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418A - 카세트에사용가능한엠피-3재생장치및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카세트에사용가능한엠피-3재생장치및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418A
KR19990046418A KR1019990007888A KR19990007888A KR19990046418A KR 19990046418 A KR19990046418 A KR 19990046418A KR 1019990007888 A KR1019990007888 A KR 1019990007888A KR 19990007888 A KR19990007888 A KR 19990007888A KR 19990046418 A KR19990046418 A KR 19990046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sensor
cassette
sensor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근
Original Assignee
백승혁
주식회사 유니텍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혁, 주식회사 유니텍전자 filed Critical 백승혁
Priority to KR101999000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6418A/ko
Priority to JP12969099A priority patent/JP3294565B2/ja
Publication of KR1999004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4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5/0002Special dispositions or recording techniques
    • G11B2005/0005Arrangements, methods or circuits
    • G11B2005/001Controlling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record carriers or transducing characteristics of transducers by means not being part of their structure
    • G11B2005/0013Controlling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record carriers or transducing characteristics of transducers by means not being part of their structure of transducers, e.g. linearisation, equalisation
    • G11B2005/0016Controlling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record carriers or transducing characteristics of transducers by means not being part of their structure of transducers, e.g. linearisation, equalisation of magnetoresistive transduc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 회로를 일반자기테잎 재생기의 자기테잎 케이스와 같은 모양과 크기로 만들어 일반 카세트나 휴대용 재생기에 별도의 장치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카세트에 사용가능한 엠피-3 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세트의 일측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른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석, 상기 자석의 자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MR센서, 카세트의 타측 회전축에 형성된 돌기, 상기 돌기에 의해 차단 또는 개방되어 온/오프되는 복수의 포토커플러, 상기 센서들의 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음원 데이터가 저장된 mp3플레이어, 상기 mp3플레이어의 재생시 이 mp3플레이어에 내장된 음원데이터에 의해 기전력이 변화되는 코일을 가진 헤드를 포함하여 mp3재생장치를 마련하고, 재생시 상기 mp3재생장치의 mp3플레이어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가 헤드를 통하여 카세트의 헤드에 의해 소리로 변하여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세트에 사용가능한 엠피-3 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MP3 sound reproduction system usable cassett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상의 mp3파일(디지털 사운드 압축파일)을 다운받아 재생하는 휴대용 mp3파일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mp3 플레이어 회로를 일반자기테잎 재생기(이하 "카세트"라 함)의 자기테잎 케이스와 같은 모양과 크기로 만들어 일반 카세트나 휴대용 재생기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카세트에 사용가능한 엠피-3 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보급에 따라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크워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음악파일(예를들어, .mp3)을 다운받을 수 있으며 이렇게 다운받은 음악파일은 별도의 mp3플레이어를 통하여 저장 및 휴대하여 들을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mp3플레이어는 .mp3파일만을 재생하는 전용장치이다.
종래의 mp3플레이어로는 자기테잎재생이 불가능하여 카세트와 별도로 mp3플레이어로서만 사용되고 있으며, mp3플레이어와 카세트의 복합사용이 불가능하여 필요시 두장치를 동시에 휴대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기테잎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만을 동시에 모으기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카세트에서 mp3파일을 재생할 수도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에서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카세트에서 인터넷상의 원하는 음악만을 모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카세트에 사용가능한 엠피-3 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엠피-3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회전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회전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자석 2:돌기
3:마이컴 4:mp3플레이어
10: A,B:회전축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세트의 일측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른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석, 상기 자석의 자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MR(Magneto Resistance)센서, 카세트의 타측 회전축에 형성된 돌기, 상기 돌기에 의해 차단 또는 개방되어 온/오프되는 복수의 포토커플러, 상기 센서들의 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음원 데이터가 저장된 mp3플레이어, 상기 mp3플레이어의 재생시 이 mp3플레이어에 내장된 음원데이터에 의해 기전력이 변화되는 코일을 가진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엠피-3 재생장치의 제어방법은, 초기화상태에서 제1내지 제4센서신호의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센서신호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mp3플레이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센서의 입력이 있을 경우 센서신호의 입력간격의 넓이를 판단하여 넓을 경우에 mp3플레이어를 재생시키는 제2단계,상기 제2단계에서 센서신호의 입력간격이 좁을 경우 센서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제1센서(또는 제3센서)가 먼저일 경우 mp3플레이어를 FF로 동작시키고, 제2센서(또는 제4센서)가 먼저일 경우 mp3플레이어를 RF로 동작시키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mp3재생장치의 구성도로, 카세트의 일측 회전축(A)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른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석(1)과, 상기 자석(1)의 자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MR센서인 제1,제2센서(S1)(S2)와, 카세트의 타측 회전축(B)일측에 형성된 돌기(2)와, 상기 돌기(2)에 의해 차단 또는 개방되어 온/오프되는 포토커플러로 된 제3,제4센서(S1)(S2)와, 상기 제1내지 제4센서(S1-S4)의 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인 마이컴(3)과, 상기 마이컴(3)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음원 데이터가 저장된 mp3플레이어(4)와, 상기 mp3플레이어(4)의 재생시 이 mp3플레이어(4)에 내장된 음원 데이터에 의해 기전력이 변화되는 코일을 가진 헤드(H1)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H2는 카셋트 헤드, SP는 스피커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mp3플레이어(4)를 자기 테잎 케이스 모양으로 만들어 일반 카세트에 넣어 사용한다.
즉, 자기 테잎 케이스 모양으로 만들어진 mp3플레이어(4)를 일반 휴대용 재생기나 카세트에 삽입하고 재생(PLAY)버튼을 누르면 테잎을 돌려주는 회전축이 일정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일측 회전축(A)에는 자석(1)이 부착되어 있어 회전축(A)이 회전을 하면 자계의 유무를 MR센서인 제1,제2센서(S1)(S2)에서 감지하여 마이컴(3)에 전달한다.
또한, 타측 회전축(B)의 외측에는 돌기(2)가 형성됨과 함께 포토커플러인 제3,제4센서(S3)(S4)가 설치되어 있어 회전축(B)의 회전에 따라 돌기(2)가 포토커플러의 발광부와 수광부사이를 지나갈 때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제1내지 제4센서(S1-S4)의 출력은 회전축(A)(B)의 회전에 따라 펄스로 출력된다.
여기서, 제1내지 제4센서(S1-S4)를 각도를 주어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센서(S1-S4)로부터 위상차를 가진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즉, 회전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도 2의 (A)(B)와 같이 제1내지 제4센서(S1-S4)의 출력이 나타나고, 회전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도 3의 (A)(B)와 같이 제1내지 제4센서(S1-S4)의 출력이 나타나므로 이러한 제1내지 제4센서(S1-S4)의 출력에 따라 FF 또는 RF가 결정된다.
이와같이 제1내지 제4센서(S1-S4)로부터 나오는 출력은 마이컴(3)에 입력되어 도 4와 같은 동작흐름도에 따라 mp3플레이어(4)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초기화상태에서 제1내지 제4센서(S1-S4)의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센서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mp3플레이어(4)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센서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재생의 경우나 빨기감기(이하 "FF"라 한다) 또는 되감기(이하 "RF"라 한다)의 경우이므로 센서 입력 간격의 넓이가 넓은가 또는 좁은가를 판단하여 재생,FF,RF를 판단한다.
여기서, 재생시에는 센서의 입력신호 간격이 넓고, FF나 RF의 경우에는 센서의 입력간격이 좁으므로 이러한 입력신호의 간격을 마이컴(3)에서 입력받아 mp3플레이어(4)의 동작을 재생이나 FF 또는 RF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센서의 입력신호 간격이 넓을 경우에는 마이컴(3)에서 mp3플레이어(4)를 재생시키게 되고, 센서의 입력신호 간격이 좁을 경우에는 다시 센서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제1센서(S1){또는 제3센서(S3)}가 먼저인가 제2센서(S2){또는 제4센서(S4)}가 먼저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제1센서(S1){또는 제3센서(S3)}가 먼저이면 mp3플레이어(4)를 FF로 진행시키고, 제2센서(S2){또는 제4센서(S4)}가 먼저이면 mp3플레이어(4)를 RF로 진행시킨다.
즉, 마이컴(3)에서는 제1내지 제4센서(S1-S4)로부터 입력되는 펄스를 계수하고 회전속도를 산출하여 재생과 FF, RF를 구분하며, 센서신호의 입력순서에 따라 회전방향을 계산하여 mp3플레이어(4)를 동작시킨다.
이와같이, 마이컴(3)에서 mp3플레이어(4)를 재생시키면 mp3플레이어(4)에 내장된 음원 데이터가 헤드(H1)의 코일에 기전력을 변화시키고, 자계의 변화가 카세트 헤드(H2)에 유도되어 카세트(20)의 스피커(SP)를 통하여 mp3플레이어(4)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소리로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카세트의 회전축(A)(B)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다음 곡으로 넘어가는 선곡과정으로 진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mp3재생장치를 일반 자기용 카세트 테잎 케이스 모양으로 형성하여 일반 카세트에 그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상의 음악파일(.mp3)을 카세트에서 추가 장치없이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자기테잎 케이스를 가진 일반 자기 테잎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일측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른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자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제2센서와,
    카세트의 타측 회전축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의해 차단 또는 개방되어 온/오프되는 제3,제4센서와,
    상기 제1내지 제4센서의 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mp3플레이어와,
    상기 mp3플레이어의 재생시 이 mp3플레이어에 내장된 소리에 의해 기전력이 변화되는 코일을 가진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mp3플레이어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헤드를 통하여 상기 카세트의 헤드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에 사용가능한 엠피-3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센서가 MR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에 사용가능한 엠피-3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제4센서가 포토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에 사용가능한 엠피-3 재생장치.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 또는 제3센서와 제4센서가 일정각도로 배치되어 각각의 센서로부터 위상차를 가진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에 사용가능한 엠피-3 재생장치.
  5. 초기화상태에서 제1내지 제4센서신호의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센서신호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mp3플레이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센서의 입력이 있을 경우 센서신호의 입력간격의 넓이를 판단하여 넓을 경우에 mp3플레이어를 재생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센서신호의 입력간격이 좁을 경우 센서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제1센서(또는 제3센서)가 먼저일 경우 mp3플레이어를 FF로 동작시키고, 제2센서(또는 제4센서)가 먼저일 경우 mp3플레이어를 RF로 동작시키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에 사용가능한 엠피-3 재생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90007888A 1999-03-10 1999-03-10 카세트에사용가능한엠피-3재생장치및그제어방법 KR19990046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888A KR19990046418A (ko) 1999-03-10 1999-03-10 카세트에사용가능한엠피-3재생장치및그제어방법
JP12969099A JP3294565B2 (ja) 1999-03-10 1999-05-11 カセットに使用可能なmp−3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888A KR19990046418A (ko) 1999-03-10 1999-03-10 카세트에사용가능한엠피-3재생장치및그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418A true KR19990046418A (ko) 1999-07-05

Family

ID=1957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888A KR19990046418A (ko) 1999-03-10 1999-03-10 카세트에사용가능한엠피-3재생장치및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94565B2 (ko)
KR (1) KR199900464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880A (ko) * 1999-05-08 2000-05-06 장은수 Mp3플레이어
KR100317064B1 (ko) * 1999-03-26 2001-12-22 유수근 디지털 음악 고속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KR100321917B1 (ko) * 1999-10-28 2002-02-04 양웅섭 엠피쓰리 파일 재생용 헤드폰
KR200486286Y1 (ko) 2017-01-31 2018-04-27 대신정밀 주식회사 랙 캐비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064B1 (ko) * 1999-03-26 2001-12-22 유수근 디지털 음악 고속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KR20000023880A (ko) * 1999-05-08 2000-05-06 장은수 Mp3플레이어
KR100321917B1 (ko) * 1999-10-28 2002-02-04 양웅섭 엠피쓰리 파일 재생용 헤드폰
KR200486286Y1 (ko) 2017-01-31 2018-04-27 대신정밀 주식회사 랙 캐비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94565B2 (ja) 2002-06-24
JP2000259150A (ja) 200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8916B2 (ja) 信号処理装置
EP2428958B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huffle operation
JP2002062883A (ja) オーディオ変調機能を持つオーディオ再生装置及び方法、その装置を適用したリミキシング装置及び方法
US6967905B2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JP2508972B2 (ja) 音響信号処理装置
US7257072B2 (en) Digital audio data reproducing system
KR19990046418A (ko) 카세트에사용가능한엠피-3재생장치및그제어방법
US20030103422A1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US8380329B2 (en) Controlling a digital audio player from a cassette tape player adapter
JP2000182318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S5853417B2 (ja) テ−プレコ−ダの自動リピ−ト再生装置
US20050188395A1 (en) Dual-use audio signal player for analogue record and digital CD
JP3684656B2 (ja) 情報再生装置
JP2001283512A (ja) 音響機器
KR20000063635A (ko)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JP3913466B2 (ja) カーオーディオ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545228Y2 (ja) 電子音楽再生装置
JP3080648B2 (ja) 光学式ディスクの再生速度の切換装置
EP1145092B1 (en) Multiple mode audio cassette emulator
JP200628741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20060679A (ja) 電子音楽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S58203654A (ja) 磁気テ−プ再生装置
JP2020060680A (ja) 電子音楽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6187714A (ja) 信号伝送装置
JPH10112134A (ja) 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1109

Effective date: 200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