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019U - 도어 클로우져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우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019U
KR19990040019U KR2019980006513U KR19980006513U KR19990040019U KR 19990040019 U KR19990040019 U KR 19990040019U KR 2019980006513 U KR2019980006513 U KR 2019980006513U KR 19980006513 U KR19980006513 U KR 19980006513U KR 19990040019 U KR19990040019 U KR 199900400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il
blocking pin
pinion gea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호현
Original Assignee
차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호현 filed Critical 차호현
Priority to KR2019980006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019U/ko
Publication of KR19990040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019U/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클로우져에 관한 것으로, 통행자등에 의해 열려진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도어틀체(11) 측부에는 브라켓트(12)에 고정된 연동암(14)과; 상기 연동암(14)과 구동축(13)에 의해 축지되어, 도어(10)의 개폐에 의해 회전되도록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21)가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상측으로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공간부(22)가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일측으로는 단부에 오일이동홈(23)과 오일순환홈(24)이 형성되고, 타측은 트여지게 오일통로(25)가 횡으로 구비되며, 상기 오일통로(25)의 단부 상측으로는 수납공간(26)이 형성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내측 하부에 타측부가 트여지게 형성된 오일통로(25)에 끼워져 오일순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속도조절나사(30)와; 상기 오일통로(25)의 단부 상측에 형성된 수납공간(26)에 설치되며, 하부에 경사면(42a)을 갖는 캠(42)이 구비된 조절레버(40)와; 상기 조절레버(40)의 하측에 위치되며, 중앙으로는 오일이동홈(2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오일을 유동을 차단시키는 제 1 차단핀(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차단핀(51)의 외측에는 상기 캠(42)의 경사면(42a)과 동일한 경사각의 캠면(50a)을 갖는 하부몸체(50)와; 상기 조절레버(40)의 캠(42)과 하부몸체(50)의 제 1 차단핀(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제 1 차단핀(51)이 하부로 항상 밀착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스프링(60)과; 상기 하부몸체(50)의 저면에 설치되어 조절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하부몸체(50)를 완충및 복원시키는 제 2 스프링(65)과; 상기 피니언 기어(21)이 상측에 형성된 공간부(22)에 위치되며, 피니언 기어(21)와 치차결합되어 피니언 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부에는 기어부(71)가 형성되고, 중심부 일측에는 수납홈(72)이 구비된 피스톤(70)과; 상기 피스톤(70)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홈(72)의 후측에 수납홈(72)과 관통되게 형성되고, 단부에 형성된 안착부(74)에는 도어(10)의 개폐시 유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퇴되면서 오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면에는 제 2 차단핀(75)이 구비되고, 후측으로는 지지스프링(76)이 형성된 통공(73)과; 상기 피스톤(70)의 중심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72)과 몸체부(20) 내측에 구비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70)의 완충및 복원을 담당하는 제 3 스프링(68)으로 구성되므로 도어(10)를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어 클로우져(10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조절레버(40)를 회전시켜 제 1 차단핀(51)이 오일이동홈(23)에 끼워지게 한후, 도어(10)를 원하는 각도만큼 개방시키면, 도어 클로우져(100)의 몸체부(20) 내측중심부에 구동축(13)과 축지된 피니언 기어(21)가 회전하면서 피스톤(70)을 후퇴시키면서, 상기 피스톤(70)의 수납홈(72)과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73)에 위치된 제 2 차단핀(75)이 오일의 압력에 의해 후퇴되어 오일이 순환되면서 도어(10)가 개방되다가, 도어(10)를 정지시키면 제 2 차단핀(75)의 후측에 형성된 지지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차단핀(75)이 복원되면서 통공(73)을 차단시키면서 오일의 유동을 차단시켜 도어(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품성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클로우져
본 고안은 도어 클로우져(DOOR CIOSER)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압식 도어 클로우져의 몸체 일측부에 오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도어의 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전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에서 도어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클로우져는 여닫이문에 설치되어 통행자에 의해 열린문이 자동으로 닫혀지게 하는 도어단속 기구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어클로우져의 구조는 도어클로우져의 실린더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 되어, 통행자가 문을 열때에는 스프링이 압축되고, 문에 외력이 가하지 않을때는 압축된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그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열린문이 닫혀지게 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유압식 도어 클로우져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어 클로우져의 동체 하부에 일측단이 피니언의 외측과 연통되고, 타측단이 동체의 단부까지 연장된 수평의 오일유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유통로와 실린더내부 사이에 두개의 오일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오일유통로의 외측단부로부터 조정밸브가 결합되어 오일통공의 개방및 폐쇄를 조정하여 도어가 닫혀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 최근에는 스프링에 의한 방식과 유압식이 아닌 공기압축을 이용하여 도어클로우져가 개폐되도록 하는 방식도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클로우져는 단순히 통행자등에 의해 열려진 문을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제작되어 있어, 사용자가 내부공기의 순환및 특정 목적에 의해 문을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단속구를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 클로우져는 단순히 통행자에 의해 열린문을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소정의 시간 주기를 갖고 자동으로 닫혀지게 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사용자가 특정목적을 위해 도어를 임의의 각만큼 개방된 상태에서 정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단속구를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속구는 통상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임의의 각만큼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를 정지시킬 경우에는 몸을 숙여서 단속구를 하강시키야 하므로 노약자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을 사용하기에 많은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단속구를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관계로 사용자는 손이 아닌 발을 사용하여 단속구를 조작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단속구가 쉽게 파손되고, 도어의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 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대형건물등에는 각층마다 방화문을 항상열어놓고 고정시켜야 하므로 화재발생시에는 사람이 위험을 감수하고 방화문을 닫어야 하므로 매우 위험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압식 도어 클로우져의 몸체 일측부에 오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도어의 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전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에서 도어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클로우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클로우져의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제어부의 회전레버에 설치되는 마감캡을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마감캡이 화재발생시에는 화재에 의한 열에 의해 파손되면서 오일이 토출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한 도어 클로우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성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클로우져의 회전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도어 클로우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도어 클로우져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제어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도어 클로우져를 이용하여 도어의 회전이 제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도어 클로우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도어클로우져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제어부가 화재발생시에는 자동으로 도어를 닫혀지게 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도어클로우져가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닫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20 - 몸체부
30 - 속도조절나사 40 - 조절레버
50 - 하부몸체 60 - 제 1 스프링
70 - 피스톤 80 - 오링
100 - 도어 클로우져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통행자등에 의해 열려진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도어틀체(11) 측부에는 브라켓트(12)에 고정된 연동암(14)과;
상기 연동암(14)과 구동축(13)에 의해 축지되어, 도어(10)의 개폐에 의해 회전되도록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21)가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상측으로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공간부(22)가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일측으로는 단부에 오일이동홈(23)과 오일순환홈(24)이 형성되고, 타측은 트여지게 오일통로(25)가 횡으로 구비되며, 상기 오일통로(25)의 단부 상측으로는 수납공간(26)이 형성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내측 하부에 타측부가 트여지게 형성된 오일통로(25)에 끼워져 오일순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속도조절나사(30)와;
상기 오일통로(25)의 단부 상측에 형성된 수납공간(26)에 설치되며, 하부에 경사면(42a)을 갖는 캠(42)이 구비된 조절레버(40)와;
상기 조절레버(40)의 하측에 위치되며, 중앙으로는 오일이동홈(2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오일을 유동을 차단시키는 제 1 차단핀(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차단핀(51)의 외측에는 상기 캠(42)의 경사면(42a)과 동일한 경사각의 캠면(50a)을 갖는 하부몸체(50)와;
상기 조절레버(40)의 캠(42)과 하부몸체(50)의 제 1 차단핀(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제 1 차단핀(51)이 하부로 항상 밀착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스프링(60)과;
상기 하부몸체(50)의 저면에 설치되어 조절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하부몸체(50)를 완충및 복원시키는 제 2 스프링(65)과;
상기 피니언 기어(21)이 상측에 형성된 공간부(22)에 위치되며, 피니언 기어(21)와 치차결합되어 피니언 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부에는 기어부(71)가 형성되고, 중심부 일측에는 수납홈(72)이 구비된 피스톤(70)과;
상기 피스톤(70)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홈(72)의 후측에 수납홈(72)과 관통되게 형성되고, 단부에 형성된 안착부(74)에는 도어(10)의 개폐시 유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퇴되면서 오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면에는 제 2 차단핀(75)이 구비되고, 후측으로는 지지스프링(76)이 형성된 통공(73)과;
상기 피스톤(70)의 중심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72)과 몸체부(20) 내측에 구비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70)의 완충및 복원을 담당하는 제 3 스프링(68)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10)를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어 클로우져(10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조절레버(40)를 회전시켜 제 1 차단핀(51)이 오일이동홈(23)에 끼워지게 한 후, 도어(10)를 원하는 각도만큼 개방시키면, 도어 클로우져(100)의 몸체부(20) 내측중심부에 구동축(13)과 축지된 피니언 기어(21)가 회전하면서 피스톤(70)을 후퇴시키면서, 상기 피스톤(70)의 수납홈(72)과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73)에 위치된 제 2 차단핀(51)이 오일의 압력에 의해 후퇴되어 오일이 순환되면서 도어(10)가 개방되다가, 도어(10)를 정지시키면 제 2 차단핀(75)의 후측에 형성된 지지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차단핀(75)이 복원되면서 통공(73)을 차단시키면서 오일의 유동을 차단시켜 도어(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도어 클로우져의 내부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도어 클로우져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제어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이다.
즉, 도 1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 클로우져(100)의 중심부에는 상기 연동암(14)과 구동축(13)에 의해 축지되어, 도어(10)의 개폐에 의해 회전되도록 피니언 기어(21)가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상측으로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공간부(22)가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일측으로는 단부에 오일이동홈(23)과 오일순환홈(24)이 형성되고, 타측은 트여지게 오일통로(25)가 횡으로 구비되며, 상기 오일통로(25)의 단부 상측으로는 수납공간(26)이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1)는 도어(10)의 개폐시 열려진 도어(10)를 자동으로 닫혀지게 할 수 있도록 구동축(13)과 축지되어 지는 것이며, 상기 피니언 기어(21)는 몸체부(20)의 내부 공간부(22)에 설치되는 피스톤(70)의 하부에 형성된 기어부(71)와 치차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21)의 회전시 피스톤(70)의 몸체부(20)내부에서 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일측으로는 도어(10)의 개폐시 도어(10)가 천천히 닫혀질 수 있도록 몸체부(20) 내부에 충진되는 오일이 이동되는 오일통로(25)가 설치된다.
상기 오일통로(25)는 피니언 기어(21)를 중심으로 횡으로 설치되며, 단부에는 오일이 이동및 순환될 수 있도록 오일이동홈(23)과 오일순환홈(24)이 형성된다.
또, 상기 오일통로(25)의 상측부로는 도어(10)가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레버(40)가 위치되는 수납공간(26)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오일이동홈(23)및 오일순환홈(24)은 오일통로(25)의 단부 상측및 공간부(22)의 하부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일이동홈(23)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공간(26)에는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에서 도어(10)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오일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조절레버(40)가 위치되어 진다.
상기 조절레버(40)는 수납공간(26)의 상부에 위치되며, 몸체 중심에는 오일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는 마감캡(4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절레버(40)의 하측에는 저면에 경사면(42a)을 갖는 캠(42)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레버(40)의 하측으로는 상기 캠(42)의 경사면(42a)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캠면(50a)이 형성된 하부몸체(50)가 위치되어 진다.
상기 하부몸체(50)는 중앙으로 오일이동홈(2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오일을 유동을 차단시키는 제 1 차단핀(51)이 끼워져 위치되고, 상기 제 1 차단핀(51)의 하측으로는 조절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하부몸체(50)를 완충및 복원시키는 제 2 스프링(65)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조절레버(40)의 캠(42)과 하부몸체(50)의 중앙부에 끼워진 제 1 차단핀(51)의 상부에는 제 1 차단핀(51)이 항상 하부로 밀착 지지되도록 제 1 스프링(60)이 설치 되어진다.
상기 조절레버(40)의 캠(42)와 하부몸체(50)는 서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경사면(42a)과 캠면(50a)이 형성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같은 경사방향으로 위치되므로 제 2 스프링(65)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제 1 차단핀(51)이 오일이동홈(23)에 끼워지지 않으므로 몸체부(20)의 내부에 충진된 오일이 오일이동홈(23)과 오일순환홈(24)을 통해 이동되면서 도어(10)의 개폐시 오일순환에 의해 도어(10)가 소정의 속도를 갖고 개폐되는 것이다.
즉, 상기 조절레버(40)의 하부에 형성된 캠(42)의 경사면(42a)과 하부몸체(50)의 상부 캠면(50a)이 동일한 경사각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조절레버(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42)의 경사면(42a)과 하부몸체(50)의 캠면(50a) 경사각이 서로 어긋나면서 하부몸체(5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10)를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어 클로우져(100)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레버(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레버(40)의 하측에 경사면(42a)을 갖는 캠(42)이 회전되어, 하부몸체(50)의 캠면(50a)과 가장 높은 정상부가 밀착되도록 이동하는 것에 의해 하부몸체(50)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제 1 차단핀(51)이 오일이동홈(23)에 끼워져 오일의 흐름을 차단시키므로 도어(10)가 정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레버(40)의 상부에는 몸체부(20)의 수납공간(26)에 끼워진 조절레버(40)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고 오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링(80)이 장착되고, 스냅링(8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장착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 클로우져(100)의 몸체부(20)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22)는 피니언 기어(21)와 치차결합되어 몸체부(20) 내에서 횡으로 이동하는 피스톤(70)이 위치된다.
상기, 피스톤(70)은 피니언 기어(21)이 치차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기어부(7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70)의 중심부 일측에는 수납홈(72)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납홈(72)의 후측으로는 관통되게 통공(73)이 구비된다.
또, 상기 피스톤(70)의 재질은 오일의 접촉과 반복운동에도 형상변형이 거의 없는 우레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72)의 후측으로 형성되는 통공(73)의 단부에는 안착부(74)가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안착부(74)에는 지지스프링(76)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퇴되는 제 2 차단핀(75)이 위치 되어진다.
또한, 상기 피스톤(70)의 수납홈(72)에는 피니언 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70)의 완충및 복원을 담당하는 제 3 스프링(68)이 끼워져 위치된다.
즉, 상기 피스톤(70)의 수납홈(72) 후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통공(73)의 단부에 지지스프링(76)과 제 2 차단핀(75)이 안착부(74)에 위치 되어지고, 피스톤(70)의 수납홈(72)에는 제 3 스프링(68)이 설치되어, 피스톤(70)의 이동시 완충및 복원되는 것을 담당하므로, 사용자가 도어(10)를 소정의 각도에서 개방시킨후 정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어 클로우져(100)의 일측부에 설치된 조절레버(40)를 회전시켜, 제 1 차단핀(51)이 오일통로(25)에 형성된 오일이동홈(23)에 끼워져 오일이동홈(23)을 차단시킨후, 도어(10)를 개방시키면 연동암(14)과 구동축(13)에 축지된 피니언 기어(21)가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21)와 치차 결합된 피스톤(70)이 피니언 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통공(73)의 안착부(74)에 위치된 제 2 차단핀(75)은 오일의 압력에 의해 후측으로 후퇴된다.
상기 제 2제 1 차단핀(51)이 오일의 압력에 의해 후퇴된 후 다시 복원되어 통공(73)을 차단시키는 것은 제 2제 1 차단핀(51)의 후측에 형성된 지지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 2 차단핀(75)이 전진되면서 통공(73)을 차단시키면 오일의 이동이 차단되어 소정의 각도에서 도어(10)을 개방시킨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70)의 후측으로는 피스톤(70)의 몸체부(20)내의 공간부(22)에 보다 견고히 밀착되고, 견고히 위치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오링(80)및 패킹(85)이 설치 되어진다.
또, 상기 패킹(85)의 내측으로는 패킹(85)이 공간부(22)의 벽면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탄력스프링(88)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오일통로(25)의 일측부에는 몸체부(20)내에서 오일이동홈(23)을 통해 이동되는 오일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속도조절나사(30)가 설치된다.
상기 속도조절나사(30)는 오일이동홈(23)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속도를 속도조절나사(30)의 진퇴에 의해 오일이동홈(23)의 공간을 확장및 축소시켜 도어(10)의 개폐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레버(40)의 중심부는 배출홈(44)이 일정깊이로 파여지고, 그 외측에는 용융캡(41)을 형성하게 된다.
이 용융캡(41)은 조절레버(40)에 일체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외부면에 노출되게 성형되는 데, 전체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설계된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조절레버(40)의 전체두께에 비하여 얇은 용융캡(41)이 쉽게 녹으면서 유압 작용되고 있던 배출홈(44)을 통해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오일이 토출되면서, 내부 유압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에 의해 정지되어 있던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용융캡(41)을 사용하는 경우는 방화문의 용도로 화재발생시 도어(1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다른 장소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에 적합하다.
이는, 사람이 손수 위험을 무릎쓰고 방화문을 닫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목적등을 위해 도어(10)를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시킨후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어 클로우져(100)의 일측부에 설치된 조절레버(40)를 회전시켜 제 1 차단핀(51)이 오일이동홈(23)에 끼우져 오일이동홈(23)을 차단시킨 후, 도어(10)를 개방시키면 몸체부(20)의 공간부(22)에 위치된 피스톤(70)은 피니언 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면서, 오일의 압력에 의해 통공(73)의 안착부(74)에 설치된 제 2 차단핀(75)의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오일이 이동되어 도어(10)가 개방되는 것이고, 개방되는 도어(10)를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시키면 오일의 압력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되었던 제 2 차단핀(75)은 지지스프링(76)에 의해 다시 통공(73)을 차단시켜 오일의 이동을 정지시켜 도어(10)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정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소정의 각도로 개방되어 고정된 도어(10)를 다시 개방각을 보다 넓게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도 도어(10)의 이동시에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오일의 압력에 의해 제 2 차단핀(75)의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통공(73)으로 개방되어 오일이 이동하므로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각도에서 개방되어 고정된 도어(10)를 다시 닫고자 할 때에는 몸체부(20)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레버(40)를 다시 회전시켜 조절레버(40)의 하측에 돌출된 캠(42)의 경사면(42a)과 하부몸체(50)의 상부측 캠면(50a)이 동일한 경사각으로 밀착되어지면서 상기 하부몸체(50)의 하부에 위치된 제 2 스프링(65)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몸체(50)가 상승되면서 제 1 차단핀(51)이 오일이동홈(23)에서 탈거되어 오일이 순환되면서 도어(10)를 닫혀지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도어(10)를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어 클로우져(10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조절레버(40)를 회전시켜 제 1 차단핀(51)이 오일이동홈(23)에 끼워지게 한 후, 도어(10)를 원하는 각도만큼 개방시키면, 도어 클로우져(100)의 몸체부(20) 내측중심부에 구동축(13)과 축지된 피니언 기어(21)가 회전하면서 피스톤(70)을 후퇴시키면서, 상기 피스톤(70)의 수납홈(72)과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73)에 위치된 제 2 차단핀(75)이 오일의 압력에 의해 후퇴되어 오일이 순환되면서 도어(10)가 개방되다가, 도어(10)를 정지시키면 제 2 차단핀(75)의 후측에 형성된 지지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차단핀(75)이 복원되면서 통공(73)을 차단시키면서 오일의 유동을 차단시켜 도어(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10)를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어 클로우져(10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조절레버(40)를 회전시켜 제 1 차단핀(51)이 오일이동홈(23)에 끼워지게 한후, 도어(10)를 원하는 각도만큼 개방시키면, 도어 클로우져(100)의 몸체부(20) 내측중심부에 구동축(13)과 축지된 피니언 기어(21)가 회전하면서 피스톤(70)을 후퇴시키면서, 상기 피스톤(70)의 수납홈(72)과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73)에 위치된 제 2 차단핀(75)이 오일의 압력에 의해 후퇴되어 오일이 순환되면서 도어(10)가 개방되다가, 도어(10)를 정지시키면 제 2 차단핀(75)의 후측에 형성된 지지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차단핀(75)이 복원되면서 통공(73)을 차단시키면서 오일의 유동을 차단시켜 도어(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품성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통행자등에 의해 열려진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도어틀체(11) 측부에는 브라켓트(12)에 고정된 연동암(14)과;
    상기 연동암(14)과 구동축(13)에 의해 축지되어, 도어(10)의 개폐에 의해 회전되도록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21)가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상측으로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공간부(22)가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21)의 일측으로는 단부에 오일이동홈(23)과 오일순환홈(24)이 형성되고, 타측은 트여지게 오일통로(25)가 횡으로 구비되며, 상기 오일통로(25)의 단부 상측으로는 수납공간(26)이 형성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내측 하부에 타측부가 트여지게 형성된 오일통로(25)에 끼워져 오일순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속도조절나사(30)와;
    상기 오일통로(25)의 단부 상측에 형성된 수납공간(26)에 설치되며, 하부에 경사면(42a)을 갖는 캠(42)이 구비된 조절레버(40)와;
    상기 조절레버(40)의 하측에 위치되며, 중앙으로는 오일이동홈(2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오일을 유동을 차단시키는 제 1 차단핀(5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차단핀(51)의 외측에는 상기 캠(42)의 경사면(42a)과 동일한 경사각의 캠면(50a)을 갖는 하부몸체(50)와;
    상기 조절레버(40)의 캠(42)과하부몸체(50)의 제 1 차단핀(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제 1 차단핀(51)이 하부로 항상 밀착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스프링(60)과;
    상기 하부몸체(50)의 저면에 설치되어 조절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하부몸체(50)를 완충및 복원시키는 제 2 스프링(65)과;
    상기 피니언 기어(21)이 상측에 형성된 공간부(22)에 위치되며, 피니언 기어(21)와 치차결합되어 피니언 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부에는 기어부(71)가 형성되고, 중심부 일측에는 수납홈(72)이 구비된 피스톤(70)과;
    상기 피스톤(70)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홈(72)의 후측에 수납홈(72)과 관통되게 형성되고, 단부에 형성된 안착부(74)에는 도어(10)의 개폐시 유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퇴되면서 오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면에는 제 2 차단핀(75)이 구비되고, 후측으로는 지지스프링(76)이 형성된 통공(73)과;
    상기 피스톤(70)의 중심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72)과 몸체부(20) 내측에 구비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70)의 완충및 복원을 담당하는 제 3 스프링(6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우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40)의 중심부는 배출홈(44)이 일정깊이로 파여지고, 그 외측에는 용융캡(41)을 일체로 마감하여서 화재발생시에 상기 용융캡(41)이 열에 의해 파손되면서 내부에 충진된 오일이 토출되어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우져.
KR2019980006513U 1998-04-23 1998-04-23 도어 클로우져 KR199900400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13U KR19990040019U (ko) 1998-04-23 1998-04-23 도어 클로우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13U KR19990040019U (ko) 1998-04-23 1998-04-23 도어 클로우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19U true KR19990040019U (ko) 1999-11-25

Family

ID=6951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513U KR19990040019U (ko) 1998-04-23 1998-04-23 도어 클로우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001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09B1 (ko) * 2009-04-09 2011-07-20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작동유의 확산 방지구조를 갖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KR101111016B1 (ko) * 2006-04-27 2012-03-05 디티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도어클로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016B1 (ko) * 2006-04-27 2012-03-05 디티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도어클로저
KR101050509B1 (ko) * 2009-04-09 2011-07-20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작동유의 확산 방지구조를 갖는 방화용 도어 클로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823B2 (en) Automotive door with hydraulically locking repositionable immobilizer
EP2441367A1 (en) Oil damper using a cam
JP2009185476A (ja) 両開用自動閉扉蝶番及び両開扉構造
US2603818A (en) Door check mechanism
KR19990040019U (ko) 도어 클로우져
JP3637540B2 (ja) ドア開閉装置
JP2001032618A (ja) ドアクローザー型油圧式ヒンジ
KR101113082B1 (ko) 도어클로져용 댐퍼
US5219372A (en) Door accessory with a hydraulic retarding device
US6904642B2 (en) Closing device for gates and doors
KR19990041175U (ko) 도어 클로우져
JP2759828B2 (ja) ダンパ付きドアヒンジ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KR200257128Y1 (ko) 경첩
KR200209588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262510Y1 (ko) 유압식 플로어 힌지의 유압조절구조
KR950010338Y1 (ko) 양 방향 여닫이 문의 유압힌지
KR100340225B1 (ko) 유압식 완충용 경첩
JP3774369B2 (ja) ドアクローザ
KR19990041634U (ko) 도어 클로우져의 회전제어 장치
KR200180793Y1 (ko) 도어용 유압식 피봇 힌지
KR100423835B1 (ko) 자동차의 실내 감압장치
KR200373610Y1 (ko)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KR0119129Y1 (ko) 유압작동 자동 완충 경첩
JPH0978932A (ja) ドアクロー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