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436A - 수냉식 추력 연소 격자 상의 고형물을 소각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격자판과 격자 - Google Patents

수냉식 추력 연소 격자 상의 고형물을 소각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격자판과 격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436A
KR19990037436A KR1019980045233A KR19980045233A KR19990037436A KR 19990037436 A KR19990037436 A KR 19990037436A KR 1019980045233 A KR1019980045233 A KR 1019980045233A KR 19980045233 A KR19980045233 A KR 19980045233A KR 19990037436 A KR19990037436 A KR 19990037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main air
combustion
opening
grat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콥 슈티펠
Original Assignee
야콥 슈티펠
도이코스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콥 슈티펠, 도이코스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야콥 슈티펠
Publication of KR1999003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43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7/00Inclined or stepped grates
    • F23H7/06Inclined or stepped grates with movable bars disposed parallel to direction of fuel feeding
    • F23H7/08Inclined or stepped grates with movable bars disposed parallel to direction of fuel feeding reciprocating along their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00Grates with solid bars
    • F23H1/02Grates with solid bars having provision for air supply or air preheating, e.g. air-supply or blast fittings which form a part of the grate structure or serve as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2Travelling-grates inclined travelling grates; Stepped travelli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3/00Grates with hollow bars
    • F23H3/02Grates with hollow bars internally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23L1/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by discharging the air below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2700/00Grate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r applications
    • F23H2700/009Grates specially adapted for inci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2900/00Special features of combustion grates
    • F23H2900/03021Liquid cooled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Furnace Detail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추력 연소 격자를 통해 연소 베드에 공급된 주요 공기가 추력 격자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후 추력 격자의 표면 상에 장착된 편향 요소(10)에 의해 편향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요구된 격자는 투과성 중공의 요소로 제조된 격자판(1∼4)으로 구성되며, 이는 냉각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연결편과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격자판을 통과하는 주요 공기 공급관(9)을 갖추고 있다.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주요 공기가 충돌하는 편향 요소(10)는 주요 공기 공급관(9)의 개구 위에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수냉식 추력 연소 격자 상의 고형물을 소각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격자판과 격자
본 발명은 폐기물 소각장치에 설치된 수냉식 추력 연소 격자 상에서 고형을를 소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격자판 및 다수의 이러한 격자판으로 이루어진 격자에 관한 것이다. 소각될 고형물은 갈탄, 대팻밥, 나무 또는 고무의 칩, 모든 종류의 찌꺼기, 산업 폐기물, 하수 침전물, 병원 폐기물, 또는 가정 쓰레기 등을 포함한다.
폐기물 소각 장치에 설치된 종래의 추력 연소 격자는 계단식으로 쌓여진 격자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 두 번째 격자가 추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주요 공기는 격자의 하부로부터 공급되어서 격자를 통과하여 연소 베드로 공급된다.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주형 격자의 경우에는 격자의 개별층이 서로 느슨하게 배열되거나 서로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련의 주형 격자 바아로 구성되며, 주요 공기는 주형 격자 바아의 측부 및/또는 헤드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격자의 상부면으로 공급된다. 주요 공기는 격자의 하부 영역에 놓인 대략 40mm 내지 250mm의 압력(물기둥 압력)에 대응하는 과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대형 송풍기에 의해 격자를 통해 공급된다. 각각의 격자면의 대략 2%는 주요 공기용 경로로서 남겨지며, 통과하는 공기의 부피는 시간당 그리고 격자면의 제곱미터당 2500m3이다. 공기는 30m/s를 초과하는 최고 속도로 통과될 수 있다. 격자를 통과하는 공기는 한편으로는 불꽃용 주요 공기로서 역할을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주형 격자용 냉각 공기로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념의 한가지 단점은 공기에 의한 연소 베드의 관통이 매우 불규칙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와이어 또는 다른 작은 기구를 두 인접한 격자 바아 사이에 위치시킨다면, 이들 사이의 갭은 다른 격자 바아 사이의 갭의 비용으로 확대될 것이다. 이는 이러한 갭을 통과하는 공기의 부피가 다른 격자 바아 사이의 갭을 통과하는 공기의 부피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단점은 연소 재료가 스폿으로부터 스폿으로 반복적으로 이송될 때 연소 재료의 열량값이 높고 연소 베드가 얇은 곳에서는 주요 공기의 흐름이 연소 베드를 통과하게 되어 모든 산소를 불꽃으로 완전하게 전달시키지 않으면서 먼지와 재를 발생시키는 급격한 불꽃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이는 공기를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집중시켜서 도관 가스에 악영향을 미친다.
소각 방법의 실질적인 개선은 바람직하게 금속판으로 제조된 중공의 격자판으로 이루어진 수냉식 격자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되는데, 이때 금속판은 유리하게 격자의 전체 폭을 넘어서 연장한다. 격자판은 격자판을 통과하며 상부를 향해 테이퍼된 주요 공기 공급관을 갖추고 있거나 또는 주요 공기 공급관이 주요 공기가 통과하는 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서, 주요 공기는 하부로부터 격자를 향해 공급되고 격자의 상부면에 직접 공급된다. 격자판이 전체폭을 넘어서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슬래그가 개별적인 격자 요소를 통해 낙하하지 않는데, 이는 격자층들이 서로 느슨하게 연결된 다수의 격자 바아로 구성될 때 발생된다. 이는 슬래그 낙하의 문제점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수냉식 격자의 큰 장점은 격자를 통과하는 공기는 연소에 대한 기능만을 충족시키면 된다는 점, 즉 어떠한 냉각 기능도 충족시킬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공급될 공기의 부피는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며, 보다 조용하고 효율적인 화염을 일으킨다. 개별적인 주요 공기 공급관을 통과하는 주요 공기의 분포는 매우 균일하게 유지된다. 그렇지만, 한가지 단점은 열량이 높고 및/또는 연소 베드가 얇을 때, 주요 공기관 개구로부터 방출된 주요 공기 흐름이 얇은 스폿 지점에서 연소 베드를 통과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연소 공정에 대한 요구는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 폐기물의 구성물, 열량, 및 가정용 쓰레기의 부피가 지역마다 또한 계절마다 계속하여 변하고 있기 때문에, 질량, 입자 크기 분포, 공기의 침투성, 수분, 재 함유량, 비철 금속 함유량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이 또한 변하여서, 법으로 규정된 기준치 내에 유지하는 동안 연소 가스와 슬래그는 양호하게 연소되지 않는다. 보일러실 내의 가스흐름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필수적으로 격자 상에서 그리고 이러한 격자 위의 노 챔버에서 행해지는 연소 공정은 제어되고 균일하여야 한다. 한정된 수의 주요 공기 공급관, 개구, 개별 개구의 주기적인 막힘, 재료의 불규칙한 부피, 연소 재료의 층 높이의 차, 및 열량의 변화는 연소를 불규칙하게 한다.
공냉식 격자로 주요 공기가 불충분하게 공급될 때 격자는 과열될 수 있다. 늘어난 연소 영역은 슬래그의 연소를 불만족스럽게 한다. 노 챔버내의 공기의 부족은 가스의 연소와 보일러실 내의 가스의 흐름 패턴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보일러 벽을 과도하게 오염시킨다. 만일 개별적인 주요 공기 개구가 막힌다면, 이는 다른 막히지 않은 개구로부터 방출된 공기의 속도를 증가하게 되며, 주요 공기가 연소 베드를 통과하는 곳에서는 CO 및 NOX의 형성이 증가되고 먼지의 방출이 증가되어서 노 챔버가 벗겨지게 된다. 만일, 연소 재료의 특성이 격자의 한측부 상의 개구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막는다면, 연소 베드는 불균일하게 되며, 연소 공정은 단지 한측부에서만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공기 공급 개구가 막힐 때 주요 공기가 연소 베드를 통과하지 않는 수단에 의해 통과하는 공기의 부피를 감소시켜서 연소 공정을 개선하고 도관 가스의 질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격자판과 이러한 격자판으로 구성된 격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격자를 통과하는 주요 공기 공급관의 개구 위에 편향 요소를 갖는 추력 연소 격자의 측단면도.
도 2는 굽힘형 편향판 형태의 편향 요소가 용접되어 있는 격자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편평한 편향판 형태의 편향 요소가 용접되어 있는 격자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톱니형 강판 형태의 편향 요소가 용접되어 있는 격자판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캡 상에 나사 형태의 편향 요소가 용접되어 있는 격자판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캡형 단부를 갖는 관 형태의 편향 요소가 용접되어 있는 격자판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관 가스(G) 내의 O2함유량의 함수로서 도관 가스(G)와 설비의 효율(E)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3,4 : 격자판 5 : 크로스바아
6,7 : 로울러 8 : 유압식 피스톤 실린더 유닛
9 : 주요 공기 공급관 10,12,13,14,16 : 편향 요소
18 : 캡 19 : 슬롯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추격 연소 격자 상에서 고형물을 소각하는 방법은 연소 베드에 공급된 주요 공기가 추력 격자의 표면 상에 배열된 편향 요소에 의해 추력 연소 격자를 통과한 후에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은 편향 요소가 개구로부터 방출된 주요 공기가 충돌하도록 주요 공기 공급관의 개구 위로 상기 격자판의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자는 편향 요소가 개구로부터 방출된 주요 공기가 충돌하도록 주요 공기 공급관의 개구 위로 격자판의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격자층이 하나 또는 여러 격자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추력 연소 격자와 그의 주요한 요소의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추력 연소 격자는 계단식으로 배열된 격자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층은 하나의 중공형 수냉식 격자판(1,2,3,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매 두 번째 격자층, 즉 격자판(2,4)은 이동가능한 반면, 이들 사이의 격자판들은 크로스바아(5) 상에 현가된 채로 고정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격자판(2,4)은 각각 로울러(6)의 측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의 배부는 측부를 한정하는 베리어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수직한 로울러(7) 상에 놓여 있다. 각각의 이동가능한 격자판(2,4)은 그 자체의 유압식 피스톤 실린더 유닛(8)에 의해 구동된다. 격자의 하부로부터 주요 공기 공급관(9)은 격자판을 통해 진행하며 각각의 격자판의 선행 에지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주요 공기 공급관(9)은 격자판의 표면 위에서 약간 개방되어 있으며, 타원형 구멍과 같은 단면을 가진다. 이는 과도한 양의 슬래그가 이들 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주요 공기 공급관(9) 또는 대응하는 주요 공기 공급 덕트의 개구는 굽힘형 편향판으로 제조된 캡형태의 편향 요소(10)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러한 편향 요소(10)는 격자판의 표면 상에 간단히 용접되어 있다. 편향판의 상부는 V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하부로부터 이들 편향판 상에 가해지는 주요 공기의 흐름은 편향판에 의해 분할되어 측부로 편향된다. 동시에, 굽힘형 편향판은 격자의 움직임 방향으로 개구를 덮게 되어서, 연소 재료가 편향판 주위로 안내되고 주요한 공기 개구를 직접 통과하지 않는다.
도 2는 굽힘형 편향판(10) 형태의 편향 요소가 용접되어 있는 격자판의 전방 에지부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타원형 구멍과 같은 형태를 갖는 주요 공기 공급관(9)을 볼 수 있으며, 격자판의 표면으로부터 일 또는 수 밀리미터 위에서 개방되어 있다. 굽힘형 편향판(10) 형태의 개구 또는 노즐캡은 이들 개구 위에 용접되어 있다. 이들 굽힘형 편향판(10)은 강판으로 제조되며, 측부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는데, 강판의 상부면은 간단한 베벨링(bevelling) 공정에 의해 V형 단부면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에서, 하부로부터 충돌하는 주요 공기 흐름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갈래로 분리되어서 측부로 편향되어 와류를 형성한다. 이러한 효과는 공기가 확산식으로 연소 베드를 통과하도록 하며, 실질적으로 속도를 감소시킨다. 일렬로 배열된 주요 공기 개구를 통과하는 공기는 개구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확산식으로 연소 베드를 통과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공기 내의 산소가 종래 보다 더 균일하게 연소 베드에 공급된다. 여기에 도시된 굽힘형 편향판 대신에, 편향판은 반원형 아아치 형태 또는 앵글 형태로 형상화될 수 있다. 편향판은 앵글의 평면이 추력 방향에 직각으로 진행하는 어느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판을 장착함에 의해, 주요 공기 공급 개구가 막히는 것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편평한 편향판(12) 형태의 편향 요소가 용접되어 있는 격자판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변형 또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요 공기를 변형시키고 이를 확산시키는 주요한 목적에 부합한다. 이들 편평한 판(12)은 또한 다른 목적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즉, 이들은 깃가지(barb)로서 작용을 하며, 편평한 편향판(12)의 전방 영역에 놓여 있는 연소 재료를 운반하며, 이후 이들이 후퇴할 때 다시 이들 영역을 정화시키는 동안, 주요 공기는 다시 편평한 편향판(12)에 대항하여 흐를 수 있으며, 이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편평한 편향판(12) 위로 수직방향으로 격자 상에 놓여 있는 연소 재료는 이러한 운반 작용에 의해 분리되며, 연소 베드의 층들이 수평 이동된다. 주요 공기 공급 개구의 차단은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후행하는 격자층이 공급 개구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편평한 편향판(12) 밑에 잔존하는 어떠한 재료도 자유롭게 작용하며 다시 개구를 차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는 편향 요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잔디깎기 날 형태와 유사한 톱니형의 판(13)이 격자의 폭을 따라 격자판의 전방 에지부 상에 용접되어 있어서, 주요 공기의 방출 흐름이 톱니에 충돌하여 전방과 두 측부 주위로 편향된다. 연소 베드층의 수평 이동은 본 실시예에서도 달성될 수 있으며, 주요 공기 공급 개구의 차단이 마찬가지로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개구 또는 노즐캡(14)에 나사 형태로 구성된 편향 요소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요 공기 공급 덕트 또는 관은 원형이며, 격자판 표면을 약간 넘어서 돌출해 있는 관개구는 노즐캡(14)과 나사결합되는 외형 나사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노즐캡(14)은 반경방향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는 6각형의 외형을 갖는 종래의 피팅물일 수 있다. 이러한 피팅물은 나사의 일부만이 나사 결합되어서 주요 공기가 반경방향 구멍(15)을 통해 방해받지 않고 흐를 수 있다. 관 개구로부터 방출된 공기 흐름은 이후 피팅물에 의해 편향되며 구멍을 통해 반경 방향으로 흐르는데, 예컨대 6개의 구멍이 있다면 이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방향에서 주변의 연소 재료로 확산된다. 캡 주위의 개구를 차단하는 것은 이송된 연소 재료에 대해 개구와 노즐 캡(14)이 상대 이동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노즐 캡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하는 대신에 용접될 수도 있다.
도 6은 편향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향 요소가 타원형 구멍과 같은 단면(17)을 갖는 관(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관(16)의 한단부는 시일되어 있는데, 이는 라운드형 캡(18)을 형성한다. 이들 관(16)은 그의 개방 단부의 하부가 격자판 시이트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타원형 구멍으로 삽입되어서 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용접된다. 관의 길이는 격자판의 두께보다 더 크며, 관의 바닥 단부가 격자판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로 격자판 내에 용접되기 때문에 캡 단부는 격자판의 표면을 넘어서 돌출된다. 격자판을 넘어서 돌출해 있는 관(16)의 양 측부에는 슬롯(19)이 캡(18) 아래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슬롯(19)은 관(16)에서 내측으로부터 외부 및 하방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먼저 공기가 캡(18) 내에서 편향되어서 캡(18)에 형성된 슬롯(19)의 형상에 따라 상방으로, 수평으로, 또는 하방으로 흐르도록 한다. 두 번째로 이러한 구성은 슬롯(19)이 연소 재료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슬롯이 단지 연소 재료만을 따라 이동하며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라운드형 캡(18)에 의해, 격자판의 표면을 넘어서 돌출해 있는 관의 단편은 이송될 격자판을 따라 연소 재료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연소 재료는 날카로운 에지부를 관통하지 않고 관(16)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또는 관을 완전히 변위시키지 않으면서 관의 단부들을 지나서 밀쳐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들과 같이 격자의 표면 상에, 즉 많은 열이 편향 요소로부터 격자로 전도되도록 작동시 저온을 유지하는 수냉식 격자 상에 편향 요소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공냉식 격자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편향 요소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타버릴 수 있다.
따라서, 수냉식 격자판으로 제조된 추력 연소 격자가 이러한 형태의 편향 요소와 끼워맞춤되어서 이에 의해 추력 연소 격자를 통해 연소 베드에 공급된 주요 공기가 추력 격자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후 즉시 편향된다. 주요 공기가 확산식으로 연소 베드를 보다 균일하게 통과하는 것은 연소의 질을 보다 개선시킨다. 산소의 공급량이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아래에 기술하였다.
도 7은 연소의 질을 평가하는 다이아그램으로서, 도관 가스(G) 내의 O2의 함수로서 도관 가스(G)와 소각기의 효율(E)을 나타낸다. CO의 값은 연소의 질을 평가하는 주요한 기준으로서 간주된다. 상기 다이아그램에서 CO 최대값은 도관 가스내의 상대적으로 큰 산소량 위에 고착된다. 산소량이 감소됨에 따라, NOX의 양도 역시 감소되는데, 이때 소각기의 효율(E)은 증가하지만 동시에 가스의 유동 부피(V)는 감소된다. 그렇지만, 산소량이 소정의 정도를 넘어서 감소된다면, CO량은 갑작스럽게 급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연소 조절 공정의 목적은 NOX의 값을 최소로 유지시키고 동시에 CO최대값을 고정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산소량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상적인 작동점이 다이아그램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점은 법적으로 그리고 높은 작동 효율에 의해 요구된 도관 가스의 값을 모두 보장한다. 이러한 공정은 보다 소량의 공기가 연소 재료를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에 산소의 공급량을 최적으로 한다. 따라서, 화학양론적인 연소를 달성하려는 기본적인 목적에 다가서게 된다. 먼지의 방출이 또한 감소되며, 이에 의해 먼지 입자의 속도가 감소된다. 이는 많은 고속의 먼지 입자가 샌드블라스팅과 같이 보일러 벽과 충돌하기 때문에, 보일러의 벽의 부식을 감소시킨다
폐기물 소각기에서의 실험에서, 이러한 공정을 사용함에 의해 격자 아래의 과도한 압력을 요구된 제 3의 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법으로 규정된 도관 가스의 질을 여전히 준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격자를 통과하는 다량의 고속의 공기 흐름 및 소정의 포인트에서는 제어되지 않는 연소 재료 대신에, 조절된 량의 산소가 연소 재료를 통해 저속으로 매우 유연하게 확산됨을 의미한다. 이는 불필요한 도관 가스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실질적으로 도관 가스의 속도와 부유재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또한, 부유재의 감소는 더 이상 보일러 내로 소용돌이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보일러 및 모든 설비 요소들이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요 공기가 연소 베드를 통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요 공기 공급 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 공정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추력 연소 격자 상의 고형물을 소각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소 베드에 공급된 주요 공기가 추력 연소 격자를 통과한 후에 상기 추력 격자의 표면 상에 장착된 편향 요소(10,12,13,14,16)에 의해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공기 흐름이 상기 추력 연소 격자를 통과한 후 개구 위에 장착된 상기 편향 요소(10,12,13,14,16)와 충돌하여 상기 각각의 편향 요소에 의해 편향되어서 상기 주요 공기가 방출 방향에서의 속도와 비교하여 감소된 속도로 연소 재료 내로 확산식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공기가 상기 격자판(1∼4)에 용접되어 있는 관을 통해 흐르는데, 상기 관은 상기 격자판의 표면을 넘어서 돌출해 있고 캡과 같이 상부가 시일되어 있으며 그의 측부에 상방, 하방 또는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슬롯(19)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슬롯(19)을 통해 방출된 주요 공기가 상기 연소 재료 내로 확산식으로 흘러서 균일하고 저속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공기 흐름이 상기 추력 격자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후 추력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 구멍과 같은 개구 위에 장착되어서 아아치를 형성한 굽힘형 편향판(10)과 충돌하며, 상기 각각의 개구로부터 방출된 주요 공기 흐름이 국부적인 상기 편향판(10)에 의해 분할되고 편향되어서 상기 주요 공기 흐름이 상기 연소 재료 내로 확산식으로 흘러서 균일하고 저속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냉각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연결편과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격자판을 통과하는 주요 공기 공급관(9)을 갖춘 투과성 중공의 요소(1∼4)를 포함하는 고형물을 소각하는 추력 연소 격자용 격자판에 있어서,
    상기 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주요 공기가 충돌하도록 편향 요소(10,12,13,14,16)가 상기 격자판의 표면 상에서 상기 주요 공기 공급관(9)의 개구 위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소(16)가 타원형 구멍과 같은 단면(17)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편향 요소(16)의 한단부는 둥근 캡(18)을 형성하도록 시일되어 있으며, 상기 편향 요소(16)의 개방 단부의 하부가 격자판 시이트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타원형 구멍으로 삽입되어서 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용접되어 있으며, 격자판 표면을 넘어서 돌출해 있는 편향 요소(16)의 양 측부에는 슬롯(19)이 캡(18) 아래 부분에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19)은 관(16)에서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진행하며, 하방, 상방 또는 수평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형 편향판(10) 또는 경사지어서 상기 개구를 넘어서 돌출해 있는 편평한 판(12) 형태의 편향 요소가 상기 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주요 공기가 충돌하도록 상기 격자판의 표면 상에서 상기 주요 공기 공급관(9)의 개구 위로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
  8. 제 5항에 있어서, 톱니형 강판(13)이 상기 격자판의 전방 에지부를 따라 용접되어 있고, 각각의 톱니가 경사져서 상기 주요 공기 공급관을 넘어서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주요 공기가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공기가 충돌하며 상기 주요 공기를 확산시키기 위한 반경 방향 구멍(15)을 갖는 개구 또는 노즐 캡(14) 형태의 편향 요소가 상기 주요 공기 공급관(9)의 원형 개구 위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
  10. 냉각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연결편과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격자판을 통과하는 주요 공기 공급관(9)을 갖추고 있으며 계단식으로 놓여져 있는 격자판(1∼4)을 포함하는 고형물을 소각하는 추력 연소 격자용 격자판에 있어서,
    상기 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주요 공기가 충돌하도록 편향 요소(10,12,13,14,16)가 상기 격자판의 표면 상에서 상기 주요 공기 공급관(9)의 개구 위로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격자층이 하나 또는 여러 격자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연소 격자.
KR1019980045233A 1997-10-29 1998-10-28 수냉식 추력 연소 격자 상의 고형물을 소각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격자판과 격자 KR199900374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49897 1997-10-29
CH99098 1998-05-03
CH19980990/98 1998-05-03
CH19972498/97 1998-05-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436A true KR19990037436A (ko) 1999-05-25

Family

ID=2568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233A KR19990037436A (ko) 1997-10-29 1998-10-28 수냉식 추력 연소 격자 상의 고형물을 소각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격자판과 격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55184A (ko)
EP (1) EP0919771B1 (ko)
JP (1) JP3037666B2 (ko)
KR (1) KR19990037436A (ko)
AT (1) ATE197845T1 (ko)
CA (1) CA2249842A1 (ko)
DE (1) DE59800363D1 (ko)
NO (1) NO984541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1455B2 (en) * 2002-03-08 2006-01-03 Lefcort Malcolm D Two-stage wet waste gasifier and burner
DE102004040048A1 (de) * 2004-08-18 2006-02-23 Ikn Gmbh Rostplattenanordnung für Stufenroste
CN101046293B (zh) * 2006-03-28 2011-11-09 高桥贤三 加煤机型热分解炉
DE102009009285B4 (de) * 2009-02-17 2013-11-28 Ikn Gmbh Rostplattenanordnung
AU2015317247B2 (en) * 2014-09-16 2018-03-01 Hitachi Zosen Inova Ag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lag occurring in a furnace of a refuse incineration plant
CN104197318B (zh) * 2014-09-19 2017-03-22 四川能节环保科技有限公司 洁净煤绿色低氮燃烧高效节能减碳炉
PL3798515T3 (pl) 2015-06-12 2024-02-19 Hitachi Zosen Inova Ag Blok rusztowy do rusztu do spalania
NO343011B1 (en) * 2017-04-26 2018-09-24 Aitos Gasification Tech As Furnace for gasification and oxidation of solid fue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9518A (en) * 1980-04-21 1981-11-19 Satake Eng Co Ltd Granular material combustor
JPS5824720A (ja) * 1982-07-12 1983-02-14 Takuma Co Ltd 階段式中空スト−カ
JPS6033419A (ja) * 1983-08-03 1985-02-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焼却残渣処理装置
JPS60101533U (ja) * 1983-12-15 1985-07-11 有限会社 極厚鋼管 炉床
US4719900A (en) * 1985-06-13 1988-01-19 Martin Walter J Grate for use in industrial furnaces
JPH04344013A (ja) * 1991-05-21 1992-11-30 Nkk Corp ごみ焼却炉用火格子
KR950033253A (ko) * 1994-01-14 1995-12-22 피터 후리츠/마르티나 킬히호프-할로프 냉각장치를 구비한 화격자봉 및 화상과 냉각방식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158A (en) * 1914-07-21 1915-05-18 Charles William Hopes Grate-bar.
US1542910A (en) * 1921-11-25 1925-06-23 Core H Reid Fuel-burning grate
US1607258A (en) * 1923-07-05 1926-11-16 John G Gibson Water grate
US1482501A (en) * 1923-07-11 1924-02-05 Nicholas J Zuzulin Attachment for grates
US1779852A (en) * 1927-05-16 1930-10-28 Iron Fireman Mfg Co Coal-burning grate
US1823235A (en) * 1928-11-05 1931-09-15 Ernest E Lee Co Furnace grate bar
US2057276A (en) * 1930-11-05 1936-10-13 Guy J Morgan Apparatus for burning fuel
US2033570A (en) * 1931-10-26 1936-03-10 Virginius M Cruikshank Grate
CH636942A5 (de) * 1979-05-30 1983-06-30 Sulzer Ag Wirbelschichtfeuerung mit einem ebenen rost.
FR2574160A1 (fr) * 1984-11-30 1986-06-06 Electricite De France Grille de foyer realisee a partir d'elements permettant un controle ameliore de l'apport en air primaire
CH684118A5 (de) 1993-04-20 1994-07-15 Doikos Investments Ltd Verfahren zum Verbrennen von Kehricht auf einem Verbrennungsrost sowie Verbrennungsrost zur Ausübung des Verfahrens und Rostplatte für einen solchen Verbrennungsrost.
DE19528310A1 (de) * 1995-08-02 1997-02-06 Abb Management Ag Rost für eine Feuerungsanlage
US5575642A (en) * 1995-12-01 1996-11-19 The Carondelet Corporation Grate plate
DE19633969A1 (de) * 1996-08-22 1998-02-26 Karl Von Wedel Schüttgutrost
NO312644B1 (no) * 1997-04-23 2002-06-10 Doikos Investments Ltd Vannkjölt trykkforbrenningsris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9518A (en) * 1980-04-21 1981-11-19 Satake Eng Co Ltd Granular material combustor
JPS5824720A (ja) * 1982-07-12 1983-02-14 Takuma Co Ltd 階段式中空スト−カ
JPS6033419A (ja) * 1983-08-03 1985-02-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焼却残渣処理装置
JPS60101533U (ja) * 1983-12-15 1985-07-11 有限会社 極厚鋼管 炉床
US4719900A (en) * 1985-06-13 1988-01-19 Martin Walter J Grate for use in industrial furnaces
JPH04344013A (ja) * 1991-05-21 1992-11-30 Nkk Corp ごみ焼却炉用火格子
KR950033253A (ko) * 1994-01-14 1995-12-22 피터 후리츠/마르티나 킬히호프-할로프 냉각장치를 구비한 화격자봉 및 화상과 냉각방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84541L (no) 1999-04-30
CA2249842A1 (en) 1999-04-29
ATE197845T1 (de) 2000-12-15
DE59800363D1 (de) 2001-01-04
EP0919771A3 (de) 1999-07-07
EP0919771A2 (de) 1999-06-02
US6155184A (en) 2000-12-05
NO984541D0 (no) 1998-09-29
JP3037666B2 (ja) 2000-04-24
JPH11211045A (ja) 1999-08-06
EP0919771B1 (de) 200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6972A (en) Grate bar element for a sliding grate furnace for garbage incineration
KR19990037436A (ko) 수냉식 추력 연소 격자 상의 고형물을 소각하는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격자판과 격자
EP1639297B1 (en) Grate block for a refuse incineration grate
US6193503B1 (en) Ash melting furnace and ash melting method thereof
CS588487A2 (en) Furnace
CA242983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implified primary air system for improving fluid flow and gas mixing in recovery boilers
DE19613777C2 (de) Verbrennungsanlage und Nachverbrennungsverfahren
CN214840828U (zh) 一种烟道动态配风协同sncr脱硝的控制系统
PL291480A1 (en) Fire grate structure
KR100485438B1 (ko) 폐기물의 열처리용 플랜트 및 화격자 블록
US4726765A (en) Combustor drum hole shields
SU894293A1 (ru) Топка дл сжигани отходов
JPS61205720A (ja) 横型流動床焼却炉
US5323718A (en) Overfire air system for incinerating
JPS621553Y2 (ko)
KR100445785B1 (ko) 화격자 장치
JPH0624660Y2 (ja) 流動床焼却炉の分散板
US915852A (en) Hollow grate-bar.
KR102651844B1 (ko) 소각 및 연소로용 수랭식 화격자
FI75922B (fi) Braennare foer foerbraenning av speciellt biomassa.
KR20160107072A (ko) 보일러의 연소가스 가이드장치
USRE12351E (en) Eeissued mat
KR100231495B1 (ko) 가정 쓰레기 소각용 격자
KR200204282Y1 (ko) 생활쓰레기와 소각하기 어려운 다른 폐기물들을연소시키기 위한 소각로용 계단식 유동노즐 화격자
JPH074635A (ja) ストーカ式焼却炉のロスト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