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559A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559A
KR19990044559A KR1019980701808A KR19980701808A KR19990044559A KR 19990044559 A KR19990044559 A KR 19990044559A KR 1019980701808 A KR1019980701808 A KR 1019980701808A KR 19980701808 A KR19980701808 A KR 19980701808A KR 19990044559 A KR19990044559 A KR 1999004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lid
container
wall
b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139B1 (ko
Inventor
세사레 몬갈리
알레산드로 몬갈리
Original Assignee
세사레 몬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사레 몬갈리 filed Critical 세사레 몬갈리
Publication of KR1999004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arton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Tea And Coffee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리드(7)와 대응홀(8)의 외곽선을 형성하는 약한 폐쇄선(6)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벽(5)과, 리드(7)와 관련되어 약한선(6)을 따라서 벽(5)을 찢어 용기벽으로부터 리드(7)를 제거하기 위해서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레버(10)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에서, 단부벽(5)의 외면상에 평상시 지탱되어 있고 레버(10)와 리드(7)에 고정된 한 단부(9a)와, 리드로부터 이격된, 용기의 단부벽(5)의 외면에 고정된 다른 단부(9b)를 가지는 가요성 텅(9)을 포함하며, 리드를 용기벽으로부터 손으로 제거하면, 텅은 리드가 홀(8)로부터 해체된 위치에 있는 굽힘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굽힘 형상으로 텅을 유지하기 위해서 구속수단(15; 19, 20)이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이 형태의 종래의 용기는 개방될 때 레버와 이와 관련된 리드가 용기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그러므로 자연환경에 버려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의 기술분야에 언급한 형태의 음료 용기가 제안되어 왔으며, 여기서는 리드의 외곽선을 형성하는 약한선이 개방되고 레버의 작동으로 용기의 커버를 찢고 리드를 대응홀을 통해서 용기의 내측을 향해 구부린다. 리드를 찢어 구부린후, 용기에 단단하게 연결된 채로 남아 있어 자연환경에 따로 버려질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용기의 개방하는 결과로서, 리드가 음료로 "빠지게(dipped)"게 되어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음료의 제조와 패키징에서 채택되어지는 예방조치를 무력하게 만들고 제품을 못쓰게 만들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보통 "캔"으로 알려진 형태의 용기, 특히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약한 폐쇄선을 형성하고 있어 리드와 대응 홀의 외곽선을 형성하는 단부벽과, 약한선을 따라서 벽을 찢고 용기벽으로부터 리드를 제거하기 위해서 리드와 상호 작동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는 형태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폐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연속 개방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최종 개방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폐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과 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연속 개방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최종 개방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4의 IX-I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X -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한 형태의 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용기의 단부벽의 외면상에 평상시 지탱하고 레버와 리드에 고정된 한 단부와 리드로부터 이격된 용기의 단부벽의 외면에 고정된 다른 단부를 가진 가요성 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용기벽으로부터 리드의 수동 제거의 결과로서, 텅은 관련 리드가 홀로부터 이탈위치에 있는 굽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텅을 굽힘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구속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특징에 의해서, 뾰족한 에지를 가진 리드가 제거후 자연환경에 버려질 위험을 피하고 리드와의 접촉의 결과로서 생기는 음료의 오염의 위험을 또한 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추가의 특징과 장점은 단순히 비제한 예로서 제공된, 첨부도면을 참고로 설명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해 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1)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틸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만든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리셉터클(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의 측벽(3)과 기부(4)는 인발기술로 한 조각으로 만들어진 것이 양호하다.
또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틸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만든 커버(5)는 심밍(seaming)에 의해 리셉터클의 상단부에 밀봉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커버와 용기의 벽의 내면은 종래의 방법으로 함유 제품에 대해서 불활성인 니스 또는 폴리머 재료의 필름으로 코팅될 수 있다.
약한선(6)은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째진부분(반-블랭크)으로 커버(5)의 외면상에 형성된다; 째진선(6)은 커버의 주변 에지에 인접해서, 리드(7)와 대응홀(8)을 커버내에 형성하도록 폐쇄되어 있다.
용기가 폐쇄된 형상으로 있을 때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도면부호 9로 표시한 가요성 텅은 리드(7)를 형성하는 커버의 일부분에 고정된 단부(9a)와 리드에서 이격된, 커버의 주변 에지에 인접해서 고정된 다른 단부(9b)를 가진다. 텅은 예를 들어, 리드와 일체이고 텅(9)내의 홀을 통해서 연장하는 돌출부(11)와 작동 레버(10)내의 대응홀에 의해서 리드에 레버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홀의 다른 측면에는 리벳등으로 업셋(upset)되어 있다. 유사하게, 텅의 다른 단부(9b)는 커버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텅내의 대응홀을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업셋 돌출부(12)에 의해서 커버에 연결되어 있다.
용기가 폐쇄 형상으로 있을 때, 레버(10)는 양호하게 약한선(6)의 선을 양호하게 커버하고 보호하므로 용기의 축에 평행한 로드에 의해서 커버(5)가 이 선을 따라서 찢어지거나 파괴되지 못하게 한다. 이것은 텅이 이 목적에 적합한 다른 수단에 의해서 커버와 리드에 고정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텅(9)은 가요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양호하게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 판으로부터 형성된다. 텅은 적합하게 서로 이격되고 텅의 길이를 횡단하도록 배열된, 예를 들어 한 쌍의 굽힘선(13, 14)과 같은, 하나 이상의 예비성형 굽힘선을 가진다. 예비성형 굽힘선은 리드를 제거한 결과로서 텅을 스스로 구부릴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굽힘 형상(도 4와 도 9)으로 텅(9)을 유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은 텅과 직면한 단부에서 홀(8)에 인접한 버섯형 돌출부(15)를 포함한다. 편편한 헤드(16)와 생크(17)를 가지는 돌출부(15)는 예를 들어 펀칭과 업셋팅에 의해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다. 텅이 굽힘 형상상태로 있을 때, 커버로부터 분리된 리드의 전방단부는 헤드와 커버의 상부면사이의 공간내의 돌출부의 헤드(16)밑에서 결합할 수 있고 이 위치에서 연장 형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는 텅의 탄성 회복력을 구속한다. 이 실시예에서, 텅은 적합하게 용기가 커버 전체로 덮여되어 있는 폐쇄 형상에 있을 때, 거의 편편한 위치로 텅을 유지하도록 돌출부의 헤드(16)가 텅을 관통해 연장할 수 있는 관통홀(18)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용기를 개방해서 여기에 함유된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도 1의 폐쇄 형상으로 부터, 소비자는 레버(10)를 작동하여 커버로부터 리드(7)를 분리하고, 그 후 텅을 굽힘선(13)을 따라서 구부리고 돌출부(15)의 헤드(16)아래로 리드의 전방 에지를 결합한다. 그러므로 리드는 홀(8)로부터 해체되어 있는 위치상태로 용기에 연결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과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구속 수단은 펀칭에 의해 제조되고 텅의 단부(9b)에 인접하게 배치된, 예를 들어 텅과 일체인 핀(19)과, 텅내에 형성되고 텅의 굽힘의 결과로, 굽힘 형상으로 텅을 구속하도록 홀내에 삽입될 수 있는 핀(19)과 직면하는 위치에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 관통홀(2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연장 상태로 텅을 다시 돌아가게 하는 경향이 있는 텅의 탄성 회복력은 핀(19)과 홀(20)사이의 결합으로 구속되어 굽힘 형상으로 텅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구속 수단에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지만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된 범주의 용기를 포함하고 또한 용기가 개방되고 여기에 함유된 음료가 리드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고 소비자의 입술이 리드의 뾰족한 에지와 접촉하지 않게 되도록, 텅과 관련 리드가 홀(8)과 결합하지 않은 형상으로 구속될 수 있게 하는 다른 구속 수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보조 형상의 커플링 수단은 굽힘의 결과로서 서로 포개진 텅의 영역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양을 가진 돌출부(도시 생략) 또는 펀칭을 텅의 인접한 부분(9d)(도 3)의 상부면내에 형성된 보충 리세스를 결합하기 위해서 텅의 상부면이 부분(9c)(도 3)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부분(9d)의 하부면의 리세스는 리드(7)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보충 돌출부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음료캔으로 구성된, 특정 용기를 참고로 상술한 개방 장치는 또한 다른 용기들에서도 이용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Claims (6)

  1. 리드(7)와 대응홀(8)의 외곽선을 형성하는 약한 폐쇄선(6)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벽(5)과, 상기 리드(7)와 관련되어 약한선(6)을 따라서 벽(5)을 찢어 용기벽으로부터 리드(7)를 제거하기 위해서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레버(10)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5)의 외면상에 평상시 지탱되어 있고 상기 레버(10)와 리드(7)에 고정된 한 단부(9a)와, 상기 리드로부터 이격된, 상기 용기의 단부벽(5)의 외면에 고정된 다른 단부(9b)를 가지는 가요성 텅(9)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를 용기벽으로부터 손으로 제거하면, 상기 텅은 상기 리드가 홀(8)로부터 해체된 위치에 있는 굽힘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상기 굽힘 형상으로 상기 텅을 유지하기 위해서 구속수단(15; 19, 20)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텅은 텅을 구부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성형 굽힘선(13, 14)을 가진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커버(5)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며, 텅이 굽힘 형상으로 있을 때 텅(9)과 관련해서 리드(7)의 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헤드(16)를 가지는 버섯형 돌출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텅으로부터 돌출하는 핀(19)과 텅이 굽힘 형상으로 있을 때 상기 핀과 결합하기 위해 텅내에 형성된 홀(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텅의 단부(9a)는 리드와 일체형인 업셋 돌출부에 의해 리드(7)와 레버(1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텅의 단부(9b)는 상기 커버와 일체형인 하나 이상의 업셋 돌출부(12)에 의해서 상기 커버(5)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10-1998-0701808A 1995-09-11 1996-09-09 용기 KR100457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95TO000725A IT1280461B1 (it) 1995-09-11 1995-09-11 Contenitore, particolarmente per bevande.
ITTO95A000725 1995-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559A true KR19990044559A (ko) 1999-06-25
KR100457139B1 KR100457139B1 (ko) 2005-05-16

Family

ID=1141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808A KR100457139B1 (ko) 1995-09-11 1996-09-09 용기

Country Status (32)

Country Link
US (1) US6062414A (ko)
EP (2) EP0947435A1 (ko)
JP (1) JPH11512370A (ko)
KR (1) KR100457139B1 (ko)
CN (1) CN1065493C (ko)
AT (1) ATE188432T1 (ko)
AU (1) AU704324B2 (ko)
BG (1) BG62765B1 (ko)
BR (1) BR9610499A (ko)
CA (1) CA2231679C (ko)
CU (1) CU22579A3 (ko)
CZ (1) CZ289442B6 (ko)
DE (1) DE69606050T2 (ko)
DK (1) DK0850174T3 (ko)
EA (1) EA000369B1 (ko)
EE (1) EE03814B1 (ko)
ES (1) ES2143223T3 (ko)
GE (1) GEP20032919B (ko)
GR (1) GR3033096T3 (ko)
HK (1) HK1018038A1 (ko)
HU (1) HUP9901409A3 (ko)
IT (1) IT1280461B1 (ko)
MX (1) MX9801901A (ko)
NO (1) NO317499B1 (ko)
NZ (1) NZ318406A (ko)
PL (1) PL183383B1 (ko)
PT (1) PT850174E (ko)
RO (1) RO116472B1 (ko)
SK (1) SK282585B6 (ko)
TR (1) TR199800435T1 (ko)
UA (1) UA43428C2 (ko)
WO (1) WO1997010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4635A1 (en) * 1999-01-27 2000-08-03 Antonello Signorelli Clos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and the like
ITRM20010045U1 (it) * 2001-03-12 2002-09-12 Fiorentini Graziella Perfezionamenti nelle lattine per bevande gassate e non gassate, e nei relativi sistemi di chiusura.
JP4803648B2 (ja) * 2005-09-01 2011-10-26 大和製罐株式会社 ステイオンタブ方式の開口容易缶蓋
DE102007028048A1 (de) 2006-06-17 2008-06-19 Horst Heigl Behälterverschlussvorrichtung
US8215513B1 (en) 2007-08-20 2012-07-10 Popseal LLC. Self-closing resealable can end
ITUD20070159A1 (it) * 2007-09-07 2007-12-07 Internat Patents And Brands Co Contenitore per una sostanza, in particolare una bevanda, con elemento di chiusura apribile a strappo
KR100942867B1 (ko) * 2007-10-16 2010-02-17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US20100213194A1 (en) * 2009-02-21 2010-08-26 Junsong Liu Pop Can Beak Spout Design
US10017295B2 (en) 2010-08-06 2018-07-10 Ball Corporation Container end closure with optional secondary vent opening
JP5767849B2 (ja) * 2011-04-28 2015-08-19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蓋部材および飲料容器
ITMO20110334A1 (it) * 2011-12-27 2013-06-28 Filippo Lotti Dispositivo per l'apertura mediante linguetta a strappo di coperchi di contenitori
US9694935B2 (en) * 2013-03-15 2017-07-04 Ball Corporation End closure with a ring pull actuated secondary vent
ITRM20130676A1 (it) * 2013-12-06 2015-06-07 Celli Holding S P A Contenitore ad apertura perfezionata e linguetta per l¿apertura di un contenitore
BR112017001768B1 (pt) 2014-07-30 2022-06-07 Ball Corporation Fechamento de extremidade metálica ventilada
BR202014032067U2 (pt) * 2014-12-19 2015-07-07 Edilberto Acacio Da Silva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lacre para embalagem de bebidas
DE102015122548A1 (de) 2015-12-22 2017-06-22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JP7242525B2 (ja) * 2016-07-08 2023-03-20 アンドリュース ローランド 容器開封装置、容器のためのクロージャー装置、及び容器
PL3544899T3 (pl) 2016-11-25 2021-07-05 João Marques FERNANDES Rozwiązanie konstrukcyjne dla otwierania puszki z napojem
WO2018098550A1 (en) * 2016-12-01 2018-06-07 Fernandes Joao Marques Constructive arrangement for the opening of a beverage can
US20180170632A1 (en) * 2016-12-16 2018-06-21 Edilberto Acácio DA SILVA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a seal in a beverage package
IT201800003019A1 (it) * 2018-02-26 2019-08-26 Stefano Ferrero Lattina per bevande
CN115416991A (zh) * 2020-01-10 2022-12-02 株式会社Ky7 盖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0380A (en) * 1972-01-17 1973-05-01 Fraze Ermal C Can end with inseparable tear strip and latch means for holding tear strip against can wall
US3847300A (en) * 1973-07-16 1974-11-12 Peska L Ass Inc Non detachable pull top can
US4039100A (en) * 1976-07-28 1977-08-02 Wells Robert A Container having non-removable opening member with attached opening lever
US4339053A (en) * 1978-09-07 1982-07-13 Tarro Richard E Container with attached pull tab opener and indicator
US4207991A (en) * 1979-03-19 1980-06-17 Arnaldo Amabili Can top opening means
US4203528A (en) * 1979-04-30 1980-05-20 The Continental Group, Inc. Self-storing pull strip for easy opening containers
US4231487A (en) * 1979-08-14 1980-11-04 The Continental Group, Inc. Pull tab having memory for effecting rolling up of tab and removable panel portion
US4253582A (en) * 1980-01-14 1981-03-03 Shields Michael R Easy-open container end
US4325490A (en) * 1980-10-16 1982-04-20 The Continental Group, Inc. Non-detachable ring pull opening device for beverage cans
US4687116A (en) * 1986-09-10 1987-08-18 Sun Coast Plastics, Inc. Easy open container end closure
CN1029106C (zh) * 1993-04-29 1995-06-28 范国伟 容器罐盖封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G62765B1 (bg) 2000-07-31
CU22579A3 (es) 1999-11-03
NZ318406A (en) 2000-01-28
NO317499B1 (no) 2004-11-08
KR100457139B1 (ko) 2005-05-16
AU704324B2 (en) 1999-04-22
UA43428C2 (uk) 2001-12-17
ES2143223T3 (es) 2000-05-01
CA2231679A1 (en) 1997-03-20
RO116472B1 (ro) 2001-02-28
NO981047D0 (no) 1998-03-10
DK0850174T3 (da) 2000-06-26
PL183383B1 (pl) 2002-06-28
TR199800435T1 (xx) 1998-06-22
AU6988496A (en) 1997-04-01
ITTO950725A1 (it) 1997-03-11
EA199800291A1 (ru) 1999-02-25
SK282585B6 (sk) 2002-10-08
GEP20032919B (en) 2003-03-25
WO1997010150A1 (en) 1997-03-20
EE9800067A (et) 1998-08-17
EP0850174A1 (en) 1998-07-01
EE03814B1 (et) 2002-08-15
ITTO950725A0 (it) 1995-09-11
JPH11512370A (ja) 1999-10-26
HK1018038A1 (en) 1999-12-10
CN1065493C (zh) 2001-05-09
ATE188432T1 (de) 2000-01-15
BR9610499A (pt) 1999-12-21
US6062414A (en) 2000-05-16
HUP9901409A2 (hu) 1999-08-30
EP0850174B1 (en) 2000-01-05
PT850174E (pt) 2000-06-30
BG102378A (en) 1998-11-30
EA000369B1 (ru) 1999-06-24
CZ289442B6 (cs) 2002-01-16
DE69606050T2 (de) 2000-09-14
CZ73198A3 (cs) 1999-06-16
IT1280461B1 (it) 1998-01-20
NO981047L (no) 1998-05-11
EP0947435A1 (en) 1999-10-06
DE69606050D1 (de) 2000-02-10
CN1200704A (zh) 1998-12-02
HUP9901409A3 (en) 2000-08-28
GR3033096T3 (en) 2000-08-31
SK31298A3 (en) 1998-09-09
CA2231679C (en) 2009-06-30
MX9801901A (es) 1998-11-30
PL325461A1 (en) 199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4559A (ko) 음료 용기
US5711447A (en) Easy-open resealable can-end and closure therefor
US5011037A (en) Container end member
US4462503A (en) Beverage container with enclosed straw
US4399925A (en) Pouring spout steel can end construction
US4480763A (en) Beverage container opening means
EP0955247A1 (en) Container
US5823404A (en) Beverage can with integral pour spout
US20230159219A1 (en) Resealable beverage can lid
JPS60204452A (ja) 開口縁の安全な容器蓋
JP2009208845A (ja) フルオープンタイプの缶。
US4065025A (en) Easy opening can end with push-in tabs
US3894651A (en) Non-removable opener
US3454190A (en) Integral opener and closure
US11858682B2 (en) Container opening device, a closure arrangement for a container, and a container
AU688155C (en) Beverage can with integral pour spout
JP4056125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容器蓋
JPH04112043U (ja) 易開封性容器蓋
AU4750302A (en) Tamper-evident or resistant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