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547A -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및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및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547A
KR19990036547A KR1019980026421A KR19980026421A KR19990036547A KR 19990036547 A KR19990036547 A KR 19990036547A KR 1019980026421 A KR1019980026421 A KR 1019980026421A KR 19980026421 A KR19980026421 A KR 19980026421A KR 19990036547 A KR19990036547 A KR 19990036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pixel
memory
data storage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5101B1 (ko
Inventor
다케노리 오키타카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36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emory System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종래의 화상 데이타 기억용 집적 회로에서는 각 기억 소자로부터 화소 데이터를 동시에 판독하기 위해 이용하는 메모리 버스(8)의 배선수가 표시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증대하여 그 집적화를 억제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 버스가 1 대 1 대응으로 마련된 물리적 뱅크를 n개 갖는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이고, 또한, 각 물리적 뱅크에는 표시 화면의 각 행의 상이한 열의 화소 데이터가 기억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및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 이용되는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및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차원 그래픽스나 3차원 그래픽스 등에 바람직하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및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각 화소에 대응하여 마련된 액정 소자에 대해 화소 데이터에 따른 전압을 순차적으로 인가함으로써, 모든 화소의 투과율(반사율)을 제어하여 1개의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용되는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는 다수의 화소 데이터를 화면의 흔들림(flickering)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 동안에 판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각종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6은, 이와 같이 화상 판독을 고려한 경우에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51, …, 55)는 각각 메모리를 레이아웃할 때에 기억 영역의 반복 단위로 되는 물리적 뱅크이고, 참조부호 (8, …, 8)은 각각 해당 물리적 뱅크(51, …, 55)에 p조씩 마련되어, 화소 데이터에 대응한 버스폭 m을 갖는 메모리 버스이며, 참조부호 (61,…, 64)는 각각 각 화소에 대응하는 메모리 그룹으로서, 각각이 1개의 메모리 버스(8)에 접속된 복수의 기억 소자로 이루어져 있다. 참조부호 (71, …, 74)는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억 소자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디코더로서, 각 메모리 그룹(61, …, 64)마다 마련되어 있다. 즉, 각 어드레스 디코더(71, 72, 73, 74)는 각각 n개씩, 전부 p × n개 마련되어 있다. 참조부호 (9)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버스(8, …, 8)로부터 소망하는 메모리 버스(8)(여기서는 5조(組))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메모리 버스(8) 상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기이다. 또, 상기 각 메모리 버스(8)의 버스폭(버스용 배선수)은 화소의 계조수(the number of gray level) 등에 따라 결정하고, 해당 화소에 필요한 비트수가 m 비트인 경우에는 통상 버스폭도 m개로 설정된다.
다음에 이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로의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에서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화소를 (p × n)개마다의 화소 그룹으로 나누고, 제 1 행째의 화소 데이터 (1, 1), (1, 2), …, (1, n)을 (1, 1) 메모리 그룹(61),(1, 2) 메모리 그룹(61) … (1, n) 메모리 그룹(61)에 각각 기억시킨다. 마찬가지로, 제 2 행째의 화소의 화소 데이터 (2, 1), (2, 2) … (2, n)을 메모리 그룹(62)에 기억시킨다. 이하 마찬가지로 기억시켜 가서, 제 p 행째의 화소 데이터 (p, 1), (p, 2) … (p, n)을 메모리 그룹(64)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판독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화상 표시 동작시에는, 우선, 제 1 행째의 메모리 그룹(61, …, 61)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선택기(9)를 설정한 다음에 n개의 어드레스 디코더(71, …, 71)를 동작시켜 제 1 행째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n 화소마다 판독해가서, 제 1 행째의 모든 화소 데이터를 판독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행째의 메모리 그룹(62, …, 62)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선택기(9)를 설정한 다음에 n개의 어드레스 디코더(72, …, 72)를 동작시켜 제 2 행째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n 화소마다 판독해가서, 제 2 행째의 모든 화소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각 행마다 화소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에서는, 화소 데이터를 n개씩 일괄적으로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표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하여 지는 시간이 1/n로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화소 데이터를 화면의 흔들림(flickering)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 동안에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데이터용 집적 회로에서는, 3차원 그래픽스 등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 표시 화상이 변화한 부위의 화소 데이터를 n행 1열 단위로 리라이트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에서는, 예를 들어, 물리적 뱅크(51)의 복수의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선택기(9)를 설정한 다음에 물리적 뱅크(51)에 대응하는 4개의 어드레스 디코더(71, …, 74)를 동작시킴으로써 각 열마다 4개씩 화소 데이터를 판독할 수도 있다.
종래의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물리적 뱅크에 대해 p조(組)의 메모리 버스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각 물리적 뱅크로부터 화소 데이터 판독에 필요로 되는 배선수는 (m × p)개로 되어, 메모리 전체에서는 (m × n × p)개의 배선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대화면 고계조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고자 할 때에는, 다수의 버스용의 배선이 메모리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버스용의 배선수를 억제하고, 또한, 메모리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대화면 고계조에 대응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및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를 얻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및 그 주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소의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소의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데이터 기억 제어 수단 8 : 메모리 버스
2 :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
9 : 선택기 51, 52, 53, 54, 55 : 물리적 뱅크
71, 72, 73, 74 : 어드레스 디코더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로, 표시 화상을 각각이 (p × n) 화소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그룹으로 분할한 경우, 화소 그룹내의 적어도 p개의 화소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을 갖고, 기억 영역의 반복 단위로 되는 복수의 물리적 뱅크와, 해당 복수의 물리적 뱅크와 1 대 1 대응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이 화소 데이터에 필요한 버스폭을 갖는 복수의 메모리 버스와, 상기 복수의 메모리 버스로부터 소망하는 메모리 버스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갖고, 상기 복수의 물리적 뱅크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버스를 거쳐 상기 선택기로부터 동시에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째로, 표시 화상을 각각이 (n × n) 화소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그룹으로 분할한 경우, 화소 그룹내의 적어도 n개의 화소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을 갖고, 기억 영역의 반복 단위로 되는 복수의 물리적 뱅크와, 해당 복수의 물리적 뱅크와 1 대 1 대응으로 마련되며 또한 각각이 화소 데이터에 필요한 버스폭을 갖는 복수의 메모리 버스를 갖고, 상기 복수의 물리적 뱅크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버스를 거쳐 동시에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째로, 표시 화상을 (n × p)개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화소 그룹마다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화소 그룹의 화소 데이터 p개씩 각 물리적 뱅크에 기억시킬 때에는, 동일한 물리적 뱅크에는 해당 화소 그룹내의 행과 열이 상이한 화소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를 갖는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및 그 주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화소 데이터마다 정리하여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기억 제어 수단이고, 참조부호 (2)는 해당 복수의 화소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이며, 참조부호 (3)은 해당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2)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소정수씩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제어 수단이고, 참조부호 (4)는 해당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화상 데이터 기억 제어 수단(1),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2) 및 화상 데이터 판독 제어 수단(3)은 집적 회로로서 실현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2)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51, …, 55)는 메모리를 레이아웃할 때에 기억 영역의 반복 단위로 되는 n개의 물리적 뱅크이고, 참조부호 (8)은 각각 해당 물리적 뱅크(51, …, 55)마다에 1조씩 마련되어, 화소 데이터에 대응한 버스폭 m을 갖는 메모리 버스이다. 참조부호 (61, …, 64)는 복수의 기억 소자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 물리적 뱅크마다 4개씩 마련된 화소에 대응하는 메모리 그룹이고, 참조부호 (71, …, 74)는 각 물리적 뱅크(51, …, 55)의 각 메모리 그룹(61, …, 64)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억 소자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4개의 어드레스 디코더이며, 참조부호 (9)는 n개의 메모리 버스(8)로부터 소망하는 메모리 버스(8)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메모리 버스(8) 상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기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화상 데이터 기억 제어 수단(1)은 5개의 화소 데이터마다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2)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해당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2)은 상기 5개의 화소 데이터를 동시에 각 물리적 뱅크(51, …, 55)에 공급하여, 어드레스 디코더(71, …, 74)에 의해 지정되는 기억 소자에 해당 화소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화소 데이터가 각 물리적 뱅크(51, …, 55)에 기억되면,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제어 수단(3)은 화소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것에 근거한 인가 전압 정보를 출력한다. 액정 표시 장치(4)는 해당 인가 전압 정보에 따른 전압을 액정 소자에 대해 인가하여, 이 액정 소자의 투과율(반사율)의 분포로서 1개의 화상을 표시한다.
다음에 기억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액정 표시 장치(4)에 있어서의 화소의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4)에서는 복수의 화소가 s행 r열로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서는 상기 화상 데이터 기억 제어 수단(1)에는, 1행째의 1열째 (1, 1)로부터 r열째 (1, r)까지가 순서대로 입력되고, 다음에 2행째 (2, 1)∼(2, r), 3행째 (3, 1)∼(3, r),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마지막으로 s행째 (s, 1)∼(s, r)의 순서대로 화소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입력 조건하에서 화상 데이터 기억 제어 수단(1)은 해당 화소 데이터를 입력된 순서에 있어서 각 행마다 5개씩으로 구분하여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2)으로 출력한다.
또한, 해당 화상 데이터 기억 제어 수단(1)은 각 행마다 화소 데이터의 출력 목적지를 전환하도록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과 도 2를 비교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제 1 물리적 뱅크(51)에 대하여 보면, 제 1 행째에 있어서는 각 화소 그룹의 1열째의 화소 데이터 (1, 1)가 기억되고, 2행째에 있어서는 각 화소 그룹의 2열째의 화소 데이터 (2, 2)가 기억되며, 3행째에 있어서는 각 화소 그룹의 3열째의 화소 데이터 (3, 3)가 기억되고, 4행째에 있어서는 각 화소 그룹의 4열째의 화소 데이터 (4, 4)가 기억되며, 5행째에 있어서는 원래로 돌아가 각 화소 그룹의 1열째의 화소 데이터 (1, 1)가 기억되도록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표시 화면의 화소 데이터는, 도 3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행 × 5열)개를 1단위로 하는 화소 그룹마다 표시 화상이 분할되어 기억됨과 동시에, 각 화소 데이터를 물리적 뱅크에 기억시킬 때에, 동일한 물리적 뱅크에는 해당 화소 그룹내의 상이한 행의 상이한 열의 화소 데이터가 기억된다.
다음에 판독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행마다 화소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는, 제 1 어드레스 디코더(71)를 동작시켜 모든 물리적 뱅크(51, …, 55)로부터 화소 그룹의 제 1 행째의 화소 (1, 1)∼(1, 5)에 대응하는 5개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것을 1행만큼 반복한 후, 제 2 어드레스 디코더(72)를 동작시켜 모든 물리적 뱅크(51, …, 55)로부터 화소 그룹의 2행째 (2, 1)∼(2, 5)의 화소에 대응하는 5개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모든 행에 대하여 반복함으로써, 1개의 표시 화면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액정 표시 장치(4)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각 열마다 화소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는, 모든 어드레스 디코더(71, …, 74)를 동작시켜, 모든 물리적 뱅크(51, …, 55)로부터 동일열의 화소 데이터를 4개분(예를 들면 (1, 1)∼(4, 1)) 판독하는 동작을 1열분 반복한다. 이것을 소정의 열수만큼 실행한다. 이에 따라, 표시 화면의 일부를 리라이트하여 새로운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1에서는, 각각이 p(=4)개의 메모리 그룹을 갖는 n(=5)개의 물리적 뱅크와, 각 물리적 뱅크마다 1조씩 마련된 n조의 메모리 버스와, 해당 n조의 메모리 버스로부터 소정수의 메모리 버스(5 또는 4개)를 선택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기를 갖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버스수를 물리적 뱅크와 동일수까지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종래의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에 비해서 메모리 버스의 배선수는 1/p로 감소하고, 또한, 이 메모리 버스의 배선수의 감소와 함께 선택기의 규모도 1/p로 감소한다. 그 결과,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 나아가서는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대화면 고계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따르면, 메모리 버스에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억 소자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디코더가 복수의 물리적 뱅크에 공통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종래의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와 같이 어드레스 디코더를 각 메모리 그룹마다 마련할 필요는 없어, 그 규모를 1/n까지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메모리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대화면 고계조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 1에 따르면, 표시 화상을 (n × p)개를 1단위로 하는 화소 그룹마다 분할하여, 각 물리적 뱅크에는 해당 화소 그룹내에 있어서 상이한 행의 상이한 열의 화소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때문에, 행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는 복수의 화소를 동시에 판독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열 방향에 있어서도 복수의 화소를 동시에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를 소형화하였다고 해도 3차원 그래픽스 등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 화상이 변화한 열만을 p개 단위로 리라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물리적 뱅크(51, …, 54)의 개수가 4개가 됨과 동시에, 선택기(9)가 삭제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 2에서는 4행 4열의 화소마다 화소 그룹이 구성됨과 동시에, 각 메모리 그룹(61, …, 64)에 기억시키는 화소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 기억 제어 수단(1)으로부터는 4개의 화상 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되어, 이것이 직접 각 물리적 뱅크(51, …, 54)에 입력된다. 또한, 각 물리적 뱅크(51, …, 54)로부터 출력된 화소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판독 제어 수단(3)에 직접 출력된다. 이외의 동작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2에 따르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버스 개수를 물리적 뱅크와 동일수까지 삭감할 수 있어, 종래의 화상 데이터용 메모리에 비해서 버스 배선수는 1/p로 감소한다. 이것은 표시 화상을 n2개(n=4)의 화소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그룹으로 분할하고, 물리적 뱅크는 각각 적어도 화소 그룹내의 n개의 화소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에 형성하며, 상기 메모리 버스는 각 물리적 뱅크와 1 대 1 대응하여 마련되고 또한 각각이 상기 표시 화상에 필요한 버스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메모리 버스의 배선수와 동시 판독되는 화소 데이터에 필요한 배선수가 동일해지기 때문에, 선택기는 불필요하다. 그 결과, 화상 데이터용 메모리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대화면 고계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화상을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그룹으로 분할하고, 물리적 뱅크는 각각 적어도 화소 그룹내의 복수의 화소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 버스는 각 물리적 뱅크와 1 대 1 대응하여 마련되고 또한 각각이 상기 표시 화상에 필요한 버스폭을 갖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버스 개수를 물리적 뱅크와 동일수까지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 데이터용 메모리에 비해서 메모리 버스의 배선수는 1/p로 감소한다. 또한, 이 메모리 버스의 배선수의 감소와 동시에 선택기의 규모도 1/p로 감소한다. 그 결과, 화상 데이터용 메모리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대화면 고계조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화상을 n2개의 화소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그룹으로 분할하고, 물리적 뱅크는 각각 적어도 화소 그룹내의 n개의 화소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 버스는 각 물리적 뱅크와 1 대 1 대응하여 마련되며 또한 각각이 상기 표시 화상에 필요한 버스폭을 갖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버스 개수를 물리적 뱅크와 동일수까지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 데이터용 메모리에 비해서 버스 배선수는 1/p로 감소한다. 또한, 메모리 버스의 배선수와 동시 판독되는 화소 데이터에 필요한 배선수가 동일해지기 때문에, 선택기는 불필요하다. 그 결과, 화상 데이터용 메모리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대화면 고계조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억 소자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디코더가, 물리적 뱅크에 기억되는 동일 화소 그룹내의 화소수와 동일수 마련되고, 또한, 각각이 모든 물리적 뱅크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선택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화상 데이터용 메모리와 같이 어드레스 디코더를 각 메모리 그룹마다 마련할 필요는 없어, 그 규모를 1/n까지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대화면 고계조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에 대하여, 표시 화상을 (n행 × p열)개를 1단위로 하는 화소 그룹마다 분할하여 기억시킴과 동시에, 각 화소 데이터를 물리적 뱅크에 기억시킬 때에, 동일한 물리적 뱅크에는 해당 화소 그룹내에 있어서 상이한 행의 상이한 열의 화소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때문에, 행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는 복수의 화소를 동시에 판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 방향에 있어서도 복수의 화소를 동시에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를 소형화하였다고 해도, 3차원 그래픽스 등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 화상이 변화한 부분을 n행 1열 단위로 리라이트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와, 표시 화상을 (n × p)개를 1단위로 하는 화소 그룹마다에 분할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기억용 집적 회로의 동일한 물리적 뱅크에는, 동일 화소 그룹내에 있어서 각 행의 상이한 열의 화소 데이터가 기억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데이터 기억 제어 수단을 갖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통상의 화소 데이터의 판독시뿐만 아니라, 3차원 그래픽스 등의 화상을 표시할 때에도, 화상이 변화한 열마다 복수 화소씩 일괄적으로 화소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3)

  1. 표시 화상을 각각이 (p × n) 화소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그룹으로 분할한 경우, 화소 그룹내의 적어도 p개의 화소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을 갖고, 기억 영역의 반복 단위로 되는 복수의 물리적 뱅크와,
    상기 복수의 물리적 뱅크와 1 대 1 대응하여 마련되고 또한 각각이 화소 데이터에 필요한 버스폭을 갖는 복수의 메모리 버스와,
    상기 복수의 메모리 버스로부터 소망의 메모리 버스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갖고,
    상기 복수의 물리적 뱅크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버스를 거쳐 상기 선택기로부터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2. 표시 화상을 각각이 (n × n) 화소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그룹으로 분할한 경우, 화소 그룹내의 적어도 n개의 화소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을 갖고, 기억 영역의 반복 단위로 되는 복수의 물리적 뱅크와,
    상기 복수의 물리적 뱅크와 1 대 1 대응하여 마련되고 또한 각각이 화소 데이터에 필요한 버스폭을 갖는 복수의 메모리 버스를 갖고,
    상기 복수의 물리적 뱅크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버스를 거쳐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3. 표시 화상을 (n × p)개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화소 그룹마다에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화소 그룹의 화소 데이터 p개씩 물리적 뱅크에 기억시키는 때에, 동일한 물리적 뱅크에는 상기 화소 그룹내의 행과 열이 상이한 화소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KR1019980026421A 1997-10-31 1998-07-01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및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KR100285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130497A JP3833366B2 (ja) 1997-10-31 1997-10-31 画像データ記憶装置
JP97-301304 1997-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547A true KR19990036547A (ko) 1999-05-25
KR100285101B1 KR100285101B1 (ko) 2001-04-02

Family

ID=1789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421A KR100285101B1 (ko) 1997-10-31 1998-07-01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및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20902A (ko)
JP (1) JP3833366B2 (ko)
KR (1) KR100285101B1 (ko)
CA (1) CA2231010C (ko)
TW (1) TW432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8552B (en) * 2000-08-18 2003-01-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ha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775736B2 (en) * 2002-01-31 2004-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mbedded DRAM system having wide data bandwidth and data transfer data protocol
TWI580514B (zh) 2015-11-13 2017-05-01 莊旭彬 浮動式夾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4152A (ja) * 1990-07-02 1992-02-28 Advantest Corp データ書込方法
US5473573A (en) * 1994-05-09 1995-12-05 Cirrus Logic, Inc. Single chip controller-memory device and a memory architecture and methods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32282B (en) 2001-05-01
US6020902A (en) 2000-02-01
JPH11134248A (ja) 1999-05-21
CA2231010A1 (en) 1999-04-30
JP3833366B2 (ja) 2006-10-11
KR100285101B1 (ko) 2001-04-02
CA2231010C (en) 200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2848B2 (en) Memory device, display control driver with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display control driver
EP0258560B1 (en) Raster display controller with variable spatial resolution and pixel data depth
EP049293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access of VRAM to provide accelerated writing of vertical lines to an output display
US4903217A (en) Frame buffer architecture capable of accessing a pixel aligned M by N array of pixels on the screen of an attached monitor
EP0269330A2 (en) Array-word-organized memory system
US4670752A (en) Hard-wired circuit for handling screen windows
US5446482A (en) Flexible graphics interface device switch selectable big and little endian modes, systems and methods
JPH09508735A (ja) 単一チップコントローラ−メモリ装置ならびに同装置を実現するのに適したメモリアーキテクチャおよび方法
JPH0375873B2 (ko)
US5523773A (en) Display driving/controlling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system
KR960015026A (ko) 평면패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EP0410777B1 (en) Video graphics display memory swizzle logic circuit and method
KR100285101B1 (ko) 화상 데이터 기억 방법 및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US20050062709A1 (en) Programmable row selection i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rs
US4942389A (en) Display control circuit
EP0196733A2 (en)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image data
GB2218881A (en) Graphics control planes
US4772883A (en) CRT display control system
US5119331A (en) Segmented flash write
US5940085A (en) Register controlled text image stretching
US7698607B2 (en) Repairing microdisplay frame buffers
JP3409927B2 (ja) 液晶ドライバの階調制御方式
JP2006309776A (ja) 画像データ記憶装置
KR20040096607A (ko)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디지털 방법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디바이스
EP091998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ler with subfram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