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471A - 자동차용 흡음 내장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흡음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471A
KR19990039471A KR1019970060392A KR19970060392A KR19990039471A KR 19990039471 A KR19990039471 A KR 19990039471A KR 1019970060392 A KR1019970060392 A KR 1019970060392A KR 19970060392 A KR19970060392 A KR 19970060392A KR 19990039471 A KR19990039471 A KR 19990039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late
synthetic resin
interior materials
resin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101997006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471A/ko
Publication of KR1999003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471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성이 양호하고 쿠션이 풍부한 합성섬유제 펠트와 흡음성이 양호하고 탄력성이 풍부한 합성수지제 발포물을 결합하여 합충체로 구성시킨 자동차용 흡음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합성 섬유제 펠트(1)(2)와 합성수지제 폼에 구멍(3a)을 뚫은 흡음판(3)을 합층하여 내장판으로 구성시키고 반사판(4)과 합성수지제 발포시트(5)를 보조재로 사용하므로서, 소리의 흐름을 느리게 하며 또한 음의 흡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한 것이며 이로인해 흡음부의 중량을 감소시켰기 때문에 차체중량의 감소로 인해 연비상승에 기여할 수 있는 내장재를 얻을 수 있으며 쿠션효과가 양호하여 승차감도 높일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기 때문에 고급차의 내장재로 사용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흡음내장재
본 발명은 흡음성이 양호하고 쿠션이 풍부한 합성섬유제 펠트와 흡음성이 양호하고 탄력성이 풍부한 합성수지제 발포물을 결합하여 합층체로 구성시킨 자동차용 흡음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가볍고 흡음효과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종래에도 자동차용 내장제가 다수종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부직포시트와 합성수지 필름의 결합체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흡음성이 좋지 않고 무게가 무거워 연비를 높이게 되어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음내장재 일부 파절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례를 예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합성섬유 펠트(felt)3 : 흡음판
3a : 구멍4 : 반사판
5 : 합성수지제 발포시-트6 : 폴리에치렌수지제 폼
7 : 스폰지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제는 보온성이 좋으면서 흡음성이 양호하고 쿠션이 풍부한 합성섬유제 펠트(1)(2)와 보온성과 흡음성이 양호한 합성수시제 폼(예:폴리에치렌수지 폼, 폴리우레탄수지 폼, 합성고무 발포체등)에 구멍(3a)을 뚫은 흡음판(3)을 결합하여 합층체로 되는 내장판을 구성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이때, 펠트(1)(2) 사이에 흡음판(3)을 게재시키고 흡읍판(3)과 펠트(2) 사이에 은박지로된 반사판(4)을 개입하면 자동차 하측에서 내장제로 전가되는 소음이 흡음판과 펠트에 의거 충분히 흡음되어 소음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도 4와 같이 하측펠트(1)를 제거하고 상측펠트(2)와 흡음판(3)을 상하로 포개거나 도 5와 같이 상측펠트(2)와 흡음판(3) 사이에 은박지나 합성 수지제 필름과 같은 반사판(4)을 개입하여도 되고, 도 6과 같이 흡음판(3) 상하에 반사판(4)을 개입하여도 된다.
그리고, 도 7와 같이 상측펠트(2)와 흡음판(3)을 포개어서 펠트(2)와 흡음판(3) 사이에 반사판(4)을 넣고 흡음판(3) 하측에 합성수지제발포시트(5)를 합층하면 하측 펠트(1)를 생략하고 흡음효과가 높고 가벼운 내장제를 얻을수도 있으며, 도 8과 같이 상측펠트(2)와 흡음판(3) 사이에 반사판(4) 대신 합성수지제 발포시트(5)를 개입하고 흡음판(3) 밑에 합성수지제 발포시트(5)를 개입하여 사용할수도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합성수지제 발포시-트는 폴리에치렌 수지 발포시트나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시이트가 좋고 때로는 합성고무 발포시트를 사용할수도 있다.
한편, 흡음판(3)을 다공판으로 사용하지 않을때는 도 9와 같이 합성 수지제 발포시트(5)와 스폰지(7)를 펠트(1)(2) 사이에 개입하여도 된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내장재의 기본소재가 다공체인 펠트(1)(2)를 사용하고 흡음판(3)은 발포처리된 합성수지제 폼에 구멍을 내어 공기층을 많이 만들어 주므로서 소리의 흐름을 느리게 하며 또한 음의 흡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한 것이며 이로인해 흡음부의 중량을 감소시켰기 때문에 차체중량의 감소로 인해 연비상승에 기여할 수 있는 내장재를 얻을 수 있으며 쿠션효과가 양호하여 승차감도 높일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기 때문에 고급차의 내장재로 사용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합성섬유제 펠트(1)(2)와 합성수지제 폼에 구멍(3a)을 뚫은 흡음판(3)을 합층하여 내장판으로 구성시키고 반사판(4)과 합성수지제 발포시트(5)를 보조재로 사용한 합층형 자동차용 흡음 내장재.
KR1019970060392A 1997-11-12 1997-11-12 자동차용 흡음 내장재 KR19990039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392A KR19990039471A (ko) 1997-11-12 1997-11-12 자동차용 흡음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392A KR19990039471A (ko) 1997-11-12 1997-11-12 자동차용 흡음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471A true KR19990039471A (ko) 1999-06-05

Family

ID=6609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392A KR19990039471A (ko) 1997-11-12 1997-11-12 자동차용 흡음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4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818A (ko) * 2002-04-25 2002-05-15 권회현 흡차음재
KR20040003412A (ko) * 2002-07-03 2004-01-13 우진물산 주식회사 충격음을 완충시켜주는 아파트의 바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818A (ko) * 2002-04-25 2002-05-15 권회현 흡차음재
KR20040003412A (ko) * 2002-07-03 2004-01-13 우진물산 주식회사 충격음을 완충시켜주는 아파트의 바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7145B2 (en) Ultra-light sound insulator
US4479992A (en) Sound absorbing structural element
RU99104135A (ru) Сверхлегкий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т
EP0373135B1 (en) Headliners having improved sound-absorbing characteristics
JP4997057B2 (ja) 車両用防音材
JP3359645B2 (ja) 超軽量多機能遮音キット
JPH08506279A (ja) 絶縁ラミネート
EP0949066A3 (en) Acoustical composite headliner
KR101488308B1 (ko)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3718112B2 (ja) 防音材
JP2002002408A (ja) 車両用防音材
JP4215146B2 (ja) 自動車用インシュレータ
KR19990039471A (ko) 자동차용 흡음 내장재
JP3656232B2 (ja) 車両用吸音材
WO1997048576A1 (en) Multilayered insulation sheet
JP3930484B2 (ja) 超軽量な防音材
JP3701010B2 (ja) 自動車用インシュレータダッシュ
GB2101930A (en) Self-supporting, generally flat construction element
KR200155644Y1 (ko) 자동차 바닥재
KR100208843B1 (ko) 자동차용 내장재
JP2004359043A (ja) 車両用インシュレータ
CN210478591U (zh) 一种能降低风噪的隔音垫
KR100194364B1 (ko) 자동차의 흡차음재
JP2004106733A (ja) 車両用防音材
KR20190134128A (ko) 자동차용 경량 인슐레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