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045A - 폐분체도료를이용한자연건조형액상도료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분체도료를이용한자연건조형액상도료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045A
KR19990046045A KR1019990008955A KR19990008955A KR19990046045A KR 19990046045 A KR19990046045 A KR 19990046045A KR 1019990008955 A KR1019990008955 A KR 1019990008955A KR 19990008955 A KR19990008955 A KR 19990008955A KR 19990046045 A KR19990046045 A KR 19990046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aint
solvent
separated
wast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상
Original Assignee
이선상
주식회사 인하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상, 주식회사 인하기연 filed Critical 이선상
Priority to KR101999000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6045A/ko
Publication of KR1999004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0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분체도료를 원료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원료들을 이용하여 액상도료를 제조하는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색상별로 분리수거된 폐분체도료를 용제에 혼합하여 용해시킨 다음, 비중차를 이용해 분체도료를 각 원료별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원료들을 이용해 자연건조형 액상도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preparating method of liquid coating using waste power coating}
본 발명은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분체도료를 원료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원료들을 이용하여 액상도료를 제조하는 새로운 구성의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료에는 수지와 안료, 첨가제, 용제를 배합하여 제조한 액상도료와, 이러한 액상도료와는 달리 용제를 사용하지 않은 고형분도료인 분체도료가 있다. 이중 분체도료는 용제에 의한 중독이나 화재위험이 적고 도막형성시 주름현상이나 흐름현상이 없어서 도장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특히 액상도료에 비해 고급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고급제품으로 액상도료에 비해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분체도료는 연간 총생산량의 약10∼12%가 사용후 폐처리되고 있는데, 이러한 분체도료의 폐기물은 특정 폐기물로서 고온열분해처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조업체에서는 상당한 비용을 소비하면서 분체도료의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분체도료 폐기물의 처리는 고온분해하여야 하는 그 처리자체에도 고비용이 요구되지만 분체도료가 상당히 고급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다는 점에서 볼 때 상당한 자원낭비가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폐분체도료 재활용방법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분체도료를 용제에 용해시킨 다음, 각 원료들을 비중차를 이용해 분리하여 자연건조형 액상도료로 제조하는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분체도료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분체도료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 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처리용기 2. 드레인
10. 안료층 20. 수지와 용제의 혼합층
30. 첨가제층 40. 왁스층
50. 불순물층
본 발명에 따르면, 색상별로 분리수거된 폐분체도료를 용제에 혼합하여 용해시킨 다음, 비중차를 이용해 분체도료를 각 원료별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원료들을 이용해 자연건조형 액상도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색상별로 분리수거된 폐분체도료를 원료별로 분리한 다음, 분리된 원료를 이용해 액상도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먼저, 색상별로 분리수거된 폐분체도료를 분리된 원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2)이 형성된 처리용기(1)에 넣어 용제에 용해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폐분체도료를 용제에 용해시키기 전에 폐분체도료의 양을 측정하여 분리후에 얻을 수 있는 원료들의 양을 역산출한 후, 층상으로 분리될 원료들 중에서 용제와 수지가 혼합된 층의 높이가 상기 드레인(2)의 위치에 맞아서 드레인(2)을 통해 원료를 용이하게 분리배출시킬 수 있도록 분체도료의 양을 조절하여 처리용기(1)에 투입한다.
또한, 상기 용제와 분체도료는 용제 30∼70중량%에 분체도료 30∼70중량%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제 50중량%에 분체도료 50중량%로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비율로 용제와 분체도료를 사용하면 다음 과정인 원심분리과정에서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용제는 용해력이 작은 방향족 용제와 용해력이 큰 지방족 용제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용해력이 큰 지방족 용제는 강한 악취를 가지는데, 이들 지방족 용제만 사용하게 되면 폐분체도료가 각 원료별로 분리는 잘되지만 악취에 의해 작업이 곤란하게 되고 용해력이 작은 방향족 용제만 사용하면 분체도료가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톨루엔이나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용제와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과 같은 케톤류나 아세테이드류 등의 지방족 용제를 10:1에서 6:4 정도의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방향족 용제와 지방족 용제를 이 정도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분체도료를 각 원료별로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제에 의한 악취도 줄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용제에 분체도료를 용해시킨 다음, 원심분리기로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중이 가장 큰 안료층(10)이 가장 아래쪽에 형성되고, 그 위에 수지와 용제의 혼합층(20)이 형성되며, 이 수지와 용제의 혼합층(20)위에 첨가제층(30)과 왁스층(40)이 형성되고, 불순물층(50)이 상기 왁스층(40)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원심분리에 의해 성분들이 분리되면 먼저, 불순물과 왁스, 첨가제를 걷어낸 다음, 수지와 용제의 혼합층(20)을 드레인(2)을 통해 처리용기(1)에서 배출시키고, 안료를 다른 용기에 쏟아 낸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분리된 각 원료들은 액상도료의 제조에 사용된다. 즉, 수지와 용제의 혼합액은 안료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므로 투명한 색상을 띠게 된다. 따라서 수지와 용제의 혼합액은 투명제품이나 분리된 안료를 투입하거나 다른 색상의 안료를 투입하여 다양한 색상의 액상도료 제조에 사용된다. 그리고 분리된 왁스는 도료의 슬립성부여 및 스크랫치성 보완용으로 상도용 액상도료의 제조시에 재사용되고, 안료는 그 색상의 액상도료제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원료들을 사용하여 자연건조형 액상도료를 제조하는데 그 방법은 일반적인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제에 용개시킨 분체도료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지 않고 침전분리시킨다. 침전분리는 분체도료를 용제에 용해 시킨 후 장시간 방치하여 각 원료들이 비중에 따라 자연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침전분리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료중에서 중량제로 사용된 체질안료와 무거운 무기질의 유색안료의 혼합층(12)이 가장 아래쪽에 형성되고, 그 위에 안료중에서 상기 성분들을 제외한 가벼운 성분인 유기질의 유색안료와 수지, 첨가제, 용제의 혼합층(22)이 형성되고, 맨위에 왁스층(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원료가 분리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왁스층을 걷어내고 유기질의 유색안료와 수지, 첨가제, 용제의 혼합층(22)을 상기 드레인(2)을 통해 처리용기(1)에서 배출시키고 나머지 체질안료와 무기질 유색안료의 혼합층(12)을 다른 용기로 쏟아 낸다.
이와 같은 침전분리방법에 의하면, 상기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경우와는 달리 수지와 유색안료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폐분체도료의 색상과 유사한 색상을 가지는 수지와 유색안료의 혼합층(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지와 유색안료의 혼합액은 폐분체도료의 색상 그대로 재생되거나 이에 다른 색상의 안료를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의 액상도료 제조에 사용된다.
이러한 침전분리방법은 원심분리방법에 비해 불순물이 적은 폐분체도료의 분리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원심분리방법에 비해 분리하는데 장시간이 요구되나 원심분리기 등을 갖추기 위한 설비비 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침전분리방법은 용제에 용해시킨 분체도료 200ℓ당 1주일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침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침전분리시 60℃ 정도의 열을 가하게 되면 분리가 촉진되어 용제에 용해시킨 분체 도료 200ℓ당 3일 정도로 침전시간이 단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폐분체도료를 각 원료별로 분리하고 이들 분리된 원료들을 이용하여 자연건조형 액상도료를 제조하는 것이므로, 실용성이 우수하고 또한, 폐분체도료에 사용된 고급원료를 재사용하는 것이므로 고급의 액상도료를 낮은 코스트로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폐체도료를 용제에 용해시킨 다음, 각 원료들을 비중차를 이용해 분리하여 액상도료로 제조하는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폐분체도료의 재활용방법은 그 과정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분체도료에 사용된 고급원료를 재사용하는 것이므로 고급의 액상도료를 낮은 코스트로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

  1. 색상별로 분리수거된 폐분체도료를 용제에 혼합하여 용해시킨 다음, 비중차를 이용해 분체도료를 각 원료별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원료들을 이용해 자연건조형 액상도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분체도료를 이용한 자연건조형 액상도료의 제조방법
KR1019990008955A 1999-03-17 1999-03-17 폐분체도료를이용한자연건조형액상도료의제조방법 KR19990046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955A KR19990046045A (ko) 1999-03-17 1999-03-17 폐분체도료를이용한자연건조형액상도료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955A KR19990046045A (ko) 1999-03-17 1999-03-17 폐분체도료를이용한자연건조형액상도료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045A true KR19990046045A (ko) 1999-06-25

Family

ID=5478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955A KR19990046045A (ko) 1999-03-17 1999-03-17 폐분체도료를이용한자연건조형액상도료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60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71A (ko) * 2001-02-23 2002-08-29 윤영환 폐 페인트의 재활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71A (ko) * 2001-02-23 2002-08-29 윤영환 폐 페인트의 재활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4485B1 (en) Novel pigment form of Pigment Violet 23
KR970000740B1 (ko) 고-은폐 안료 형태의 n,n&#39;-디메틸페릴렌-3,4,9,10-테트라카복실산 디이미드의 제조방법
JP2911500B2 (ja) キナクリドン顔料、その製造方法及び利用方法
KR20010060363A (ko) 조건화된 유기 안료 제법
EP1436354A2 (en) Process for making green pigment compositions useful for colour filters and lcd&#39;s
CN101263204B (zh) 有色微小复合颗粒、有色微小复合颗粒的制造方法、着色材料、滤色器、和喷墨用墨水
KR19990046045A (ko) 폐분체도료를이용한자연건조형액상도료의제조방법
US4196016A (en) Grinding of pigments
US4271214A (en) Method for recovering acrylic resin from excess of sprayed powder coating composition by using aromatic solvents
JPS62502829A (ja) 塗料スラツジから有価物を回収するための方法
JPS63142065A (ja) X―変態の微粒状で透明な金属不含のフタロシアニン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顔料
EP048844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Lack-Koagulat
JPH0240386A (ja) 不透明なキナクリドンの製造方法
CN109277390A (zh) 一种油漆渣再生利用的方法
EP0688344B1 (en) Dispersion
JP4462529B2 (ja) アルミニウム顔料ペーストの製造方法
SU1700016A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алкидных и алкидно-акриловых лакокрасоч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H02175770A (ja) 顔料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00396731C (zh) 固体溶液有机颜料的制备和调制
JPS6334763B2 (ko)
JPS6334764B2 (ko)
US2722485A (en) Method for producing coloring pigment
JPH027341B2 (ko)
JPS631883B2 (ko)
RU2091408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скоагулированных отходов лакокрасоч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