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713A - 광중합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중합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713A
KR19990039713A KR1019970059900A KR19970059900A KR19990039713A KR 19990039713 A KR19990039713 A KR 19990039713A KR 1019970059900 A KR1019970059900 A KR 1019970059900A KR 19970059900 A KR19970059900 A KR 19970059900A KR 19990039713 A KR19990039713 A KR 1999003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ketone
amine catalyst
weight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olig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철
박경남
Original Assignee
전원중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원중,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전원중
Priority to KR101997005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713A/ko
Publication of KR1999003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713A/ko

Links

Landscapes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능성기를 가지는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의 혼합물 또는 올리고머에 대한 가시광선에 의한 광중합에 관한 것으로, 다관능성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에 α-디케톤계 감광성 개시제와 아민계 촉매를 사용하여 파장 450∼550nm 영역의 가시광선 광원으로써 경화시키되, α-디케톤계 감광성 개시제의 사용량은 0.1 내지 0.5중량%이며, 아민계 촉매의 사용량은 α-디케톤계 감광성 개시제에 대하여 2 내지 10 몰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적은 에너지의 가시광선으로도 매우 신속히 반응 경화하므로 각종 접착제 및 의료용도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의료용도의 경우 최근 치과 진료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전치구 충전(Anterior filling), 구치부 충전(Posterior filling), 치경부 마모충전(Cervical erosion filling), 파절된 도재의 수복(Core building), 전치부 치간 이개 치료(Diastema treatment), 변색 및 착색치아치료, Porcelain Laminating Bonding 등과 각종 심미치료에 응용되어지는 복합레진의 기질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광중합성 조성물
본 발명은 광 중합성 조성물, 더 상세하게는 다관능성기를 가지는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의 혼합물 또는 올리고머에 대한 가시광선에 의한 광중합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고분자의 개질, 플라스티졸의 제조, 프린팅 잉크 및 도료, 표면코팅, 접착제, 몰딩제, 전자제품의 제조 및 가공, 의료용도의 복합레진 기질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다관능성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경화는 각종 파장의 광선조사에 의한 방법들이 있다. 이들 방법중 각종 파장의 광선조사에 의한 중합, 경화반응은 종래의 열에 의한 방법 및 화학 경화 방법보다 작업시 상당한 에너지 및 원료의 절감이 가능하고 반응을 깨끗이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광에 의한 중합, 경화 반응은 특정 파장의 광선을 흡수하여 활성화되는 광개시제를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광 개시제로는 벤조인 에테르류, 안트라퀴논류, 벤조페논류, 이미다졸류, 아세토페논 유도체류 등이 있다.
한편, 조사광선인 자외선의 높은 에너지로 말미암아 사용하는 기질 및 주위재료의 상해가 예상되는 응용범위인 경우에는 에너지가 비교적 낮은 광원, 즉 가시광선 파장 영역의 광에 의한 경화방법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특개소 48-49875 에는 중합성 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를 광개시제와 아민계 감광성 촉매를 이용하여 400∼500nm 파장의 가시광선으로 경화시키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특개소 57-203007 에는 유기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에틸렌 불포화 중합성 물질을 α-디케톤계의 지방족 및 방향족 카르보닐 화합물 광개시제와 아민계 촉매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내에서 중합 경화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다관능성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에 대해 가시광선 영역에서 감광성을 보이되, 중합도가 향상된 신규한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관능성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에 α-디케톤계 감광성 개시제와 아민계 촉매를 사용하여 파장 450∼550nm 영역의 가시광선 광원으로써 경화시키되, α-디케톤계 감광성 개시제의 사용량은 0.1 내지 0.5중량%이며, 아민계 촉매의 사용량은 α-디케톤계 감광성 개시제에 대하여 2 내지 10 몰비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경화특성은 α-디케톤계의 화합물 광개시제와 3급 아민계 촉매의 적절한 조합과 농도 및 그 몰비에 의해 달성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관능성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는 비스(2-하이드록시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 디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β-메타크릴로일 옥시에틸 하이드로겐 프탈레이트, 페녹시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비스(2-메타크릴톡시 디에톡시 페널프로판), 테트라 메틸롤 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와 헥사메틸렌 디아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 글리세린 디메타크릴레이트와 헥사메틸렌 디아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이며, 특히 비스(2-하이드록시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50∼70중량%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3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비스(2-하이드록시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은 50중량%미만일 경우 중합수축이 매우 심하고 70중량% 초과일 경우는 점도가 매우 높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α-디케톤계의 방향족 카르보닐 화합물 광개시제는 바이아세틸이며, 아민계 촉매는 4-디메틸아미노 페닐에틸 알콜, 엔-페닐글리신, 엔엔-디메틸에탄올아민, 인돌-3-일 아세트산, 트리에틸 아민, 헥사메틸렌 테트라아민 중 선택된 1종이다. 특히 α-디케톤계 화합물의 사용량은 0.1에서 0.5중량%이며 아민계 촉매의 사용량은 α-디케톤계의 화합물에 대하여 2 에서 10 의 몰비이다.
α-디케톤계 화합물의 양이 0.1중량% 미만이면 중합개시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며 0.5 중량%를 초과하면 중합 후 개시제가 잔류하게 되어 독성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아민계 촉매의 양이 개시제에 대한 몰비 2 이하이면 중합도가 현저히 감소하며 10 초과인 경우는 변색 등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광중합성 조성물의 제조는 암실내에서의 단량체 및 촉매의 정량 및 혼합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중합, 경화는 가시광선 중 특정파장의 광원만을 조사하는 경화총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경화정도의 평가는 아래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중합도 평가법>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경화 정도의 평가는 적외선 분광계를 이용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즉, 경화전후 시료의 적외선 분광계 결과의 지방족 및 방향족 이중 결합의 상대적인 농도로 중합도를 평가할 수 있다. 경화 전후 시료의 적외선 분광계 결과중 1638 cm-1의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지방족 이중결합의 특성 피크와 1609 cm-1의 방향족 이중결합의 특성피크의 상대적인 흡광계수의 비로 중합도를 구한다.
중합도는 아래의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5, 비교예 1∼4>
비스(2-하이드록시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70 중량% 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의 혼합액에 광개시제 바이아세틸 0.1 중량%를 가하고 아민계 촉매인 4-디메틸아미노 페닐에틸 알콜을 광개시제와의 몰비 !에서 15 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중합도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비고 광개시제(중량%) 몰비(촉매/개시제) 중합도(%)
실시예 #1 0.1 2 63
#2 0.1 4 62
#3 0.1 6 64
#4 0.1 8 71
#5 0.1 10 71
비교예 #1 0.05 4 51
#2 0.7 4 65(Yellow)
#3 0.1 15 83(변색)
#4 0.1 1 45
<실시예 6∼10, 비교예 5∼8>
비스(2-하이드록시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70 중량%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30중량%의 혼합액에 광개시제 바이아세틸 0.2중량%를 가하고 아민계 촉매인 엔엔-디메틸 에탄올아민을 광개시제와의 몰비 1에서 15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중합도 결과는 다음의 표 2 와 같다.
비고 광개시제(중량%) 몰비(촉매/개시제) 중합도(%)
실시예 #6 0.2 2 65
#7 0.2 4 69
#8 0.2 6 68
#9 0.2 8 75
#10 0.2 10 78
비교예 #5 0.05 6 45
#6 0.08 6 70(Yellow)
#7 0.1 15 85(변색)
#8 0.1 1 51
본 발명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적은 에너지의 가시광선으로도 매우 신속히 반응 경화하므로 각종 접착제 및 의료용도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의료용도의 경우 최근 치과 진료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전치구 충전(Anterior filling), 구치부 충전(Posterior filling), 치경부 마모충전(Cervical erosion filling), 파절된 도재의 수복(Core building), 전치부 치간 이개 치료(Diastema treatment), 변색 및 착색치아치료, Porcelain Laminating Bonding 등과 각종 심미치료에 응용되어지는 복합레진의 기질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Claims (4)

  1. 다관능성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에 α-디케톤계 감광성 개시제와 아민계 촉매를 사용하여 파장 450∼550nm 영역의 가시광선 광원으로써 경화시키되, α-디케톤계 감광성 개시제의 사용량은 0.1 내지 0.5중량%이며, 아민계 촉매의 사용량은 α-디케톤계 감광성 개시제에 대하여 2 내지 10 몰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크릴계 및 아크릴계 유도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는 비스(2-하이드록시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50∼70중량%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30∼5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α-디케톤계 화합물은 바이아세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아민계 촉매는 4-디메틸아미노 페닐에틸 알콜, 엔-페닐글리신, 엔엔-디메틸 에탄올아민, 인몰-3-일 아세트산, 트리에틸 아민, 헥사메틸렌 테트라아민 중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KR1019970059900A 1997-11-14 1997-11-14 광중합성 조성물 KR19990039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900A KR19990039713A (ko) 1997-11-14 1997-11-14 광중합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900A KR19990039713A (ko) 1997-11-14 1997-11-14 광중합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713A true KR19990039713A (ko) 1999-06-05

Family

ID=6608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900A KR19990039713A (ko) 1997-11-14 1997-11-14 광중합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7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567B1 (ko) * 2000-10-25 2003-01-10 주식회사 덴키스트 충치예방용 광중합형 치면열구전색재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567B1 (ko) * 2000-10-25 2003-01-10 주식회사 덴키스트 충치예방용 광중합형 치면열구전색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78205A (ja) 可視光硬化性歯科用組成物
EP1457190B1 (en)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A2654814C (en) Photopolymerizable and photocleavable resins and low shrink and low stress composite and compositions
EP0897710A2 (de) Lichtinduziert kationisch härtende Zusammensetzungen und deren Verwendung
EP2280032B1 (e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EP1532958B1 (en) Dental surface coating material
DE102014210432A1 (de) Polysiloxanverbindung und daraus herstellbare Dentalmaterialien
CN109464287B (zh) 一种牙科用复合树脂材料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产品
KR19990039713A (ko) 광중합성 조성물
JP3449378B2 (ja) 歯科用充填修復材料及び義歯床用樹脂組成物
CA2656982A1 (en) Light emitting diode curable acrylates with reduced yellowing
JP2629060B2 (ja) 光重合性歯科用表面被覆材
JP3676039B2 (ja) 歯科用重合性組成物
JP3435857B2 (ja) 光重合性組成物
WO2000029453A1 (fr) Composition photodurcissable
Björkner Acrylic resins
JP2704967B2 (ja) 歯科用光硬化性修復材料
JP3536879B2 (ja) 光重合性組成物
JP5305617B2 (ja) 光重合性組成物
JP2947845B2 (ja) 近赤外光重合性組成物
KR100530528B1 (ko) 광중합형의 치아수복용 고분자 복합체 조성물
JP4268482B2 (ja) 光重合開始剤
JP2613861B2 (ja) 歯科用可視光重合硬化性組成物
JPH04366112A (ja) 可視光重合硬化性組成物
JPS6245509A (ja) 光硬化性歯科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