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412A - 용기용벤트 - Google Patents

용기용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412A
KR19990046412A KR1019990007805A KR19990007805A KR19990046412A KR 19990046412 A KR19990046412 A KR 19990046412A KR 1019990007805 A KR1019990007805 A KR 1019990007805A KR 19990007805 A KR19990007805 A KR 19990007805A KR 19990046412 A KR19990046412 A KR 19990046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sing
cover
vent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호 filed Critical 최창호
Priority to KR1019990007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6412A/ko
Publication of KR1999004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서 상기 실리콘 패킹이 벤딩되므로써, 용기내에 충진된 음식물에서 발생된 가스만을 그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고, 액상의 유체는 흘러나오지 않게 하는 용기용 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음식물의 발효에 의하여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케이싱(10)과, 그 케이싱(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안착되는 패킹(20) 및, 상기 패킹(20)을 벤딩시키게 형성된 커버(30)를 구비한 용기용 벤트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케이싱(10) 내부로의 가스 유동을 가능하게 하고, 액체 유동을 저지하도록 단절된 나이테 형상의 망구조(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0)의 중심에는 배기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커버(30)에는 상기 배기구(32)를 통하여 상기 용기에 충진된 음식물에서 발생한 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일자형으로 돌출턱(31)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케이싱(10)은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뚜껑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필름으로 형성된 팩에 용착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용기용 벤트{A vent for vessel}
본 발명은 용기용 벤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발효성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용기의 변형 또는 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내의 가스를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고, 그 용기 내부의 액상의 유체는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하는 용기용 벤트에 관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는 벤트를 부착시킨 용기는 커피를 담고 있는 알루미늄 팩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러한 커피 보관용 알루미늄 팩은 커피 가루는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고, 커피의 향을 소비자가 확인하게 벤트를 형성시킨 것이다. 물론 이런 커피 보관용 알루미늄 팩에 액체를 담는 다면, 가스는 물론 액체로 외부로 빠져나오기 쉽다.
음식물을 담고 있는 산업용 용기는 뚜껑이 부착되어서 개폐가능하거나, 밀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용기 중에서 김치, 막걸리, 발효되기 쉬운 음식물 등과 같이 가스가 발생하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는 그 내용물을 담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김치를 담고 있는 용기에는 김치의 발효로 인하여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서 상기 용기가 팽창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가스 흡수제가 충진된 백(bag)이 그 용기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김치 용기에 부착된 가스 흡수제는 흡수 용량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결국에는 김치 용기가 부풀려지거나, 터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막걸리와 같은 용기에는 용기 뚜껑에 구멍을 내어서 막걸리에서 나오는 가스에 의한 용기의 팽창 또는 파괴를 막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막걸리를 담고 있는 용기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지만, 그 내용물인 막걸리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스가 발생되는 발효식품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담을 수 있는 용기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기울여져 왔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밀폐성이 뛰어난 실리콘 패킹을 벤딩이 가능하게 내설시키고, 배출 되는 가스에 의해서 상기 실리콘 패킹이 벤딩되므로써, 음식물의 발효로 인하여 발생된 가스만을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고, 용기내의 액상의 유체는 홀러나오지 않게 하는 용기용 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벤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용 벤트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용 벤트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단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벤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싱 11 : 망구조
20 : 실리콘 패킹 30, 40 : 커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안착되는 패킹 및, 상기 패킹을 벤딩시키게 형성된 커버를 구비한 용기용 벤트가 제공된다. 그러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의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케이싱 내부로의 가스 유동을 가능하게 하고, 액체 유동을 저지하도록 단절된 나이테 형상의 망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중심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개의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의 상기 케이싱은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뚜껑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의 상기 케이싱은 알루미늄 팩과 같은 용기에 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벤트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벤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용 벤트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용 벤트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단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벤트는 용기에 약간 작게 관통된 용기의 구멍 주위에 부착될 수 있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안착되는 실리콘 패킹(20) 및, 상기 실리콘 패킹(20)의 벤딩시에 외부로 가스를 빠져나오게 하는 형성된 커버(30)를 갖는다.
케이싱(10)은 두께가 매우 얇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의 원형통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내부에 상기 실리콘 패킹(20)을 안착시키고, 상기 커버(30)를 그 내경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케이싱(10) 하면의 중앙에는 용기의 구멍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단절된 나이테 형상의 망구조(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나이테 형상의 망구조(11)는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음식물의 발효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스를 통과시키고, 그 용기가 기울어져 있을때 내부의 액상의 유체를 최대한 빠져나가지 않게 하도륵 미세한 망(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이테 형상의 망구조(11)의 외곽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케이싱(10)의 하면에는 실리콘 패킹(20)을 안착시키고, 벤딩시에 상기 실리콘 패킹(20)의 측면 이동을 막는 다수의 고정구(13)들이 원주방향으로 돌출성형되어 있다. 이런 고정구(13)의 높이는 상기 케이싱(10)에 커버(30)가 끼워졌을때, 상기 커버(30)의 안쪽면이 상기 고정구(13)의 상단에 닫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리콘 패킹(20)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돌출된 다수의 고정구(13)들의 안쪽에 안착될 수 있는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실리콘 패킹(20)은 상기 다수의 고정구(13)의 높이 만큼의 두께보다 약간 얇은 두께를 갖는다. 또한, 실리콘 패킹(20)은 열에 의한 변형이 적고, 탄력성이 뛰어나며, 수분 흡수성이 뛰어난 재질이다. 이런 실리콘 패킹(20)은 평상시에, 상기 케이싱(10)의 망구조(11)를 덮고 있기 때문에, 용기내부의 액상의 유체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커버(30)는 상기 케이싱(10)의 내경에 억지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그러한 커버(30)의 안쪽면에는 상기 실리콘 패킹(20)을 벤딩시킬 수 있는 일자형 돌출턱(31)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자형 돌출턱(31)들이 형성된 커버(30)의 중앙에는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의 발효에 의하여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대출시키는 배기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커버(30)는 상기 케이싱(10)에 결합하여, 용기에서 가스가 나오지 않을 경우에, 상기 실리콘 패킹(20)을 고정시키므로써, 액체가 외부로 세어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음식물의 발효에 의하여 가스가 발생할 경우, 상기 커버(30)의 일자형 돌출턱(31)들은 상기 실리콘 패킹(20)의 지름을 통과하는 일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실리콘 패킹(20)이 나비 접힘과 같은 벤딩 작동을 일으킬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에서는 용기내에 충진된 음식물의 발효에 의하여 발생한 가스의 흐름을 설명하여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2에 보이듯이,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음식물의 발효에 의하여 발생한 가스는 용기의 구멍을 통과하여서 케이싱(10)의 나이테 형상의 망구조(11)에 소정 압력을 가한다. 그러한 가스는 상기 망구조(11)의 면접하는 실리콘 패킹(20)의 원면적 전체에 같은 크기의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실리콘패킹(20)은 커버(30)의 돌출턱(31)에 의해서 중심을 통과하는 지름방향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30)의 일자형 돌출턱(31)을 기준으로 나비 날개의 접힘과 같이 벤딩 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실리콘 패킹(20)은 케이싱(10)의 안쪽에 돌출된 다수의 고정구(13)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수평이동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가스는 벤딩된 실리콘 패킹(20)과 케이싱(10)의 안쪽면의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한다. 이렇게 갭을 통과한 가스는 상기 실리콘 패킹(20)을 벤딩시킨 일자형 돌출턱(31)을 따라서 중앙으로 이동하고, 커버(30)의 중앙에 형성된 배기구(3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실리콘 패킹(20)은 커버(30)로 덮혀진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아주 미세한 갭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음식물에서 발생된 가스만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또한, 용기가 기울어져서, 용기의 액체가 케이싱(10)의 나이테 형상의 망구조(11)에 접촉할 경우에는 상기 용기속의 액체의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에 의한 실리콘 패킹(20)의 미흡한 벤딩 작동으로 인하여, 커버(30)의 배기구(32)와 케이싱(10)의 망구조(11)를 막게 되므로써,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의 부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3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는 가스를 발생시키기 쉬운 막걸리 병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 용기의 병마개(50)에 용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의 케이싱(10)은 상기 병마개(50)의 사출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병마개(50)를 재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내부의 액체는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고,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만을 외부로 배출 시킬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리콘 패킹(20)은 상기 병마개(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케이싱(10)의 안쪽에 안착된다. 또한, 커버(30)는 상기 케이싱(10)의 내경에 억지끼워 맞춤식 또는 접착되어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는 김치팩과 같은 알루미늄 팩과,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뚜껑에 융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의 케이싱(10)은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뚜껑의 성형시에 일체형으로 사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는 실리콘 패킹을 벤딩시키는 커버의 돌출턱들을 반달모양과 콘 형상으로 양분시켜서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기술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벤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케이싱(10)과, 실리콘 패킹(20) 및 커버(40)이 도시되어 있다.
커버(40)에는 한 개의 배기구(42)가 테두리쪽에 치우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런 커버(40)의 안쪽면에는 상기 배기구(42)의 반쪽 둘레를 둘러싸게 반달모양의 제1돌출턱(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40)의 안쪽면의 반대쪽에는 콘형상의 제2돌출턱(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커버(40)에 형성된 반달모양의 제1돌출턱(41)과 콘형상의 제2돌출턱(43)는 실리콘 패킹(20)의 벤딩 작동 형상을 높이 방향으로 절단된 콘의 외원주면 형상에 가깝게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40)의 반달모양의 제1돌출턱(41)은 용기의 배기구(42)에서 빠져나올려는 액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막고,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만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40)에 형성된 콘형상의 제2돌출턱(43)은 실리콘패킹(20)의 벤딩 작동을 돕고, 원활한 가스의 방출을 돕는 역할을 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는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만을 외부로 방출시키고, 상기 용기내의 액상의 유체를 방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가스가 발생되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용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필름으로 형성된 김치팩과 같은 알루미늄 팩의 내부에 가스 흡수제를 부착시키지 않게 하므로써, 상기 팩을 안전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의 케이싱은 플라스틱 병마개에 일체형으로 사출되어서, 막걸리 병과 같은 용기를 보다 깨끗하고 안전하게 보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는 냉장고용 김치독과 같은 용기의 탈착식 두껑에 일체형 또는 용착되므로써, 더운 여름날에 용기를 변형 또는 파괴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용기용 벤트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음식물의 발효로 인하여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안착되는 패킹(20) 및, 상기 패킹(20)을 벤딩시키게 형성된 커버(30)를 구비한 용기용 벤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케이싱(10) 내부로의 가스 유동을 가능하게 하고, 액체 유동을 저지하도록 단절된 나이테 형상의 망구조(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30)의 중심에는 배기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30)에는 상기배기구(32)를 통하여 상기 가스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수개의 돌출턱(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뚜껑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뚜껑에 용착고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알루미늄 팩과 같은 용기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벤트.
KR1019990007805A 1999-03-09 1999-03-09 용기용벤트 KR19990046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805A KR19990046412A (ko) 1999-03-09 1999-03-09 용기용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805A KR19990046412A (ko) 1999-03-09 1999-03-09 용기용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412A true KR19990046412A (ko) 1999-07-05

Family

ID=5478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805A KR19990046412A (ko) 1999-03-09 1999-03-09 용기용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64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RU2245828C2 (ru) Доз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с открывающимся под давлением клапаном
US20020129610A1 (en) Self-heating or self-cooling containers
KR20170005451A (ko) 용기를 위한 혼합/폐쇄 디바이스 및 폐쇄 디바이스로부터 매질을 분배시키기 위한 방법
EP3275800B1 (en) Valve having a protective cage
EP0887278B1 (en) Thermoplastic squeeze tube with self-sealing dispensing orifice
KR200449700Y1 (ko) 스파우트 구조체
US5449098A (en) Fluid flow controller for bottle
JP4794175B2 (ja) 口栓部の構造、口栓部に用いられる注出口部材およびキャップ部材
JP5009988B2 (ja) 多成分容器のためのインサート
US4623076A (en) Refillable container with depressurization means
KR19990046412A (ko) 용기용벤트
KR101834280B1 (ko) 발효식품포장용기
AU702246B2 (en) Vacuum food container
JP3410551B2 (ja) スクイズボトル用キャップ
KR200359754Y1 (ko) 발효가스 배출구
JP2009234611A (ja)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WO2009020352A1 (en) Bottle cap
KR20180000564U (ko) 발효식품 보관 용기
USRE33539E (en) Refillable container with depressurization means
KR20180018640A (ko) 발효식품 보관 용기
JP6645191B2 (ja) 液体容器
CN219884565U (zh) 一种挤压式喷口的核桃油瓶
KR950003867Y1 (ko) 포장용기용 속마개의 가스배출구조
JP3479398B2 (ja) 内容液注出容器の中栓付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