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508A -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508A
KR19990043508A KR1019970064520A KR19970064520A KR19990043508A KR 19990043508 A KR19990043508 A KR 19990043508A KR 1019970064520 A KR1019970064520 A KR 1019970064520A KR 19970064520 A KR19970064520 A KR 19970064520A KR 19990043508 A KR19990043508 A KR 1999004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ifference
evaporators
blower fan
temperatur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3508A/ko
Priority to CN98115618A priority patent/CN1218895A/zh
Priority to ES009801869A priority patent/ES2158756B1/es
Priority to JP10336121A priority patent/JPH11230606A/ja
Publication of KR1999004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50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증발기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도록 압축기 및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증발기들의 온도를 감지하고, 그 온도차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를 감소시키도록 하되,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 조절은,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킴에 따라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할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가속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켜도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송풍팬을 감속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할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감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이 증발기들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실외 및 실내에 각각 실외기 및 실내기가 분리 설치된다.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며, 실내기는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실내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의하면,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면 및 전면에 흡입구(1a)가 형성되고 하면에 토출구(1b)가 형성된 실내기 본체(1)와, 상기 실내기 본체(1) 내부의 흡입구(1a) 후방에 설치되도록 각 단으로 절곡된 증발기(2)와, 상기 증발기(2) 후방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증발기(2)는 각 단으로 절곡된 제 1 내지 제 3 증발기(2a)(2b)(2c)에 의하여 실내기의 부피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그 표면적 증가로 인해 냉각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을 통하여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순환사이클은 그 내부의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및 캐필러리튜브를 거쳐 상기 증발기(2)로 순환되도록 구성하되, 이 냉매는 각각의 통로를 통하여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증발기(2a)(2b)(2c)에 배분되어 공급되며, 이후 상기 증발기(2a)(2b)(2c)들을 거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모여져 재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실내기는, 송풍팬(3)의 회전에 의하여 실내기 본체(1) 상면 및 전면의 흡입구(1a)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냉각되는데, 이때 상기 증발기(2) 근방의 공기는 그 내부의 냉매와 열 교환되어 저온으로 냉각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실내기 본체(1) 내부의 공기를 그 하면의 토출구(1b)를 통하여 토출시킴으로써 실내를 소정온도로 냉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각각의 증발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배분량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 즉 냉매부족 및 냉매과다 등의 냉매 불균일현상에 의하여 각 증발기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차에 의하여 수분이 발생하게 되고, 이 수분은 온도차가 클수록 더욱 많은 량이 발생하게 됨으로 이렇게 발생된 수분이 냉각된 공기와 함께 실내로 토출되거나 본체를 타고 외부로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단으로 이루어진 증발기 각각의 온도차에 따라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그 온도차를 감소시키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증발기 3 : 송풍팬
10 : 스위치조작부 20 : 실내온도감지부
30 : 증발기온도감지부 31 : 제 1온도센서
32 : 제 2온도센서 33 : 제 3온도센서
40 : 마이컴 50 : 송풍팬구동부
60 : 냉각팬구동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의 특징은, 다단으로 형성된 각각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도록 압축기 및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를 감지하고, 그 온도차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 조절은,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킴에 따라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할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가속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켜도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송풍팬을 감속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할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감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다단으로 형성된 각각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도록 압축기 및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전이 시작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통하여 그 온도차를 구하고, 상기 온도차가 소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제 2과정에 의한 온도차가 소정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는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그 온도차가 소정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제 3과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킨 후 상기 증발기들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통하여 그 온도차가 감소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하였을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가속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켜도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송풍팬을 감속시키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2단계에 의하여 상기 송풍팬을 감속시킴에 따라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할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감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 3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증발기들의 온도차를 제거함으로써 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장치는 그 내부의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7)와, 이 압축기(7)에서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저온으로 액화시키는 응축기(5)가 마련된다. 여기서, 이 응축기(5)는 그 일측에 설치된 냉각팬(6)을 통하여 방열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응축기(5)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저온저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캐필러리튜브(4)와, 이 캐필러리튜브(4)로부터 유입된 냉매의 증발에 의하여 그 주변의 열을 빼앗아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2)가 마련되고, 이 증발기(2) 근방의 송풍팬(3)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으로 절곡된 제 1 내지 제 3증발기(2a)(2b)(2c)로 구성되어서 냉매가 캐필러리튜브(4)를 거친 냉매가 각각의 통로를 통하여 상기한 제 1 내지 제 3증발기(2a)(2b)(2c)에 배분되어 공급되며, 이후 상기 증발기(2a)(2b)(2c)들을 거친 냉매는 다시 압축기(7)로 모여져 재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증발기(2a)(2b)(2c)의 근방에는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내지 제 3온도센서(31)(32)(33)가 마련된다.
도 3에 의하면,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는 스위치조작부(10)와,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감지부(20)와, 상기한 증발기(2a)(2b)(2c)들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도록 상기 제 1 내지 제 3온도센서(31)(32)(33)로 구성된 증발기온도감지부(30)가 마련된다.
또한, 스위치조작부(10), 실내온도감지부(20) 및 증발기온도감지부(30)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후술할 송풍팬 및 냉각팬구동부(50)(60)와, 압축기구동부(70)를 동작시키는 마이컴(40)이 마련된다.
상기 압축기구동부(70)는 전술한 압축기(7)를 구동시켜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송풍팬구동부(50)는 송풍팬(3)을 구동시켜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며, 냉각팬구동부(60)는 냉각팬(6)을 구동시켜 응축기(5)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킨다.
또한,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운전은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조작부(10)를 조작하면, 마이컴(40)은 이에 따라 송풍팬구동부(50), 냉각팬구동부(60) 및 압축기구동부(70)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압축기(70)가 구동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상기 압축기(7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5)로 유입되고, 응축기(5)는 유입된 냉매가 가진 열을 대기 중으로 방열시킨다. 이후, 캐필러리튜브(4)는 응축기(5)에서 유입된 액화냉매를 저온저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며, 증발기(2)는 상기 캐필러리튜브(4)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소정의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이렇게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3)에 의하여 실내로 송풍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시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온도센서(31)(32)(33)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기(2a)(2b)(2c)들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제 1과정이 수행된다(S101∼S102).
이후, 상기 제 1과정에 의해 각각의 온도센서(31)(32)(33)로 감지된 온도는 마이컴(40)에 입력되어 그 온도차를 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차는 각각의 온도센서(31)(32)(33)로 감지된 복수개의 온도차 값 중 평균값을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하여진 온도차를 이용하여, 이 온도차가 마이컴(40)에 미리 설정된 소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 2과정이 수행된다(S103).
따라서, 상기 제 2과정에 의해 구하여진 각 증발기(2a)(2b)(2c)들의 온도차가 소정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는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그 온도차가 소정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송풍팬(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증발기(2a)(2b)(2c)들의 온도차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제 3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104∼S105).
여기서, 상기한 송풍팬(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 5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 1단계로서 상기 송풍팬(3)을 가속시킨 후 상기 증발기들(2a)(2b)(2c)로부터 재차 감지된 온도를 통하여 그 온도차가 감소하였는가를 판단한다(S201∼S203).
이후, 제 2단계로서 상기 제 1단계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2a)(2b)(2c)들의 온도차가 감소하였을 경우 상기 송풍팬(3)의 가속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송풍팬(3)을 가속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증발기(2a)(2b)(2c)들의 온도차가 감소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3)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S204∼S205).
또한, 제 3단계로서, 상기 제 2단계에 의하여 상기 송풍팬(3)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킴에 따라 상기 증발기(2a)(2b)(2c)들 상호간의 온도차가 감소할 경우 상기 송풍팬(3)의 감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각 증발기(2a)(2b)(2c)들의 온도차를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S206∼S20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를 감지하고, 그 온도차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되, 상기 송풍팬을 가속 또는 감속시켜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되도록 한다. 따라서, 증발기들의 온도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다단으로 형성된 각각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도록 압축기 및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를 감지하고, 그 온도차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 조절은,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킴에 따라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할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가속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켜도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송풍팬을 감속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할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감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3. 다단으로 형성된 각각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도록 압축기 및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전이 시작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과정;
    상기 제 1과정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통하여 그 온도차를 구하고, 상기 온도차가 소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제 2과정에 의한 온도차가 소정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는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그 온도차가 소정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제 3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킨 후 상기 증발기들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통하여 그 온도차가 감소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하였을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가속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송풍팬을 가속시켜도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송풍팬을 감속시키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2단계에 의하여 상기 송풍팬을 감속시킴에 따라 상기 증발기들의 온도차가 감소할 경우 상기 송풍팬의 감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 3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KR1019970064520A 1997-11-29 1997-11-29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KR19990043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520A KR19990043508A (ko) 1997-11-29 1997-11-29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CN98115618A CN1218895A (zh) 1997-11-29 1998-06-30 控制空调器的蒸发器风扇速度的方法
ES009801869A ES2158756B1 (es) 1997-11-29 1998-09-04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la velocidad de un ventilador de evaporador de acondicionador de aire.
JP10336121A JPH11230606A (ja) 1997-11-29 1998-11-26 空気調和機の送風ファンの速度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520A KR19990043508A (ko) 1997-11-29 1997-11-29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508A true KR19990043508A (ko) 1999-06-15

Family

ID=1952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520A KR19990043508A (ko) 1997-11-29 1997-11-29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230606A (ko)
KR (1) KR19990043508A (ko)
CN (1) CN1218895A (ko)
ES (1) ES2158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2008A (zh) * 2016-05-20 2016-10-26 弗德里希新能源科技(杭州)股份有限公司 机组运行冷凝温度及蒸发温度的调节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6679A (zh) * 2012-06-07 2014-01-01 苏州昆拓热控系统股份有限公司 机柜空调器
CN104454611B (zh) * 2014-12-01 2017-01-25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轨道交通车辆及其制动电阻风机控制系统和方法
CN107143994B (zh) * 2016-03-01 2019-12-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防凝露控制方法及空调室内机
CN107166653A (zh) * 2017-05-27 2017-09-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运行控制装置和空调器
KR20210053714A (ko) * 2019-11-04 202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112432333B (zh) * 2020-12-04 2021-11-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器
CN113091197A (zh) * 2021-03-04 2021-07-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空调器室外机的自动除尘方法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5350A (en) * 1966-02-25 1968-05-28 Carrier Corp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condensate preventing means
US4041727A (en) * 1975-09-02 1977-08-16 Borg-Warner Corporation Evaporator assembly
FR2421345B1 (fr) * 1978-03-29 1985-06-07 Dantherm As Refroidisseur d'air, de preference sous la forme d'un appareil de sechage du type a condensation
FR2474668A1 (fr) * 1980-01-29 1981-07-31 Bonnet Ets Armoire frigorifique a degre hygrometrique reglable
JPS5942615Y2 (ja) * 1980-10-16 1984-12-13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器
DE3305126A1 (de) * 1981-09-12 1984-08-16 Ing. Rolf Seifert Electronic, 5828 Ennepetal Klimageraet
US4513577A (en) * 1982-11-19 1985-04-30 Wilson Neill R Evaporator and method of operation
JPS59150241A (ja) * 1983-02-15 1984-08-28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調和機の結露防止装置
JPH0452451A (ja) * 1990-06-20 1992-02-2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風量制御方法
KR960001986B1 (ko) * 1991-01-31 199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상제어회로 및 그 방법
FI88650C (fi) * 1991-04-09 1993-06-10 Halton Oy Foerfarande vid reglering av en luftkonditioneringsanlaeggning och en luftkonditioneringsanlaeggning enligt detta foerfarande
NO179227C (no) * 1994-05-24 1996-08-28 Martinsen As Finn Frostsikringsanordning for varmegjenvinnere
US5533352A (en) * 1994-06-14 1996-07-09 Copeland Corporation Forced air heat exchanging system with variable fan speed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2008A (zh) * 2016-05-20 2016-10-26 弗德里希新能源科技(杭州)股份有限公司 机组运行冷凝温度及蒸发温度的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8895A (zh) 1999-06-09
JPH11230606A (ja) 1999-08-27
ES2158756B1 (es) 2002-03-01
ES2158756A1 (es)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281B1 (ko) 냉난방기의 제습 운전방법
EP1596143A3 (en)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KR19990043508A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온도제어방법
KR102429294B1 (ko) 인버터 제습기의 제어 방법
KR100286033B1 (ko) 냉장고 및 그 습도제어방법
KR100512248B1 (ko) 냉난방기의 제습 절전 운전방법
JP2699858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KR100189124B1 (ko) 냉장고 및 구동제어방법
WO2023228323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80064017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412956B1 (ko) 공기 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20000055119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방법
KR100244344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28531A (ko) 에어컨의 운전제어방법
KR100208355B1 (ko) 냉장고 및 그 제상제어방법
KR2005007418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팬제어방법
KR100302861B1 (ko) 에어컨실외기의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CN115682098A (zh) 空气调节机
KR0175849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213621B1 (ko) 냉장고 제상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74819A (ko) 창문형 에어컨의 압축기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3371A (ko) 에어컨 건조 장치
KR19990004453A (ko) 에어컨 증발기의 동결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04451A (ko) 에어컨 증발기의 동결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79086A (ko) 공기조화기의 절전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