향으로 출력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 및 상호 90°위상차를 가진 편광렌즈로 구성되어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편광되어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좌측 눈에만, 그리고 우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우측눈에만 각각 전달시켜주는 편광안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2. 일체화된 두 대의 카메라가 각 기 다른 각도에서 피사체를 좌안 및 우안용으로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부;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부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별도로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영상을 상호 90°만큼 위상이 차이나도록 편광시킨 후 두 개이상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서로다른 방향으로 출력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 상호 90°위상차를 가진 편광렌즈로 구성되어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좌측 눈에만, 그리고 우안용 영상은 관찰자의 우측눈에만 각각 전달시켜주는 편광안경; 및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부가 촬영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을 소정의 매체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저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부가 촬영한 우안용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우안용 LCD 장치; 상기 우안용 LCD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소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우안용 편광판; 상기 우안용 LCD 장치와 직각으로 장착되며, 스테레오 카메라부가 촬영한 좌안용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좌안용 LCD 장치; 상기 우안용 편광판과 직각으로 장착되며, 좌안용 LCD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우안용 편광판으로부터 편광되는 영상과 90°차이나도록 편광시키는 좌안용 편광판; 상기 우안용 편광판 및 좌안용 편광판으로부터 편광되는 영상의 50%는 각각 좌안용 편광판과 우안용 편광판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50%는 직진 하도록 투과시키는 반반사경; 상기 반반사경 투과한 우안용 영상과 반반사경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좌안용 영상을 직각으로 반사시켜 반반사경에서 반사된 우안용 영상의 진행경로와 반대방향으로 출력하는 전반사경; 및 상기 반반사경 및 전반사경으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영상의 경로상에 위치하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의 하우징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커버 유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우안용 LCD 장치는; 좌우가 바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경은; 상기 반반사경을 투과한 좌안용 영상과 반반상경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우안용 영상을 직각으로 반사시켜 반반사경에서 반사된 좌안용 영상의 진행경로와 반대방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좌안용 LCD 장치는; 좌우가 바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KR1019970067523A 1997-12-10 1997-12-10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KR10028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523A KR100283933B1 (ko) 1997-12-10 1997-12-10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US09/208,849 US6522310B1 (en) 1997-12-10 1998-12-10 3-dimensional image apparatus based on polariz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523A KR100283933B1 (ko) 1997-12-10 1997-12-10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752A true KR19990048752A (ko) 1999-07-05
KR100283933B1 KR100283933B1 (ko) 2001-03-02

Family

ID=1952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523A KR100283933B1 (ko) 1997-12-10 1997-12-10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22310B1 (ko)
KR (1) KR1002839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509A (ko) * 2001-04-03 2002-10-19 주식회사 유빈 편광변환장치가 구비된 입체영상촬영기
KR20030005512A (ko) * 2001-07-09 2003-01-23 (주)브이알그래픽스 입체 영상 상영을 위한 듀얼 디브이디 플레이어 동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26244B1 (ko) * 1999-12-04 2004-04-13 주식회사 스테레오피아 개인용 입체 컴퓨터
WO2005121867A1 (en) * 2004-06-12 2005-12-22 Kwangwoon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Industry Cooperation Polarize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8407A1 (en) * 2000-07-07 2006-11-30 Fergason James L Display system using two displays and polarization direction rotation for showing high-resolution and three-dimensional images and method and use of a DBEF beam splitter
US7401923B2 (en) * 2004-03-09 2008-07-22 Fergason Patent Properties, Llc Monitor for showing high-resolution and three-dimensional images and method
US7515308B2 (en) * 2003-02-20 2009-04-07 Yin-Chun Huang Image device combined with scanning device and video device
ES2264846B1 (es) * 2004-04-30 2007-09-01 Dionisio Velasco Dorado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monitores de visualizacion estereoscopica.
US7411636B2 (en) 2004-11-23 2008-08-12 Fergason Patent Properties, Llc Stereoscopic liquid crystal display (LCD) with polarization method
US20060109753A1 (en) * 2004-11-23 2006-05-25 Fergason James L Monitor for showing high-resolution and three-dimensional images and method
KR100809479B1 (ko) 2006-07-27 2008-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혼합 현실 환경을 위한 얼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WO2008024691A2 (en) 2006-08-22 2008-02-28 Li Sun 2-d and 3-d display
EP2126621B1 (en) * 2007-02-13 2013-04-10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Imaging device
SG146467A1 (en) * 2007-03-22 2008-10-30 Tan Peng Boon Stereo video camera (stereovideocam)
KR100926692B1 (ko) * 2007-08-03 2009-11-17 (주)마스터이미지 입체 영상 관람 장치
KR100987322B1 (ko) 2008-11-12 2010-10-12 (주) 디바이스이엔지 3차원 입체 카메라
US20100321474A1 (en) * 2009-06-18 2010-12-2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US20100321476A1 (en) * 2009-06-18 2010-12-23 Sony Corporation Camera for capturing three-dimensional images
US9766441B2 (en) 2011-09-22 2017-09-19 Digital Surgicals Pte. Ltd. Surgical stereo vision systems and methods for microsurgery
US9330477B2 (en) 2011-09-22 2016-05-03 Digital Surgicals Pte. Ltd. Surgical stereo vision systems and methods for microsurgery
TW201347719A (zh) * 2012-05-30 2013-12-01 Hon Hai Prec Ind Co Ltd 觀測儀
US9894269B2 (en) 2012-10-31 2018-02-13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ground subtraction using focus differences
TWI490552B (zh) * 2013-08-20 2015-07-01 Sumika Technology Co Ltd 立體顯示裝置
US10778965B2 (en) * 2016-08-31 2020-09-15 Lg Display Co., Lt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4350A (en) * 1994-10-21 1996-04-24 Sharp Kk Light source and display
JPH07218864A (ja) * 1994-02-07 1995-08-18 Terumo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US5880883A (en) * 1994-12-07 1999-03-09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recognized by observer as stereoscopic image, and image pick-up apparatus
DE69612647T2 (de) * 1995-03-08 2001-10-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reidimensionales bildanzeigesystem
JPH11174368A (ja) * 1997-12-17 1999-07-02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244B1 (ko) * 1999-12-04 2004-04-13 주식회사 스테레오피아 개인용 입체 컴퓨터
KR20020078509A (ko) * 2001-04-03 2002-10-19 주식회사 유빈 편광변환장치가 구비된 입체영상촬영기
KR20030005512A (ko) * 2001-07-09 2003-01-23 (주)브이알그래픽스 입체 영상 상영을 위한 듀얼 디브이디 플레이어 동기 제어장치 및 방법
WO2005121867A1 (en) * 2004-06-12 2005-12-22 Kwangwoon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Industry Cooperation Polarize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US8289380B2 (en) 2004-06-12 2012-10-16 Kwangwoon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Industry Cooperation Polarize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22310B1 (en) 2003-02-18
KR100283933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933B1 (ko) 편광방식에 의한 입체영상장치
US5808802A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a single image display device
US8253653B2 (en) Image observation system
US5720706A (en) Stereoscopic endoscope
US5751493A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a single image display device
JPH07104193A (ja) ワイドテレビ統合顕微鏡システム
JP2017509925A (ja) 3dビデオ顕微鏡装置
KR100843429B1 (ko) 헤드 마운트형 입체 관찰용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및 현미경
JP2002365589A (ja) 立体表示装置
JP2938940B2 (ja) 手術用顕微鏡
JPH08191462A (ja) 立体映像再生装置および立体撮影装置
JP2000310747A (ja) 画像観察装置
CA2399713A1 (en) Design, function, and utilisation of an equipment for capturing of three-dimensional images
KR20040032353A (ko) 현미경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입체 출력 시스템
CN115398311A (zh) 头戴式可视化系统
WO2001060076A1 (en) Design, function, and utilisation of an equipment for capturing of three-dimensional images
JP3604990B2 (ja) 画像観察システム
CN215932266U (zh) 显示系统以及微创手术机器人
US20240019737A1 (en) Optical system,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apparatus
KR10024533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JP4103308B2 (ja) 立体実写映像撮影提示システム
JP2011250352A (ja) 3次元画像データ生成方法
Simon A simple stereoscopic endoscope
JP3369798B2 (ja) 3次元立体表示装置
JP2001133725A (ja) 画像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