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537A - 연결수단 - Google Patents

연결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537A
KR19990044537A KR1019980701785A KR19980701785A KR19990044537A KR 19990044537 A KR19990044537 A KR 19990044537A KR 1019980701785 A KR1019980701785 A KR 1019980701785A KR 19980701785 A KR19980701785 A KR 19980701785A KR 19990044537 A KR19990044537 A KR 1999004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sleeve
connecting means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베 호츠
라펠 스타메라
마르크스 아벨
하겐 피셔
Original Assignee
크리스티안 반겔
헤라우스 일렉트로-나이트 인터내셔날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티안 반겔, 헤라우스 일렉트로-나이트 인터내셔날 엔. 브이 filed Critical 크리스티안 반겔
Publication of KR1999004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5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one conductor screwing in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0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 F01N3/2013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using electric or magnetic heating means
    • F01N3/202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using electric or magnetic heating means directly electrifying the catalyst substrate, i.e. heat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atalyst substrate by joule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한쪽으로는 광물에 의하여 금속눌림쇠로부터 전기적 절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내부도선을 가지는 금속피막케이블로서 만들어진 전압도입선과 다른한쪽으로는 이쪽으로 전기적연결 그중에서도 특히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촉매컨버터간의 연결이 있고, 내부도선과 장치는 탈착가능한 단자연결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이것의 한 부분이 장치상에 위치되며 다른부분은 전압도입선의 자유단부상에 제공되어진다.

Description

연결수단
이러한 촉매 컨버터들은 공지되어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DE-44 35 784). 이것은 가운데에 실제 촉매 컨버터가 위치된 금속하우징을 가지며, 이 금속하우징은 연소가스흐름에 노출되고 전기저항 가열로 제공된다. 하우징의 외부에는 개방구를 통하여, 광물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금속보호판으로부터 절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전도체와 함께 금속피복 케이블로서 이루어지는 전기도선이 깔리며, 이것은 강제 접합에 의하여 전기저항 가열부로 연결되고 금속보호판은 개방구를 통하여 금속하우징으로 들어가고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하여 개방구에 이의 단부를 따라 가스치밀하게 연결된다.
수리한 경우 길고 값비싼 금속피복 케이블은 촉매컨버터와 함께 제거되어야하며 이것은 복잡하다. 또한 장기간의 안정성과 함께 적어도 일회수리를 가능하게하는 전기적 접촉은 이러한 공지된 품목들에서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원도입선과 여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간의 연결로서 특히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촉매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단자연결의 한 부분을 가지는 촉매컨버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단자연결의 다른 부분을 가지는 전원도입선을 나타내며,
도 3은 단자 연결의 또다른 부분으로서 어댑터부를 가지는 예비 전원도입선을 나타내고,
도 4는 단자연결의 두 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인 단면으로 나타내며,
도 5는 도 4에 따르는 단자 연결의 분해조립도를 나타내고,
도 6은 터니멀 연결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에 따르는 단자 연결의 분해조립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일회의 수리가 가능하고 장기간 안정한 전기접촉을 (장치 및 전원도입선의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주요청구항의 내용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두부분의 분리가능한, 한 부분은 장치상에 위치되고 다른 부분은 금속피복 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는 연결은 플러그-소켓의 방식으로 서로 끼워지고 이러한 상태 즉 자기부착 또는 간섭 고정에 의하여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이로인하여 신뢰가능하고 영구적인 안정한 장기간 연결이 달성되고 고온에서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들어 단자 접촉에서와 같이 오염되고 산화될 수 있는 표면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수리할 경우 우수한 전기적 연결은 자가부착 전기연결을 위하여 (원래의) 금속피막 케이블의 더욱 비용이드는 교체를 초래한다. 따라서 금속피막 케이블의 내부전도체는 연장에 의하여 분리되어쟈야 하고 그래서 전원도입선의 절단된 내부 전도체가 남아져 있는 내부에 한부분(부싱)의 바깥을 둘러싸는 교체 금속피막 케이블이 그것의 한 단부상에 적절한 슬리브와 함께 사용되어져야 하거나 또는 적절한 슬리브가 금속피막 케이블안에 있는 내부전도체의 분리된 단부상에 위치되고 제위치에 예컨데 용접되어 고정된다.
자가부착 연결대신에 적절한 슬리브를 가지는 분리교체 금속피막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제 2의 변형이 존재한다. 여기에는 항상 교체될 수 있는 원래의 금속피막 케이블이 나사연결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장치상의 한 부분에 고정시키고 내부전도체의 전기적 연결(용접, 남땜 또는 가압고정)을 위하여 막힌 구멍으로써 나선부분이 존재한다. 장치로 쉽게 탈착가능한 전기적 연결은 나선연결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수리의 경우, 내부 전도체는 연장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어 이 부분이 풀리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수 있으며 그 다음(원래의) 금속피막 케이블은 재사용될 수 있고, 또는 금속피막 케이블은 전체가 손상되지 않게 나사로 돌려서 빠질 수 있고 여러번 사용될 수 있다.
세 번째 방안은 내부도선의 외면에 나사홈을 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장치상에 단자 스터드로서 만들어진 한 부분이 내면의 나선줄에 부합되는 외면의 마주하는 나선줄로서 제공되어야 한다. 이 두부분들은 연결슬리브가 회전될 때 반대편의 두 부합되는 내부 나선줄들을 가지는 연결슬리브에 의하여 서로 당겨진다. 이들은 슬리브 내에 단단하게 수용되어 한편으로는 잘보호되며 부식으로부터 보호되는 연결과 다른 한편으로는 수리시 쉽게 탈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단자 연결은 오염 및/또는 습기에 대항하는 외부보호 슬리브로서 제공되며, 이것은 유니온너트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면 나선줄로 제공되는 단자 연결의 부분들중 한곳으로 내부 나선줄을 이용하여 죄어질 수 있다. 이 부분은 보호를 잘하게 할 뿐만아니라 동시에 응력을 완화시켜 준다.
이 보호슬리브는 금속피막 케이블상에 놓여지고 거기에 고정되는 칼라위에 맞추어 질 수 있고 밀폐기능을 향상시키도록 이들 부분들 사이에 있는 접촉 표면들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밀폐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 단자스터드는 또한 이것에 동심적인 중공의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눌림쇠로서 이루어지며 칼라에 접하고 치밀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접촉표면들상에 부가적인 밀폐단부들이 주어질 수 있다.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에들과 개발들을 종속항들에서와 동일시 된다.
본 발명은 세 개의 실시예들로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서 (10)으로 표시된 촉매컨버터는 서로 평행하게 뻗고 이를 통하여 가스흐름들을 배출시키는 다수의 통로들(12)을 적절히 가지는 촉매컨버터(11)를 포함한다.
촉매컨버터(11)에는 직각으로 굽은 새들(saddle)(14)과 단자블럭(13) 위로 이것에 부착된 단자 스터드(15)를 가지는 가열가능한 개별적인 박막들이 존재한다. 이 단자 스터드는 전면부가 막힌구멍(16)으로서 제공된다.
전단면에 외면의 나선줄(18)로서 제공된 눌림쇠(17)는 단자 스터드(15)에 동심적이다. 중간영역에는 단자 스터드에 대하여 기계적이고 전기적으로 절연인 지지부(19)가 있을 수 있다.
전압도입선(2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다. 이 전압도입선은 전기절연, 바람직하게는 전기절연광물(23)에 의하여 외부금속눌림쇠(22)로부터 분리되는 플렉셔블한 내부도선(21)을 갖는다. 표면층(23)을 밀폐하기 위하여 금속눌림쇠(22)의 양 단부들 상에 격리재(24)나 주입재 또는 유리 밀폐재가 있을 수 있다.
단면이 U자 형태인 금속칼라(25)가 전압도입선(20)의 한 단부상에 놓여지고 금속눌림쇠(22)에 납땜 또는 용접된다. 내부도선은 또한 미리 정해진 한계점으로 역할을 하는 노치(26)로서 제공되며, 여기서 이 내부도선은 공구를 사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외부보호슬리브(27)는 탈착가능한 전압도입선과 특히 칼라(25) 위에 위치된다. 이 슬리브는 전압도입선에 걸쳐 오염물 및 습기에 대항하는 보호재로서 유니온 너트의 방식으로 눌림쇠(17)의 외면 나선줄(18)상으로 죄어질 수 있는 내면 나선줄(28)을 가지며, 칼라(25) 위의 보호슬리브(27)는 동시에 내부도선(21)에 대한 응력 완화재로서 사용된다.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도선(21)의 자유단부(29)는 돌출하여 전압도입선의 한 부분에 있는 막힌구멍(16)으로 내밀어지고 거기에 용접 또는 납땜되어 질 수 있거나 또는 간섭고정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전기전도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다음 전압도입선의 다른 부분인 보호슬리브(27)가 외면 나선줄(18) 상으로 죄어 질 수 있다. 수리를 할 경우, 보호슬리브(27)는 나사 풀려지고 임계점(26)에서 내부도선(21)의 자유단부(29)는 공구에 의하여 분리된다.
나중에 내부도선(21)상에 고정슬리브(30)와 함께 제공되는 자유단부를 가지는 도 3에 도시된 교체 도입선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슬리브(30)는 이것의 내면으로써 단자스터드(15)의 외면상에 고정되게 만들어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납땜이나 용접 또는 가압고정에 의하여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슬리브(30)는 동시에 전압도입선(20)에서 내부도선(21) 자유단부(29)의 분리부분 즉 막힌구멍(16)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로 고정슬리브(30)는 단자스터드(15)의 자유단부로 땜납된다.
두 번째의 실시예가 도 4와 도 5에 도시되며,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동일한 부품들에 표시되고 따라서 반복된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분리된 나사고정부(40)가 존재하며 이것은 외면의 나선줄(42)로써 터니멀스터드(15)의 면상에 있는 내면나선줄(41)로 나사삽입되고 내부도선(21)의 자유단부(29)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막힌구멍(16)을 포함한다. 다른점에서 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실시예들은 부분(40)과 단자스터드(15)간의 연결이 나사 연결이라는 미소한 차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세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스터드(15)의 양 자유단부(0)와 표면(51) 상에서 내부도선(21)의 자유단부(29)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하나의 외면나선줄(52,53)을 가진다. 이들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각각 하나의 부합되는 내면나선줄(61,62)과 국부적인 외형(63)을 가지는 연결슬리브(60)가 서로에 연결된다. 외면의 형태(63)는 공구 바람직하게는 개방렌치(open-end wrench)에 물리기에 용이하다. 연결슬리브(60)가 한 방향으로 돌려질 때 내부도선 연결 슬리브들(50,51)의 자유단부들(29,50)은 내면나선줄(61,62)로 당겨지고 단부상에서 서로에 대하여 물려져서 강한 연결이 결과하게 된다.
이러한 세 번째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나사 연결은 가압고정과 두 도선들의 전기연결을 모두를 위하여 이루어진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예비 전압도입선(첫번째 실시예)은 불필요하다. 금속피막 케이블로서의 원래 전압도입선은 바라는 만큼 많은 횟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전원도입선과 여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간의 연결에 있어서 적어도 일회의 수리가 가능하고 장기간 안정한 전기적 탈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23)

  1. 한쪽으로는 광물(23)에 의하여 금속눌림쇠로부터 전기적 절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내부도선(21)을 가지는 금속피막케이블(20)로서 만들어진 전압도입선과 다른한쪽으로는 이쪽으로 전기적 연결되어지는 장치 그중에서도 특히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촉매컨버터(10)간의 연결수단에 있어서,
    내부도선(21)과 장치는 탈착가능한 단자연결(16.29; 41,40; 50,60,5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이것의 (15,16) 한 부분이 장치상에 위치되며 다른부분(29)은 전압도입선(20)의 자유단부상에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탈착가능한 단자연결의 두 부분들은 플러그-소켓 연결방식으로 서로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단자연결은 오염물 및/또는 습기에 견디게 외부 보호슬리브(27)로써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4. 제 3항에 있어서,
    모호슬리브(27)는 유니온너트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외면나선줄(18)과 함께 제공되는 단자연결의 부분들중 한 부분으로 내면 나선줄(28)로써 나사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압도입선(20)은 금속피막 케이블의 금속눌림쇠(22)상에 놓여진 칼라(25)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6. 제 5항에 있어서,
    칼라(25)는 금속눌림쇠(22) 상으로 납땜 또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칼라는 유니온너트로서 만들어진 보호슬리브(27)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8. 제 7항에 있어서,
    유니온너트는 내면나선줄(28)과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9.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칼라(25) 또는 유니온 너트상과 접촉표면상 사이에 밀폐단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물(19,23)을 가지는 금속피막케이블(20) 또는 눌림쇠(17)의 표면층은 밀폐부재(24) 및/또는 주입물에 의하여 단부상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결의 다른부분(29)은 단자스터드(15)의 자유단부상에 있는 막힌구멍(16)으로의 삽입을 위하여 납땜된 또는 용접된 연결슬리브로써 내부도선(21)의 단부로 바람직하게 향하게 제공되어지거나 또는 단자스터드(15)를 위한 고정슬리브(30)로써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2. 제 1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도선(21)은 임계점으로서 사용되는 노치(26)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3. 제 1항 내지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에 배속된 단자연결의 한부분(15,16)이 전기전도 단자스터드(1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4. 제 10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스터드(15)의 전기절연을 프라즈마 분산에 의하여 적용되는 세라믹 절연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5. 제 1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스터드(15)는 고정 및 내부도선(21)의 연결 또는 이것의 연결슬리브(30)를 위하여 막힌구멍(16)을 가지는 단자연결의 다른 부분을 향하여 표면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6. 제 15항에 있어서,
    과정중 단자스터드(15)의 면으로부터 나사 삽입될 수 있는 부분(40)에 막힌 구멍(16)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7. 제 16항에 있어서,
    이 부분(40)은 외면이 사각 또는 육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8. 제 1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면 나선줄(42)이 자유면상에 제공된 이 부분(40)이 단자스터드(15)의 면상에 있는 내부 나선줄(41)로 나사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19. 제 1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부분(40)은 자유면상에 내면 나선절을 가지는 슬리브로서 만들어지고 단자스터드의 자유단부상에 있는 외면 나선줄 상으로 나사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20. 제 1항 내지 제 2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스터드(15)는 동심적인 눌림쇠로서 이루어진 중공의 샤프트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보호슬리브(27)의 내면 나선줄(28)에 대한 외면나선줄(18)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21. 제 1항 내지 제 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스터드(15)는 또다른 금속피막케이블의 내부도선으로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22. 제 1항 내지 제 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스터드(15)와 전원도입선(20)의 내부도선(21) 또는 그 위에 위치된 연결슬리브(50,51)는 각각 다른 나선방향을 가지는 하나의 외면나선줄(52,53)을 가지고 거기에 부합되는 내면나선줄(61,62)을 가지는 연결슬리브(60)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도 6과 도 7).
  23. 제 22항에 있어서,
    연결슬리브(60)는 외면이 사각 또는 육각으로써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수단.
KR1019980701785A 1996-07-10 1997-06-24 연결수단 KR19990044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7840A DE19627840A1 (de) 1996-07-10 1996-07-10 Verbindung
DE19627840.6 1996-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537A true KR19990044537A (ko) 1999-06-25

Family

ID=779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785A KR19990044537A (ko) 1996-07-10 1997-06-24 연결수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09946A (ko)
EP (1) EP0850351A1 (ko)
JP (1) JPH11514139A (ko)
KR (1) KR19990044537A (ko)
BR (1) BR9702364A (ko)
DE (1) DE19627840A1 (ko)
WO (1) WO19980016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666A (ko) * 2016-05-30 2019-01-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특히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벌집형 본체를 위한 전기 연결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3272A (en) * 1998-05-20 1999-11-30 Tescorp Seismic Product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wire connection at cable entry end
US7544105B2 (en) * 2005-08-23 2009-06-09 Utilx Corporation Cable and cable connection assembly
DE102007026884A1 (de) * 2007-06-11 2008-12-18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5233555B2 (ja) * 2008-09-29 2013-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付き電線
DE102012005786A1 (de) 2012-03-21 2013-09-26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drehsicherer elektrischer Anschluss, insbesondere für einen elektrisch beheizbaren Wabenkörper
GB201420990D0 (en) 2014-11-26 2015-01-07 Rolls Royce Plc Minerally insulated cable connector
AT523645B1 (de) * 2020-04-06 2021-10-15 Avl List Gmbh Adapteranordnung und Bauteilverbund
DE102021116420A1 (de) * 2021-06-25 2022-12-29 Purem GmbH Verbindungsanordnung
DE102021208621B4 (de) 2021-08-06 2024-01-25 Vitesco Technologies GmbH Segmentierte elektrische Durchführung
DE102021121835A1 (de) * 2021-08-24 2023-03-02 Purem GmbH Anschlusseinheit
DE102021128644B3 (de) 2021-11-03 2022-12-08 Türk & Hillinger GmbH Elektrische Durchführung
US20230151749A1 (en) * 2021-11-18 2023-05-18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with electrical connector
DE102021213735B4 (de) 2021-12-02 2023-11-16 Vitesco Technologies GmbH Elektrische Durchführung mit Berührschutz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5844C (de) * 1934-08-08 1939-12-27 Le Conducteur Electr Blinde In Verschlusskappe fuer elektrische Kabel mit mineralischem Isolierstoff
US2294432A (en) * 1940-08-03 1942-09-01 George E Weidner Electrical connector
US2959764A (en) * 1957-05-01 1960-11-08 Gen Electric Terminal board connection
US2982937A (en) * 1957-10-01 1961-05-02 Bendix Corp High temperature lead assembly
JPS601503Y2 (ja) * 1979-03-16 1985-01-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
US4976929A (en) * 1988-05-20 1990-12-11 W. R. Grace & Co.-Conn. Electrically heated catalytic converter
US5238650A (en) * 1991-09-13 1993-08-24 W. R. Grace & Co.-Conn. Electrode feed through
US5321205B1 (en) * 1993-01-15 1997-02-04 Thomas & Betts Corp Electrical connector fitting
US5435740A (en) * 1993-04-19 1995-07-25 Chicago Studio City Locking sleeve connector for conductor cable
DE4435784C2 (de) * 1994-10-06 1998-10-29 Heraeus Electro Nite Int Elektrisch beheizbarer Starterkat
US5536478A (en) * 1994-12-01 1996-07-16 Corning Incorporated Electrical leads for a fluid heaters
JP3078736B2 (ja) * 1994-12-07 2000-08-21 日本碍子株式会社 電極構造および通電発熱式ヒーター
US5618200A (en) * 1995-03-16 1997-04-08 Norgaard; Thomas W.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666A (ko) * 2016-05-30 2019-01-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특히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벌집형 본체를 위한 전기 연결부
US10941688B2 (en) 2016-05-30 2021-03-09 Vitesco Technologies GmbH Electrical connection, in particular for an electrically heatable honeycomb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09946A (en) 2000-08-29
DE19627840A1 (de) 1998-01-15
JPH11514139A (ja) 1999-11-30
WO1998001653A1 (de) 1998-01-15
EP0850351A1 (de) 1998-07-01
BR9702364A (pt) 199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4537A (ko) 연결수단
US7285014B2 (en) Cord connector having a water-resistant seal
EP0258377B1 (en) A cable jointing clamp
JPS62133685A (ja) ケ−ブル接続装置
US20020166693A1 (en) Termination coupling for mineral insulated cable
US6591055B1 (en) Sheath bonding arrangement for fiber optic cable splices
EP1796215B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electric cables
US2804601A (en) Coupl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CA2443597C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US6573484B1 (en) Electrical heating wire assembly
US5616049A (en) Connector assembly for metal-jacketed lambda probe conductor
US4555588A (en) Heat transfer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 in insulating housing of high voltage splice or terminator
US6948955B2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USRE37724E1 (en) Kenny clamp
JP5271769B2 (ja) シース熱電対と補償導線のコネクタ
CA1077150A (en) Cable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US2289207A (en) Current limiting cable connector
EP095952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wire connection at cable entry end
JPH0896919A (ja) シールドケーブル端子接続装置
CA1290418C (en)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 cables
JPH11121053A (ja) 圧縮型電線接続管
US4493946A (en) Device for connecting together the outer conductors of two coaxial pairs
US4334726A (en) Bonding device
KR200248915Y1 (ko) 용접 케이블
US6377433B1 (en) Electrical fuse/suppor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