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277A -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40277A KR19990040277A KR1019970060606A KR19970060606A KR19990040277A KR 19990040277 A KR19990040277 A KR 19990040277A KR 1019970060606 A KR1019970060606 A KR 1019970060606A KR 19970060606 A KR19970060606 A KR 19970060606A KR 19990040277 A KR19990040277 A KR 199900402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fer roller
- cam
- roller
- bracket
- photosensitiv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의 구동을 위한 롤러구동유니트의 구조가 개선된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는, 하나의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2개의 캠을 구비하며, 그 캠들의 회전에 의해 전사롤러를 감광부재로부터 이격 및 밀착시키고 정착롤러를 전사롤러로부터 이격 및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이 기록지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의 구동을 위한 롤러구동유니트의 구조가 개선된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인쇄장치에는 레이저스캐닝 유니트(LSU) 등의 잠상형성수단에 의해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부재와 이 감광부재 상의 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가 마련된다. 도 1에는 상술한 인쇄장치의 일반적인 예의 주요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인쇄장치는,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감광부재(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감광부재(1)의 하측에는 현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부재(1)는 띠형상의 소재 양단이 중첩되어 고리형을 이루며, 이에 따라 감광부재(1)는 중첩부(1a)를 가지게 된다. 감광부재(1)에는 상술한 잠상형성수단에 의해 잠상이 형성되며 그 잠상은 현상기(2)를 통해 그 잠상부위에 부착되는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이에 따라 감광부재(1)에는 토너에 의한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그 감광부재(1) 상의 화상은 전사롤러(3)로 전사되고, 전사롤러(3)로 전사된 화상은 화살표(B) 방향을 따라 전사롤러(3)와 정착롤러(4) 사이로 공급되는 기록지(P)에 전사되어 정착된다.
참조부호 5는 감광부재(1)와 전사롤러(3) 사이에 소정의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감광부재(1)를 지지하는 백업롤러이다.
한편, 감광부재(1)가 회전구동되는 도중에 상기 중첩부(1a)가 상기 전사롤러(3)와 백업롤러(5)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그 중첩부(1a)는 감광부재(1)의 다른 부위에 비해서 두께가 두꺼우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전사롤러(3)와 백업롤러(5) 사이로 통과하게 되면 전사롤러(3)나 백업롤러(5) 또는 감광부재(1)에 등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중첩부(1a)가 전사롤러(3)와 백업롤러(5)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전사롤러(3)를 감광부재(1)로부터 약간 이격시켜 줄 필요가 있다. 또한, 인쇄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중에도, 전사롤러(3)에 의한 가압력으로 인하여 감광부재(1)의 일부가 계속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사롤러(3)를 감광부재(1)로부터 이격시켜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쇄작업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는 소정의 밀착력으로 밀착된 정착롤러와 전사롤러(3)의 접촉부위에 계속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착롤러(4)를 전사롤러(3)로부터 이격시켜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쇄장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사롤러(3)를 감광부재(1)로부터 이격 및 밀착시키고 정착롤러(4)를 전사롤러(3)로부터 이격 및 밀착시키기 위한 롤러구동유니트가 마련된다.
그런데 종래의 인쇄장차에 있어서는 상술한 롤러구동유니트가, 전사롤러를 감광부재에 대해 밀착 및 이격시키는 모터와, 정착롤러를 전사롤러에 대해 밀착 및 이격시키는 모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사롤러를 감광부재로부터 이격 및 밀착시키고 정착롤러를 전사롤러로부터 이격 및 밀착시키기 위한 롤러구동유니트의 구조가 개선되어 구조가 단순화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인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장치의 일례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를 보이는 것으로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에 해당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제1캠과 제2캠의 캠면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정착롤러가 전사롤러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정착롤러가 전사롤러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전사롤러가 감광부재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전사롤러가 감광부재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부재 3...전사롤러
4...정착롤러 10...프레임
15...모터 20...회전축
22...구동기어 30...제1브라켓
40...제2브라켓 50...제1캠
60...제2캠 61...종동기어
70...회전체 77...중계기어
79...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는, 회전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토너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부재와, 감광부재에 대해 밀착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밀착시에 상기 감광부재의 회전에 피동되어 회전되면서 그 감광부재 상의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와, 전사롤러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접근시에 상기 전사롤러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기록지에 상기 전사롤러 상의 화상이 전사되도록 기록지를 전사롤러에 압착시키는 정착롤러와,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구동유니트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유니트는; 상기 감광부재에 대해 위치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상기 전사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전사롤러가 상기 감광부재에 밀착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사롤러가 감광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제1브라켓; 상기 정착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정착롤러가 상기 전사롤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착롤러가 상기 전사롤러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제2브라켓;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소정의 회전구간에서 상기 제1브라켓을 상기 전사롤러가 상기 감광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소정의 회전구간에서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정착롤러가 전사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캠;을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주요부위를 보이는 것으로서,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제1캠 및 제2캠의 캠형상을 보이는 도면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부재들 중 후술하는 모터(15)와 기어들(17,21) 및 롤러들(3,4,5)을 제외한 나머지 부재들은 롤러들(3,4, 5)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한 쌍씩 구비되어 있으나, 편의상 한 쪽만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는, 고리형의 감광부재(1)와, 감광부재(1) 상의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3)와, 기록지(P)에 상기 전사롤러(3) 상의 화상이 전사되도록 기록지(P)를 전사롤러(3)에 압착시키는 정착롤러(4)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부재(1)는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토너에 의한 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전사롤러(3)는 감광부재(1)에 대해 밀착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밀착시에 감광부재(1)의 회전에 피동되어 회전되면서 그 감광부재(1)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받게 된다. 상기 정착롤러(4)는 전사롤러(3)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접근시에, 전사롤러(3)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기록지(P)를 전사롤러(3) 측으로 압압함으로써, 기록지(P)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킨다.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에 있어서, 전사롤러(3)를 감광부재(1)에 대해 밀착 및 이격시키고 정착롤러(4)를 전사롤러(3)에 대해 밀착 및 이격시키기 위한 롤러구동유니트로서, 프레임(10)과,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15)와,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과, 제1캠(50)과, 제2캠(6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감광부재(1)에 대해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10)에는, 전사롤러(3)가 감광부재(1)에 밀착될 때 그 감광부재(1)와 전사롤러(3) 사이에 소정의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감광부재(1)를 지지하는 백업롤러(5)가 베어링(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레임(10)에는 또한 회전축(20)이 베어링(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15)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15)의 출력축에는 기어(17)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기어(17)에는 회전축(20)에 고정된 기어(21)가 맞물려 있다. 회전축(20)에는 구동기어(2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30)은 베어링(31)을 통해 상기 전사롤러(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그 제1브라켓(30)을 관통하여 프레임(10)에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부재(32)의 몸체를 따라 전사롤러(3)가 감광부재(1)에 밀착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2)에는 압축코일스프링(33)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 압축코일스프링(33)에 의해 제1브라켓(30)은 전사롤러(3)가 감광부재(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제1브라켓(30)의 상부에는 베어링(34)을 통해 지지축(3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브라켓(30)의 중앙부위에는 캠팔로우어부(36)가 돌출되어 있다. 참조부호 38은 제1브라켓(30)의 이동시에 회전축(20)과의 간섭을 피함과 동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그 제1브라켓(30)에 형성된 가이드장공이다.
상기 제2브라켓(40)은 베어링(41)을 통해 정착롤러(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그 제2브라켓(40)을 관통하여 제1브라켓(30)에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부재(42)의 몸체를 따라 상기 정착롤러(4)가 전사롤러(3)에 밀착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2)에는 압축코일스프링(43)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 압축코일스프링(43)에 의해 제2브라켓(40)은 정착롤러(4)가 전사롤러(3)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제2브라켓(40)의 상부에는 캠팔로우어부(46)가 돌출되어 있다. 참조부호 48은 제2브라켓(40)의 이동시에 회전축(20)과의 간섭을 피함과 동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그 제2브라켓(40)에 형성된 가이드장공이다.
상기 제1캠(50)은 회전축(20)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브라켓(30)의 캠팔로우어부(36)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캠(60)은 지지축(35)에 고정된 종동기어(61)의 일측면에 그 종동기어(61)와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20)에 고정된 구동기어(22)와 지지축(35)에 고정된 종동기어(61)는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기어연결된다. 상기 연결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체(70)와, 중계기어(77)와, 인장코일스프링(79; 도 3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70)는 회전축(20)을 중심으로 그 회전축(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회전체(70)에는 축(7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축(75)에는 상기 중계기어(7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인장코일스프링(79)은, 일단이 회전체(7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브라켓(30)에 고정되어, 회전체(70)를 상기 중계기어(77)가 구동기어(22) 및 종동기어(61)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에 적용된 제1캠(50)의 캠형상 및 제2캠(60)의 캠형상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제1캠(50)은 제1접점(P1)으로부터 제2접점(P2)을 거쳐 제3접점(P3)에 이르는 180도 범위의 공회전부(F1)와 제1접점(P1)으로부터 제4접점(P4)을 거쳐 제3접점(P3)에 이르는 180도 범위의 가변부(F2)를 가진다. 제1캠(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접점(P1)까지의 거리(R)와 제2접점(P2)까지의 거리 및 제3접점(P3)까지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며, 제1캠(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4접점까지의 거리(R0)는 상기 제1캠(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접점까지의 거리(R)보다 크다. 따라서, 공회전부(F1)에 포함되는 캠면의 곡률반경은 모두 동일하며, 가변부(F2)에 포함되는 캠면의 곡률반경은 제1접점(P1)으로부터 제4접점(P4)에 이르기까지는 연속적으로 증대되고 제4접점(P4)으로부터 제3접점(P3)에 이르기까지는 연속적으로 감소된다.
제2캠(60)은 제1접점(Q1)으로부터 제2접점(Q2)을 거쳐 제3접점(Q3)에 이르는 180도 범위의 가변부(G1)와 제1접점(Q1)으로부터 제4접점(Q4)을 거쳐 제3접점(Q3)에 이르는 180도 범위의 공회전부(G2)를 가진다. 제2캠(6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접점까지의 거리(r)와 제3접점(Q3)까지의 거리(r) 및 제4접점(Q4)까지의 거리(r)는 모두 동일하며, 제2캠(6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2접점(Q2)까지의 거리(r0)는 상기 제2캠(6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접점(Q)까지의 거리(r)보다 작다. 따라서, 제2캠(60)의 공회전부(G2)에 포함되는 캠면의 곡률반경은 모두 동일하며, 가변부(G1)에 포함되는 캠면의 곡률반경은 제1접점(Q1)으로부터 제2접점(Q2)에 이르기까지는 연속적으로 감소되고 제2접점(Q2)으로부터 제3접점(Q3)에 이르기까지는 연속적으로 증대된다.
상기 회전축(20)에 고정된 구동기어(22)의 직경과 제2캠(60)이 고정된 종동기어(61)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동기어(22)와 종동기어(61)는 중계기어(77)에 의해 기어연결되므로, 상기 모터(15)에 의해 회전축(20)이 1회전되어 제1캠(50)이 1회전할 때 제2캠(60)도 제1캠(50)과 동일한 방향으로 1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3)와 정착롤러(4)가 구동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기록지(P)에 인쇄를 행하는 도중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50)의 제2접점(P2)이 제1브라켓(30)의 캠팔로우어부(36)에 대면되고 제2캠(60)의 제2접점이 제2브라켓(40)의 캠팔로우어부에 대면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1브라켓(30)이 스프링(33)에 의해 하강되어 전사롤러(3)가 감광부재(1)에 적절한 밀착력으로 밀착되고, 제2브라켓(40)이 스프링(43)에 의해 하강되어 정착롤러(4)가 전사롤러(3)에 적절한 밀착력으로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인쇄를 행하는 도중에 상술한 감광부재(1)의 중첩부(1a)가 전사롤러(3)와 정착롤러(4)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또는 인쇄작업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사롤러(3)를 감광부재(1)로부터 이격시켜야 한다. 이처럼 전사롤러(3)를 감광부재(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는, 모터(15)에 의해 회전축(20)을 어느 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도 3의 화살표(C1)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축(20)을 180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먼저 회전축(20)이 90도 회전되면, 제1캠(50)과 제2캠(60)이 함께 화살표(C1)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제1캠(50)과 제2캠(60)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90도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2캠(60)은 제2접점(Q2)과 제1접점(Q1) 사이의 가변부를 통해 제2브라켓(40)의 캠팔로우어부(46)를 압압하여 그 제2브라켓(40)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이동시켜서 그 제2브라켓(40)에 지지된 정착롤러(4)를 전사롤러(3)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그리고, 그 제2캠(60)의 제1접점(Q1)이 제2브라켓(40)의 캠팔로우어부(46)와 접촉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1브라켓(30)의 캠팔로우어에(36)는 제1캠(50)의 제2접점(P2)과 제1접점(P1)에 걸친 동일직경의 공회전부가 대면하게 되므로, 그 제1브라켓(30)은 제1캠(50)에 의해 압압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제1브라켓(30)의 이동 및 전사롤러(3)의 감광부재(1)로부터의 이격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회전축(20)의 나머지 90도의 회전이 계속해서 행해지게 된다. 이 회전축(20)의 후반 90도의 회전이 행해지는 동안 제1캠(50)과 제2캠(60)도 90도의 회전이 행해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제2브라켓(40)의 캠팔로우어부(46)에는 제2캠(60)의 제1접점(Q1)에서 제4접점(Q4)으로 이어지는 동일직경의 공회전부가 계속적으로 접촉되게 되므로 그 제2브라켓(40)의 이동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1브라켓(30)의 캠팔로우어부(36)는 제1캠(50)의 제1접점(P1)에서 제4접점(P4)으로 이어지는 가변부에 연속적으로 접촉되면서 압압되게 되어 그 제1브라켓(30)이 이동되고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롤러(3)는 감광부재(1)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인쇄작업을 개시하거나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부재(1)의 중첩부(1a)가 전사롤러(3)와 감광부재(1) 사이를 통과한 후에는, 모터(15)를 화살표(C1) 방향 또는 화살표(C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은 스프링들(33,43)에 의해 각각 전사롤러(3)가 감광부재(1)에 밀착되는 방향 및 정착롤러(4)가 전사롤러(3)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과정과는 반대의 과정을 거쳐 전사롤러(3)가 감광부재(1)에 밀착되고 그 전사롤러(3)에 정착롤러(4)가 밀착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인쇄작업을 행하는 도중에, 두께가 두꺼운 기록지가 전사롤러(3)와 정착롤러(4) 사이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모터(15)를 통해 회전축(20)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화살표(C1) 방향으로 90도 이하의 범위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정착롤러(4)는 전사롤러(3)로부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간격보다 작은 간격만큼 이격되게 되는데, 이 간격은 회전축(20)의 회전각도가 커질수록 커지게 되므로, 기록지의 두께변경 및 제2캠(60)의 캠면형상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각도만큼 회전축(20)을 회전시키게 되면, 기록지의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전사롤러(3)나 정착롤러(4) 또는 감광부재(1) 등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다시 두께가 얇은 기록지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15)를 역회전시켜서 다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롤러(4)와 전사롤러(3)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면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전사롤러(3)와 감광부재(1) 사이에 가해지는 밀착력은, 스프링(33)에 의해 전사롤러(3)에 가해지는 가압력과 스프링(43)에 의해 정착롤러(4)를 통해 전사롤러(3)에 가해지는 가압력 및 제1브라켓(30)과 제2브라켓(40)의 중력 등을 합한 값이 되며 이 밀착력은 항상 설정된 값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착롤러(4)가 전사롤러(3)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상기 설정된 크기의 밀착력이 전사롤러(3)와 감광부재(1) 사이에 작용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착롤러(4)가 전사롤러(3)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스프링(43)의 탄성력과 정착롤러(4) 및 제2브라켓(40)의 하중이 제2브라켓(40)의 캠팔로우어부(46)와 제2캠(60)과 지지축(35)을 통해 제1브라켓(30)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크기의 밀착력이 전사롤러(3)와 감광부재(1)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캠(50)과 제2캠(60)이 동일 각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캠면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하게 되면 서로 다른 각속도롤 회전되면서 전사롤러(3)와 정착롤러(4)를 구동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캠(60)이 중계기어(77)를 통해 모터(15)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캠(5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2캠(60)이 구비된 종동기어(61)가 회전축(20)에 고정된 구동기어(22)와 직접 맞물려서 제2캠(60)이 제1캠(50)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브라켓(4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캠(50)과 제2캠(60)의 캠면 형상은 앞에서 언급된 형상 이외에 설계조건 등을 감안하여 여러 가지 형상이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광부재(1)가 고리형을 이루고 있는 형태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소위 감광드럼이라고 하는 드럼형의 감광부재를 사용하는 인쇄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는, 하나의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2개의 캠을 구비하며, 그 캠들의 회전에 의해 전사롤러를 감광부재로부터 이격 및 밀착시키고 정착롤러를 전사롤러로부터 이격 및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Claims (5)
- 회전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토너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부재와, 감광부재에 대해 밀착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밀착시에 상기 감광부재의 회전에 피동되어 회전되면서 그 감광부재 상의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와, 전사롤러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접근시에 상기 전사롤러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기록지에 상기 전사롤러 상의 화상이 전사되도록 기록지를 전사롤러에 압착시키는 정착롤러와, 전사롤러 및 정착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구동유니트를 가지는 인쇄장치에 있어서:상기 롤러구동유니트는; 상기 감광부재에 대해 위치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상기 전사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전사롤러가 상기 감광부재에 밀착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사롤러가 감광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제1브라켓; 상기 정착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정착롤러가 상기 전사롤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착롤러가 상기 전사롤러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제2브라켓;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소정의 회전구간에서 상기 제1브라켓을 상기 전사롤러가 상기 감광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소정의 회전구간에서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정착롤러가 전사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캠이 고정된 회전축과,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상기 제1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캠이 구비된 종동기어와,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기어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와,상기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계기어와,상기 회전체를 상기 중계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2캠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정착롤러가 상기 전사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서는 상기 제1캠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브라켓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캠에는 동일반경을 가지는 소정각도구간의 공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정착롤러가 상기 전사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서는 상기 제1캠의 공회전부가 상기 제2브라켓에 대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0606A KR100230335B1 (ko) | 1997-11-17 | 1997-11-17 | 인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0606A KR100230335B1 (ko) | 1997-11-17 | 1997-11-17 | 인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0277A true KR19990040277A (ko) | 1999-06-05 |
KR100230335B1 KR100230335B1 (ko) | 1999-11-15 |
Family
ID=1952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0606A KR100230335B1 (ko) | 1997-11-17 | 1997-11-17 | 인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033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501B1 (ko) * | 2014-06-03 | 2014-10-13 |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 불균일 곡률을 갖는 곡면 글라스 열전사 장치 및 방법 |
-
1997
- 1997-11-17 KR KR1019970060606A patent/KR1002303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501B1 (ko) * | 2014-06-03 | 2014-10-13 |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 불균일 곡률을 갖는 곡면 글라스 열전사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30335B1 (ko) | 1999-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72782B2 (ja) | 画像形成装置 | |
CN101308345B (zh) | 彩色电子照相成像装置 | |
JPH1083124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0242059A (ja) | 画像形成装置 | |
US4833502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age bearing member reciprocally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thereof | |
KR100230335B1 (ko) | 인쇄장치 | |
CN105607447B (zh) | 转印装置及图像形成装置 | |
JPH05232753A (ja) | ベルト部材の張力付与装置 | |
JPH09311522A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EP3722884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360162B2 (ja) | 感光体ドラムの回転駆動ユニット | |
US5899603A (en) | Imaging module employing frictional drive | |
KR20080070393A (ko) |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
US5136330A (en) | Irregular rot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photoconductive drum | |
JP4285207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4325986B2 (ja) | ベルト装置及びそのベルト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 |
JP3286076B2 (ja) | 電子写真装置 | |
JP2000227696A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JPH08146792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963513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20000013327A (ko) | 인쇄기의 전사유니트 | |
JP2971588B2 (ja) | 電子写真装置の転写ドラム支持装置 | |
JPH03249671A (ja) | カラー電子写真装置 | |
JP3102693B2 (ja) | 電子写真装置の感光体ユニット | |
JP2005024952A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