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431A -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431A
KR19990041431A KR1019970062016A KR19970062016A KR19990041431A KR 19990041431 A KR19990041431 A KR 19990041431A KR 1019970062016 A KR1019970062016 A KR 1019970062016A KR 19970062016 A KR19970062016 A KR 19970062016A KR 19990041431 A KR19990041431 A KR 1999004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optical recording
sensing means
optica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식
이인환
소욱영
안성웅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431A/ko
Publication of KR1999004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431A/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광기록매체인 디스크의 삽입여부 및 디스크의 종류 판별을 반사방식의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필요없는 부품을 절감하고, 저출력이면서도 확실하게 구동할 수 있는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광기록매체의 삽입여부 및 광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센싱구조에 있어서, 광디스크 재생기기의 전면에 형성되는 광기록매체 삽입구의 안쪽에서 주기판상에 일반적인 광기록매체인 디스크를 판별하는 반사형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과, 콤팩트 디스크를 판별하는 반사형 제2감지수단을 장착시켜 된 것이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본 발명은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에 관한 것으로, 슬롯타입의 광디스크 재생기기에서 광기록 매체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광기록 매체가 턴테이블쪽으로 로딩할때에 광기록매체의 삽입여부의 감지와, 그 광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게 한 센싱구조에 관한 것이다.
광기록매체의 종류는 그 기록방식은 동일하나 기록면의 사이즈에 따라 대개 콤팩트사이즈와 일반사이즈로 나누고 있으며, 광디스크 재생기기에서 이 종류를 자동적으로 판별하여 재생을 하고 있다.
특히, 슬롯타입형의 광디스크 재생기기에서 로울러방식을 채용하는 광디스크 재생기기는 광기록매체의 삽입시 트레이방식과는 달리 광디스크 재생기기내의 로울러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삽입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 재생기기내부 기기의 보호측면 및 로딩, 언로딩의 자동화를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고가의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로딩, 언로딩의 자동화를 기하기 위하여는 초기 광기록매체가 광기록매체 삽입구에 삽입시, 이를 감지하여 텐이블내에 안착시키기 위한 초기 로딩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광기록매체의 삽입 및 그 광고기록매체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센서가 필요한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광디스크 재생기기(1) 내의 하부의 주기판(2)과 상부의 보조기판(3)를 각각 장착하고, 그 보조기판(6)에 센서의 발광부를 연이어 설치하며, 주기판(2)에는 센서의 수광부를 연이어 설치하여 센서부를 구성하여 왔다. 즉 발광부(4)는 수광부 (6)와 상하로 대응되게 구성하여 일반적인 크기의 광기록매체의 삽입 및 크기를 감지하게 하고, 발광부(5)는 수광부(7)와 상하로 대응되게 구성하여 콤팩트 사이즈의 광기록매체의 삽입 및 크기를 감지하여 초기로딩 및 광기록매체를 식별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이와같은 센서감지 방식은 광기록매체인 디스크가 삽입되면, 발광부측의 빛이 수광부측에 인가되지 아니할 때 디스크의 삽입을 감지하고, 2개의 수광부에 인가되는 빛이 모두 디스크에 의하여 차단되는 경우 (바깥쪽의 발광부의 빛이 수광부에 인가되지 아니하는 경우는 콤팩트 광기록매체로 판별함) 일반적인 크기의 광기록매체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빛차단방식의 감지센서를 사용하는 광디스크 재생기기에서는 상하로 구성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가 일직선상에 놓여야 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시 정밀도를 요하며, 발광부와 수광부의 거리에 따라 발광부가 보다 큰 출력을 요구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보조기판(3)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착할 장소의 협소이 수반되고, 보조기판이 회로적으로 주기판(2)과 연결하기 위한 하네스(harness)(8) 및 콘넥터(connector)등의 부품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광기록매체인 디스크의 삽입여부 및 디스크의 종류 판별을 반사방식의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필요없은 부품을 절감하고, 저출력이면서도 확실하게 구동할 수 있는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은 광기록매체의 삽입여부 및 광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센싱구조에 있어서, 광디스크 재생기기의 전면에 형성되는 광기록매체 삽입구의 안쪽에서 주기판상에 일반적인 광기록매체인 디스크를 판별하는 반사형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과, 콤팩트 디스크를 판별하는 반사형 제2감지수단을 장착시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진 센서로 구성시켜 적은 면적의 센싱구조를 이룰수가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을 형성하는 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일정한 각을 갖도록 설치하는 경우 디스크에서 반사된 빛이 효율적으로 수용될 수 있어 저출력으로도 확실히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기록매체의 센싱구조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센싱구동 상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광디스크 재생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디스크 재생기기 2 : 주기판
3 : 보조기판 4,5 : 발광부
6,7 : 수광부 8 : 하네스
9 : 광기록매체 삽입구 10 : 광기록매체
S1,S2,S3,... : 스텝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광디스크 재생기기 (1)내에 하부에는 주기판(2)이 장착되고, 이 주기판(2)의 회로들이 광디스크 재생기기(1)를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이 광디스크 재생기기 (2)의 전면에는 광기록매체(10)인 디스크가 삽입되는 광기록매체 삽입구(9)가 형성되어 있어 광기록매체의 삽입 및 인출시(로딩 및 언로딩)그 삽입구를 통하여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삽입구의 안쪽에서 주기판(2)에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인 반사형 센서를 설치한 것으로 이 각각의 제1감지수단과 제2감지수단에는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가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게 설치한다. 즉,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감지수단의 센서는 발광부(4)의 빛이 디스크에 반사시 이를 감지하는 수광부(6)로 구성되고,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2감지수단인 센서는 발광부(5)의 빛이 디스크에 반사시 이를 감지하는 수광부(7)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각각의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내에 구성되는 발광부(4),(5) 및 수광부(6),(7)를 서로 인접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을 형성하는 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일정한 각을 갖도록 설치하여 디스크에서 반사된 빛이 효율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을 구성하는 각각의 발광부 및 수광부의 위치를 바꾸어 주기판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빛반사에 의한 광기록매체의 감지시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따라서 광디스크 재생기기(1)에서 일반적인 광기록매체(12mm 디스크)를 사용하는 디스크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감지수단의 발광부(4),(5)에서 방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부(6),(7)에 인가되고, 콤팩트디스크(8cm 디스크)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제2감지수단인 발광부(5)에서 방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부(7)에 인가되어 이에 따른 초기 로딩동작과 디스크의 판별에 따른 제어동작을 광디스크 재생기기(1)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 관계를 도 3의 플로우챠트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전원이 투입되는 스타트스텝(S1)후 광기록매체의 삽입여부 및 디스크의 종류에 대한 판별을 스텝(S2,S3,S4)에서 판별하게 된다.
먼저, 스텝(S2)에서 제1감지수단의 발광부(4) 및 수광부(6)에서 반사된 빛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다음에 스텝(S3)에서 제2감지수단의 발광부(4) 및 수광부(6)에서 반사된 빛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12cm인 디스크인 광기록매체가 광기록매체 삽입구(9)에 투입되는 경우 디스크에서 반사된 빛이 각각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의 수광부(6),(7)에 인가하면 스텝(S5)으로 진행되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광기록매체가 투입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8cm인 광기록매체가 광기록매체 삽입구(9)에 투입되는 경우 디스크에 반사된 빛이 각각 제1감지수단에는 인가되지 아니하므로 스텝(S4)으로 넘어가 제2감지수단에서 수광부(7)에 인가여부를 감지한다. 수광부(7)에 반사된 빛이 인가되면 스텝(S6)에서 콤팩트 디스크가 삽입되었음을 판단한다.
이와같은 판단이 종료되면 초기로딩 수행스텝(S8)으로 진행되어 광기록매체 삽입구(9)에 장착된 로울러를 회전시켜 광기록매체를 내부로 안내하고, 스텝(S8)로 진행되어 턴테이블위에 광기록매체(10)를 안착시키는 로딩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 후 스텝(S9)으로 넘어가 픽업을 디스크의 특정위치에 놓이게한 후 각각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재생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디스크를 광기록매체 삽입구(9) 바깥으로 인출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역동작의 언로딩을 수행하여 인출하게 된다. 이 과정을 도 4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광디스크에 재생기기의 분해사시도이며, 편이상 하나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방식의 광디스크 재생기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광기록매체(10)의 삽입시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 수단을 나타내는 발광부(4),(5) 및 수광부(6),(7)에서 스텝(S2 내지 S6)을 수행하여 디스크의 종류 및 삽입여부를 감지하여 초기로딩 수행스텝(S7)을 진행하게 되면, 모터(210)을 구동시켜 구동부의 다수개의 기어와 광기록매체 로울러(300)를 회전시키어 디스크를 턴테이블(20)쪽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200)의 연동기어(220)는 아이들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같은 초기로딩 상태에서 로딩수행 스텝(S8)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광기록매체가 삽입되면, 가이드 천정부(500)의 밸런스 가이드핀(520)을 밀고, 그 힘으로 캠플레이트(550)을 작동시키면, 캠플레이트(550)에 의하여 슬라이딩캠부(400)을 이동시켜 이맞추되게 하면, 아이들상태에서 연동기어부(220)의 기어들의 회전력이 슬라이드캠부(400)에 전달되어 슬라이드 캠부(400)가 클램프부(600)을 작동시켜 광기록매체가 턴테이블(20)위에 안착한 후 크램프부(600)에 의하여 고정되게 하는 로딩동작이 완료된다. 로딩동작 완료후 기타 구동제어 스텝(S9)에서는 전자적인 제어에 의하여 픽업(712)을 디스크면의 특정위치에 놓이게 하여 원하는 재생을 하고, 광기록매체의 인출시의 언로딩 동작은 상기 로딩동작과 역으로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광기록매체의 삽입여부 및 광기록매체의 종류의 판별을 하는 센싱장치에서 차단형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반사형 감지센서로 구성하여 저출력으로도 확실하게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없는 부품들을 제거시킬수가 있어 장소의 협소함에 다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광기록매체의 삽입여부 및 광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센싱구조에 있어서, 광디스크 재생기기의 전면에 형성되는 광기록매체 삽입구의 안쪽에서 주기판상에 일반적인 광기록매체인 디스크를 판별하는 반사형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과, 콤팩트 디스크를 판별하는 반사형 제2감지수단을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재생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에 구성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서로 인접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재생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을 형성하는 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일정한 각을 갖도록 설치하여 디스크에서 반사된 빛이 효율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재생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의 반사면측 방향에 상기 반사면측으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반사면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수광부로된 감지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KR1019970062016A 1997-11-21 1997-11-21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KR19990041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016A KR19990041431A (ko) 1997-11-21 1997-11-21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016A KR19990041431A (ko) 1997-11-21 1997-11-21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31A true KR19990041431A (ko) 1999-06-15

Family

ID=6609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016A KR19990041431A (ko) 1997-11-21 1997-11-21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4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6334B2 (ja) 位置検出装置
US5293362A (en) Optical disc play-back device of the carousel type, having a mechanism for reducing access type to any selected disc
US5539717A (en) Player for reproducing both minidisc and compact disc
EP10892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insertion of disc body
US20090055848A1 (en) Disc identification device, disc insertion-ejection device, and disc device
KR19990041431A (ko) 광디스크 재생기기내 광기록 매체의 센싱구조
JP3294712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6059508A (ja) ディスク装置、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のチェック方法、排出方法並びにローディング方法
EP1118990B1 (en) Disk carrying apparatus and disk carrying method
US7299480B2 (en) Loading disc optical detection apparatus
KR0175082B1 (ko) 카용 씨디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판별장치
KR100473760B1 (ko) 광디스크 로딩장치 및 방법
JP2604737Y2 (ja) ディスク検知装置
JP2000268482A (ja) ディスク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100240416B1 (ko) 컴팩트 디스크 체인저의 디스크 로딩방법
JP2803862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KR200339946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판별 장치
JP2005285255A (ja)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再生装置の記録媒体の判別方法
US6757223B1 (en) System for carrying and reproducing a disc
KR20000073123A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디스크 보호방법
KR970017417A (ko)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및 디스크 위치 감지방법
KR950012243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JPS5968870A (ja) 磁気デイスク装置
KR100590227B1 (ko) 멀티 체인저의 광디스크 인식장치 및 그 방법
JPH03134859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