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283A - 무마모 실린더를 구비한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 - Google Patents

무마모 실린더를 구비한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283A
KR19990045283A KR1019980048778A KR19980048778A KR19990045283A KR 19990045283 A KR19990045283 A KR 19990045283A KR 1019980048778 A KR1019980048778 A KR 1019980048778A KR 19980048778 A KR19980048778 A KR 19980048778A KR 19990045283 A KR19990045283 A KR 19990045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piston
blind hole
compressor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069B1 (ko
Inventor
미노루 가와다
미끼히꼬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마쓰다 노부유끼
미쓰비시 쥬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노부유끼, 미쓰비시 쥬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다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4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04C28/1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using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용량-제어 기구 (37b)를 갖는 압축기에서는, 피스톤내에서의 코일 스프링 (41b) 의 미끄럼운동과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상기 피스톤 (34b) 에 설치된 블라인드 구멍의 내주면이 마모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용량-제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을 내마모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 (50) 에 의해 덮고, 이 커버에 의해 덮힌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기 블라인드 구멍에 배치하며, 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헤드를 상기 블라인드 구멍의 내부 표면에 끼워맞춘다.

Description

무마모 실린더를 구비한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
본 발명은, 차량 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적합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제 9-329661 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병합된다.
도 3 내지 5 는 종래의 스크롤식 압축기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은 종방향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F-F"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G-G"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에 있어, 도면부호 1 은 컵형상의 주몸체부 (2), 이 주몸체부 (2) 에 보울트 (3)를 이용하여 부착된 전방 단부판 (4), 및 이 전방 단부판 (4) 에 보울트 (5)를 이용하여 부착된 원통부재 (6)를 포함하는 폐쇄 하우징을 가리킨다.
상기 원통부재 (6)를 통해서는 주축 (7) 이 설치되며, 베어링 (8,9)을 통해 자유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지지된다.
상기 폐쇄 하우징 (1) 내에는, 고정 스크롤 (10) 과 회전 스크롤 (14) 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스크롤 (10) 은 단부판 (11) 과 이 단부판 (11) 의 표면 (11a) 에 배치된 스파이럴 랩 (12)을 포함하는데, 상기 표면은 후술하는 단부판 (15) 에 대면한다. 상기 단부판 (11) 은 상기 컵형상의 주몸체부 (2) 에 보울트 (13)를 통해 부착된다.
상기 회전 스크롤 (revolving scroll : 14) 은 단부판 (15) 과 이 단부판 (15) 의 표면 (15a) 에 배치된 스파이럴 랩 (16)을 포함하는데, 상기 표면은 상기 단부판 (11) 에 대면한다. 이 스파이럴 랩 (16) 의 형상은 상기 고정 스크롤 (10) 에 포함된 상기 스파이럴 랩 (12) 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회전 스크롤 (14) 과 고정 스크롤 (10) 의 축은 소정 간격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즉, 양 축은 편심관계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들 스크롤의 위상차는 180°이며, 이들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스파이럴 랩 (12) 의 각 헤드표면에 설치되어 매립된 팁 시일 (17) 은 단부판 (15) 의 표면 (15a) 과 밀접하게 접촉하며, 반면에 스파이럴 랩 (16) 의 각 헤드표면에 설치되어 매립된 팁 시일 (18) 은 단부판 (11) 의 표면 (11a) 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이들 스파이럴 랩 (12,16) 의 측면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위치 (a,b,c,d) 에서 선접점을 가지며, 따라서 스파이럴의 중심에 대한 점대칭의 위치에 실질적으로는 복수의 압축실 (19a,19b) 이 형성된다.
단부판 (15) 의 내부 표면 (15a) 에 대향하는 외부 표면의 중앙영역에 설치된 돌출 디스크형 보스 (20) 의 안쪽에는, 드라이브 부시 (21) 가 회전 베어링 (23)을 통해 자유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브 부시 (21) 내에는 슬라이드공 (24) 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드공 (24) 에는 편심 드라이브 핀 (25) 이 자유 미끄럼운동을 수행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 돌출 드라이브 핀 (25) 은 상기 주축 (7) 의 대경부 (7a) 의 단부면에 편심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대경부 (7a) 는 회전축 (7) 의 측방에 주몸체부 (2) 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26 은 스러스트 베어링으로서도 기능하는 회전-저지 기구 (rotation-blocking mechanism)를 가리키는데, 이 기구는 상기 단부판 (15) 의 외부 표면의 주변 가장자리와 상기 전방 단부판 (4) 의 내부 표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27 은 드라이브 부시 (21) 에 부착된 평형추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28 은 흡입실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29 는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 (11) 의 중앙부를 구멍뚫기하여 형성한 배출구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30 은 배출 밸브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31 은 배출 캐비티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32 는 주축 (7) 의 대경부 (7a) 에 부착된 평형추를 가리킨다. 도면부호 35 는 배출 밸브 (30) 의 상승운동을 제한하는 리테이너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36 은 상기 배출 밸브 (30) 와 상기 리테이너 (35)를 상기 단부판 (11) 에 고정시키는 보울트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38 은 제어 밸브를 가리킨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주축 (7) 이 회전하는 경우, 편심 드라이브 핀 (25), 드라이브 부시 (21), 회전 베어링 (23), 및 보스 (20)를 통해 회전 스크롤 (14) 이 구동되며, 이 회전 스크롤 (14) 은 회전-저지 기구 (26) 에 의해 그의 회전 (rotation) 이 저지된채로 회전한다.
때문에, 스파이럴 랩 (12,16) 의 측면의 상기 선접촉부 (a-d) 는 점차 "소용돌이 (swirl)" 의 중심으로 옮겨가며, 이에 따라서 압축실 (19a,19b) 도 또한 그의 용적이 점차 감소되면서 소용돌이의 중심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입구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흡입실 (28) 로 흘러들어온 기체는 스파이럴 랩 (12,16) 의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 경계지어진 구멍으로부터 압축실 (19a,19b) 로 유입된다. 이 기체는 점차 압축되어 중앙실 (22) 에 이른다. 이 기체는 상기 중앙실로부터 배출구 (29)를 통과하여 배출 밸브 (30)를 압박하여 개방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기체는 배출 캐비티 (31) 에 배출된다. 이후, 상기 기체는 출구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바깥으로 배출된다.
고정 스크롤 (10) 의 단부판 (11) 내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실린더 (32a,32b) 가 설치되어 있는데, 각 실린더의 단부는 흡입실 (28) 에 개방되어 있고, 이들 실린더는 배출구 (29) 의 양측에 평행한 형태로 그리고 그들 사이에 특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단부판 (11) 내에는, 한쌍의 압축실 (19a,19b) 로부터 상기 실린더 (32a,32b) 로의 압축중에 기체를 바이패싱하기 위한 바이패싱공 (33a,33b) 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기체를 배출구 (29) 와 실린더 (32a,32b)를 통해 계속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바이패싱 경로 (44a,44b) 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압력실 (37b)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패싱공 (33b) 과 바이패싱 경로 (44b)를 개폐하는 피스톤 (34b)을 실린더 (32b) 안으로 밀접하여 삽입함으로써 상기 실린더 (32b) 내에서 경계지어진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34b) 은 실린더 (32b) 내에서의 자유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상기 피스톤 (34b) 에는, 바이패싱공 (33b)을 개폐하는 공 (46b) 과, 바이패싱 경로 (44b)를 개폐하는 공 (47b) 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34b) 내에 제공된 블라인드 구멍 (45b) 안에는 코일 스프링 (41b) 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의 일단은 블라인드 구멍 (45b) 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고, 타단은 스프링 베어링 (40b)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압축기의 전부하 작동시에는, 제어 밸브 (38)를 통해 발생된 제어 고압 기체가 관통공 (39b)을 통해 제어압력실 (37b) 에 유입된다. 따라서, 피스톤 (34b) 이 코일 스프링 (41b) 의 충격-탄성력에 대항하여 전진하게 되어, 상기 피스톤 (34b)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고, 바이패싱공 (33b) 과 바이패싱 경로 (44b) 가 폐쇄된다.
다른 한편으로, 용량이 제어된 (또는 감소된) 작동 모드의 경우에는, 제어 밸브 (38)를 통해 발생된 제어 기체의 압력이 점차 낮아진다. 따라서, 피스톤 (34b) 은 코일 스프링 (41b) 의 충격-탄성력을 받아 후퇴이동한다. 상기 공 (46b) 이 상기 바이패싱공 (33b) 과 정렬되면, 압축하의 기체가 상기 바이패싱공 (33b), 그리고 관통공 (46b), 블라인드 구멍 (45b), 및 실린더 (32b)를 통해 흘러서 흡입실 (28) 에 주입된다.
상기 제어 밸브 (38)를 통해 발생된 제어 기체의 압력이 더 낮아지면, 상기 공 (47b) 과 바이패싱 경로 (44b) 의 위치가 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배출구 (29) 로부터의 기체가 바이패싱 경로 (44b), 공 (47b), 블라인드 구멍 (45b), 및 실린더 (32b)를 통해 흡입실 (28) 에 도입되고, 압축기의 용량은 제로가 된다.
실린더 (32a) 의 구성과 작동은 일반적으로 상기 실린더 (32b) 의 그것과 동일하다.
그런데, 전술한 스크롤식 압축기에서는, 피스톤 (34b) 이 실린더 (32b) 내에서 슬라이딩할때에, 코일 스프링 (41b) 은 연장하거나 수축하며, 동시에 회전한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 (41b) 의 외주부가 블라인드 구멍 (45b) 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어, 그 접촉부위가 마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인드 구멍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방향 부분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방향 부분 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스크롤식 압축기의 종방향 부분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F-F"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G-G" 선을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b : 실린더 34b : 피스톤
37b : 제어압력실 41b : 코일 스프링
45b : 블라인드 구멍 50 : 커버
51 : 코일 스프링의 헤드 52 : 소공 (small hol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된 압력을 가지며, 또한 피스톤을 자유 슬라이딩 형태로 실린더에 밀접하여 삽입함으로써 그 경계가 한정되는 제어압력실과; 상기 피스톤을 그 피스톤에 형성된 블라인드 구멍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의 충격-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바이패싱되는 압축중의 및/또는 압축후의 기체를 포함하는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내마모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에 의해 덮히고, 이 커버에 의해 덮힌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블라인드 구멍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피스톤의 외주부와 블라인드 구멍의 내주면간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주면의 마모가 회피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제어된 압력을 가지며, 또한 피스톤을 자유 슬라이딩 형태로 실린더에 밀접하여 삽입함으로써 그 경계가 한정되는 제어압력실과; 상기 피스톤을 그 피스톤에 형성된 블라인드 구멍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의 충격-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바이패싱되는 압축중의 및/또는 압축후의 기체를 포함하는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헤드가 상기 블라인드 구멍의 내부 표면에 끼워맞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이 블라인드 구멍내에서 회전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피스톤의 외주부와 블라인드 구멍의 내주면간의 접촉을 역시 회피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주면의 마모가 회피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종방향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코일 스프링 (41b) 은 내마모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 (50) 에 의해 덮혀 있고, 이 커버에 의해 덮힌 상기 코일 스프링 (41b) 은 블라인드 구멍 (45) 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부분들은 도 3 내지 5 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량이 제어된 (또는 감소된) 작동 모드일 때에, 코일 스프링 (41b) 이 피스톤 (34b) 의 왕복운동으로 인해 연장하고 수축하는 경우에도, 스프링의 외주부가 블라인드 구멍 (45b) 의 내주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블라인드 구멍 (45b) 의 내주면의 마모가 회피될 수 있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종방향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코일 스프링 (41b) 의 헤드 (51) 가 구부러져 있고, 이 구부러진 헤드 (51) 는 스프링의 연장 (또는 수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블라인드 구멍 (45b) 의 저부에 설치된 소공 (52) 에 끼워맞춰져 있다. 다른 부분들은 도 3 내지 5 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 (41b) 이 피스톤 (34b) 의 왕복운동으로 인해 연장하고 수축하는 경우에도, 헤드 (51) 가 소공 (52) 에 끼워맞춰져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 (41b) 이 블라인드 구멍 (45b) 내에서 회전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블라인드 구멍의 내주면과 스프링 코일 양자를 접촉시키면서도, 블라인드 구멍의 내주면에 대한 스프링 코일 (41b) 의 상대회전으로 인한 상기 블라인드 구멍 (45b) 의 내주면의 마모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용량-제어 기구에서는, 압축중의 또는 압축후의 기체가 바이패싱되지만, 압축중의 기체와 압축후의 기체중의 하나만이 바이패싱되어도 된다.
이상, 한쌍의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스크롤식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예컨대 일본 특허출원 1차 공고 제 3-237285 호 및 제 4-179886 호에 개시된 단일의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스크롤식 압축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링-피스톤식과 같은 어떠한 타입의 압축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피스톤의 외주부와 블라인드 구멍의 내주면간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주면의 마모를 회피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이 블라인드 구멍내에서 회전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슬라이딩 피스톤의 외주부와 블라인드 구멍의 내주면간의 접촉을 역시 회피할 수 있어, 상기 내주면의 마모를 회피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Claims (2)

  1. 제어된 압력을 가지며, 또한 피스톤 (34b)을 자유 슬라이딩 형태로 실린더 (32b) 에 밀접하여 삽입함으로써 그 경계가 한정되는 제어압력실 (37b) 과,
    상기 피스톤을 그 피스톤에 형성된 블라인드 구멍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 (41b) 의 충격-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바이패싱되는 압축중의, 압축후의, 또는 압축중 및 압축후의 기체를 포함하는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내마모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 (50) 에 의해 덮히고, 이 커버에 의해 덮힌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블라인드 구멍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
  2. 제어된 압력을 가지며, 또한 피스톤 (34b)을 자유 슬라이딩 형태로 실린더 (32b) 에 밀접하여 삽입함으로써 그 경계가 한정되는 제어압력실 (37b) 과,
    상기 피스톤을 그 피스톤에 형성된 블라인드 구멍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 (41b) 의 충격-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바이패싱되는 압축중의, 압축후의, 또는 압축중 및 압축후의 기체를 포함하는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헤드가 상기 블라인드 구멍의 내부 표면에 끼워맞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제어 기구를 갖는 압축기.
KR1019980048778A 1997-11-14 1998-11-13 무마모실린더를구비한용량-제어기구를갖는압축기 KR100306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29661 1997-11-14
JP9329661A JPH11148480A (ja) 1997-11-14 1997-11-14 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283A true KR19990045283A (ko) 1999-06-25
KR100306069B1 KR100306069B1 (ko) 2002-01-17

Family

ID=1822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778A KR100306069B1 (ko) 1997-11-14 1998-11-13 무마모실린더를구비한용량-제어기구를갖는압축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50784A (ko)
EP (1) EP0916848B1 (ko)
JP (1) JPH11148480A (ko)
KR (1) KR100306069B1 (ko)
CN (1) CN1088159C (ko)
AU (1) AU708364B2 (ko)
CA (1) CA2254057C (ko)
DE (1) DE69838017T2 (ko)
TW (1) TW454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10157U1 (de) * 1999-06-10 1999-09-09 Emhart Inc Bolzenschweißvorrichtung
JP2001153043A (ja) * 1999-12-01 2001-06-05 Sanden Corp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06177374A (ja) * 2006-03-30 2006-07-06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238208B1 (ko) 2006-09-06 201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 방지 장치
US8616014B2 (en) * 2009-05-29 2013-12-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capacity modulation or fluid injection systems
US9352430B2 (en) 2010-06-16 2016-05-31 Schleuniger Holding Ag Cable grommet fitting apparatus for cable
WO2011158145A1 (de) 2010-06-16 2011-12-22 Schleuniger Holding Ag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kabeltüllen auf ein kabel
MX2018013125A (es) 2011-09-29 2021-09-14 Schleuniger Ag Método para ajustar cables con fundas de cable y unidad de transferencia para sellos o componentes de ensamble de cable comparables para una planta de procesamiento de cable.
EP2709217B1 (de) 2012-09-12 2017-08-09 Schleuniger Holding AG Maschine für die Montage von Kabeltüllen
KR20170018718A (ko) 2015-08-10 201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정질 합금을 이용한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US11656003B2 (en) 2019-03-11 2023-05-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limate-control system having valv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4089B2 (en) * 1983-08-03 1988-06-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otary compressor with capacity modulation
JP2891502B2 (ja) 1990-02-15 1999-05-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JP2796426B2 (ja) 1990-11-14 1998-09-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846106B2 (ja) * 1990-11-16 1999-01-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796427B2 (ja) * 1990-11-14 1998-09-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DE4100724A1 (de) * 1991-01-10 1992-07-16 Vogel Willi Ag Zentralschmieraggregat
JP2831193B2 (ja) * 1992-02-06 1998-12-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容量制御機構
JPH0655946U (ja) * 1993-01-12 1994-08-02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ベーンポンプの流量制御機構
JP3376692B2 (ja) * 1994-05-30 2003-02-1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
DE4433598A1 (de) * 1994-09-21 1996-03-2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Regeleinrichtung für Verdrängerpumpen
AU7524696A (en) * 1995-11-02 1997-05-22 Standex International Corporation Pump having relief valve seat free of direct structural restraint
JPH09310688A (ja) * 1996-05-21 1997-12-02 Sanden Corp 可変容量型スクロール圧縮機
JP2784513B2 (ja) 1996-06-11 1998-08-06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目標自動類別・識別方法
JP3723283B2 (ja) * 1996-06-25 2005-12-07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可変容量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6848A1 (en) 1999-05-19
EP0916848B1 (en) 2007-07-04
DE69838017T2 (de) 2008-03-06
AU708364B2 (en) 1999-08-05
DE69838017D1 (de) 2007-08-16
CA2254057C (en) 2003-02-11
JPH11148480A (ja) 1999-06-02
US6050784A (en) 2000-04-18
CN1088159C (zh) 2002-07-24
CA2254057A1 (en) 1999-05-14
TW454065B (en) 2001-09-11
KR100306069B1 (ko) 2002-01-17
CN1218145A (zh) 1999-06-02
AU9144098A (en) 199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6058A (en) Scroll-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KR101231059B1 (ko) 용량조절 시스템을 가진 압축기
US5993177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improved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KR101253137B1 (ko) 용량 조절 어셈블리를 가진 압축기
KR101239116B1 (ko) 용량조절 시스템을 가진 압축기
KR950013017B1 (ko) 스크로울형 유체기계
KR100306069B1 (ko) 무마모실린더를구비한용량-제어기구를갖는압축기
KR950013018B1 (ko) 스크로울형 압축기
JP4262949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S6397893A (ja) ベ−ン型回転圧縮機
US20100322809A1 (en) Fluid machinery
KR19990037271A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US5362218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counterweight
JP4160878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306336B1 (ko) 내부바이패스시스템을구비한용량제어식스크롤형압축기
JPH11148472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932782A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JPH02161191A (ja) 密閉形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217462522U (zh) 涡旋压缩机
CN115467827A (zh) 涡旋压缩机
KR20030002024A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 지지용 스러스트 베어링지지구조
JPH051673Y2 (ko)
JPH04187886A (ja) スクロール式圧縮機
JPS6116286A (ja) ベ−ン型回転圧縮機
JPS61252887A (ja) リリ−フバルブを備えたスクロ−ル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