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268A -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 Google Patents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268A
KR19990044268A KR1019980701504A KR19980701504A KR19990044268A KR 19990044268 A KR19990044268 A KR 19990044268A KR 1019980701504 A KR1019980701504 A KR 1019980701504A KR 19980701504 A KR19980701504 A KR 19980701504A KR 19990044268 A KR19990044268 A KR 19990044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methyl
compound
carboxylic aci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5276B1 (ko
Inventor
프랑크 베테리히
올리버 바그너
카를 아익켄
클라우스 디트리히
에버하르트 암머만
기젤라 로렌쯔
지크프리트 스트라트만
Original Assignee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531814A external-priority patent/DE19531814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32313 external-priority patent/DE19532313A1/d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스타르크, 카르크
Publication of KR1999004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2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a —O—CO—N< group, or a thio analogue thereof, neither directly attached to a ring nor the nitrogen atom being a member of a heterocyclic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이들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를 함유하는 약물, 이들의 제조 방법,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약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식 중, R1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케닐, 알키닐이고,
R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또는 산소 또는 황을 통해 결합된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이다.

Description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본 발명은 이성질체 순도 (isomeric purity)가 90 중량% 이상인 하기 화학식 I의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식 중, R1은 C1-C8-알킬, C2-C8-알케닐 또는 C2-C8-알키닐 (이들 라디칼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할로겐화되고(되거나) 시아노,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알콕시카르보닐, C3-C7-시클로알킬, C3-C7-시클로알케닐, 아릴, 아릴옥시 및 헤테로아릴 등의 기 중에서 1 내지 3개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들 기의 시클릭 및 방향족 고리는 할로겐, 시아노, C1-C4-알킬, C1-C4-알콕시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알콕시카르보닐, 아릴, 아릴옥시 및 헤테로아릴 등의 치환체 1 내지 3개가 부착될 수 있음)이며;
R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8-알킬, C1-C4-알콕시-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또는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 등의 치환체 1 내지 3 개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산소 또는 황으로 결합된 페닐기이다.
IUPAC 명명법에 따르면, (S)는 표시된 비대칭 탄소 원자의 S형 배치 (configuration)를, (R)은 R형 배치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S 중심의 배치는 L-발린의 배치와 일치한다. 단순하게 나타내기 위해, 화학식 I의 배치를 하기에서는 (SR) 배치로 명명할 것이다.
"이성질체 순도 (isomeric purity)"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가능한 4개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즉, (SR), (RS), (RR), (SS) 전체에 대한 화학식 I [배치 (SR)]의 화합물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러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유해한 진균류를 방제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살진균 작용을 갖는 상기 화학식 I형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 (racemic mixture)은 독일특허공개 제43 21 897호 및 선출원인 독일특허출원 제P 44 31 467.1호에 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라세미 혼합물의 살진균 활성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한 진균류에 대한 활성이 개선된, 이성질체 순도가 높은 신규한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의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유해한 진균류의 방제 방법과 이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용도를 발견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L-발린을 기본 구조로 하는 대응하는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 (II)로부터 출발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문헌에 기술된 방법 A 및 B로 얻을 수 있다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in Organic Chemistry), 제4판, Thieme Verlag, Stuttgart].
방법 A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I)은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 (II)를 아민 (III)과 반응시킴으로써 얻는다.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 (II)는 이미 공지된 것은 아니지만, 공지된 방법, 특히 아미노산 L-발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참고: Houben-Weyl, 제15/1권, 46 내지 305쪽, 특히 117 내지 125쪽].
아민 (III)은 마찬가지로 이미 공지된 것은 아니지만,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참조: Organikum (Laboratory Practical Organic Chemistry), VEB Deutscher Verlag der Wissenschaften, 제15판, 베를린, 1977, 610쪽 이하 참조.; "Houben-Weyl", 제15/1권, 648 내지 665쪽; Indian J. Chem. 10, 366쪽 (1972); J. Am. Chem. Soc. 58, 1808 내지 1811쪽 (1936)].
R 이성질체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광학적 활성 타르타르산을 이용한 분별 결정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효소 촉매적 에스테르화와 잇달은 가수분해에 의해 상기 아민 III의 라세미체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참조: WO-A 95/08636 등).
상기 방법 A는 먼저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 (II)를 카르복실-활성화된 유도체, 특히 아실 시안화물 또는 무수물로 전환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참조: Tetrahedron Letters, 제18권 (1973), 1595 내지 1598쪽, 또는 Houben-Weyl, 제15/1권, 28 내지 32쪽]. 이후, 이들 유도체는 염기의 존재하에서 아민 (III)과 반응시킨다.
카르복실-활성화된 아실 시안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반응은 예를 들면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 (II)과 디에틸 시아노포스포네이트의 반응,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톨루엔 등의 불활성 용매중에서의 반응이다.
카르복실-활성화된 무수물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염기의 존재 및 필요시 톨루엔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서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 (II)과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와 같은 카르보닐 클로라이드의 반응이 바람직하다.
아민 (III)과 카르복실-활성화된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 (II)의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톨루엔 등의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특히, 염기로 작용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은 아민 (III)이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조생성물로부터 회수된다.
상기 공정의 하나의 바람직한 태양은,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 (II), 아민 (III),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 (II)의 카르복실-활성화된 유도체를 생성시키는데 적합한 시약 및 염기를 원-포트 (one-pot) 공정으로, 불활성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반응시키고, 이어서 조생성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후처리하여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I)를 수득하는 것이다.
방법 B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I)은 기 R1-O-(CO)가 공지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는 보호기인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I)를 아미노산 아미드 (IV)로 전환시킨 다음, 이 아미노산 아미드를 염기의 존재하에서 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 (V)와 반응시켜 얻는다.
단계 B(a): 하기 아미노산 아미드 (IV)의 제조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I)로부터 R1-O-(CO)기의 제거는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참조: Houben-Weyl, 제15/1권, 46 내지 305쪽, 특히 126 내지 129쪽].
제거될 수 있는 적합한 기는 R1라디칼로서 t-부틸기 또는 벤질기를 포함한다.
R1이 t-부틸인 경우, 제거는 통상적으로 산, 특히 염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양자성산 (protonic acid)과의 반응에 의해 수행한다 [상기 문헌, 126 내지 129 쪽 참조].
출발 물질로서 적합한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I)는 공지된 방법 [참조: Houben-Weyl, 제15/1권, 28 내지 32쪽]에 의해 또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 A로 수득할 수 있다.
단계 B(b):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I)의 제조
합성 단계 (Ba)로부터 생성된 아미노산 아미드 (IV)를 염기의 존재하에서 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 (V)와 반응시킨다.
<화학식 IV>
<화학식 I>
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 (V)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것은 아니지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중에서, 특히 톨루엔, 메틸렌 클로라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수행된다.
무기 및 유기 염기가 양자 모두 적합하며, 유기 염기가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및 N-메틸피페리딘과 같은 3급 아민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반응은 -4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대한 기타 사항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는 더이상 추가 설명을 하지 않았다 [참조: Houben-Weyl, 제15/1쪽, 117 내지 139 쪽].
방법 A 및 B에 의해 수득된 반응 혼합물은 예를 들면 물과 혼합하고, 상을 분리한 다음, 필요한 경우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조 생성물을 정제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후처리하여 화합물 (I)을 수득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은 감압하에 적당한 승온에서 휘발성 성분이 제거될 수 있는 무색 또는 약한 갈색의 점성 오일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이 고체로 수득되는 경우, 이들은 또한 예를들면, 재결정화 또는 증해 (digestion)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상기한 화합물 (I)의 정의에 있어서의 집합적인 용어는 다음과 같은 치환체를 의미한다.
할로겐: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알킬: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8개인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로,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1-메틸에틸, n-부틸, 1-메틸프로필, 2-메틸프로필, 1,1-디메틸에틸, n-펜틸, 1-메틸부틸, 2-메틸부틸, 3-메틸부틸, 1,1-디메틸프로필, 2,2-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1-에틸프로필,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1,1-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3,3-디메틸부틸, 1,2-디메틸부틸, 1,3-디메틸부틸, 2,3-디메틸부틸, 1-에틸부틸, 2-에틸부틸, 1,1,2-트리메틸프로필, 1,2,2-트리메틸프로필, 1-에틸-1-메틸프로필 및 1-에틸-2-메틸프로필 등의 C1-C6-알킬;
할로알킬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할로겐화된 알킬: 탄소수 1 내지 4 또는 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음)로, 이들 기 중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음)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체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클로로메틸, 디클로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플루오로메틸, 디클로로플루오로메틸, 클로로디플루오로메틸, 1-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2-클로로-2-플루오로에틸, 2-클로로-2,2-디플루오로에틸, 2,2-디클로로-2-플루오로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및 펜타플루오로에틸 등의 C1-C2-할로알킬;
알콕시: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예를들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1-메틸에톡시 등의 C1-C3-알콕시;
알콕시알킬: C1-C4-알콕시알킬의 경우 임의의 위치에 탄소수가 1 내지 4개인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음)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로서 예를 들면,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n-프로폭시메틸, n-부톡시메틸, 1-메톡시에틸, 2-메톡시에틸, 1-에톡시에틸, 2-에톡시에틸, 2-n-프로폭시에틸 및 2-부톡시에틸;
할로알콕시: 기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음)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체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기로, 예를들면 클로로메톡시, 디클로로메톡시, 트리클로로메톡시, 플루오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클로로플루오로메톡시, 디클로로플루오로메톡시, 클로로디플루오로메톡시, 1-플루오로에톡시, 2-플루오로에톡시, 2,2-디플루오로에톡시,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2-클로로-2-플루오로에톡시, 2-클로로-2,2-디플루오로에톡시, 2,2-디클로로-2-플루오로에톡시, 2,2,2-트리클로로에톡시 및 펜타플루오로에톡시 등의 C1-C2-할로알콕시;
알킬티오: 황 원자 (-S-)를 통하여 골격에 결합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음)로서, 예를 들면,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1-메틸에틸티오, n-부틸티오 및 t-부틸티오 등의 C1-C4-알킬티오;
알콕시카르보닐: 카르보닐기 (-CO-)를 통하여 골격에 결합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기;
알케닐: 임의의 위치에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수 2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케닐기로, 예를들면, 에테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1-메틸-에테닐, 1-부테닐, 2-부테닐, 3-부테닐, 1-메틸-1-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1-메틸-2-프로페닐, 2-메틸-2-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1-메틸-2-프로페닐, 1-펜테닐, 2-펜테닐, 3-펜테닐, 4-펜테닐, 1-메틸-1-부테닐, 2-메틸-1-부테닐, 3-메틸-1-부테닐, 1-메틸-2-부테닐, 2-메틸-2-부테닐, 3-메틸-2-부테닐, 1-메틸-3-부테닐, 2-메틸-3-부테닐, 3-메틸-3-부테닐, 1,1-디메틸-2-프로페닐, 1,2-디메틸-1-프로페닐, 1,2-디메틸-2-프로페닐, 1-에틸-1-프로페닐, 1-에틸-2-프로페닐, 1-헥세닐, 2-헥세닐, 3-헥세닐, 4-헥세닐, 5-헥세닐, 1-메틸-1-펜테닐, 2-메틸-1-펜테닐, 3-메틸-1-펜테닐, 4-메틸-1-펜테닐, 1-메틸-2-펜테닐, 2-메틸-2-펜테닐, 3-메틸-2-펜테닐, 4-메틸-2-펜테닐, 1-메틸-3-펜테닐, 2-메틸-3-펜테닐, 3-메틸-3-펜테닐, 4-메틸-3-펜테닐, 1-메틸-4-펜테닐, 2-메틸-4-펜테닐, 3-메틸-4-펜테닐, 4-메틸-4-펜테닐, 1,1-디메틸-2-부테닐, 1,1-디메틸-3-부테닐, 1,2-디메틸-1-부테닐, 1,2-디메틸-2-부테닐, 1,2-디메틸-3-부테닐, 1,3-디메틸-1-부테닐, 1,3-디메틸-2-부테닐, 1,3-디메틸-3-부테닐, 2,2-디메틸-3-부테닐, 2,3-디메틸-1-부테닐, 2,3-디메틸-2-부테닐, 2,3-디메틸-3-부테닐, 3,3-디메틸-1-부테닐, 3,3-디메틸-2-부테닐, 1-에틸-1-부테닐, 1-에틸-2-부테닐, 1-에틸-3-부테닐, 2-에틸-1-부테닐, 2-에틸-2-부테닐, 2-에틸-3-부테닐, 1,1,2-트리메틸-2-프로페닐, 1-에틸-1-메틸-2-프로페닐, 1-에틸-2-메틸-1-프로페닐 및 1-에틸-2-메틸-2-프로페닐 등의 C2-C6-알케닐;
알키닐: 임의의 위치에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수 2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키닐기로, 예를 들면 에티닐, 1-프로피닐, 2-프로피닐, 1-부티닐, 2-부티닐, 3-부티닐, 1-메틸-2-프로피닐, 1-펜티닐, 2-펜티닐, 3-펜티닐, 4-펜티닐, 1-메틸-2-부티닐, 1-메틸-3-부티닐, 2-메틸-3-부티닐, 3-메틸-1-부티닐, 1,1-디메틸-2-프로피닐, 1-에틸-2-프로피닐, 1-헥시닐, 2-헥시닐, 3-헥시닐, 4-헥시닐, 5-헥시닐, 1-메틸-2-펜티닐, 1-메틸-3-펜티닐, 1-메틸-4-펜티닐, 2-메틸-3-펜티닐, 2-메틸-4-펜티닐, 3-메틸-1-펜티닐, 3-메틸-4-펜티닐, 4-메틸-1-펜티닐, 4-메틸-2-펜티닐, 1,1-디메틸-2-부티닐, 1,1-디메틸-3-부티닐, 1,2-디메틸-3-부티닐, 2,2-디메틸-3-부티닐, 3,3-디메틸-1-부티닐, 1-에틸-2-부티닐, 1-에틸-3-부티닐, 2-에틸-3-부티닐 및 1-에틸-1-메틸-2-프로피닐 등의 C2-C6-알키닐;
시클로알킬: 탄소 고리 원이 3 내지 7개인 모노시클릭 알킬기로,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헵틸 등의 C3-C7-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1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며 고리 원이 5 내지 7인 모노시클릭 알킬기로, 예를들면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세닐 및 시클로헵테닐 등의 C5-C7-시클로알케닐;
아릴옥시: 산소 원자 (-O-)를 통하여 골격에 결합하는 아릴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음)로, 예를 들면 페녹시, 1-나프톡시 및 2-나프톡시;
헤테로아릴: 고리 상에 탄소 이외에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 또는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 및 산소 또는 황 원자 또는 산소 또는 황 원자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는 방향족 모노- 또는 폴리시클릭 라디칼로, 예를 들면,
-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5-원 헤테로아릴: 탄소 원자 이외에 고리 원으로서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5원 헤테로아릴기로, 예로는 2-피롤릴, 3-피롤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5-피라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1,2,4-트리아졸-3-일 및 1,3,4-트리아졸-2-일;
-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 또는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 및 1개의 황 원자 또는 산소 원자 또는 1개의 산소 또는 1개의 황 원자를 함유하는 5-원 헤테로아릴: 탄소 원자 이외에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 또는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 및 1개의 황 또는 산소 원자 또는 1개의 산소 또는 황 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5-원 고리 헤테로아릴기로, 예로는 2-푸릴, 3-푸릴, 2-티에닐, 3-티에닐, 2-피롤릴, 3-피롤릴, 3-이속사졸릴, 4-이속사졸릴, 5-이속사졸릴, 3-이소티아졸릴, 4-이소티아졸릴, 5-이소티아졸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5-피라졸릴, 2-옥사졸릴, 4-옥사졸릴, 5-옥사졸릴,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1,2,4-옥사디아졸-3-일, 1,2,4-옥사디아졸-5-일, 1,2,4-티아디아졸-3-일, 1,2,4-티아디아졸-5-일, 1,2,4-트리아졸-3-일, 1,3,4-옥사디아졸-2-일, 1,3,4-티아디아졸-2-일, 1,3,4-트리아졸-2-일;
-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 또는 1개의 질소 원자 및(또는) 1 개의 산소 또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벤조 융합된 5-원 헤테로아릴: 탄소 원자 이외에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 또는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 및 1개의 황 또는 산소 원자 또는 1개의 산소 또는 1개의 황 원자를 고리 원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2개의 인접한 탄소 고리 원 또는 1개의 질소 및 1개의 인접하는 탄소 고리 원이 부타-1,3-디엔-1,4-디일기에 의해 가교될 수 있는 5-원 고리 헤테로아릴기;
-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를 통해 결합된 5-원 헤테로아릴, 또는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를 통해 결합된 벤조-융합된 5-원 헤테로아릴: 탄소 원자 이외에,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 또는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를 고리 원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2개의 인접한 탄소 고리 원 또는 1개의 질소 및 1개의 인접하는 탄소 고리 원자가 부타-1,3-디엔-1,4-디일기에 의해 가교될 수 있는 5-원 헤테로아릴 (이들 고리는 질소 고리 원 중 하나를 통하여 구조에 결합함);
- 1 내지 3개 또는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6-원 헤테로아릴: 탄소 원자 이외에, 고리 원소로서 1 내지 3개 또는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6-원 고리 헤테로아릴기로, 예를 들면, 2-피리디닐, 3-피리디닐, 4-피리디닐, 3-파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5-피리미디닐, 2-피라지닐, 1,3,5-트리아진-2-일, 1,2,4-트리아진-3-일 및 1,2,4,5-테트라진-3-일;
- 1 내지 4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벤조-융합된 6-원 헤테로아릴: 2개의 인접하는 질소 고리 원자가 부타-1,3-디엔-1,4-디일기에 의해 가교될 수 있는 6-원 고리 헤테로아릴기로, 예를 들면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나졸린 및 퀴녹살린.
용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할로겐화된"은 해당하는 기에서 수소 원자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할로겐 원자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해한 진균에 대한 이들의 활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화합물 (I)은 이성질체 순도가 93 % 이상, 특히 95 % 이상인 화합물이다.
유해한 진균에 대한 활성을 고려할 때 더욱더 바람직한 화합물 (I)은 R1및 R2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하기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하기의 라디칼의 정의로 언급된 기는 필요에 따라 더 치환될 수도 있다.
R1은 C1-C8-알킬,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이고, 특히 이소프로필, t-부틸 또는 sec-부틸이며;
R2은 수소, 할로겐, 시아노,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염소, 시아노, 메틸 또는 메톡시, 특히 수소이다.
이들의 용도와 관련해서는, 하기 표 1 내지 2의 화합물 (I)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표 1에 언급된 화합물들 가운데 바람직한 것은 치환체 R2가 나프탈렌 고리계의 5- 또는 6-위치에 있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I의 신규한 화합물은 유해한 진균을 방제하기에 적합하다.
신규한 화합물을 예를 들면 직접 분사가능한 용액, 분말, 현탁액, 고농도의 수성, 오일성 또는 그외 현탁액 또는 분산액, 에멀젼, 오일 분산액, 페이스트, 산포성 조성물 (dust), 분산성 조성물 또는 과립의 형태로 분사, 애토마이징 (atomizing), 산포, 분산 (scattering) 또는 급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적용 형태는 의도하는 목적에 좌우되고; 어떠한 적용 형태라도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이 가장 미세하게 분산된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식물 치료를 위해서는 식물을 활성 화합물로 분사하거나 산포하고 또는 식물의 종자를 활성 화합물로 처리한다.
제제를 하기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제제 보조제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활성 화합물을 용매 및(또는) 담체에 의해 증량시켜, 필요한 경우 에멀젼화제 및 분산제를 사용하고 물이 희석제로 사용될 경우 다른 유기 용매를 보조 용매로서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적합한 보조제는 주로 방향족 (예: 크실렌), 염소화 방향족 (예: 클로로벤젠), 파라핀 (예: 광유 분획물), 알코올 (예: 메탄올, 부탄올), 케톤 (예: 시클로헥사논), 아민 (예: 에탄올아민,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물과 같은 용매; 연마된 천연 광물 (예: 고령토, 점토, 활석, 백악) 및 연마된 합성 광물 (예: 고분산 실리카, 실리케이트)과 같은 담체;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유화제 (예: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코올 에테르, 알킬술포네이트 및 아릴술포네이트)와 같은 유화제 및 리그닌-술파이트 폐액 및 메틸 셀룰로오즈와 같은 분산제이다.
적합한 표면-활성 물질은 방향족 술폰산, 예를 들면 리그노술폰산, 페놀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및 디부틸나프탈렌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및 지방산, 알킬-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라우릴 에테르 및 지방 알코올 술페이트의 암모늄염; 그리고 술페이트화 헥사-, 헵타- 및 옥타 데칸올의 염, 및 지방 알코올 글리콜 에테르의 염, 술폰화 나프탈렌 및 그 유도체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나프탈렌 또는 나프탈렌술폰산과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놀 에테르, 에톡실화 이소옥틸-, 옥틸- 또는 노닐페놀, 알킬페놀폴리글리콜 에테르, 트리부틸페닐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알코올,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지방 알코올/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에톡실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라우릴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테이트, 소르비톨 에스테르, 리그닌-술파이트 폐액 또는 메틸셀룰로우스이다.
분산 및 산포 조성물을 위한 재료인 분말은 활성 물질을 고체 담체와 혼합시키거나 함께 연마하여 제조될 수 있다.
과립, 예를 들면 코팅된 과립, 함침된 과립 및 균질한 과립은 활성 성분을 고체 담체에 결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고체 담체는 실리카 겔, 실릭산, 실리케이트, 활석, 고령토, 석회석, 석회, 백악, 교회점토, 황토, 점토, 고회석, 규조토, 황산 칼슘 및 황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과립화된 합성 물질 등의 광물질, 황산 암모늄, 인산 암모늄, 질산 암모늄, 우레아 등의 비료 및 곡물 분말, 나무 껍질 분말, 목재 분말 및 견과 분말, 셀루로우스 분말 등의 식물성 생성물 또는 다른 고체 담체이다.
상기 제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I. 미소 방울 (microdrop) 형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 90 중량부 및 N-메틸-2-피롤리돈 10 중량부의 용액;
II.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 10 중량부, 크실렌 70 중량부, 올레산 N-모노에탄올아미드 1몰에 산화 에틸렌 8 내지 10몰의 부가물 (adduct) 10 중량부, 도데실벤젠 술폰산의 칼슘염 5 중량부, 피마자유 1몰에 산화 에틸렌 40몰의 부가물 5 중량부의 혼합물; 물에 이 용액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분산액을 수득한다.
III.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0 중량부, 시클로헥사논 40 중량부, 이소부탄올 30 중량부, 피마자유 1몰에 산화 에틸렌 40몰의 부가물 20 중량부의 수성 분산액;
IV.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 10 중량부, 시클로헥사놀 25 중량부, 비점 210 내지 280℃의 광유 분획물 (mineral oil fraction) 55 중량부, 및 피마자유 1몰에 산화 에틸렌 40몰의 부가물 10 중량부의 수성 분산액;
V.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하게는 고체 화합물 (I) 80 중량부, 디이소부틸나프탈렌-2-술폰산의 나트륨염 3 중량부, 술파이트 폐액으로부터의 리그노술폰산의 나트륨염 10 중량부 및 분말화된 실리카 겔 7 중량부의, 햄머 밀로 분쇄된 혼합물; 분사 혼합물은 물에 혼합물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얻어진다;
VI.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 3 중량부 및 미분 고령토 97 중량부의 균질 혼합물 (intimate mixture); 이 산포 조성물은 활성 화합물 3 중량%를 함유한다;
VII.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 30 중량부, 분말화된 실리카 겔 62 중량부 및 상기 실리카 겔의 표면에 분사된 파라핀 오일 8 중량부의 균질 혼합물; 이 제제는 활성 성분에 우수한 활성 화합물 흡착성을 제공한다;
VIII.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의 40 중량부, 페놀술폰산/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10 중량부, 실리카 겔 2 중량부 및 물 48 중량부의 안정한 수성 분산액; 이 분산액은 더 희석될 수 있다;
IX.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I) 20 중량부, 도데실벤젠술폰산의 칼슘염 2 중량부, 지방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8 중량부, 페놀술폰산/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20 중량부 및 파라핀계 광유 50 중량부의 안정한 오일 분산액.
신규한 화합물은 광범위한 식물 병원성 진균, 특히 피코미시트(Phycomycetes) 종 및 도이테로미시트 (Deuteromycetes), 아스코미시트(Ascomycetes), 및 바시디오미세트(Basidiomycetes) 종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이들 중 일부는 총체적 (systemically) 활성이 있고, 일부는 잎 및 토양의 살진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밀, 호밀, 보리, 귀리, 벼, 옥수수, 잔디, 목화, 대두, 커피, 사탕수수, 포도, 과일, 관상수, 및 오이, 콩 및 표주박 등의 채소 등의 다양한 농작물 및 상기 식물의 종자를 감염시키는 다수의 진균의 방제에 특히 중요하다.
유해한 진균, 이들의 서식지 또는 진균 공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식물, 공간, 면적 또는 물질을 살진균 유효량의 활성 화합물로 처리하여 화합물을 적용한다.
진균에 의해 물질, 식물 또는 종자가 감염되기 전 또는 감염 후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한다.
신규의 화합물은 하기 식물 질병의 방제에 특히 적합하다:
곡물 내의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Erysiphe graminis; 흰가루병) (분상 곰팡이), 표주박 상의 에리시페 시코라세아룸 (Erysiphe cichoracearum; 흰가루병) 및 샤에로테카 푸리지네아 (Sphaerotheca fuliginea; 흰가루병), 사과나무의 포도샤에라 로이코트리샤 (Podosphaera leucotricha; 흰가루병), 포도나무 상의 운시눌라 네카토 (Uncinula necator; 흰가루병), 곡물 상의 푸치니아 (Puccinia) 종, 목화 및 잔디 상의 리조크토니아 (Rhizoctonia) 종, 곡물 및 사탕수수 상의 우스틸라고 (Ustilago) 종, 사과의 벤투리아 인아에쿠아리스 (Venturia inaequalis; 검은별무늬병) (붉은 곰팡이 병), 곡물 상의 헬민토스포리엄 (Helminthosporim) 종, 밀의 세프토리아 노도럼 (Septoria nodorum; 껍질마름병), 딸기, 포도나무, 관상수 및 채소의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ytis cinerea; 회색곰팡이병) (회색 곰팡이), 땅콩의 세르코스포라 아라치디콜라 (Cercospora arachigicola; 검은무늬병), 밀, 보리의 세도세르코스포렐라 헤르포트리코이데스 (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벼의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 (Pyricularia oryzae; 도열병), 감자 및 토마토 상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 역병), 각종 식물 상의 푸사리엄 (Fusarium) 및 베티실시엄 (Verticillium) 종, 포도나무의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 (Plasmopara viticola; 노균병), 채소 및 과일 상의 알테나리아 (Alternaria) 종.
신규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파에실로미세스 바리오티 (Paecilomyces variotii)에 대해 물질을 보호 (목재의 보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살진균 조성물은 활성 화합물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 중량%을 포함한다.
목적하는 효과의 유형에 따라, 적용비는 헥타아르당 활성 화합물 0.025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kg이다.
종자 처리시, 일반적으로 종자 kg당 활성 화합물 0.001 내지 50 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g이 요구된다.
살진균제로 사용되는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른 활성 화합물, 예를 들면 제초제, 살충제, 성장 조절제, 살진균제 또는 그밖에 비료와 함께 살진균제로서 존재할 수 있다.
기타의 살진균제와의 혼합하여 사용하면 종종 살진균 활성 범위가 증대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함께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살진균제로는 하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으나 하기의 살진균제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황, 디티오카르밤산염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면 디메틸디티오카르밤산 철(III), 디메틸디티오카르밤산 아연,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아연,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망간, 에틸렌디아민비스디티오카르밤산 망간 아연,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술피드, N,N-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아연의 암모니아 착물, N,N'-프로필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아연, N,N'-프로필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아연의 암모니아 착물, N,N'-폴리프로필렌 비스(티오카르바모일) 디술피드;
니트로 유도체, 예를 들면 디니트로(1-메틸헵틸)페닐트로토네이트, 2-sec-부틸-4,6-디니트로페닐-3,3-디메틸아크릴레이트, 2-sec-부틸-4,6-디니트로페닐 이소프로필 카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5-니트로이소프탈레이트;
헤테로시클릭 물질, 예를 들면 2-헵타데실-2-이미다졸린 아세테이트, 2,4-디클로로-6-(o-클로로아닐리노)-s-트리아진, o,o-디에틸 프탈이미도포스포노티오에이트, 5-아미노-1-[비스(디메틸아미노)-포스피닐]-3-페닐-1,2,4-트리아졸, 2,3-디시아노-1,4-디티오안트라퀴논, 2-티오-1,3-디티올로[4,5-b]퀴노살린, 메틸 1-(부틸-카르바모일)-2-벤즈이미다졸카르바메이트,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벤즈이미다졸, 2-(2-푸릴)벤즈이미다졸, 2-(4-티아졸릴)벤즈이미다졸, N-(1,1,2,2-테트라클로로에틸티오)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N-트리클로로메틸티오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N-트리클로로메틸티오프탈이미드,
N-디클로로플루오로메틸티오-N',N'-디메틸-N-페닐술파미드, 5-에톡시-3-트리클로로메틸-1,2,3-티아디아졸, 2-티오시아나토메틸티오벤조티아졸, 1,4-디클로로-2,5-디메톡시벤젠, 4-(2-클로로페닐히드라조노)-3-메틸-5-이소옥사졸론, 피리딘 2-티올-1-옥사이드, 8-히드록시퀴놀린 또는 그의 구리염, 2,3-디히드로-5-카르복스아닐리도-6-메틸-1,4-옥사티인, 2,3-디히드로-5-카르복스아닐리도-6-메틸-1,4-옥사티인-4,4-디옥사이드, 2-메틸-5,6-디히드로-4H-피란-3-카르복스아닐리드, 2-메틸-푸란-3-카르복시아닐리드, 2,5-디메틸푸란-3-카르복시아닐리드, 2,4,5-트리메틸푸란-3-카르복시아닐리드, N-시클로헥실-2,5-디메틸푸란-3-카르복시아미드, N-시클로헥실-N-메톡시-2,5-디메틸푸란-3-카르복시아미드, 2-메틸벤즈아닐리드, 2-이오도벤즈아닐리드, N-포르밀-N-모르폴린-2,2,2-트리클로로에틸 아세탈, 피페라진-1,4-디일-비스(1-(2,2,2-트리클로로에틸))포름아미드, 1-(3,4-디클로로아닐리노)-1-포르밀아미노-2,2,2-트리클로로에탄,
2,6-디메틸-N-트리데실모르폴린 또는 그의 염, 2,6-디메틸-N-시클로도데실모르폴린 또는 그의 염, N-[3-(p-t-부틸-페닐)-2-메틸프로필]-시스-2,6-디메틸모르폴린, N-[3-(p-t-부틸페닐)-2-메틸프로필]-피페리딘, 1-[2-(2,4-디클로로페닐)-4-에틸-1,3-디옥솔란-2-일-에틸]-1H-1,2,4-트리아졸, 1-[2-(2,4-디클로로페닐)-4-n-프로필-1,3-디옥솔란-2-일에틸]-1H-1,2,4-트리아졸, N-(n-프로필)-N- (2,4,6-트리클로로페녹시에틸)-N'-이미다졸릴우레아, 1-(4-클로로페녹시)-3,3-디메틸-1-(1H-1,2,4-트리아졸-1-일)-2-부타논, (2-클로로페닐)-(4-클로로페닐)-5-피리미딘메탄올, 5-부틸-2-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6-메틸피리미딘, 비스(p-클로로페닐)-3-피리딘메탄올, 1,2-비스(3-에톡시카르보닐-2-티오우레이도)벤젠, 1,2-비스(3-메톡시카르보닐-2-티오우레이도)벤젠, [2-(4-클로로페닐)에틸]-(1,1-디메틸에틸)-1H-1,2,4-트리아졸-1-에탄올, 1-[3-(2-클로로페닐)-1-(4-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1H-1,2,4-트리아졸, 및
다양한 살진균제, 예를 들면 도데실구아니딘 아세테이트, 3-[3-(3,5-디메틸-2-옥시시클로헥실)-2-히드록시에틸]글루타르이미드, 헥사클로로벤젠, 메틸-N-(2,6-디메틸페닐)-N-(2-푸로일) DL-알라니네이트, DL-N-(2,6-디메틸페닐)-N-(2'-메톡시아세틸)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N-(2,6-디메틸페닐)-N-클로로아세틸-D,L-2-아미노부티로락톤, DL-N-(2,6-디메틸페닐)-N-(페닐아세틸)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5-메틸-5-비닐-3-(3,5-디클로로-페닐)-2,4-디옥소-1,3-옥사졸리딘, 3-[(3,5-디클로로페닐-(5-메틸-5-메톡시메틸]-1,3-옥사졸리딘-2,4-디온, 3-(3,5-디클로로-페닐)-1-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히단토인, N-(3,5-디클로로페닐)-1,2-디메틸시클로프로판-1,2-디카르복스이미드, 2-시아노-[N-에틸아미노카르보닐-2-메톡스이미노]아세트아미드, 1-[2-(2,4-디클로로페닐)펜틸]-1H-1,2,4-트리아졸, 2,4-디플루오로-α-(1H-1,2,4-트리아졸릴-1-메틸)벤즈히드릴 알코올, N-(3-클로로-2,6-디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3-클로로-2-아미노피리딘, 1-((비스(4-플루오로페닐)메틸실릴)메틸)- 1H-1,2,4-트리아졸,
스트로빌루린, 예를 들면 메틸 E-메톡스이미노[α-(o-톨릴옥시)-o-톨릴]아세테이트, 메틸 E-2-{2-[6-(2-시아노페녹시)피리미딘-4-일옥시]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 메틸 E-메톡스이미노[α-(2,5-디메톡시)-o-톨릴]아세트아미드.
아닐리노피리미딘, 예를 들면 N-(4,6-디메틸피리미딘-2-일)아닐린, N-[4-메틸-6-(1-프로피닐)피리미딘-2-일]아닐린, N-(4-메틸-6-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2-일)아닐린.
페닐피롤, 예를 들면 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피롤-3-카르보니트릴.
신나미드, 예를 들면 3-(4-클로로페닐)-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로일 모르폴린
<합성 실시예>
화합물 (I)의 다른 대표적인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개시 화합물을 변형시켜 하기 합성 실시예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의 프로토콜을 따라 제조된 생성물의 물리적 데이타를 표 2에 나타냈다.
1. (R)-1-아미노-1-(β-나프틸)에탄
1.1 (R)-N-[1-(β-나프틸)에틸]메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라세미체 1-아미노-1-(β-나프틸)에탄 39 g (0.23 몰)을 메틸 t-부틸 에테르 200 ml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메틸 메톡시아세테이트 29.5 g (0.25 몰)으로 처리하고, 리파제 (대략 1,000 U/mg, 슈도모나스종 DSM 8246) 0.5 g을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했고, 진동 테이블에서 반응시키는 동안 1회분을 혼합했다. 반응률이 50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에 도달한 후, 즉 대략 48 시간 후, 효소를 여과해 냈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농축물을 묽은 염산 (300 ml) 및 디에틸 에테르 (300 ml)에 용해시켰다. 에테르 상을 분리해낸 후, 산 상을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재추출했다. 에테르 상을 합하고, 건조하고 농축하여 (R)-N-[1-(β-나프틸)에틸]메톡시아세트아미드 18.7 g (0.08 몰)을 얻었다. pH가 알칼리가 될 때까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한 후,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수상으로부터 (S)-1-아미노-1-(β-나프틸)에탄을 추출할 수 있었다. 유기 상을 건조 및 증발시켜, (S)-1-아미노-1-(β-나프틸)에탄 15 g (0.09 몰)을 얻었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를 얻는 반응 후, 에난티오머 초과량 (= ee)이 키랄 GC 컬럼 (20 m 키랄로렉스 (Chiralolex) B-Ph)에서 89.5 %로 결정되었다.
1.2 (R)-N-[1-(β-나프틸)에틸]메톡시아세트아미드의 가수분해
(R)-N-[1-(β-나프틸)에틸]메톡시아세트아미드 14.7 g (60.4 mmol)을 에틸렌 글리콜 75 ml에 용해시키고, 50 % 농도의 수산화칼륨 용액 15 g을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150 ℃에서 가열한 후, 냉각시키고 물 300 ml으로 희석했고, 각 경우에 디에틸 에테르 500 ml를 사용하여 4 회 추출했다. 합한 에테르 상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ee 값이 94.8 %인 (R)-1-아미노-1-(β-나프틸)에탄 8.1 g (47 mmol)을 얻었다.
2. N-(t-부틸옥시카르보닐)-L-발린 (R)-1-나프틸에틸아미드
디에틸 시아노포스페이트 1.0 g (5.9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3 g (12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0 ml 중의 t-부톡시카르보닐-L-발린 1.2 g (5.8 mmol) 및 (R)-1-아미노-1-(β-나프틸)에탄 1.08 g (5.8 mmol) 용액에 첨가했다. 1 시간 동안 0 ℃에서 교반시키고, 15 시간 동안 20 ℃에서 계속 교반시켰다. 이어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에 용해시켰다. 유기 상을 5 %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5 % 농도의 염산, 10 % 농도의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 각각 200 ml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건조 및 농축시켰다. N-(t-부톡시카르보닐)-L-발린 (R)-1-β-나프틸에틸아미드 2.0 g (5.4 mmol) (융점 93 ℃, 표 2의 화합물 2.1)이 남았다.
3.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L-발린 (R)-1-(β-나프틸)에틸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ml를 N-(t-부톡시카르보닐)-L-발린 (R)-1-(β-나프틸)에틸아미드 1.70 g (4.6 mmol)에 냉각시키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0 ℃에서 교반시켰다. 이어서 20 ℃에서 가열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대부분을 증류시켜 제거했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용해시키고, 2 N 수산화나트륨용액, 5 % 농도의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 각각 50 ml로 연속적으로 세척했다. 유기 상을 건조 및 농축시킨 후, L-발린 (R)-1-(β-나프틸)에틸아미드 1.07 g (4.0 mmol)이 황색 점성 오일로 남아 있었다.
톨루엔 40 ml 중의 이 화합물 0.54 g (2.0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22 g (2.2 mmol)을 이소프로필 클로로포르메이트 0.24 g (2.1 mmol)로 0 ℃에서 처리하고 혼합물을 15 시간 동안 20 ℃에서 교반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용해시키고 5 %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10 % 농도의 염산, 10 % 농도의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각각 40 ml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세척했다. 유기 상을 건조하고, 용매를 제거했다. 표제 화합물 0.6 g (1.7 mmol)이 무색 결정 잔류물 (융점 145 - 147 ℃, 표 2의 화합물 2.2)로 남았다.
번호 R1 R2 융점 (℃)
2.1 C(CH3)3 H 90-3
2.2 CH(CH3)2 H 145-7
<사용 실시예>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살진균 작용을 증명하기 위한 하기 시험에서,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 10 중량 %, 및 하기와 같은 조성의 혼합물 90 중량%로 이루어진 에멀젼을 사용하였다:
-시클로헥사놀 70 중량%,
- 네카닐 (Nekanil) (등록상표) LN [Lutensol (등록상표) AP6, 에톡시화 알킬페놀을 기재로 하는 분산 작용 및 에멀젼화 작용을 갖는 습윤제] 20중량% 및
- 에뮬포 (Emulphor) (등록상표) EL [Emulan (등록상표) EL,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에멀젼화제] 10중량%.
상기 에멀젼을 물로 희석시켜 필요한 활성 화합물의 농도를 조절했다.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 (Plasmopara viticola)
화분의 포도나무 뮐러-투르가우 (Mueller-Thurgau)의 잎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수성 분무 혼합물로 분무했다. 활성 화합물 작용의 지속기간을 평가하기 위해, 분사 코팅액이 건조된 후 식물을 8일 동안 온실에 방치시켰다. 이때,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 (포도나무의 노균병)의 정포자 (zoospore) 현탁액으로 감염된 잎이 생긴다. 포도나무를 먼저 24℃에서 수증기 포화 공기를 포함하는 챔버에 48 시간 동안 두고, 이어서 20 내지 30℃에서 온실에 5일 동안 두었다. 이후, 포자낭병의 발생을 촉진시키기 위해 식물을 습한 챔버에 다시 16시간 동안 두었다. 이어서, 잎의 뒷면 상에서의 진균 발생 정도를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내에서 (독일특허공개 제43 21 897호에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라세미체와 본 발명의 화합물을 비교한 시험 결과
활성 성분 도포된 활성성분의 농도에 따른 질병유발된 잎 뒷면의 면적 (%)
63 ppm 16 ppm 4 ppm 1 ppm
2.1 0 3 5 15
2.1에 속하는 라세미체 0 15 40 -
2.2 0 0 0 0
2.2에 속하는 라세미체 0 3 25 40
상기의 화합물중 어느 하나로 처리되지 않았던 식물의 잎은 잎-뒷면 면적의 75 %에서 진균병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7)

  1. 이성질체 순도 (isomeric purity)가 90 중량% 이상인 하기 화학식 I의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C1-C8-알킬, C2-C8-알케닐 또는 C2-C8-알키닐 (이들 라디칼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할로겐화되고(되거나) 시아노,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알콕시카르보닐, C3-C7-시클로알킬, C3-C7-시클로알케닐, 아릴, 아릴옥시 및 헤테로아릴 등의 기 중에서 1 내지 3개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들 기의 시클릭 및 방향족 고리는 할로겐, 시아노, C1-C4-알킬, C1-C4-알콕시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알콕시카르보닐, 아릴, 아릴옥시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체 1 내지 3개가 부착될 수 있음)이며;
    R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8-알킬, C1-C4-알콕시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킬티오, 또는 할로겐, C1-C4-알킬 및 C1-C4-알콕시의 치환체 1 내지 3 개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산소 또는 황으로 결합된 페닐기이다.
  2. 하기 화학식 II의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을 하기 화학식 III의 아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의 제조 방법.
  3. (a) R1-O-(CO)기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는 보호기인 화학식 I의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를 아미노산 아미드 (IV)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수득한 아미노산 아미드 (IV)를 화학식 V의 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와 염기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카르바모일 카르복실산 아미드의 제조 방법.
    <화학식 I>
    <화학식 IV>
  4.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하나 이상의 유효량 및 통상의 제제 보조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유해한 진균류 방제용으로 적합한 조성물.
  5.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하나 이상의 살진균 유효량을 통상의 제제 보조제와 함께 공지법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4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진균류, 이들의 서식지 또는 이들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 공간, 면적, 또는 물질을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하나 이상의 유효량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조성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 진균류의 방제 방법.
  7. 유해 진균류의 방제를 위한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용도.
KR10-1998-0701504A 1995-08-30 1996-08-26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아미드 KR100445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1814.5 1995-08-30
DE19531814A DE19531814A1 (de) 1995-08-30 1995-08-30 Carbamoylcarbonsäureamide
CH19531814.5 1995-08-30
DE1995132313 DE19532313A1 (de) 1995-09-01 1995-09-01 Carbamoylcarbonsäureamide
CH19532313.0 1995-09-01
DE19532313.0 1995-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268A true KR19990044268A (ko) 1999-06-25
KR100445276B1 KR100445276B1 (ko) 2004-11-16

Family

ID=2601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504A KR100445276B1 (ko) 1995-08-30 1996-08-26 카르바모일카르복실산아미드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5922899A (ko)
EP (1) EP0847384B1 (ko)
JP (1) JPH11511450A (ko)
KR (1) KR100445276B1 (ko)
CN (1) CN1070847C (ko)
AT (1) ATE191465T1 (ko)
AU (1) AU728829B2 (ko)
BG (1) BG63939B1 (ko)
BR (1) BR9609991A (ko)
CA (1) CA2227283A1 (ko)
CZ (1) CZ292267B6 (ko)
DE (1) DE59604901D1 (ko)
DK (1) DK0847384T3 (ko)
EA (1) EA000515B1 (ko)
ES (1) ES2145480T3 (ko)
GR (1) GR3033333T3 (ko)
HU (1) HU218715B (ko)
IL (1) IL123080A0 (ko)
NZ (1) NZ316516A (ko)
PL (1) PL186459B1 (ko)
PT (1) PT847384E (ko)
RO (1) RO119146B1 (ko)
SK (1) SK282051B6 (ko)
TW (1) TW328945B (ko)
UA (1) UA57000C2 (ko)
WO (1) WO1997008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38575B (en) * 1996-08-28 2001-06-07 Basf A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harmful fungi
NZ508515A (en) 1998-05-04 2003-05-30 Basf Ag Fungicidal mixtures
CN100512645C (zh) 2001-01-22 2009-07-15 巴斯福股份公司 杀真菌混合物
WO2005102053A1 (de) * 2004-04-21 2005-11-03 Basf Aktiengesellschaft Fungizide mischungen
EP1770085A4 (en) * 2004-07-21 2010-09-22 Mitsui Chemicals Agro Inc DIAMINE DERIVATIV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FUNGICIDE CONTAINING THE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US8871990B2 (en) 2008-02-18 2014-10-28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conversion of ethane to aromatic hydrocarbons
AU2009215655B2 (en) 2008-02-20 2012-03-1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the conversion of ethane to aromatic hydrocarbons
CN103408465B (zh) * 2013-07-29 2015-08-26 南开大学 一种n-二取代苯基甲基缬氨酰胺氨基甲酸酯衍生物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1897A1 (de) * 1993-07-01 1995-01-12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Substituierte Aminosäureamid-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iese enthaltende Mittel und ihre Verwendung
DE4332738A1 (de) * 1993-09-25 1995-03-30 Basf Ag Racematspaltung primärer und sekundärer Amine durch Enzym-katalysierte Acylierung
DE4431467A1 (de) * 1994-09-03 1996-03-07 Basf Ag Caramoylcarbonsäuream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801273A (es) 1998-05-31
HU218715B (hu) 2000-11-28
DE59604901D1 (de) 2000-05-11
BG102255A (en) 1998-12-30
US5922899A (en) 1999-07-13
CZ292267B6 (cs) 2003-08-13
CZ50098A3 (cs) 1998-07-15
CN1194636A (zh) 1998-09-30
DK0847384T3 (da) 2000-07-17
AU6876896A (en) 1997-03-19
AU728829B2 (en) 2001-01-18
ES2145480T3 (es) 2000-07-01
HUP9802332A3 (en) 1999-03-29
PL186459B1 (pl) 2004-01-30
SK282051B6 (sk) 2001-10-08
UA57000C2 (uk) 2003-06-16
NZ316516A (en) 2000-01-28
CN1070847C (zh) 2001-09-12
BG63939B1 (bg) 2003-07-31
IL123080A0 (en) 1998-09-24
WO1997008138A1 (de) 1997-03-06
PT847384E (pt) 2000-09-29
KR100445276B1 (ko) 2004-11-16
GR3033333T3 (en) 2000-09-29
TW328945B (en) 1998-04-01
EP0847384A1 (de) 1998-06-17
HUP9802332A2 (hu) 1999-02-01
SK22798A3 (en) 1999-02-11
JPH11511450A (ja) 1999-10-05
PL325280A1 (en) 1998-07-20
ATE191465T1 (de) 2000-04-15
EA199800242A1 (ru) 1998-08-27
EP0847384B1 (de) 2000-04-05
RO119146B1 (ro) 2004-04-30
EA000515B1 (ru) 1999-10-28
CA2227283A1 (en) 1997-03-06
BR9609991A (pt) 199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7073A (ko) 살진균제로서의5-할로겐-6-페닐-7-플루오르알킬아미노-트리아졸로피리미딘
EP1381610B1 (en) 6-(2-chloro-6-fluoro-phenyl)-triazolopyrimidines
US5847194A (en) Carbamoylcarboxamides
US5922899A (en) Carbamoyl carboxylic acid amides
AU685957B2 (en) Carbamoyl carboxylic acid hydrazides and their use against fungi
JP2002517413A (ja) 殺菌剤としての2−(n−フェニルアミノ)ピリジンの使用法、及び新規な2−(n−フェニルアミノ)ピリミジン
US5955473A (en) Fungicidal quinolines
US6124345A (en) Carbamoyl carboxylic acid amide oximes
KR20000004916A (ko) 살진균적으로 활성인 카르복실산 아미드
KR20040102202A (ko) 살진균성 트리아졸로피리미딘, 그의 제조 방법, 유해진균의 방제를 위한 그의 용도, 및 상기 살진균성트리아졸로피리미딘을 함유하는 제제
KR100342145B1 (ko) p-히드록시아닐린유도체,그의제조방법및그의용도
JP2004503475A (ja) フェネチルアクリルアミド類の使用、新規なフェネチルアクリルアミド類、それらの調製、およびそれらを含む組成物
JP3803316B2 (ja) ベンズヒドリル誘導体
WO1995023786A1 (de) Carbamoylcarbonsäure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fungizide
MXPA98001273A (en) Carbamoilcarboxami
CA2257080A1 (en) Pyrimidine-4-carboxylic acid amides
EP0672654A1 (de) Fungizide Carbamoyloximcarbonsäureamide
WO1995023785A1 (de) Carbamoylsäure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fungizide
DE4419516A1 (de) Carbamoylcarbonsäurehydrazide
DE4407023A1 (de) Carbamoylcarbonsäureamide
DE4438738A1 (de) Carbamoylcarbonsäureamide
DE19532313A1 (de) Carbamoylcarbonsäuream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