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692A - 연장된 대상물을 같이 묶기 위한 결속기기 - Google Patents

연장된 대상물을 같이 묶기 위한 결속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692A
KR19990037692A KR1019980701171A KR19980701171A KR19990037692A KR 19990037692 A KR19990037692 A KR 19990037692A KR 1019980701171 A KR1019980701171 A KR 1019980701171A KR 19980701171 A KR19980701171 A KR 19980701171A KR 19990037692 A KR19990037692 A KR 1999003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jaw
rod
binding
ja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테르 호야우킨
Original Assignee
페테르 호야우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테르 호야우킨 filed Critical 페테르 호야우킨
Publication of KR1999003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9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와이어타이의 도움으로 연신된 대상물을 묶는 기기와, 특히 강화봉, 봉, 전기케이블 등과 함께 묶기 위한 기기는, 두 개의 턱부를 구성하고, 이 턱부는 와이어용 안내면을 포함하고, 서로에 대하여 피봇작동가능하며, 여기에서 턱부(7)는 상기 대상물을 껴안거나 다리를 벌리거나 하므로써 와이어(8)를 와이어루프로 형성하는 것과 같은 와이어안내면을 따라 와이어가 앞으로 나아가서 같이 묶어야 할 연신대상물을 닫아줄 수 있도록 나아가서 와이어가 대상물을 둘러싸는 통상 U-형의 와이어로 성형되도록 하며, 또한 이 기기는 상기 연신된 대상물을 대향하려는 지지장치(4)를 포함구성하며, 또한 턱부(7)는 지지장치(4)에 관하여 대상물로부터 향하거나 떨어지도록 움직이며, 또한 턱부(7)는 기기가 연신대상물에 대향하여 지지되는 동안 와이어타이의 다리부와 같이 꼬아지도록 회전가능하게 되는 기기

Description

연장된 대상물을 같이 묶기 위한 결속기기
(A machine for Joining together Elongaled Objects)
본 발명은 와이어타이(wire tie)의 도움으로 연장(연신)된 대상물(elongated objects)을 묶으려는 결속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예컨데 전기케이블과 같은 강화용로드 또는 강화봉(reinforcement rods or bars)의 결속에 관한 것으로 이 기기에는 서로에 관하여 요동가능하고 커브져 있는 두 개의 턱이 있다. 또한 이 기기에는 상기 대상물을 둘러싸거나(sorround) 다리를 벌리게 하므로써(straddle) 와이어를 와이어루프(wire loop)와 같이 형성하여 와이어 안내면(wire-guide surfaces)을 따라 와이어가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면서 같이 묶어야 할 연신 대상물(elongated objects)을 닫아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 턱부를 열고 상기 와이어를 계속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상기 턱부를 움직이고 턱부는 상기 대상물의 반대측에서 다시 닫힐 수 있도록 하며, 여기에서 상기 턱부는 상기 대상물 주위에서 와이어루프를 형성할 때, 상기 지지장치에 관하여 상기 대상물로부터 턱부가 밖으로 향하여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강화봉, 또는 봉은 단순한 수작업공구를 이용하여 망으로 묶는 등 수작업으로 단단히 묶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 작업에는 매우 장시간이 걸리고, 이에 따라 고가의 비용을 요하며, 또한 작업원들이 긴장속에서 상해를 자주 입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왔다. 강화봉을 묶는 콘크리트슬래브, 콘크리트마루 등을 결속망을 제조하기 위하여 공지방법으로 강화봉을 묶을 때에 오랜동안 웅크린 자세로 작업원들이 일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작업원들의 몸은 매우 큰 스트레스와 긴장속에서 고통을 받게 된다.
강화봉은 통상 플라이어나 꼬임장치(twisters)로 묶어주게 되는데, 이 경우 통상 U-형의 와이어타이(wire tie)의 단부는 상호 교차되는 지점에서 강화봉 주위로 수작업으로 꼬거나 감아서 안정된 묶음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강화봉 묶음방법은 사고의 위험마저 있는데, 그중에서도 지붕, 교각, 기타 이와 유사한 구조물에서 작업할 경우 작업원이 구부린 자세로 작업을 하게 됨에 따라 자칫 작업원이 추락한다든가 하는 위험한 작업이 되는 일이 자주 생겨왔다.
따라서, 작업원이 똑바른 자세로 작업을 하도록 결속기를 이용하여 강화봉을 기계적으로 묶도록 여러가지 기기가 일찍부터 제안되어 왔다.
예컨데 그 하나의 예로서 WO 87/02313 호에 기재된 기기를 보면, 작업원이 와이어가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기 위해 턱부를 닫을 때 기기가 보지되어야 하는 위치를 결정하여야 하는데 이것이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유사한 문제가 기기가 후에 인양될때에 일어나는데 턱부를 열고 이어서 강화봉의 상부측에서 턱부가 새로 닫힐 때 문제가 생긴다. 즉, 만일 기기가 너무 높이 올려지면, 와이어는 턱부의 바깥으로 당겨지게 되어 와이어 단부가 같이 꼬여지게 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작업원이 기계전체를 필히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피로해진다.
WO 84/04772 공보상에 알려져 있는 기기를 보면 여기에는 턱부를 통하여 와이어가 앞으로 진행하여 나아갈 때 강화봉과 공동작동하는 지지엘레멘트가 포함구성되어 있으나, 와이어 단부를 꼬기전에 수동으로 기기를 올릴 필요가 있고 강화봉으로부터 지지체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지지체가 그렇지 않으면 상기 와이어에 의해 봉(rod)에 견고히 결속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기기로 문제가 되는 것은 작업자가 와이어단부를 꼬려하기 시작할 때 그전에 기기를 얼마나 들어올려야 할지 그 들어올려야 할 높이를 결정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만일 기기가 너무 높이 들어올려지면, 와이어의 끝은 턱부를 벗어나오게 되고, 따라서 같이 꼬여지지 않게 된다. 더욱이, 높은 정밀도가 필요한데, 이는 강화봉을 견고히 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때문에 일정하게 기기를 들어서 정확한 높이로 봉 위에 놓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 높이는 봉의 결속작업동안 적합히 맞추어져야 한다. 이 종래의 기기는 또한 작동하기에는 너무 무겁고, 그 중량으로 인하여 봉을 묶는 동안 작업원이 지지해 주어야 할 정도이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독일특허 DE-Al-4 008 222 호에는 기기가 몸체가 회전할 때 와이어단부를 잡고 끌고가기 위한 회전가능한 몸체를 포함구성하는데, 이 경우, 와이어단부는 턱부에 의해서는 꼬여지지 않고 다만 추가수단이 있어야 되게 되어 있다.
이 기기는 또한 오염되기 쉽고 취급에 어려우며, 이 두가지가 모두 턱부의 전면부상에 있는 베어링 표면을 쉽게 손상시키게 한다.
WO 92/06260 호 공보에는 내부지지엘레멘트가 포함구성되어 있다. 이 와이어타이는 이 기기의 턱부의 도움으로 뻗어나지 못하거나 아니면 와이어단부가 상기 턱부의 도움으로 같이 꼬여지지 못한다. 별도의 회전엘레멘트가 따라서 이 목적으로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자가 꼿꼿한 자세로 서서 강화롯드를 결속하도록 해주는 상술한 종류의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전술한 종래 기기상의 결함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 기기는 지지장치를 포함구성하고, 이 지지장치는 강화봉에 대향하여 일정하게 재치가능하고 기기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롯드를 둘러싸는 와이어루프 또는 와이어타이(rod-surrounding wireloop or tie)를 제조하는 것과 관련하여 강화봉의 아래 및 위로 턱부의 단부에 대하여 참고점(reference point)을 형성한다.
이 명세서의 첫째줄에서 언급한 종류의 기기는 지지장치가 상기 턱부의 바깥쪽으로 연신되는 목적물 또는 대상물(elongated objects)에 대향하여 지지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이 기구는 상기 대상물에 대향하여 지지되는 기기와 2개의 와이어다리부를 같이 꼬을 수 있도록 턱부를 회전시키게 한다.
이러한 종류의 기기는 예컨데 2개의 강화봉의 극히 견고한 결속을 만들어 줄 수 있는데, 이는 턱부의 움직임과 강화봉의 위치에 관련하여 그들의 위치는 상기 봉과 공동작동하는 지지장치의 도움을 받아 결정된다. 작업자는 기기결속작업의 중량전체를 지지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상의 일실시예에서, 턱부는 스프링힘(力)의 작용에 대향하여 이동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데, 이 이동은 상기 턱부의 안내면을 따라 와이어의 진행에 대하여 닫혀야 할 위치로의 이동을 말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턱부가 다시 열리게 되면 그에 이어, 스프링힘(spring force)이 와이어타이의 다리부와 같이 꼬이도록 다시 닫혀지는 위치로 턱부를 복귀시키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턱부는 와이어타이의 다리부와 같이 꼬여지기 전에 강화봉과 관련하여 최적위치로 자동적으로 적용되게 되어 있어 따라서, 턱부로부터 와이어단부가 뒤로 당겨질 위험은 발생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턱부는 와이어가 진행하기 전에 장치의 도움으로 닫히고, 이 장치는 상기 연신된 대상물과 공동작동하며, 또한 와이어타이의 다리부와 같이 꼬는 동안 또는 그 이전에 소정의 힘으로 같이 턱부가 다시 닫히거나 압축된 상태로 보지되게 되는 당김봉 또는 당김선(pull line)을 거쳐 핸들기구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는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단부를 꼬는 동안 확실하게 강화봉을 눌러 서로 심하게 당접하도록 해 준다.
본 발명상의 다른 특징은 이후의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일실시예를 들어보기로 한다.
제 1 도는 철봉을 결속(tying)하기 위한 본 발명상의 기기를 개략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기기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 3-6 도는 본 발명상의 기기의 일부를 서로 다른 결속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중의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 7 도는 기기지지기구(machine supportive device)를 나타낸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는 결속기(tying machine)에는 내부동심원 튜브(inner concentrical tube)에 관하여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외관상부(outer tubular part)2가 합체되는 핸들 1 이 있다. 이 핸들은, 다음 지지장치(supportative device)4와도 합체되거나 접속된다. 이 결속기는 결속되어야 할 또는 한데 매어주어야 할 강화봉 5,6 에 의하여 작업중 지지되어야 한다. 즉, 봉의 내단면의 상호간 포인트(mutual points)를 껴안는 와이어타이(wire tie)의 다리부를 한꺼번에 비틀어 지지한다.
이 결속기는 이러한 목적으로 2개의 피봇트작동턱부(pivotal jaw)7가 구비되고 이는 통상 양턱부를 열어 놓고 있어 지지장치 4가 봉 5,6상에 얹혀질 때 상기 지지장치에 관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봉의 하측위로 닫혀질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면 결속와이어(tying wire)8가 저장리일(storage reel)9로부터 빠져나와 통로를 통해 상기 턱부 7에 공급된다. 이 턱부 7는 다시 열려지고, 위로 움직이면서 봉의 상측위로 다시 닫혀진다. 이 와이어는 이에 따라 잘려지고 턱부는 회전가능하게 되어 일반적으로 U-형의 와이어타이의 다리부를 비틀거나 꼬아주게 한다.
턱부 7를 이동시키고 봉 5,6의 아랫쪽에서 턱부 7를 닫으면 지지장치 4를 나르는 신축자재의 튜브 3에 관하여 핸들 1과 신축자재의 튜브 2를 내려누르므로 효과적이다. 제 2 도에서의 핸들 1의 사슬선위치(chain line position)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핸들에 주어져 있는 스프링 10을 압축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핸들 1상에서 하강압력(down-pressing force)이 풀어지면, 스프링 10은 한계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로 핸들 1을 돌려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또한 턱부가 다시 닫힐 수 있도록 턱부를 봉 5,6의 위에 있는 위치로 들어올린다.
전술한 기능은 운전봉(operating rod)12을 통해 핸들 1에 있는 통상 U-형의 운전용손잡이(operating handgrip)11에 연결되는 턱부보지장치(jaw holder device) 23의 중간부를 통해 달성된다. 이 운전봉 12은 작업용 손잡이 11가 눌려지거나 또는 잡아당겨질 때 올라간다. 운전봉 12은 관상으로 되어 있는데, 예컨데 제 4A 도에서와 같이 당김봉(pull rod) 또는 당김선(pull line)13에 연접된다. 이 운전봉 또는 당김선 13은 어느정도의 자유도를 가지고 그에 관련되더라도 운전봉 12의 작동을 수반한다. 이 운전봉 12은 당김봉 13상에서 안내쇼율더(guide shoulders)나 안내핀 15이 그 안에서 움직이는 가늘고 긴 구멍인 슬롯트홈 14을 구비한 것으로 제공된다.
지지장치 4에는 2쌍의 대각선으로 반대편에 있는 리세스(recesses)16가 있다. 1쌍의 리세스는 봉 5,6의 교차점에 관한 장치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하여 각 봉 결속작업(rod tying operation)에서 최상단 강화봉(uppermost reinforcement rod)16과 같이 작동한다.
본 발명상의 기기와 그 운전방법을 제 3-6도에서 도시된 바의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저 한다.
위 기기는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아래에 놓여있는 강화봉 5과 교차되는 점에서, 턱부 7 바깥쪽으로 강화봉 6상에 얹혀지는 지지장치 4와 같이 시동위치에 있다. 이 턱부 7는 각 피봇포인트(respective pivot points)17에 관하여 피봇작동가능하여, 각 턱부 7상에서 돌출부 20와 같이 작동하고, 관상의 운전봉 12을 통하여 움직이는 당김봉 13상에 주어지는 두 개의 플랜지 18,19로 열림이 유지된다. 당김봉 13은 스프링 21에 의해 운전봉 12에 관하여 도시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참조부호 22는 핸들에 얹혀지는 충전지(도시안됨)에 의하여 턱부보지기구 23의 회전을 위해 구동되는 전기모터를 가리킨다. 위에 놓은 고정부 24에는 통로 25가 있는데, 여기에서 리일 9로부터 나오는 와이어는 안내부 26의 중간부를 통해 진출한다. 이 고정부 24는 봉이 들어올려질 때 통로 25에 위치된 와이어 8를 통해 절단되도록 운전봉 12상에서 캠작용면(camming surface)28에 의하여 작동하는 비스듬히 움직이는 절단기(laterally moveable cutter) 27를 이송하여 준다. 이 절단기는 복귀스프링을 갖는데 부호 32로 개략도시되어 있다.
제 4 도는 턱부 7와 관련장치가 지지장치 4와 강화봉 5,6과 관련하여 아래로 움직이므로 그렇게 되면 핸들 1을 아래로 누르게 되고, 이는 턱부의 단부가 봉 5,6 아래로 위치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봉 5,6은 이에 따라 당김봉 13을 위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플랜지 18와 공동작동한다. 이 스프링 21은 여기에서 압축되고 턱부 7는 각 턱부상에서의 돌출부 20와 플랜지 18,19의 공동작용의 결과로 닫혀지게 된다.
전기모터 29는 여기에서 작동되고 이에 따라 리일 9로부터 와이어 8를 잡아 턱부 7에 주어져 있는 통로 30를 통해 와이어를 공급해준다. 와이어를 턱부의 한쪽끝에서부터 다른쪽 끝까지 안내하는 것은 상기 두 번째 턱의 단부상에 주어지는 원추형으로 좁아지는 안내면 31에 의해 촉진된다.
제 4A 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김봉상의 안내핀 15은 운전봉에 있는 슬롯트홈 14에서 움직이게 되고, 이는 상기 운전봉 12에 관하여 당김봉 13의 상향이동중에 상기 슬롯트홈의 상단부를 향하여 움직이게 된다.
턱부 7를 통하여 와이어 8를 끊임없이 공급함에 있어, 핸들 1상의 하향압력은 제거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10은 턱부 7를 복귀시키게 되며 또한 관련장치를 이들의 각 시발점으로 되돌린다. 제 5 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플랜지 18상에서 강화봉 5,6에 의해 작용되는 작용력은 따라서 소실되고 이에따라, 스프링 21이 당김봉 13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도록 되며, 턱부 7에 따라 이들의 돌출부 20와 플랜지 18,19 사이의 공동작용으로 다시 열리게 된다. 상기 와이어 8는 따라서 강화봉 5,6 주위로 열림타이(open tie)를 형성한다.
제 5A 도에서와 같이, 당김봉 13상의 안내핀 15은 중공의 봉 12에 있는 슬롯트홈 14의 저단부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운전용 손잡이 11는 봉 12와 그 캠작동면 28을 들어올리기 위해 위로 밀려올려진다. 제 6 도를 보면 이를 알 수 있다. 캠 작동면이 여기에서 절단기 27를 비스듬히 움직이도록 힘을 가하므로써 와이어 8를 절단하고 복귀스프링 32을 압축한다. 안내핀 15이 각 슬롯트홈 14의 저부에 위치되면, 당김봉 13 또한 봉 12의 상향가동을 동반하고, 이에 따라 턱부 7를 다시 닫기 위해 플랜지 18,19를 올려준다. 그 반면, 스프링 21은 압축한다. 이 턱부 7를 같이 압축하는 힘은 손잡이 11가 상향압축될 때의 힘에 의해 조절되며, 이렇게 하면 턱부 7를 와이어타이의 다리들의 단부면 사이에서 이들 와이어타이의 다리(legs of the wire tie)부를 확실히 눌러줄 수 있게 된다.
모터 22 는 이 위치에서 시작되고, 턱부보지기구(jaw holder means) 23를 미리 지정된 숫자의 전회(turn) 예컨데 기어링 33의 중간부를 통하여 전회하도록 하므로, 이에 따라 턱부가 강화봉의 상부측상에서 와이어타이의 다리부와 함께 꼬아지도록(twist) 해주게 된다. 상기 봉은 이에따라 봉의 교차점에서 서로 견고한 당접 또는 접합(firm abutment)이 이루어지도록 압력을 가하게 된다. 묶음(tie) 또는 매는 것(lashing)의 품질은 턱부를 묶는 시간동안 강화봉에 어떻게 잘 근접시키느냐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턱부 7가 봉의 효과적인 맴(lashing)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전회하게되면, 운전손잡이 11는 충분히 해제되고, 이에따라 스프링 21은 당김봉 13과 플랜드 18,19를 아래로 누르게 된다. 그 결과 다음 묶음 또는 맴작업을 준비하기 위해 턱부를 다시 열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 운전봉 12와 그 캠작동면 28도 또한 당김봉 13의 하향이동에 관여하게 되고, 이에따라 복귀스프링 32이 절단기 27로 되돌아 가도록 해주게 되므로써 새로운 와이어 8가 통로 25에서 아래로 공급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 7 도는 지지장치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장치는 강화봉 5,6 용 좌금(seatings) 35가 구비된 강봉(rigid rod) 34의 형태를 갖는다. 이 지지장치는 버팀구(stay)36에 의해 내관 3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작업원이 본원장치를 봉교차점(rod intersection points)에 관하여 그 올바른 위치에 정확히 맞추어 설치하도록 해준다. 그 이유는 작업원이 지지장치에 의해 시야를 방해받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들로 설명되어 있으나, 그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상의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턱부 피봇팅기구를 변형한다든가, 회전이동을 턱부에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대한 변형이라든가, 운전손잡이를 다른 디자인으로 변형한다든가 하는 것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여러 가지 스프링의 위치도 전술한 기능을 유지함에 있어 변경가능하다. 본원장치가 맴 또는 결속 강화봉에 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다른 여러 가지 목적으로도 사용가능하다는 것도 서두에서 지적한 바와 같다.

Claims (10)

  1. 와이어타이(wire tie)의 도움으로 연신된 대상물(elongated objects)을 묶는 기기와, 특히 강화봉(reinforcement rods), 봉, 전기케이블 등과 함께 묶기 위한 기기는 두 개의 턱부(jaw)로 구성되고, 이 턱부는 와이어(8)용 안내면(30)을 포함하고 서로에 대하여 요동가능하며, 여기에서 턱부는 상기 대상물을 둘러싸거나 다리를 벌리거나 하므로써 와이어를 와이어루프(wire loop)로 형성하는 것과 같은 와이어안내면을 따라 와이어가 앞으로 나아가도록 같이 묶어야 할 연신대상물(5,6)을 닫아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 턱부를 열고 상기 와이어를 계속적으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상기 턱부를 움직이므로써 턱부는 상기 대상물의 반대측에서 다시 닫힐 수 있도록 하며, 여기에서 상기 기기는 또한 상기 대상물(5,6)에 대향하여 지지하고저 하는 지지장치(4,34)를 포함구성하며, 또한 상기 턱부(7)는 상기 와이어루프를 형성할 때 상기 지지장치(4,34)에 관하여 턱부가 대상물로부터 밖으로 향하여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지지장치(3,34)는 턱부(7)의 바깥으로 상기 대상물에 대향하여 지지하도록 구축되며 ; 또한 상기 기기는 연신대상물(5,6)에 대향하여 지지되는 기기와 와이어루프의 두 개의 다리와 더불어 꼬도록 턱부(7)를 회전하기 위한 기구(22,23)를 포함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A machine for tying together elongated objects with the aid of a wire ti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1)는 상기 가이드면(30)을 따라 와이어(8)가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 닫히게 하는 위치로 스프링힘(spring force)(10)이 작용하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 또한 와이어타이(wire tie)의 다리를 서로 꼬기 위하여 다시 닫히게 되는 위치로 턱부를 복귀시키기 위한 기능을 갖는 스프링힘(10)을 계속적으로 갖도록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7)의 이동은 상기 지지장치(3,34)에 관련하여 장치핸들부(1)를 움직이므로써 효과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7)를 와이어(8)가 앞으로 나아가기전에 닫는 것은 상기 연신된 대상물(5,6)과 공동작동하는 수단(18)의 제어하에 효과적으로 되고, 상기 수단은 또한 상기 턱부가 복귀할 때 턱부를 열기 위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8)은 턱부-닫이스프링힘(21)에 대향하여 상기 연신된 대상물(5,6)에 의하여 이동되고, 또한 상기 스프링힘은 턱부의 복귀에 따라 턱부를 열도록 한 상기 수단을 다시 설치(reset)하는데 적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
  6. 제 4 항 내지 재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8)은 상기 턱부(7)가 와이어타이의 다리부를 서로 꼬기전에 소정의 힘으로 같이 다시 닫고 누를 수 있는 기구에 의하여 당김봉(13) 또는 당김선의 중간부를 통하여 운전손잡이(11)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통상 U-형의 와이어타이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상기 와이어(8)는 리일(9)로부터 취하여 운전손잡이(11)로 가동가능한 운전봉(12)에 의하여 작동되는 와이어절단기(27)로 절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봉(12)은 캠작동면(camming surface)(28)을 가지고, 이 캠작동면은 절단기(27)와 같이 작동하며, 또한 절단기(27)는 운전봉(12)의 축상가동으로 통상 수직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봉(13) 또는 당김선은 상기 운전봉(12)의 중간부를 통하여 운전손잡이(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봉(12)은 당김봉(13)또는 당김선에 적용되도록 튜브의 형상을 갖게 하고 ; 또한 이 튜브는 당김봉(13) 또는 당김선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되는 안내핀(15)을 수납하기 위한 축상으로 뻗는 슬롯트홈(14)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당김봉 또는 당김선과 상기 튜브사이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을 어느정도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기
KR1019980701171A 1995-08-18 1996-08-15 연장된 대상물을 같이 묶기 위한 결속기기 KR19990037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502878A SE504740C2 (sv) 1995-08-18 1995-08-18 Maskin för sammanbindning av långsträckta föremål
SE9502878-3 1995-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92A true KR19990037692A (ko) 1999-05-25

Family

ID=2039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171A KR19990037692A (ko) 1995-08-18 1996-08-15 연장된 대상물을 같이 묶기 위한 결속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37916A (ko)
EP (1) EP0842340A1 (ko)
JP (1) JPH11511217A (ko)
KR (1) KR19990037692A (ko)
CN (1) CN1193371A (ko)
AU (1) AU700127B2 (ko)
CA (1) CA2228309A1 (ko)
SE (1) SE504740C2 (ko)
WO (1) WO1997007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6788B2 (en) * 2010-04-29 2012-09-18 Krzysztof Kotlinski System for joining tubular members
US11365552B2 (en) * 2017-06-07 2022-06-21 Max Co., Ltd. Binding machine
JP7163679B2 (ja) * 2018-09-07 2022-11-01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09571539B (zh) * 2018-12-13 2023-12-15 清华大学 可控力的快速抓取杆簇自适应机器人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7308A (en) * 1970-11-20 1972-07-18 Forest M Sarff Power-driven wire tying mechanism
US3880204A (en) * 1974-02-19 1975-04-29 Forest M Sarff Wire tying mechanism
AU3015884A (en) * 1983-05-30 1984-12-18 Runkel, A.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sich kreuzender stabe und vorrichtung zur durchfuhrung des verfahrens
WO1987001313A1 (en) * 1985-09-09 1987-03-12 Odd Aage Stavdal Concrete reinforcing tying tool
DE4008222A1 (de) * 1989-03-17 1990-09-20 Adolf Runk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staebe
SE9003176D0 (sv) * 1990-10-04 1990-10-04 Peter Hoyaukin Saett och maskin foer sammanbindning av korsande stae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07304A1 (en) 1997-02-27
CN1193371A (zh) 1998-09-16
AU700127B2 (en) 1998-12-24
SE9502878L (sv) 1997-02-19
CA2228309A1 (en) 1997-02-27
US5937916A (en) 1999-08-17
SE9502878D0 (sv) 1995-08-18
AU6760496A (en) 1997-03-12
JPH11511217A (ja) 1999-09-28
SE504740C2 (sv) 1997-04-14
EP0842340A1 (en) 199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4081B1 (en) Method and machine for binding elongate objects together
US5323816A (en) Machine for joining together mutually crossing rods
JP3393684B2 (ja)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DE4396373B4 (de) Bindevorrichtung, Magazin, Gerät und Verfahren hierzu, sowie die Bindevorrichtung aufweisendes Stahlbeton-Bauwerk
EP0751269B1 (en) Wire guide mechanism for a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and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PL118426B1 (en) Device for binding by twisting together free ends of binder machine wirekh koncov vjazal'noj provoloki
US4542773A (en) Portable machine designed for the automatic installation of wire ties on concrete reinforcing steel frames and operation thereof
US4941515A (en) Lashing machine
KR19990037692A (ko) 연장된 대상물을 같이 묶기 위한 결속기기
US5501251A (en) Wire twisting and cutting tool
JPH0238049B2 (ko)
JPH06167115A (ja) 棒材の結束装置
CN110552509B (zh) 一种建筑施工用铁丝捆扎装置
CN100398768C (zh) 用于将伸长物件捆绑到一起的方法和机器
EP0229776B1 (en) An automatic apparatus for strapping elongated superposed bodies
EP0236363A1 (en) Concrete reinforcing tying tool
US20230390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metal wires and similar products
WO20000362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nching reinforcement bars
DE1461786C (de) Verfahren zum Zusammenbinden von Bun dein aus stabformigen Elementen und Bm demaschine zur Durchfuhrung des Verfahrens
JPH0673249U (ja) 鉄筋結束工具
JPH06170476A (ja) 鉄筋結束装置
DE413845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andagieren von zu einem buendel zusammenzufassenden gegenstaen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