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005U - 금형자동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자동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005U
KR19990037005U KR2019990010120U KR19990010120U KR19990037005U KR 19990037005 U KR19990037005 U KR 19990037005U KR 2019990010120 U KR2019990010120 U KR 2019990010120U KR 19990010120 U KR19990010120 U KR 19990010120U KR 19990037005 U KR19990037005 U KR 199900370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crew hole
assembled
pist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우
Original Assignee
이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우 filed Critical 이명우
Priority to KR2019990010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005U/ko
Publication of KR19990037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00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형 자동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스 금형 홀딩용 샹크나 볼트 제조용 금형, 기타 볼트체결로 어떠한 물체를 고정시켰다가 해제시키는 각종 기계기구 등에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단 11을 기준하여 내외측으로 공간부 13과 나사구멍12가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에는 유압호스의 니플이 조립되는 나사구멍 14가 형성된 실린더 10과; 상기 실린더의 공간부 안에 삽입되어 작동되며, 원주면으로 오링 21이 조립되고 안쪽 중앙에 나사구멍 22가 형성되며 나사구멍 22에 근접하여 스프링삽입홈 23이 형성된 피스톤 20과; 상기 실린더의 나사구멍 12에 조립되도록 헤드 34의 원주면에 나사부 35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는 스프링삽입홈 36이 형성되며 중심으로는 푸시로드가 삽입되는 구멍 31이 형성되고 외면으로는 스패너끼움단 33을 제외한 부분에 나사부 32가 형성된 지지쇠 30과; 상기 피스톤과 지지쇠의 헤드 사이에 조립되는 스프링 40과; 상기 지지쇠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나사부 51은 피스톤의 나사구멍 22에 조립되고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 작용을 하는 푸시로드 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형 자동고정장치{MOLD AUTOMATIC FIXING DEVICE}
본 고안은 금형 자동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스 금형홀딩용 샹크나 볼트 제조용 금형, 기타 볼트체결로 어떠한 물체를 고정시켰다가 해제시키는 각종 기계기구 등에 사용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볼트 제조용 금형을 고정시키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볼트는 선반가공이나 전조가공 등을 통해 나사부의 제작이 완료되며 머리부분은 별도의 가공을 통하여야 한다. 그리고 머리부분에 표식을 펀칭하거나 홈 등을 가공하여야 할 때는 자동펀치 500과 연동되도록 설치된 금형홀더 200과, 피가공물삽입구멍 302가 형성되어 있는 금형 300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상기 금형 300의 피가공물삽입구멍 302의 안으로 볼트의 나사부를 끼운 다음, 자동펀치 500을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1의 상태와 같이 금형 300을 금형홀더 200에 끼워서 고정시킬 때 단순한 볼트 1과 너트 2를 사용하였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금형홀더 200의 안으로 소정 타입의 금형 300을 끼우고 동시에 볼트1을 금형홀더 200에 조립시키되, 금형 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홈 301에 볼트 1의 저면(도 1을 기준함)이 닿도록 조립시킨다. 다음, 너트 2를 이용하여 더블너트 조임방식으로 볼트 1이 금형홀더 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 상태는 볼트 1에 의해 금형 300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 후 자동펀치 500의 작동에 의해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금형 300을 다른 타입으로 교체하여야 할 때는 너트 2를 풀고 볼트 1을 금형 300의 홈 301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금형 300을 금형홀더 200으로부터 빼내고 다시 다른 금형을 금형홀더에 끼운 다음, 상기한 바와 동일한 요령에 의해 금형을 볼트 1과 너트 2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너트 2를 차례로 풀어내고 다시 볼트 1을 푼 다음 금형홀더 안으로 금형을 끼우고 다시 볼트를 조여 금형의 홈 301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 후 너트를 차례로 조여서 금형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통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와 함께 볼트와 너트의 내구성이 격감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을 통해 볼트를 조임으로써 금형에 가해지는 조임력이 항상 일정치 못하여 작업시 금형으로부터의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고, 이는 불량발생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단점으로 인해 금형의 홈 301 부분이 쉽게 손상되어 2중의 홈이나 불규칙한 손상부분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술한 단점은 더욱 심화된다. 그리고 볼트를 무리하게 조임으로써 금형 300이 찌그러지거나 부분적으로 심하게 손상이 되는 예도 발생되는 등 다수의 단점과 문제점이 노출되었고, 특히 작업성이 불량함과 아울러 제품불량의 발생률이 높은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금형홀더에 자동으로 금형을 순간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역시 자동으로 금형을 순간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어 작업성파 생산성이 탁월해지고 제품불량의 발생요인을 없앤 금형 자동고정장치를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단 11을 기준하여 내외측으로 공간부 13과 나사구멍12가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에는 유압호스의 니플이 조립되는 나사구멍 14가 형성된 실린더 10과 ; 상기 실린더의 공간부 안에 삽입되어 작동되며, 원주면으로 오링 21이 조립되고 안쪽 중앙에 나사구멍 22가 형성되며 나사구멍 22에 근접하여 스프링삽입홈 23이 형성된 피스톤 20과; 상기 실린더의 나사구멍 12에 조립되도록 헤드 34의 원주면에 나사부 35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는 스프링삽입홈 36이 형성되며 중심으로는 푸시로드가 삽입되는 구멍 31이 형성되고 외면으로는 스패너끼움단 33을 제외한 부분에 나사부 32가 형성된 지지쇠 30과; 상기 피스톤과 지지쇠의 헤드 사이에 조립되는 스프링 40과; 상기 지지쇠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나사부 51은 피스톤의 나사구멍 22에 조립되고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 작용을 하는 푸시로드 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온 종래의 금형 고정장치를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4의 100-100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볼트 2:너트
10:실린더 20:피스톤
30:지지쇠 40:스프링
50:푸시로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장치가 금형홀더 200에 조립되어 있으며 실린더 10의 공간부 13 안에는 유압호스 400으로부터 작용하는 오일이 충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1의 종래 상태에서 볼트 1 대신에 본 고안의 지지쇠 30이 조립되어 있으며 유압작용이 가해짐에 따라 피스톤 20이 하강하여 있고 따라서 피스톤에 조립되어 있는 푸시로드 50 역시 하강하여 그 끝 부분은 금형 300의 홈301 안으로 진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용하는 유압은 150∼200Kg/cm2정도의 세기를 가지며 푸시로드의 스트로크는 10mm 정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적인 부분은 상황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의 상태는 금형 300이 금형홀더 200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후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금형 300을 교체하여야 할 때는 유압을 해제시키는 즉시 스프링 40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 20은 원위치 되고(도 4의 경우) 동시에 푸시로드 50은 피스톤과 함께 승강되어 그 끝 부분은 금형의 홈 301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금형 300을 간단히 금형홀더로부터 빼낼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지지쇠 30의 하단면은 금형 300의 상면과 접촉된 채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사실은 0.1 ∼ 0.05mm 정도의 공차를 유지하고 있어서 금형에는 접촉되어 있지 않고 단지 푸시로드 50의 저변만이 금형의 홈 301의 안쪽면에 누름압력을 가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쇠 30을 금형홀더 200에 조립시킨 후 유압을 작용시켜 주기만 하면 순간적으로 푸시로드 50이 금형 300을 항상 일정하고 강한 압력으로 고정시키며, 반대로 금형을 교체코저 할 경우에는 유압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푸시로드 50은 순간적으로 원위치하기 때문에 금형을 간단히 교체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탁월하다.
본 고안의 지지쇠 30의 헤드 34와 실린더를 조립시킬 경우 그리고 푸시로드50의 나사부 51과 실린더를 조립시킬 경우 반드시 나사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핀 조립방식을 이용하여도 무방한데, 이러한 설계변경 정도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 이내의 것이라 하겠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금형홀더에 금형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전혀 수작업에 의존치 않고 자동으로 그리고 순간적으로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고, 항상 일정한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과 생산성이 탁월히 향상됨과 아울러 금형의 내구성이 상승되고 제품불량의 발생률이 거의 제로화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 11을 기준하여 내외측으로 공간부 13과 나사구멍 12가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에는 유압호스의 니플이 조립되는 나사구멍 14가 형성된 실린더 10과;
    상기 실린더의 공간부 안에 삽입되어 작동되며, 원주면으로 오링 21이 조립되고 안쪽 중앙에 나사구멍 22가 형성되며 나사구멍 22에 근접하여 스프링삽입홈 23이 형성된 피스톤 20과;
    상기 실린더의 나사구멍 12에 조립되도록 헤드 34의 원주면에 나사부 35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는 스프링삽입홈 36이 형성되며 중심으로는 푸시로드가 삽입되는 구멍 31이 형성되고 외면으로는 스패너끼움단 33을 제외한 부분에 나사부 32가 형성된 지지쇠 30과;
    상기 피스톤과 지지쇠의 헤드 사이에 조립되는 스프링 40과;
    상기 지지쇠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나사부 51은 피스톤의 나사구멍 22에 조립되고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 작용을 하는 푸시로드 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고정장치.
KR2019990010120U 1999-06-03 1999-06-03 금형자동고정장치 KR199900370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120U KR19990037005U (ko) 1999-06-03 1999-06-03 금형자동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120U KR19990037005U (ko) 1999-06-03 1999-06-03 금형자동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005U true KR19990037005U (ko) 1999-10-05

Family

ID=5475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120U KR19990037005U (ko) 1999-06-03 1999-06-03 금형자동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0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604B1 (ko) * 2017-11-13 2018-07-18 (주)아이티공간 엘리베이터 운전 분석을 통한 고효율 운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604B1 (ko) * 2017-11-13 2018-07-18 (주)아이티공간 엘리베이터 운전 분석을 통한 고효율 운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45495A (zh) 压板式浮动夹具
JP2000263350A (ja) ブッシュ圧入装置
JP6716081B2 (ja) リンク式クランプ装置
KR19990037005U (ko) 금형자동고정장치
KR19990068651A (ko) 금형자동고정장치
KR100637687B1 (ko)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KR20020036469A (ko) 부시 장착 및 탈거기구
KR102089600B1 (ko) 앵커볼트
CN210676580U (zh) 一种侧向冲孔的精密冲压模具
CN211728415U (zh) 一种连杆专机多品种变换的装置
US2798778A (en) Piston and cylinder device with replaceable piston rod seal
CN112139841A (zh) 锥齿轮差壳孔加工装置及使用方法
KR100757985B1 (ko)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고정장치
CN220416057U (zh) 弹簧制动油缸的弹簧快速装配结构
US4176439A (en) Tool for removing and inserting bolts in connecting rods
KR200438807Y1 (ko) 프레스 가공된 고정구
JPS5928747Y2 (ja) 工作機械のクランバ−
CN212330178U (zh) 一种压板滑移式焊接夹具
JP2572590B2 (ja) 修理用治具
KR200160786Y1 (ko) 압착볼트분리장치
CN210524866U (zh) 一种内嵌式油压虎钳
JPH0214911Y2 (ko)
JP2005034949A (ja) パレットクランプ機構
SU1710168A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 пуансона в штампе
JP2006116612A (ja) スイング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