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097A -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송신기 및 수신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송신기 및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097A
KR19990044097A KR1019980701330A KR19980701330A KR19990044097A KR 19990044097 A KR19990044097 A KR 19990044097A KR 1019980701330 A KR1019980701330 A KR 1019980701330A KR 19980701330 A KR19980701330 A KR 19980701330A KR 19990044097 A KR19990044097 A KR 1999004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rror detection
bit position
frame
detec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2309B1 (ko
Inventor
요키히코 오쿠무라
후미유키 아다치
Original Assignee
구라모토 미노루
엔티티 이도오쓰으신모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7676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440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구라모토 미노루, 엔티티 이도오쓰으신모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모토 미노루
Publication of KR1999004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738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with judging correct deco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4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6Code rate detection or code typ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4Maximum-likelihood or sequential decoding, e.g. Viterbi, Fano, ZJ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5Seria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레이트 판정을 더욱 명확하게 함으로써 고품질의 가변 레이트 전송을 실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송신기 및 수신기가 제공된다.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각각 구비하는 고정 시간 길이 프레임을 송신하는 가변 레이트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은 사용자 데이터에 에러 검출 코드를 부가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은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가정하여,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비터비 디코딩을 실행한다.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서 다수의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디코딩 처리를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는 판정이 이루어지고 송신 데이터가 복구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송신기 및 수신기
음성 신호 등의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후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될 정보량은 시간적으로 고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때때로 가변한다.
따라서, 전송 데이터를 고정 길이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개별 프레임의 가변 비트 길이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전송 레이트를 가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송신기가 일정한 프레임 주기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송신하고 필요없는 전송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비 전력이 절약된다.
가변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신기가 어떤 수단에 의해 각 프레임의 전송 레이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두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중 첫 번째 방법은 수신기가 그 레이트 정보에 따라 레이트를 판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 데이터 부분으로서 각 프레임의 레이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레이트 정보는 송신하지 않지만,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전송 데이터에 부가된 에러 검출 코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 경우 수신기는 에러 검출 코드에 따라 레이트를 판정한다.
한편, 다수의 에러가 발생하는 무선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 등의 통신 환경에 있어서는 전송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전송 데이터의 에러 정정(FEC : Forward Error Correction)이 널리 실행되고 있다. 에러 정정 코드 및 에러 정정 디코딩으로서는 컨벌루셔널 코드(convolutional code) 및 비터비 디코딩(Viterbi decoding) 등의 최대 개연성 디코딩(maximum likelihood decoding)이 알려져 있다.
수신기로 레이트 정보를 송신하지는 않지만, 수신기가 통신 품질을 나타내도록 전송 데이터에 부가된 에러 검출 코드로부터 레이트를 판정하는 두 번째 방법에 있어서, 레이트 판정시 에러 레이트는 에러 검출 코드의 워드 길이에 의존하므로, 전송 에러는 저감할 수 있지만, 판정 에러 레이트, 즉 전송 에러가 발생하지 안았다는 잘못된 레이트로 판정할 가능성은 일정 레벨 이하로 줄어들 수 없다.
한편, 레이트 정보가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송신되는 첫 번째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는 전송중에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수신된 프레임의 유효 길이를 판정할 수 없다. 데이터부분 자체에 에러가 없더라도, 수신기가 송신 데이터를 정확히 복구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어떠한 통신 환경에서도 신뢰성있는 레이트 판정을 하는 것에 의해 고품질의 가변 레이트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송신기 및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한 전송 레이트(transmission rate)로 고정 길이 프레임(fixed length frames)의 가변 길이 데이터(variable length data)를 송신함으로써 외견상 가변 레이트 전송을 실행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송신기 및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가 최대일 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가 최대보다 적을 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인터리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에서 송신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최대 개연성 디코딩의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레이트 판정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송신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송신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레이트 판정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송신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송신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블록 디코딩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레이트 판정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여, 다음의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송신측은 송신 데이터를 가변 비트 데이터를 각각 갖는 고정 시간 길이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각 프레임의 고정 위치에 그 프레임내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를 부가한다. 이어서, 송신측은 에러 정정을 위해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정정 코드 및 에러 검출 코드를 발생하고, 개별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실행하며, 고정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경우, 에러 정정 코딩후 남는 프레임내 블랭크는 송신되지 않는다.
한편, 수신측은 각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frame by frame basis)로,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후, 각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순차 가정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에러 정정 코딩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한다. 수신측은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다수의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그리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할 때,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고, 송신 데이터를 복구한다.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개연성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고 에러 검출 코드의 비교 결과가 서로 일치하면, 수신측은 최대 개연성 차분을 부여하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은 각 프레임내 고정 위치에 프레임내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 또는 비트수를 나타내는 정보 비트를 부가함으로서 송신할 수 있고, 수신측은 디인터리빙을 실행할 수 있고,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최종 비트 위치를 가정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을 사용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할 수 있다. 수신측은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실제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한다. 그들이 불일치하면, 레이트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최종 비트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가정하여, 수신측은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개연성 차분 및 에러 검출 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가 판정될 수 있도록, 수신되어 디인터리브된 프레임 데이터의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최종 위치에 대한 그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순차 실행한다.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 비트에 대하여, 송신기는 송신될 바로 직전 프레임내 고정 위치에 현재 프레임에 관한 레이트 정보를 부가할 수 있고, 수신기는 바로 직전 프레임내의 수신된 레이트 정보로부터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를 가정할 수 있다. 레이트 정보가 바로 직전 프레임내에서 송신되는 경우, 동일 프레임내의 비트, 즉 현재 프레임내의 송신 데이터 및 에러 검출 코드와 다음 프레임의 레이트 정보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에러 정정 코딩 및 디코딩이 실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러 검출 코드에 부가하여 레이트 판정에 있어서 에러 정정 디코딩중 정보로서 얻어지는 개연성 정보를 사용하는 본 발명은 레이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종래 가변 레이트 데이터 전송의 레이트 판정과 비교하여 레이트 판정 에러 레이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고품질의 가변 레이트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트 정보 전송형의 가변 레이트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송중 레이트 정보에 어떠한 에러라도 발생할 때 개연성 정보를 사용하여 레이트를 판정함으로써 프레임 에러 레이트 및 레이트 판정 에러 레이트를 개선하는 가변 레이트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각 프레임의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계산하는 단계, 에러 검출 코드, 송신 데이터 및 테일 비트를 구비하고, 컨벌루셔널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다수의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전송 레이트 정보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는 단계, 전송 레이트 정보, 에러 검출 코드, 송신 데이터 및 테일 비트를 구비하고, 컨벌루셔널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비트 단위로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인터리빙후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검출 코드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불일치하면,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는 상태를 만족하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개연성 최대의 차분을 만드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각 프레임의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계산하는 수단, 에러 검출 코드, 송신 데이터 및 테일 비트를 구비하고, 컨벌루셔널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수단, 수신기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다수의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전송 레이트 정보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는 수단, 전송 레이트 정보, 에러 검출 코드, 송신 데이터 및 테일 비트를 구비하고, 컨벌루셔널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수단, 수신기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비트 단위로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인터리빙후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검출 코드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불일치하면,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는 상태를 만족하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개연성 최대의 차분을 만드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각 프레임의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계산하는 단계, 블록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이 각각 실시된 블록으로 분할된 송신 데이터 및 에러 검출 코드를 구비하고,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첫 번째 블록부터 시작하는 각 블록의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개별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중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전송 레이트 정보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는 단계, 전송 레이트 정보, 에러 검출 코드 및 송신 데이터를 구비하고, 블록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첫 번째 블록부터 시작하는 블록 단위 기준으로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비트 단위로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인터리빙후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검출 코드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불일치하면,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각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에서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각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중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는 상태를 만족하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개연성 최소의 차분을 만드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각 프레임의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계산하는 수단, 블록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이 각각 실시된 블록으로 분할된 송신 데이터 및 에러 검출 코드를 구비하고,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수단, 수신기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첫 번째 블록부터 시작하는 각 블록의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개별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중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판정하는 수단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전송 레이트 정보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는 수단, 전송 레이트 정보, 에러 검출 코드 및 송신 데이터를 구비하고, 블록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수단, 수신기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첫 번째 블록부터 시작하는 블록 단위 기준으로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비트 단위로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인터리빙후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검출 코드가 상기 판정하는 수단에서 불일치하면,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각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에서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판정하는 수단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각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중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는 상태를 만족하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개연성 최소의 차분을 만드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는 송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는 수신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에서, 터미널(1)에 인가되는 송신 데이터 시퀀스는 에러 검출 코더(error detecting coder)(4) 및 프레임 메모리 1(2)로 전달된다. 프레임 메모리 1(2)는 소정 비트수(즉, 프레임)의 데이터 세트를 유지한다. 에러 검출 코더(4)는 송신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에러 검출 코드(예를 들면, CRC 코드)를 계산한다.
그후, 멀티플렉서(6)는 에러 검출 코더(4)에 의해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에 프레임 메모리 1(2)로부터 판독한 송신 데이터 및 에러 정정 디코딩에 필요한 테일 비트(tail bit)를 부가하고, 프레임을 순차 출력한다.
도 2a 및 도 2b는 멀티플렉서(6)로 부터의 데이터 시퀀스 출력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전송 레이트가 최대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2B는 전송 레이트가 최대 레이트보다 적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블랭크(데이터가 없는 구간)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레이트보다 적은 전송에 있어서 프레임에 발생한다. 멀티플렉서(6)로 부터의 데이터 시퀀스 출력은 에러 정정 코더(8)에 의해 컨벌루셔널 코딩되고 나서, 인터리버(10)에 의해 인터리빙된다.
도 3은 인터리버(10)에 의한 인터리빙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나의 프레임의 데이터 시퀀스는 입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출력된다. 즉, 행단위로 송신된 데이터 입력은 열 단위로 출력된다. 인터리버(10)로 부터의 데이터 시퀀스 출력은 프레임 메모리 2(12)에 기록된다.
도 4는 프레임 메모리 2(12)로 부터의 데이터 시퀀스 출력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인터리버(10)에서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부분은 "슬롯(slot)"이라고 하고, 각 슬롯은 N 비트로 구성되고, 각 프레임은 M 슬롯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 프레임은 N×M 비트로 구성된다.
인터리버(10)의 출력은 프레임 메모리 2(12)로 입력된다. 이전 처리에 있어서, 송신측은 입력 데이터 시퀀스를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메모리 1(2)에 기록하고, 하나의 처리로서 각 프레임의 에러 정정 코딩 및 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프레임 메모리 2(12)로부터 1차 모듈레이터로 공급될 입력 데이터를 발생한다. 그 결과, 송신 데이터 시퀀스는 인터리빙 및 다른 처리에 수반되는 1 프레임의 지연을 갖는다.
프레임 메모리 2(12)의 출력 데이터 시퀀스는 RF 회로(14)에 의해 변조되고, 안테나(16)를 거쳐 송신된다. 변조 방식으로서, 확산 스펙트럼 변조, QPSK 변조 등이 사용된다. 변조는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슬롯내 블랭크에 대해서는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송신기는 일정 프레임 주기에서 가변 비트 길이로 데이터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그후,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20)를 거쳐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그것을 RF 회로(22)에 의해 복조한 후, 복조된 신호를 디인터리버(deinterleaver)(24)로 순차 입력한다. 메모리를 구비하는 디인터리버(24)는 송신측 인터리버(10)와 반대 절차를 수행하는데, 즉, 열단위(슬롯 단위)로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그들을 행 단위로 판독한다. 이것에 의해 하나의 프레임의 원 데이터 시퀀스를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에러 검출 코드 및 송신 데이터 시퀀스가 발생된다. 인터리빙 및 디인터리빙은 버스트 에러를 방지함으로써 에러 정정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디인터리브된 데이터 시퀀스는 최대 개연성 디코딩을 사용하여 그의 에러 정정 디코딩을 실행하는 에러 정정 디코더(26)로 공급된다. 에러 정정 디코딩이 실시된 데이터 시퀀스는 분리 회로(splitting circuit)(28)에 의해 에러 검출 코드와 데이터 시퀀스로 분할된다. 에러 검출 코드는 에러 검출 코드 메모리(32)로 입력되어 유지된다.
한편, 데이터 시퀀스는 수신 데이터로서 터미널(2)로부터 출력됨과 동시에, 에러 검출 코더(30)로 입력된다. 에러 검출 코더(30)는 송신기의 그것에 대응하는 데이터 시퀀스의 에러 검출 코딩을 반복한다. 재코드된 에러 검출 코드는 비교기(34)에 의해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비트 마다 비교되고, 전체 비트가 서로 일치하면, 일치 신호가 레이트 판정 회로(36)로 공급된다.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은 프레임 데이터의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순차 가정하여 실행된다. 이 경우, 에러 정정 디코더(26)는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디코딩함으로써 얻은 결과에 대한 개연성 정보를 레이트 판정 회로(36)에 공급한다. 레이트 판정 회로(36)는 최종 비트 위치, 즉 각 프레임의 전송 레이트를 비교기(34)로부터 공급된 에러 검출 코드의 일치 신호 및 개연성 정보에 따라 판정한다.
도 5는 최대 개연성 디코딩의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예를 도시하고, 도 6은 레이트 판정 알고리즘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최대 개연성 디코딩으로서는 비터비 디코딩을 가정한다.
먼저, 비터비 디코딩을 개시한 후,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한 생존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survival decoded data sequences)의 개연성을 단계 S1-S3에 있어서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도 5 및 도 6에서 #L)에서 얻고, 여기서, 생존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는 각 상태에서 생존하는 것이다(즉, 도 5의 예에서 상태 1-K에 도달하는 K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이어서, 단계 S4에서, 그렇게 얻은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을 얻고, 여기서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는 디코딩 처리를 종료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즉, 도 5의 예에서 상태 0에 도달하는 시퀀스).
그후, 단계 S5에서, 개연성 차분이 소정의 범위(도 6에서 △)내에 있는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그것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으면, 단계 S6에서, 선택된 디코드 데이터 시퀀스가 트레이스 백(trace back)에 의해 출력되고, 단계 S7에서, 에러 검출 코딩(CRC 코딩)이 실시된다.
단계 S8에서, 재코드된 CRC는 수신된 CRC와 비교된다. 그들이 서로 일치하면, 디코딩이 종료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그후, 송신 데이터가 복구된다.
개연성 차분이 △를 초과하거나 또는 CRC의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다음 최종 비트 위치를 가정하여 비터비 디코딩이 계속된다. 개연성 차분이 △내에 있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면, 그리고 에러 검출 코드의 비교 결과가 일치를 나타내면, 최대 개연성 차분을 부여하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로 판정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전송중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두 번째 최종 비트 위치 L=2에서 상태 0에 도달하는 시퀀스는 최대 개연성(개연성 차분 = 0)를 부여하고, 에러 검출 코드의 비교 결과는그 디코드된 시퀀스에 대하여 일치하게 된다.
이 경우, 개연성 차분이 제로로 될 가능성은 다른 최종 비트 위치에서 작게 되므로, 이 방법은 에러 검출 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만 레이트 판정을 실행하는 종래 방법보다 훨씬 적은 값으로 레이트 판정 에러 레이트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에러가 전송중 발생하였으면, 상태 0에 도달하는 시퀀스는 반드시 최대 개연성을 부여하는 시퀀스가 아니다. 이 경우, △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전송중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러가 정정된 디코드된 시퀀스가 레이트 판정의 에러 레이트의 저감 효가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를 △가 특정값이하인 영역에서 더 적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평균 레이트 판정 에러가 더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평균 프레임 에러 레이트, 즉 CRC의 비교 결과가 +레이트 판정 에러 레이트와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는 프레임 에러 레이트를 무릅쓰고, 제어 데이터와 같은 매우 작은 레이트 판정 에러를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값 △는 최종 비트 위치에서 얻은 개연성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분과 고정된 값을 곱함으로써 얻은 값으로 △가 설정되도록 전송중 발생한 에러의 경향을 고려하여 얻을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은 수신기로 하여금 외관상 가변 레이트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여기서 송신기는 각 프레임내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레이트 정보를 수신기에 송신하지 않고 각 프레임내의 비트수를 가변하여 각 프레임을 송신한다.
또한, 비터비 디코딩에서 얻은 개연성 정보를 사용하는 레이트 판정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레이트 판정 에러에 기인하는 프레임의 잘못된 길이를 갖는 송신 데이터를 출력할 가능성을 크게 저감할 수 있어, 신뢰성 높은 가변 레이트 데이터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것에 송신 데이터의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의 전송이 추가되어, 그 레이트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측에서 레이트 판정을 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 도 1a 및 도 1b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 숫자로 나타낸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도 1a 및 도 1b와 다른 부분의 동작을 주로 설명한다.
먼저, 송신 데이터의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터미널(5)로 입력되고, 레이트 정보 메모리(40)로 공급된다. 레이트 정보 메모리(40)의 내용은 프레임 메모리 1(2)에 유지된 데이터의 레이트 정보, 즉 데이터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멀티플렉서(6`)는 프레임 단위로 레이트 정보 메모리(40)에서 판독된 송신 데이터의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 에러 검출 코더(4)에 의해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 및 프레임 메모리 1(2)에서 판독된 송신 데이터를 순차 출력한다.
도 8a 및 도 8b는 멀티플렉서(6`)로 부터의 데이터 시퀀스 출력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신기의 에러 정정 디코더(26`)는 각 프레임의 처음 위치부터 시작하였던 순차적 비터비 디코딩을 절단(truncate)하여, 프레임의 처음 위치에 위치한 레이트 정보 비트의 디코드 결과를 얻는다. 디코드 결과는 레이트 정보 메모리(42)에 유지된다.
도 9는 실시예 2의 수신기의 레이트 판정 알고리즘을 도시하고 있다. 에러 정정 디코더(26)는 단계 S11-S13에서 레이트 정보 메모리(42)의 내용에 의해 나타내어진 최종 비트에 대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비터비 디코딩을 계속한다. 그후, 단계 S14에서 디코딩 처리를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를 트레이스 백에 의해 출력하고, 단계 S15에서 에러 검출 코딩(CRC 코딩)을 실행한다.
그후, 단계 S16에서 재코드된 CRC는 수신된 CRC와 비교된다. 비교 결과가 그들의 일치를 나타내면, 디코딩은 완료되고, 레이트 정보 메모리(42)의 내용에 의해 나타내어진 최종 비트 위치는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로서 판정되고, 송신 데이터가 복구된다.
CRC의 비교 결과가 불일치를 나타내면, 레이트 정보 메모리(42)의 내용에 의해 나타내어진 최종 비크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순차 가정하여, 단계 S17에서,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이 실행되고, 비터비 디코딩에서 얻은 개연성 정보 및 에러 검출 코드의 비교 결과를 사용하여 레이트 판정이 이루어진다(도 6의 S1-S8의 처리와 같음).
상기 구성을 갖는 송신기 및 수신를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은 전송 에러가 없을 때 수신기가 레이트 정보를 실제적으로 검출하게 한다. 또한, 전송중 레이트 정보에 에러가 발생하였더라도, 수신기는 비터비 디코딩에서 얻은 개연성 정보 및 에러 검출 코드의 비교 결과를 사용하여 레이트 판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프레임 에러 레이트가 개선되어, 매우 적은 레이트 판정 에러 레이트가 달성된다. 이것에 의해 고신뢰성 가변 레이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비터비 디코딩에 의해 얻은 레이트 정보의 신뢰성은 디코더에 저장된 입력 신호의 길이, 즉 레이트 정보 다음의 코트된 데이터 시퀀스의 길이에 따라 증가하므로, 에러 검출 코드 등의 송신 데이터 이외의 고정 길이 데이터 시퀀스를 레이트 정보 비트 직후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신기가 레이트 정보 비트 또는 에러 검출 코드 바로 다음에 테일 비트를 삽입하고, 수신기가 엔드 비트를 한번 디코드 다운하여 수신 레이트 정보 또는 그 정보 더하기 수신 레이트 검출 코드를 얻은 후, 그의 최종 비트에 대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디코딩을 재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이 실시예에서, 블록 코드에 대한 코딩 및 디코딩은 도 1a 및 도 1b의 에러 정정 코더(8) 및 에러 정정 디코더(26)에서 각각 실행된다.
코딩에 있어서, 멀티플렉서(6)로 부터의 각 프레임 데이터 출력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으로 분할되고, 각 블록은 BCH 코드로 코딩 등의 블록 코딩(패리티 비트의 발생 및 부가)이 실시된다.
한편, 디코딩에 있어서, 개별 블록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 블록부터 시작해서 디코드되고, 레이트 판정은 개연성 정보, 즉 개별 블록의 디코딩 처리에서 발생된 신뢰성 정보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12는 디코딩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BCH 디코딩 처리에서 얻은 개연성 정보가 소정의 범위(도 12에서 △ : 여기서는 블록에서 발생된 전송 에러가 증가함에 따라 개연성 정보도 증가한다고 가정함)내에 있는 한, 에러 검출 코딩(CRC 코딩)은 단계 S20-S26에 있어서 최종 비트 위치 #L에 대하여 실행된다. 단계 S28에서 재코드된 CRC(체크 비트)가 수신된 CRC와 일치한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면, 디코딩은 종료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로서 판정되고 나서, 송신 데이터의 복구가 이루어진다. 개연성 정보가 △를 초과하거나 또는 CRC의 비교 결과가 불일치를 나타내면, 다음 블록의 디코딩은 단계 S30에서 계속된다. 전체 최종 비트 위치에서 디코딩을 실행하고 에러 검출 코드를 계산한 후 개연성 정보가 △내에 있고 에러 검출 코드의 비교 결과가 일치를 나타내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면, 최대 개연성 정보를 부여하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로서 판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개연성 디코딩 처리에서 얻은 개연성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에러 검출 코드만을 사용하는 종래 레이트 판정 방법과 비교하여 레이트 판정 에러 레이트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신중 프레임 단위로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매우 신뢰성 있는 가변 레이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이트 정보 전송형의 가변 레이트 데이터 전송은 레이트 정보의 전송중 에러가 발생할 때 개연성 정보 및 에러 검출 코드를 사용하는 레이트 판정 방법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 에러 레이트 및 레이트 판정 에러 레이트를 개선하는 고품질의 가변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각 프레임의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계산하는 단계;
    에러 검출 코드, 송신 데이터 및 테일 비트를 구비하고, 컨벌루셔널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다수의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전송 레이트 정보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는 단계;
    전송 레이트 정보, 에러 검출 코드, 송신 데이터 및 테일 비트를 구비하고, 컨벌루셔널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비트 단위로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인터리빙후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검출 코드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불일치하면,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는 상태를 만족하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개연성 최대의 차분을 만드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각 프레임의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계산하는 수단;
    에러 검출 코드, 송신 데이터 및 테일 비트를 구비하고, 컨벌루셔널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수단;
    수신기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다수의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전송 레이트 정보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는 수단;
    전송 레이트 정보, 에러 검출 코드, 송신 데이터 및 테일 비트를 구비하고, 컨벌루셔널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수단;
    수신기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비트 단위로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인터리빙후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검출 코드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불일치하면,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최대 개연성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 후보의 개연성의 최대값과 송신된 데이터 시퀀스에 대하여 디코딩을 종료함으로써 얻은 디코드된 데이터 시퀀스의 개연성 사이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는 상태를 만족하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개연성 최대의 차분을 만드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7.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각 프레임의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계산하는 단계;
    블록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이 각각 실시된 블록으로 분할된 송신 데이터 및 에러 검출 코드를 구비하고,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첫 번째 블록부터 시작하는 각 블록의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개별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중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전송 레이트 정보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는 단계;
    전송 레이트 정보, 에러 검출 코드 및 송신 데이터를 구비하고, 블록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첫 번째 블록부터 시작하는 블록 단위 기준으로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비트 단위로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인터리빙후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검출 코드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불일치하면,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단계;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각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에서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각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중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는 상태를 만족하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개연성 최소의 차분을 만드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각 프레임의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계산하는 수단;
    블록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이 각각 실시된 블록으로 분할된 송신 데이터 및 에러 검출 코드를 구비하고,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수단;
    수신기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첫 번째 블록부터 시작하는 각 블록의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개별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중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판정하는 수단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1. 각각 고정 시간 길이를 갖고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평균 전송 레이트를 가변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송신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전송 레이트 정보 및 송신 데이터의 에러 검출 코드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는 수단;
    전송 레이트 정보, 에러 검출 코드 및 송신 데이터를 구비하고, 블록 코드를 사용하는 에러 정정 코딩 및 각 프레임 공통의 인터리빙이 실시된 프레임 데이터를 일정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는 수단;
    수신기에서,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각 프레임 공통의 디인터리빙을 실행한 후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최종 비트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첫 번째 블록부터 시작하는 블록 단위 기준으로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비트 단위로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인터리빙후 수신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검출 코드가 상기 판정하는 수단에서 불일치하면, 수신된 전송 레이트 정보에 따라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를 제외하고 프레임 데이터의 전체 송신가능한 최종 비트 위치를 연속해서 가정하고, 가정한 최종 비트 위치에 대하여 블록 디코딩에 따른 에러 정정 디코딩 및 송신 데이터부분의 에러 검출 코드의 계산을 실행하는 수단;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각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에서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면,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판정하는 수단에 의해 얻은 결과에 따라 가변 길이 송신 데이터를 복구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에러 정정 디코딩중 각 최종 비트 위치에서, 각 블록의 에러 정정 디코딩중 얻은 개연성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고 계산된 에러 검출 코드가 수신된 에러 검출 코드와 일치하는 상태를 만족하는 다수의 최종 비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개연성 최소의 차분을 만드는 최종 비트 위치가 송신된 프레임 데이터의 최종 비트 위치라고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시하는 송신기.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시하는 수신기.
KR1019980701330A 1996-06-24 1997-06-23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송신기및 수신기 KR100292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3125/1996 1996-06-24
JP16312596 1996-06-24
PCT/JP1997/002145 WO1997050219A1 (fr) 1996-06-24 1997-06-23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systeme de transmission de donnees et recep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097A true KR19990044097A (ko) 1999-06-25
KR100292309B1 KR100292309B1 (ko) 2001-06-01

Family

ID=1576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330A KR100292309B1 (ko) 1996-06-24 1997-06-23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송신기및 수신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08384A (ko)
EP (2) EP1662742B1 (ko)
KR (1) KR100292309B1 (ko)
CN (2) CN1099797C (ko)
CA (1) CA2229453C (ko)
DE (1) DE69735360T3 (ko)
WO (1) WO1997050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60910C (en) * 1997-05-16 2002-09-24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variable length frames
JP3096020B2 (ja) * 1997-12-16 2000-10-10 日本放送協会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3741858B2 (ja) * 1998-03-19 2006-02-01 富士通株式会社 適応変調方式
JP3613448B2 (ja) * 1999-06-21 2005-01-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FI108383B (fi) 1999-10-05 2002-01-15 Nokia Oyj Tiedonsiirtomenetelmõ
KR100376249B1 (ko) * 2000-05-29 2003-03-15 퍼스널 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길이에 따른 가변형 에러 제어 방법
KR100742341B1 (ko) 2000-11-10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길이를 모르는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795743B2 (ja) * 2000-11-17 2006-07-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3815543B2 (ja) * 2000-12-27 2006-08-30 日本電気株式会社 記録状態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情報記録再生装置
AU2003214677B2 (en) * 2002-03-27 200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111226B1 (en) * 2002-05-31 2006-09-19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decoder employing single trellis to support multiple code rates and/or multiple modulations
US8391249B2 (en) 2003-02-18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commands on a code division multiplexed channel
US8150407B2 (en) 2003-02-18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23950B2 (en) 2003-02-18 2011-09-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electable frame dur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60282B2 (en) 2003-02-18 2010-02-09 Qualcomm Incorporated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7155236B2 (en) 2003-02-18 2006-12-2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ed and autonomous transmission and acknowledgement
US7286846B2 (en) * 2003-02-18 2007-10-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outer loop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081598B2 (en) * 2003-02-18 2011-12-20 Qualcomm Incorporated Outer-loop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40160922A1 (en) 2003-02-18 2004-08-19 Sanjiv Nand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rate of a reverse link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705588B2 (en) 2003-03-06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code space in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US7215930B2 (en) 2003-03-06 2007-05-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link signal-to-noise ratio (SNR)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US8477592B2 (en) 2003-05-14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and noise estimation in an OFDM system
US8489949B2 (en) 2003-08-05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Combining grant, acknowledgement, and rate control commands
WO2006106864A1 (ja) 2005-03-30 2006-10-12 Ntt Docomo, Inc.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7219292B2 (en) * 2005-04-14 2007-05-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yclic redundancy check modification for length detection of message with convolutional protection
JP4758765B2 (ja) 2006-01-05 2011-08-3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トランスポートフォーマット検出装置及びトランスポートフォーマット検出方法
JP5207756B2 (ja) * 2007-03-07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780030B2 (ja) * 2007-05-08 2011-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信機、受信機、送信方法、受信方法、可変長シリアル・バースト・データ転送システム、半導体装置、およびハイブッド半導体装置
JP4780029B2 (ja) * 2007-05-08 2011-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信機、受信機、送信方法、受信方法、固定長シリアル・バースト・データ転送システム、半導体装置、およびハイブッド半導体装置
US8095856B2 (en) * 2007-09-14 2012-01-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memory requirements of erasure decoding processing
US8446868B2 (en) 2009-05-07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lind decoding resul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67463B1 (en) * 2010-05-06 2018-07-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processing encoded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538596B1 (en) * 2011-06-21 2014-05-14 Alcatel Lucent Method of decoding a differentially encoded phase modulated optical data signal
CN107896138B (zh) * 2017-11-03 2020-12-18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译码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5342C (en) 1993-06-18 2005-11-15 Brian K. Butl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data rate of a received signal
US5430743A (en) * 1993-06-29 1995-07-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data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ZA947317B (en) * 1993-09-24 1995-05-10 Qualcomm Inc Multirate serial viterbi decoder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pplications
JP2605641B2 (ja) * 1994-11-14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変ビットレート判別方法及び装置
KR0157546B1 (ko) * 1995-01-19 1998-11-16 김광호 디지탈 전송신호의 복원 장치
DE69635289T2 (de) * 1995-02-23 2006-04-27 Ntt Docomo Inc. Verfahren zur Übertragung variabler Bitraten und dieses verwendende Sender
US5790596A (en) * 1996-03-15 1998-08-04 Motorola, Inc.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unit displaying chronologica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08384A (en) 2000-08-22
DE69735360D1 (de) 2006-04-27
EP0866589A1 (en) 1998-09-23
EP1662742A3 (en) 2011-04-27
JP3445279B2 (ja) 2003-09-08
CA2229453A1 (en) 1997-12-31
CN1422004A (zh) 2003-06-04
EP1662742A2 (en) 2006-05-31
CN1194475C (zh) 2005-03-23
EP0866589B2 (en) 2009-05-13
EP0866589B1 (en) 2006-03-01
CA2229453C (en) 2002-01-01
EP0866589A4 (en) 2003-04-16
KR100292309B1 (ko) 2001-06-01
WO1997050219A1 (fr) 1997-12-31
DE69735360T3 (de) 2009-09-17
EP1662742B1 (en) 2013-02-06
CN1099797C (zh) 2003-01-22
DE69735360T2 (de) 2006-08-24
CN1198282A (zh) 199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230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송신기및 수신기
US6199190B1 (en) Convolution decoding terminated by an error detection block code with distributed parity bits
EP1207659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KR100554322B1 (ko) 복수의 코딩 버스트내에 배치된 crc 비트에 의해 종료 상태가결정되는 컨벌루셔널 디코딩
EP0855108B1 (en) A cod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unequal error protection by puncturing less significant symbols
EP0998072A1 (en)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ARQ protocol
CN1192536C (zh) 在数据帧形式的数据传输中降低帧差错率的方法
EP1107499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system, send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CN101431388B (zh) 译码编码数据帧的方法及其译码器
WO1997014225A9 (en) A cod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unequal error protection by puncturing less significant symbols
US5944849A (en)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correcting an error without an increase of hardware
RU2608872C1 (ru)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блокового код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лгоритма Витерби
JP3445279B6 (ja)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送信装置,受信装置
KR100811376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JPH0761059B2 (ja) ルート識別方式
JPH0783280B2 (ja) 誤り訂正装置
JP2001144742A (ja) データ通信装置
JP2001320281A (ja) 受信装置
JPH08251036A (ja) 誤り訂正復号方法
MXPA990065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catenated cod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