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327U -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327U
KR19990037327U KR2019980002973U KR19980002973U KR19990037327U KR 19990037327 U KR19990037327 U KR 19990037327U KR 2019980002973 U KR2019980002973 U KR 2019980002973U KR 19980002973 U KR19980002973 U KR 19980002973U KR 19990037327 U KR19990037327 U KR 199900373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ge
signal
shock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철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80002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327U/ko
Publication of KR19990037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327U/ko

Link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방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측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경보음과 함께 자동으로 기준층으로 복귀시키고 운행을 중지시키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에 방법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20)를 구성하는 측판(22)의 후면에는 측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30)를 설치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30)에는 충격신호를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32)를 연결하고, 상기 변환기(32)에는 이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케이지(20)를 기준층 윈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충격신호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케이지(20)에 설치된 부저(40)에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반(50)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방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측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경보음과 함께 자동으로 기준층으로 복귀시키고 운행을 중지시키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중 밀폐된 케이지내에서 외부로부터 차단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중 불순한 치한 등에 의해 급작한 봉변을 당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출입구 부분인 승강장도어(10)와 케이지도어(12)에 케이지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방범창(14)이 설치되어 있다.
이같이 도어(10,12)에 설치된 방범창(14)의 경우에는 케이지가 목적지 층까지 이동하는 동안에는 외부에서 관찰이 불가능하므로 치한이나 불량한 사람에게서 봉변을 당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런 봉변을 당하는 사이에는 케이지에 구비된 비상버튼을 누를 수 없는 상황에서는 더욱이 피해자가 어떠한 방어조치나 외부로 호출을 할 수 없어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측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경보음과 함께 자동으로 기준층으로 복귀시키고 운행을 중지시키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엘리베이터에 방법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20)를 구성하는 측판의 후면에는 측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30)를 설치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30)에는 충격신호를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32)를 연결하고, 상기 변환기(32)에는 이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케이지(20)를 기준층 윈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충격신호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케이지(20)에 설치된 부저(40)에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반(50)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에 방법창이 설치된 승강장측에서 본 엘리베이터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방범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방범장치의 동작 플로우차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케이지 22 : 측판
30 : 충격감지센서 32 : A/D 변환기
40 : 부저 50 : 제어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20)를 구성하는 각 측벽(22)의 후면에는 이 측벽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30)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충격감지센서(30)에서 감지할 수 있는 충격량은 측벽(22)을 보통사람의 힘으로 밀었을때는 작동하지 않다가 급작한 사람의 충격이 측벽(22)에 부딪쳤을 때 검출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30)에는 충격감지센서(30)에서 송출된 충격신호를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3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변환기(32)에는 이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케이지(20)를 기준층 윈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충격신호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케이지(20)에 설치된 부저(40)에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반(50)이 연결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케이지(20)의 어느 한 측판(22)에 충격이 일단 가해지게 되면, 충격감지센서(30)가 이를 감지하여 아날로그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송출된 신호값이 일정미만의 충격량값이 되면 제어반(50)은 엘리베이터를 정상운전시키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이때의 충격은 치한이나 그 밖의 타인으로부터 돌출행동을 받았을 때 피해자가 움직이다가 측판을 치게되는 것을 가정한다), 제어반(50)은 이를 경보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여 부저(40)의 경보신호를 주게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반(50)은 케이지(20)내에 등록된 층수 및 승강장에서 등록된 목적층 방향을 삭제하고 엘리베이터가 기준층으로 복귀하고 도어가 열리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경비실 등에 비상사태를 알려주게 된다.
이와같이 케이지(10)내에서 치한으로부터 돌출행동을 받게되어 능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측판(22)을 치게 되면 부저(40)가 울리어 가해자는 돌출행동을 멈추고 탈출을 꾀하게되고 이때 케이지(20)가 기준층으로 내려오게 되므로 경비실에서 경비원이 신속히 출동하여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위험상황이 완료되면 수동해제로 엘리베이터는 정상운전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이용시 케이지내에서 발생되는 치한등으로부터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어, 이를 알고 이용하는 우범자에게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에 방법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20)를 구성하는 측판(22)의 후면에는 측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30)를 설치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30)에는 충격신호를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32)를 연결하고, 상기 변환기(32)에는 이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케이지(20)를 기준층 윈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충격신호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케이지(20)에 설치된 부저(40)에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반(50)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KR2019980002973U 1998-03-03 1998-03-03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KR199900373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73U KR19990037327U (ko) 1998-03-03 1998-03-03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73U KR19990037327U (ko) 1998-03-03 1998-03-03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327U true KR19990037327U (ko) 1999-10-05

Family

ID=6971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973U KR19990037327U (ko) 1998-03-03 1998-03-03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32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811B1 (ko)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
JP5008983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4796431B2 (ja) エレベータ
WO2019063406A1 (en) SECURE ACCESS TO AN ELEVATOR CAGE
WO2007066375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2009062127A (ja) 非常用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KR19990037327U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TWI250966B (en) Elevator control device equipped with crime prevention feature
JP5649061B2 (ja) エレベータの着床検出装置
JP602188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11256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584695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0159456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8100804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5936456A (zh) 一种电梯防火控制系统
KR100858587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장치
JP2009029580A (ja) エレベーターの防犯運転装置および方法
JPS58212574A (ja) エレベ−タの防犯装置
JPS641333Y2 (ko)
JPH06329376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JPH11292419A (ja)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
JP2019131377A (ja) 乗場ドア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511253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0236993Y1 (ko) 엘리베이터의 범죄방지 인식장치
JPH039898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