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268A -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 및 그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에 사용되는 섹션 - Google Patents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 및 그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에 사용되는 섹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268A
KR19990036268A KR1019980700936A KR19980700936A KR19990036268A KR 19990036268 A KR19990036268 A KR 19990036268A KR 1019980700936 A KR1019980700936 A KR 1019980700936A KR 19980700936 A KR19980700936 A KR 19980700936A KR 19990036268 A KR19990036268 A KR 1999003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ction
frame
leaf
f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제프 피슐
발터 렌쯔
오토 슈프렝어
Original Assignee
괴찡거 브렌트
그레츠-우니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0263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362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996122725 external-priority patent/DE19622725C2/de
Application filed by 괴찡거 브렌트, 그레츠-우니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괴찡거 브렌트
Publication of KR1999003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26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2Covering wooden frames with metal or plastic profil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05D15/52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with horizontally-extending ch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05D15/5214Corner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E06B1/325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comprising insulation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07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between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with thin strips, e.g. defining a hollow space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8Wing frames covered on the outside by a rigidly-mounted oute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0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 E06B3/5821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hooked on or in the frame member, fixed by clips or otherwise elastically fixed
    • E06B3/582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hooked on or in the frame member, fixed by clips or otherwise elastically fixed on or with auxiliary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2Butt type joints with at least one frame member cut off square; T-shap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06B2003/26359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making flush mounting with neighbouring metal section members pos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92Glaz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7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held in position by deformation of portions of the metal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ial W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인접부로 구성되는 리프 프레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leaf) 및 창틀을 구비하는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이다. 창틀의 적어도 한 부분적 영역에는, 창틀을 형성하는 섹션이, 창문 또는 프랜치창문의 외측에 배치되고 덮개를 형성하는 하나의 섹션부(10', 10c')와, 창문의 개방부내에 장착되어 창문 또는 프랜치창문의 내측까지 연장하는 제 2 섹션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섹션부를 연결하는 제 3 섹션부(10"', 10c"')를 가진다.

Description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 및 그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에 사용되는 섹션
본 발명은 건물의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french window)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구항 1, 3 및 25의 전제부를 따르는 건물의 실외문 및 청구항 33, 34 및 42의 전제부에 대응하는 섹션(sec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서는, 건물의 문은 특별히 발코니 또는 테라스문 또는 건물의 프랜치창문과 같은 건물 실외문(outside door)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작고 컴팩트한 창틀섹션(casing section)에 특징이 있고, 개선된 침입방지 뿐 아니라 리프 프레임(양쪽 창문중 한 짝의 프레임; leaf frame)을 기후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건물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의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은 청구항 1, 3 및 25에 따라서 설계된다. 섹션(section)은 청구항 33, 34 및 42에 의하여 설계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공통으로 적용된다:
· 각각의 시스템은 매우 경제적인 해답을 제시한다; 특히, 창문 또는 프랜치창문 리프(leaf, 양쪽 창문중 한 짝)의 추가적인 외부 커버가 필요하지 않다.
·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다른 고강도의 금속, 섬유-보강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창틀섹션(casing section)은 매우 가느다랗거나 좁은 치수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미리 정해진 치수의 건물창문에서 더 큰 유리면적 및 더 높은 일조량이 가능해진다.
· 창문틀은 비록 가느다랗고 좁은 치수에도 불구하고, 극단적으로 우수한 정적 및 동적 유용성을 가진다.
· 창문틀은 어떠한 수분도 흡수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유발되는 체적변화나 기능의 악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 침입용 도구의 삽입에 적당한 창틀 및 리프 프레임(leaf frame) 사이의 간격이 사실상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은 개선된 침입방지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창틀섹션(casing section)"은, 직접 석벽(masonry)에 인접하는 창틀 외부부분 및 창틀 횡대(step)가 만드는 부분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기초로 하여 다음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건물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의 창틀뿐 아니라 리프 프레임을 관통하는 수평 및 수직 단면의 간단한 형상을 도시하며, 특히, 예를 들면, 창문 또는 프랜치창문의 하부 수평부 영역을 도시한다.
도 2는 건물의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의 결합구조를 관통하는 수평 및 수직단면 뿐 아니라, 두 개의 인접하는 리프(leaf)의 수직 또는 수평요소를 관통하는 수평 및 수직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단단한 횡대(solid step)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4는 건물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을 관통하는 커프스(cuff)를 형성하는 수평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창틀뿐 아니라 리프 프레임을 관통하고 또한, 건물 창문 또는 프랜치창문의 인접 석벽(masonry)을 관통하는 수평 및/또는 수직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단단한 횡대(step)의 경우에, 두 개의 인접횡대의 수직 및 수평요소를 관통할 뿐 아니라, 건물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의 결합구조를 관통하는 수평 또는 수직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1의 창틀 단면과 약간 다른 창틀 단면을 가지고, 플라스틱으로 된 리프프레임(leaf frame)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가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9는 단단한 횡대(step)를 통과하고, 두 개의 인접 리프(leaf)의 수평 또는 수직요소를 관통하는 수직 또는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단단한 횡대(step)를 관통하는 수평 또는 수직 단면 및 그 횡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리프(leaf)와 횡대의 다른 쪽 면에 배치되어 있는 단단한 부분(solid field)을 도시한다.
도 11은 창틀에 배치되어 있는 건물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의 두 개의 인접 부분(field)의 내부를 보여주는 부분도이다.
도 12는 커프스(cuff)를 형성하는 건물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의 리프프레임을 관통하는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리프상에 배치되어 있는 횡대(step)를 통과하는 수평 또는 수직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단단한 부분 영역내에 있는 건물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의 창틀을 통과하는 수평 또는 수직 단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단단한 부분내에서 사용되기 위한 창틀 단면상에 장착되는 고정부(fastening section)와 함께 유리 스트립(strip) 지지부를 도시하는 상세단면도이다.
도 16은 프랜치창문 다리(leg)의 하부 수평부를 통과할뿐 아니라, 프랜치창문 창틀의 하부 수평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창틀내에 배치되어 있는 단단한 횡대 설비(cross step arrangement)의 횡단 조인트(cross joint)을 도시하는 간단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19는 창틀섹션을 수평 또는 수직 단면으로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 창틀섹션 및 횡단-횡대 설비의 횡대(段) 단부의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도 19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리프 프레임상에 배치되어 있는 횡대를 구비하고 있다.
도 22는 도 10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22의 좌측 단단한 부분 및 도면내에서 선회 및/또는 틸트할 수 있는 우측 리프 사이의 목재부로 되어 있는 단단한 횡대를 가진다.
도 23은 틸트(tilt) 또는 선회할 수 있는 상부 리프(leaf) 및 하부의 단단한 부분 사이의 연결부를 보여주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창틀내에 배치되어 있는 수평인 단단한 횡대(step) 및 이러한 횡대에 인접하여 선회 또는 틸트할 수 있는 상하 리프(leaf)를 구비한다.
도 25는 구조적 창유리(glazing) 내에 있는 인접 리프 프레임뿐 아니라 창틀도 관통하는 수평 또는 수직 단면을 도시한다.
도 26은 밀봉 부품으로 밀봉된 창틀을 관통하는 수평 또는 수직 단면을 도시한다.
도 27은 도 8의 단면을 보여주는 확대 상세도이다.
도 28은 도 1에 있는 창틀의 구석 부분을 외부에서 본 부분도이다.
도 29는 건물 창문의 창틀뿐 아니라 리프 프레임도 관통하는 수평 단면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으로서, 특히, 회전-틸팅(tilting)리프로 설계되는 창문 리프를 구비한다.
도 30은 도 29의 건물 창문에 있는 회전-틸팅 부품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파단도이다.
도 31은 상기 부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 파단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주로 건물 창문에 대한 것이지만, 건물의 프랜치(french)창문에도 적용된다. 도 1에서, 1은 긴 목재부로 형성되는 리프 프레임 2 및 리프 프레임 2내에 배치되는 격리 창유리 3을 가지는 창문 리프이다.
창문 리프 1가 선회 및/또는 틸트(tilt)하게 배치되는 창틀(casing)은 4로 표시되어 있다. 창문 개방면은 M으로 표시된다. 리프 프레임 2 또는 이러한 리프 프레임을 형성하는 목재부는, 그 리프 프레임의 외주(外周)상에 통상의 움푹 꺼진곳(fold) 5을 가진다. 내부에는, 리프 프레임 2은 창문 리프 1의 외부쪽으로 향하고, 개방부(opening)쪽으로 개방된 홈 6을 가진다. 리프의 외부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 7뿐 아니라 도시되어 있지 않은 패드(pad)에 의하여 그 홈 속에 격리 창유리가 지지된다; 외부로 향하는 부분 7을 완전하게 커버하고, 격리 창유리 3의 외부표면에 인접하는 원주 주위의 실(seal, 8, 실부분)을 가지는 리프는 유리 스트립(glass strip)의 기능을 가진다.
섹션 7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seal) 8은 고무 또는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된 외주부(circumferential section)로 형성된다. 실(seal) 8은 실(seal) 9(밀봉부)의 창문 리프의 내부에 대응한다.
서술된 창문의 특징은, 창틀 4이 인접하는 4개의 장방형 긴 창틀 구획 10으로 형성되며, 상기 긴 창틀 구획은 기본적으로 단열재 또는 단열요소를 형성하는 구획 부분 10"'을 통하여 함께 연결되는 두 개의 섹션부 10' 및 10"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창문의 외부에 위치하는 섹션부 10'는 기본적으로 창문 개방부 평면 M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섹션부 10'가 창문 리프 1가 외부쪽으로 닫혀졌을 때 평면 M에 평행한 리프 프레임 2의 외부를 완전히 커버하고, 창문 리프 1가 닫혀질 때 리프 프레임 2의 외부에 지지 또는 밀봉 표면을 형성할 정도로, 구획 부분 10"과 10"'의 이러한 창문 개구부속으로 전방으로 연장함으로써, 외부에서 보았을 때, 즉, 특별히 외부 날씨의 영향에 대해서는 밀폐된 상태에서의 창문이 금속 창문에 상당하도록 한다. 도 1의 단면도에서는, 두 섹션부 10"과 10"'가 기본적으로 평면 M에 평행하도록 놓여짐으로써, 섹션부 10"가 창문의 내부까지 연장하고, 섹션부 10'와 10"사이에 배치되는 섹션부 10"'의 섹션부 10"에서 창문외부에 인접한다.
창틀섹션 10의 특징은 전반적으로 작은 높이를 가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창틀 4에 의하여 남아있는 창문 또는 건물 창문이 단지 작은 정도로만 감소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 1에 묘사된 창문 또는 그 창틀 4 또한, 아직 사용 가능한 창틀을 특별히 석벽작업과 같은 주요한 작업을 하지 않도록 각각의 창문 개방부에 남겨두면서, 더 낡은 건물 창문을 복구하거나 교체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남아있는 창틀에 대한 적당한 절단 및/또는 세움 및/또는 노칭(notching) 이후에, 적당한 방법으로 창틀 4이 창문 개방부에 고정된다. 설명되는 실시에에서는, 창틀섹션 10이 특히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디자인을 나타낸다.
서술된 실시예에서, 구획 부분 10"'은 단열재료로 되어 있어서 열적 간격을 형성하는 두 개의 스트립형 요소 11로 구성되며, 요소 11의 두 가장자리가 인접하는 구획 부분 10'과 10"의 홈에 편안하게 파묻히고, 외부 쪽에 가까이 있는 밀폐된 채널형(channel-like) 공동 12이 그 사이에 형성되고, 창틀 외부표면상의 주조면(molded flat) 및 도 1의 도면평면에 수직하도록 연장됨으로써, 외부에서는 기본적으로 도 1의 단면도에 있는 섹션부 10"'에 대하여, 특히 평면 M에 수직하는 평면을 가지는 장방형 단면이 생긴다.
섹션부 10'는 기본적으로 창틀 4가 설치될 때, 수직 평면, 즉, 평면 M에 평행한 평면내에 놓이는 벽섹션 13과, 자유 단부, 즉 구획 부분 10"'으로부터 악간 떨어진 곳에서는 경사진 솟아오른 벽 부분 14로 구성된다. 벽섹션 14 아래상에 주조되는 추가적인 리브(rib) 15의 개방 가장자리 및 벽섹션 14의 개방 가장자리를 가지고, 이러한 벽섹션 14은 창문 리프 1가 닫혀질 때 얹혀져 있는 실(seal) 8과 맞부딪히는 지지평면을 형성한다. 벽섹션 14의 상부면 및 실(seal) 8의 외부표면 양자 모두가 경사진 외부윤곽을 가지기 때문에, 빗물을 위한 외부 배수부(drain)가 형성된다.
섹션부 10"'가 섹션부 10'상에 얹혀져 있는 곳에서는, 벽섹션 13과 평행하고 벽섹션 13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벽섹션 16을 가지는 내부상에 구획 부분 10이 배열된다. 벽섹션 13과 16은 상부 가로대(rail) 17 및 하부 가로대 1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가로대 17 영역에서는, 창틀 4위에 배치되는 외주 외부 실(circumferential outer seal) 19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그곳에 기대어 닫혀진 창문 리프 1가 리프 프레임 2의 외부에 단단하게 얹혀져 있다. 섹션부 10'와 두 개의 요소 11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역시 도 1 평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 개의 스트립형의 돌출부 20, 21가 가로대 17 및 18와 반대로 향하는 벽섹션 16의 면상에 형성되며, 가운데 돌출부는 그의 자유 단부에서 비둘기꼬리 모양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요소 11를 편안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돌출부 20과 21 사이 양쪽에 비둘기꼬리 모양의 개구부(opening)가 형성된다.
구획 부분 10"은 직접 구획 부분 10"과 인접하는 벽섹션 22를 포함하며, 이러한 벽섹션은 평면 M과 평행하고, 섹션부 10"'와 마주보는 면상에 돌출부 20, 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섹션부 10"는 발모양(foot-like) 또는 스트립형(strip-like) 벽섹션 23~25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벽섹션은 창틀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평면 M에 평행하며, 도 1에 있는 각 벽섹션의 하부 자유단부에서 굴곡부 26 또는 27로 들어가게 된다. 각각의 굴곡부는 도 1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연장한다.
벽섹션 23~25은 가로대 28, 29, 30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가로대는 평면 M에 수직한 평면상에 놓여있다. 벽섹션 22 및 그곳에 있는 가로대 28 부근에는, 창틀 4위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주위 실 31을 위한 공간 또는 그루브(groove) 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창문 리프가 밀폐될 때, 리프 프레임 2이 그곳에 기대어 움푹 꺼진 영역 5내에 얹혀진다.
도 1이 추가적으로 도시하는 바에 의하면, 벽섹션 16과 22이 구획 부분 10"'의 상단면 위로 배열됨으로써, 이들 벽섹션 사이 및 섹션부 10"'위에, 따라서, 실(seal) 19와 31사이에, 물이 모일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된다. 벽섹션 16내에 있는 개구부(opening) 32 및 가로대 18의 개구부 33을 통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벽섹션 13이 가로대 18을 넘어서 아래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개구부 33는 보호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고, 그 효과로서, 외부로부터 물이 모이는 채널내부로 물이 침투하지 못하고, 바람이 있는 경우에는 가로대 17과 18 사이에 형성되는 섹션부 10'의 공간내부로도 침투하지 못한다. 창문의 폭방향으로, 즉, 도 1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부 32 및 33이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도 1은 창문 리프 1과 창틀 4의 하부 수평부분을 통과하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리프 프레임 2와 창틀 4는 수직부분, 상부 수평 부분을 포함하는 주위 전반에 걸쳐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으나, 물배출 개구부 32 및 33는 단지 아랫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문 리프 1이 틸트(tilt) 및/또는 선회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동일한 창틀 4를 사용한다면, 기본적으로 단단한 유리 부분 및 틸트 및/또는 선회할 수 있는 창문 리프가 건물 외부에서 보았을 때 똑같이 보이는 장점을 가지면서, 단단한 유리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창문 내부에서는, 도 1의 34로 표시되는 것과 같이, 창틀섹션 10 또는 섹션부 10"가 목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차폐물(shield) 또는 덮개 리지(covering ridge)에 의하여 덮여질 수 있음으로써, 적어도 창문이 닫혀 있는 때에는 목재 창문인 것같은 인상을 줄 수 있다. 동시에 차폐물 34는 창틀을 둘러싸면서, 창틀 4의 외부표면 및 창문 개방부의 경계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추가적인 실(seal)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수직대(vertical step) 35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대는 각각이 리프 프레임 2를 가지고 근접한 상태에 있는 두 개의 창문 리프 뿐 아니라, 달리 도시되지 않은 창틀의 구성요소이다. 창문횡대(window step) 35은 두 개의 창틀섹션 10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창틀섹션은 마주보는 굴곡부 26과 27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고 있으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외부를 가진다. 여기서 서술되는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벽섹션 22와 23 사이에 형성되는 창틀섹션 10의 홈에 각각 묻히는 T-다리 37 및, 다른 T-다리 38상에 배치되고 벽섹션 24와 25 사이에 형성되는 창틀섹션 10의 홈과 거기에 있는 굴곡부 27의 후면으로부터 꽉 물리는 플라스틱 등으로 된 클랭핑 또는 지지스트립 39를 가지는 이중 T부분으로 구성되는 스페이서부 또는 연결기 36에 의해서 두 개의 창틀섹션 10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품 36은 벽섹션 23과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창틀섹션 12의 홈내에 묻히고, 그곳에 위치하고 있는 굴곡부 26과 27의 뒤에서 물려서, 활스프링(bow spring)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잠금요소 4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품(connection piece)은 단지 섹션부 10" 사이에서만 연장한다. 섹션부 10"'사이 지역에서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밀봉 스트립(밀봉부) 41이 횡대 35의 외부상에 배치되어 있고, 이 밀봉 스트립은 두 개의 창틀섹션 10 사이의 틈을 메운다.
창틀섹션 10와 리프 프레임 2 디자인의 다른 부분은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연결부품 36이 창문의 내부까지 연장하는 것이 점선 36'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은 예를 들면, 창문 횡대 35의 강도가 더 높을 필요가 있고(있거나), 창문 횡대 35이 다른 방식으로 건물부분에 고착되어야 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와 같이, 도 3은 단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창틀섹션 10이 제공된다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이중부분 10와 기본적으로 대등한 디자인으로 표현되지만, 두 개의 외부 섹션부 10' 대신에 관통 진행부 10a가 제공되며, 창틀섹션이 공통부분 10a으로 결합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창문 횡대 35과 구별되는 창문 횡대 35a를 도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수평 단면에 대한 부분도인 도 4는 창문이 닫혀 있을 때 두 개의 리프 사이에 형성되는 커프스(cuff)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창문 리프를 도시한다.
도 4의 좌측 창문 리프 1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창문의 리프 프레임 2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의 우측 창문 리프 1a는 닫혀진 창문 리프가 직접 접합되는 커프스(cuff) 42 영역에서 리프 프레임부분 2a를 구비하며, 닫혀진 창문의 내부상에 있는 수직 간극 43이 창문 리프 사이의 한가운데로 진행하도록 위치한다; 닫혀진 리프부분은 정확하게 커프스(cuff) 영역내에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배치된다.
주변의 외부 실(seal) 19을 가지고 덮개를 형성하는 금속부 44가 창문 또는 리프 프레임 2의 외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창문이 닫혀있을 때, 리프 프레임 2이 상기 금속부와 맞닿으면서 얹혀진다. 또한, 금속부 44는 리프 프레임 2a에서 떨어져 있는 단부에서 창문 리프 1의 실(seal) 8을 위한 지지표면을 형성한다. 다른 쪽 단부에서는, 금속부 44가 창문 리프 1a의 실(seal) 8과 접촉하여 밀봉되는 지지표면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창문의 특징은 창틀의 상하 수평부분 각각이 창문의 전체 폭에 걸쳐 관통 진행부를 만드는 창틀섹션 10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커프스 영역 42에서는, 특히, 창문 1과 1a가 닫혀졌을 때 금속부 44가 각각의 홈 45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이러한 창틀섹션 각각의 벽섹션 14이 우묵하게 파여짐으로써, 창문이 닫혀질 때, 금속부 44가 벽섹션 13과 1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창틀섹션 10의 공간내로 각각 상하에서 연장한다.
도 5는 도 1과 유사한 부분을 도시하며, 개조된 건물 창문인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창틀 또는 창틀섹션 10이 창문 공동(cavity)내에서 외부로 약간 돌출되어 있고, 이미 존재하는 오래되고 깍여진(milled-off) 목재 창틀 46에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단열을 위하여, 창틀섹션 및 움푹 꺼진 곳(fold) 사이 공간은 단열재료 47로 채워진다. 또한, 밀봉부 또는 밀봉스트립 48 및 석벽 50과 낡은 창틀 46 사이의 밀봉간극 49은, 요소 11로 형성되고 단열부를 제공하는 부분 아래에 위치한다.
가능한 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35b가 창틀의 수평 또는 수직의 단단한 대(solid step)이며, 35b는 섹션부 10a와 10a'에 대응하며, 열적 절연을 위하여 요소 1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섹션부 10b, 10b'로 구성된다. 부분 10b 및 10b'는 예를 들면, 금속 또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합금으로 되어 있다.
닫혀질 때 횡대 35b 부분에서 서로 접합되는 두 개의 목재 리프 프레임은 2b로 표시되어 있다. 리프 프레임 2b가 닫혀지는 경우에 횡대 35b가 완전하게 수용되는 홈 51이 두 개의 리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외부 우묵한 곳(fold) 부분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도 6에 위에 놓여있는 내부에서 보았을 때, 횡대 35b는 닫혀진 리프 프레임 2b에 의하여 덮여져 있고, 단지 하나의 슬롯 52만이 보여지며, 슬롯의 폭은, 예를 들면, 리프 프레임 2b 및 건물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차폐물이나 덮개 스트립 34의 사이와 같이, 창틀과 리프 프레임 사이의 각각의 리프 프레임 2b의 다른 가장자리에 있는 슬롯의 폭과 등일하다. 어떠한 리프가 닫혀졌을 때, 균일한 폭의 주위 슬롯이 형성된다.
닫혀진 리프 프레임 2b의 평면에 수직하는 방향에서는, 횡대 35b가 이러한 축방향으로 리프 프레임 2b의 두께보다 작은 치수를 가진다.
도 3과 관련하여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닫혀진 리프 프레임 2b 역시, 횡대 35b 부분의 외부상에 얹혀지고, 창문 리프 1 또는 리프 프레임 2b의 실(seal) 8과 접촉하는 두 가장자리를 가지는 부분 10b'에 의하여 완전하게 덮여진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특별한 장점은, 창문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리프 프레임 2b이 횡대 35b 부분내에서 리프 프레임 2b이 닫혀졌을 때에는 보이지 않는 동일한 폭을 가지는 방식으로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기본적으로, 전술된 부분 중일부 또는 전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은 창문 리프 1c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창문 리프의 리프 프레임 2c은 몇몇의 챔버를 가지는 플라스틱 공동부(hollow section)로 생산되는 리프 프레임 부분 53으로 제조되며, 특히,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철, 이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되어 있고, 리프의 배부 영역에 위치되는 외부적으로 덮여진 내부 보강부 54를 가진다. 다른 경우에는, 리프 프레임 부분 53은 외부에서 리프 프레임 2의 움푹 꺼진 부분(fold) 5 또는 동일한 부분 형상을 가진다. 창틀섹션 10c은 섹션 10과 매우 유사하다. 각각의 경우에, 이러한 부분에 의하여 꽉 끼이는 창문 개방부의 내부상에는, 창틀섹션 10c의 형상 또는 모양지어진 부품이 부분 10의 형상 또는 모양지어진 부분에 대응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금속으로 된 외부 부분 10c'과 역시 금속으로 되어 있는 내부 부분 10c" 및 상기 두 섹션부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 10c"'을 가지고 부분 10에 대응하는 창틀섹션 10c에 의하여 창틀이 형성된다. 구획 부분 10c'은 섹션부 10'에 대응된다. 구획 부분 10c"은 가로대 또는 벽섹션 29에 평행하며, 다른 벽섹션 29'가 창틀의 외주 영역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구획 부분 10"와 구별된다. 굴곡부 26과 27을 가지는 벽섹션 23, 24 및 25이 이러한 다른 벽섹션 또는 가로대상에 배치된다. 가로대 23과 25는 두 개의 벽섹션 29와 29'을 동시에 밀폐된 공동부분에 연결한다.
또한, 도 7에서는,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구멍이 구획 부분 10'에 삽입되는 다른 영역이 33c로 표시되어 있다.
창틀섹션 10, 10a, 10b, 10c 및 대응하는 리프 프레임 2, 2a, 2b, 2c는 창문 또는 프랜치창문을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을 형성하며, 특히, 닫혀진 리프의 리프 프레임이 섹션부 10', 10a' 또는 10c'에 의해서 외부에서 완전하게 덮여짐으로써, 기본적으로 단지 단열창유리(insulating glazing)만이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닫혀진 상태에서는, 리프 프레임 2, 2a, 2b 및 2c가 완전하게 창틀 4의 내부에 있다는, 즉, 특히 개별적인 리프 프레임의 내부에서는 창틀의 내부 표면을 덮기 위한 커버(cover)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도 8 내지 17은 건물의 문 또는 프랜치 창문의 내부에서 전술한 것과 같은 시각상의 디자인을 유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외부에서는 리프 프레임이 특정한 리프-프레임 외부 부분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부분에 의하여 덮여지며, 리프가 닫혀져 있을 때에는 창틀에 연결된다. 리프가 닫혀질 때에는, 그 외부표면이 외부 부분에 의하여 다시 덮여지지만, 시각상의 분리는 제공된다.
도 8에서, 1d는 긴 목재부로 형성된 리프 프레임 2d 및 이 리프 프레임에 비치되어 있는 단열 창유리 3를 가지는 창문 리프이다. 창틀은 4d로 표시되어 있다.창문 리프 1d는 창틀내에서 틸트(tilt) 및/또는 선회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창문 개방부 평면은 M으로 표시된다. 리프 프레임 2d 또는 이러한 리프 프레임을 형성하는 목재부는 리프 프레임, 특히 리프 프레임의 외주(outer periphery) 상에 있는 보통의 움푹 꺼진 곳(fold) 5 및, 리프 프레임 1d의 바깥쪽으로 개방되고, 또한 창문 개방부쪽으로 개방되며, 도시되지 않은 패드와 추가적인 리프 프레임 외부부분 55에 의하여 내부에 단열 창유리가 제 위치에 고정되고, 이러한 점에서 유리를 빼내는 기능도 가지는 홈(recess) 6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은 단면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을 압출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지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은 각각이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의 전체 길이를 넘어서 연장하는 몇몇의 벽 또는 섹션부(section part)를 가진다. 이러한 외부 부분의 외부 표면은,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이 리프 1d상에 장착될 때 단열 창유리 3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내에 놓이는 벽섹션 56에 의하여 주로 결정된다. 도 8에서는, 벽섹션 56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부 영역에서 벽섹션 56 평면에 수직으로 진행하는 두 개의 벽 부분 57과 58로 변하며, 두 개의 벽섹션 57과 58은 벽섹션 56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의 길이방항으로 연장하고, 단열 창유리 3의 외부표면과 접하는 자유 가장자리 57'와 58'를 가진다.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는, 리프 프레임 2d과 마주보는 벽섹션 56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고, 벽섹션 57과 58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길이측면(longitudinal side)상에서 벽섹션 56 평면에 수직한 평면내에 있는 벽섹션 59을 가진다. 벽섹션 56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벽섹션 59의 단부에서는, 벽섹션 59가 또 다른 벽섹션 60으로 변한다. 벽섹션 56 평면에 평행한 평면내에 놓여진 이러한 벽섹션 60은 벽섹션 56의 가장자리 56'를 넘어서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창틀 4d까지 돌출한다. 벽섹션 60은 벽섹션 59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단부 61에서 고리모양이 되고, 특히, 이러한 단부 부분에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고, 벽섹션 57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그루브(groove) 62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는 특히, 벽섹션 56과 마주보지 않는 벽섹션 60의 측면에서 벽섹션 60과 다리형상의 벽섹션 63 사이에서 형성된다. 외부에서는, 벽섹션 56 평면에 수직인 평면내에 놓여지는 가로대 형상의 벽섹션 64이 벽섹션 63상에 형성되며, 벽섹션 64의 자유 가장자리는 리프 프레임 2d의 외부표면에 접하여 얹혀진다.
벽섹션 60과 마주보는 벽섹션 57 측면상에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그루브 62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그루브 65가 형성되며, 이러한 그루브 65는 그루브 62와 공통의 평면내에 놓여짐으로써, 상기 평면이 벽섹션 56 평면과 평행하게 된다.
두 개의 그루브 62 및 65는 지지클립 66에 의하여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를 리프 프레임 2d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지지클립 66은 기본적으로 U-형상의 긴 금속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속부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멍에(yoke) 형상의 벽섹션 67상에서, 각 지지클립은 이러한 벽섹션의 공통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다리형상의 벽섹션 68과 69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다리형상의 벽섹션은 그 자유 단부에서 바깥으로 각져 있는 벽섹션 70 또는 71로 변화하고, 스트립형상으로 설계되며, 벽섹션 67 평면에 평행한 공통 평면내에 놓여진다. 벽섹션 68 및 69와 마주보지 않는 쪽에는, 벽섹션 67의 대략 중앙에 가로대 형상의 벽섹션 72가 형성되며, 벽섹션 67의 면 중에서 벽섹션 68과 69와 마주보지 않는 면에서 직각으로 일정거리를 가진다.
개별적인 지지클립 66은 벽섹션 67 내지 72를 가지는 돌출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생성된다. 지지클립 66을 고정하기 위하여, 바깥으로부터 벽섹션 72가 삽입되어야 하는 슬롯 73을 가지는 리프 프레임 2d이 제공되며, 슬롯은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단열 창유리 3의 평면에 수직이다. 구멍이 리프 프레임 2d의 움푹 꺼진 곳(fold) 5으로부터 리프 프레임 및 벽섹션 72내부로 삽입된다.잠금 핀 74이 이 구멍으로 압박되고 진행함으로써, 그루브 62 또는 65내에서 벽섹션 70 또는 71이 꽉 끼이게 되고, 리프 프레임 2d상에 있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 또한 리프 프레임과 함께 제 위치에 지지된다.
이러한 자유 가장자리 57'와 58' 및 단열 창유리 3의 외부 표면 사이에, 실(seal) 75가 배열되며, 그 실(seal)은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전에 완성된 밀봉부 또는 밀봉 스트립(건조 창유리계) 및 단열 창유리와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이 인가된 후에 추가적으로 인가되는 경화된 밀봉요소(액체 창유리계)의 두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물론, 실(seal) 75이 사전에 완성된 밀봉부로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인가된 경화 밀봉요소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실(seal) 9도 같은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창틀 4d이 직각으로 서로 접합되는 네 개의 긴 창틀섹션 10d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창틀섹션은 기본적으로 예컨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된 두 개의 섹션부로 구성되며, 특히, 창문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획 부분 10d' 및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획 부분 10d"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구획 부분은 단열체 또는 단열요소를 형성하는 구획 부분 10d"'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 8 및 도 2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획 부분 10d"은 섹션부 10c"와 동일하고, 섹션부 10d"'는 섹션부 10c"' 또는 10"'와 동일하다. 섹션부 10d'는 기본적으로 섹션부 10c'와 비교할 때 작은 높이를 가지며, 또한 구획 부분 10d"'과 마주보는 내부 벽섹션 76이 벽섹션 77을 마주보지 않는 측면상에 열적 간격을 위하여 사용되는 섹션부 10d"'의 요소 11를 제 위치에 지지 하기 위한 돌출부 20과 21를 가지고, 두 개의 평행한 벽섹션 76과 77을 가지는 밀폐된 공동부분으로 설계된다는 점에서 구획 부분 10c'와는 다르다. 일정거리 떨어져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두 개의 벽섹션 76과 77은 두 개의 가로대(rail) 형상의 벽섹션 78과 79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 8에서 아래쪽에 있는 가로대형상의 벽섹션 79은 요소 11 사이의 대략 중앙면 부근에 위치한다. 벽섹션 78과 79가 요소 11의 평면에는 평행하지만, 벽섹션 76과 77은 이러한 평면에 수직이다. 도 8의 벽섹션 76과 77의 상단부에는, 섹션부 10d'가 벽섹션 77과 78의 연결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창문 밖에서 볼 때, 벽섹션 58과 같은 방식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다른 벽섹션 80을 구비하고 있다. 벽섹션 80의 자유 단부 및 벽섹션 78과 76 사이의 전이부(transition) 사이에는, 창문 리프 1d가 닫혀졌을 때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의 움푹 들어간 벽섹션 60의 외부 표면에 접하여 얹혀지는 실(seal) 81이 제공된다. 도 8에 묘사된 실시예에서도, 외부 실(seal) 81 이외에 실(seal) 31이 배열되어 있다. 양 실(seal) 모두가 밀폐된 주변부 실(seal)으로 설계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섹션 59을 넘어서 아래로 돌출하는 벽섹션 56의 단부 56'가 물 처마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벽섹션 56과 60이 오프셋 되어(벽섹션 56이 벽섹션 60보다 리프 프레임 2d의 외부표면을 지나 더 돌출되어 있다) 있으므로, 이러한 물 처마 가장자리는 벽섹션 80 위의 대략적으로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에서 떨어지는 물이 섹션부 10d'의 외부 표면상에서 아래로 배수된다.
도 9에서는, 다른 곳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창틀의 구성요소인 예를 들면, 수직대(vertical step) 35d 및 닫힌 상태에 있는 리프 프레임 2d을 각각 가지는 두 개의 창문 리프(leaf) 1d가 도시되어 있다. 창문대(window step) 35d는, 원칙적으로는 중앙 M'에서 거울상을 형상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창틀섹션 1d으로 형성되고, 특히, 중앙 구획 부분 10e"' 및 금속으로 되어 있는 외부 구획 부분 10e'과, 내부 섹션부 10e"를 구비한다. 횡대 35a를 위하여 도 3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열적 간격을 위하여 사용되는 두 개의 요소 11가 단지 두군데에 제공된다.
두 개의 창문 리프 1d는 도 8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의 움푹 들어간 벽섹션 60이 중앙면 M'에 대한 거울상으로 설계되는 외부 섹션부 10e'의 각각의 자유 단부와 접하도록, 밀폐된 창문 리프 1d가 장착된다는 사실과 마찬가지로, 이는 특히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 및 그의 고정에도 적용된다.
섹션부 10d'와는 달리, 섹션부 10e'는 밀폐된 공동부(hollow section)로 구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각각의 경우에 섹션부 10e'는 요소 11쪽 면상에서, 섹션부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고 내부로 개방되어 있는 그루브 형상의 나사 채널(screw channel) 82을 구비하고 있다.
평면 M'은 창문 개방부 평면 M과 수직하게 놓여 있으며, 요소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요소 11과 평행하게 놓여있다.
두 개의 추가적인 나사 채널 83이 구획 부분 10e"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 채널 및 그 속에 끼워지는 나사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절단되고 단부에서 맞부딪히는, 예를 들면 창틀섹션 10d에 대응하는 횡대(step) 35d가 창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서와 유사하게, 도 10은 횡대(step) 35d를 도시하고 있으며, 리프 프레임 2d에 대하여 틸트 및/또는 선회할 수 있는 창문 리프 1d가 단지 상기 횡대의 한쪽 면에만 제공되며, 반면에, 패드 85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횡대 35d 또는 부분 10e상에 지지되는 단열 창유리 3를 구비하는 단단한 부분(solid field) 84이 횡대 35d의 다른쪽 면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 20에서 패드 85가 내부 섹션부 10e" 및 외부 섹션부 10e'를 각각 지지한다. 단열 창유리 3가 그 가장자리 부분에 있는 외부면이 외부 주위의 실(seal) 86에 위치하면서 섹션부 10e'에 의하여 지지된다. 내부에서는, 단열 창유리 3가 내부 실(seal) 9을 통하여 목재로 되어 있는 유리 스트립 87에 의하여 제 위치에 지지된다. 유리 스트립은 섹션부 10e" 부분에 매치되는 측면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구획 부분내에 직접적으로 파묻히게 된다. 도 10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 스트립 87은, 리프 프레임 2d 및 횡대 35d 또는 창틀 사이의 접합된 곳(seam)에 대응하는 보이는 접합된 곳(seam)이 유리 스트립과 횡대 35d 사이 및 유리 스트립과 창틀 사이의 창문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주변부 홈 88을 가지는 내부상에 배치된다. 창문 리프 1d 및 단단한 부분(solid field) 84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미우 간단한 형태로 묘사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동일한 시각상의 외관이 내부에 발생된다.
수평 단면으로 나타낸 간단한 부분도인 도 12는 , 두 개의 리프 사이에 형성된 커프스(cuff) 89 영역내에 있는 두 개의 창문 리프 1d와 1e를 도시한다. 도 12의 목재로 된 하부 창문 리프 1d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이 있는 리프 프레임 2d을 가진다. 도 12에서, 목재로 된 상부 창문 리프 1e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이 있는 리프 프레임 2e뿐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되어 있고 커버(cover)를 형성하는 추가적인 커프스 섹션(cuff section)을 가진다. 이러한 부분은 기본적으로, 주조된 벽섹션 92을 통하여 리프 프레임 2e 고정되는, 특히 묘사된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핀 74에 의하여 움푹 꺼진 곳(fold) 5에 고정되는 U-형상의 벽섹션 91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다리 부분에서, 벽섹션 91은 창문이 닫혀져 있을 때, 리프 프레임 2d의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에 있는 벽섹션 60과 접하여 놓여진다. 특징은 창문이 닫혀져 있을 때, 벽섹션 91 또는 커프스 섹션 90의 외부표면이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 또는 그의 벽섹션 56과의 공통 표면상에 놓여진다는 것이다.
도 13은 리프 프레임상에 제공되어 있는 횡대(step) 93를 가지는 창문 리프 1f를 도시하고 있다. 횡대(step)를 위하여 사용되는 부분 94은, 폭과 깊이가 더 작은 크기로 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창틀 또는 횡대부 10e와 유사하게 설계되어 있다. 즉, 횡대부분은, 섹션부 10e'에 대응하는 금속으로 된 외부 섹션부 94'와, 금속으로 되어 있는 내부 섹션부 94"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섹션부 사이에는 두 개의 요소 11가 형성되어 있는 섹션부 94"'가 배치된다. 주위의 실(seal) 95을 통하여, 섹션부 94'는 양측이 단열 창유리의 외주(periphery) 부분에서 단열 창유리 3의 외부표면과 각각 접하여 얹혀있다. 횡대 93 밖에서는, 실(seal) 95가 예를 들면 도 8의 실(seal) 75로 변한다. 내부에서는, 목재로 되어 있는 부분 또는 덮개 리지(covering ridge) 96이 내부 주위 실(seal) 9을 통하여 단열 창유리의 내부표면에 접하여 얹혀짐으로써 배치된다. 덮개 리지 96는, 덮개 리지 96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고, 단열 창유리 3 평면쪽으로 개방되는 그루브형태의 홈(recess) 97을 가진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되어있는 몇몇의 U-형 지지클립 98이 홈 97내에 고정된다. 덮개 리지 96는 이러한 U-형 지지클립을 사용하여 섹션부 94"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단열 창유리 3의 내부 표면의 평면위로 돌출된다. 이러한 용도로, 지지클립 98의 다리 98'는 섹션부 94"상에 있는 래스터링(rastering)과 맞물리는 멈추개(detente)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4 및 도 15는 창틀섹션 10d이 형성되어 있는 창틀내에 있는 단단한 부분 99을 도시한다. 단단한 부분은 패드 85에 의하여 직접 창틀섹션 10d상에, 특히 패드 85와 마주보는 섹션부 10d"'의 돌출부 20상에서 제 위치에 지지되는 단열 창유리 3을 포함한다. 외부에서는, 단열 창유리 3가 섹션부 10d'상에 있는 주위 실(seal) 100을 통하여 지지되고, 내부에서는 목재부로 이루어진 유리 스트립(glass strip) 102상에 있는 주위 실(seal) 101에 의하여 지지된다. 유리 스트립은 창문 개방부와 마주보지 않는 외주측상에 배열되고, 유리 스트립 지지부 103을 구비하며, 고정부 104에 의하여 섹션부 10d에 고정된다.
두 개의 부분 103 및 104은 각각 금속 또는 점성 플라스틱으로 되어있다. 유리 스트립 지지부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다리 103'와 103"를 가지는 C-부분으로 설계된다. 다리 103'는 연장부 103"'상에 멈추개(detente) 105를 가진다(도 15). 고정부 104는, 다리 103"에 의하여 뒤에서부터 속박되는 첫 번째 다리 104'와, 멈추개 105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멈추개 106를 가지는 두 번째 다리 104"를 구비한다. 클램핑 부분(clamping section) 104"'에 의하여, 고정부 104가 섹션부 10d"상에 장착되고, 그 곳에서 클램핑에 의하여 그루브 31'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 104가 장착된 후에는, 유리 스트립 지지부 103이 미리 장착되어 있는 유리 스트립이 창문의 내부로부터, 즉 단열 창유리 3 평면에 수직하는 축방향으로 눌려진다. 이때 특히, 다리 103"이 다리 104' 아래로 이동하고, 연장부 103"'은 다리 104"아래로 이동하며, 멈추개 105가 멈추개 106뒤에서 맞물린다.
도 16은 창틀 및 하부 수평부에 있는 문 리프 1g를 도시한다. 섹션부 10d'에 대응하는 섹션부 10f'가 극단적으로 낮게 만들어지고, 상부의 오목한 아아치형의 벽섹션 80 대신 경사져 있는 벽섹션 107의 가진다는 점에서 창틀섹션 10f은 창틀섹션 10d과 기본적으로 구별된다. 벽섹션 78은 도 16의 상부 요소 11와 같은 평면내에 위치한다. 두 개의 벽섹션 76과 77내에, 물흐름 개부 또는 구멍 108' 및 109'가 벽섹션 78 바로 위에 배치된다. 주위 실(seal) 110은 벽섹션 77을 마주보지 않는 벽섹션 76의 면상에서 제 위치에 지지된다. 물 흐름개구 108' 및 109'는 상부 요소 1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물 집합채널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두 개의 요소 11사이의 공간에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고저항 폼(foam) 111과 같이, 단열은 되지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충전물로 채워진다.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 대신,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보다 더 평편하지만, 벽섹션 56과 특히, 움푹 꺼진 벽섹션 60을 가지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a이 사용되며, 벽섹션 60을 통하여 이러한 부분 55a이 리프 프레임 2g의 외부 표면에 접하여 직접 얹혀진다. 벽섹션 56 내부상에 주조되어 있는 유형의 가로대 112 및 굴곡부 113에 의하여, 부분 55a이 리프 프레임 2g상의 제 위치에 지지된다.
도 17은 도 16과 유사하지만, 문 리프 1h와 리프 프레임 2h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디자인은 리프 프레임 부분 55에 대응하지만, 약간 더 큰 높이를 가지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b이 리프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고정된다.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클립 66a가 사용되며, 지지클립이 각 잠금핀 74을 통하여 두 곳에서 지지되도록, 뒤쪽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있고, 각각이 리프 프레임 2h내의 슬롯 73내부로 파묻히는 두 개의 벽섹션 72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지지클립 66a는 기본적으로 지지클립 66과 구별된다.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b상에는, 물 배출부로 사용되는 부분 114이, 바깥쪽으로 진행하는 벽섹션 114'를 가지면서 벽섹션 56의 하부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다.
창틀의 하부 수평부에 창틀섹션 10g이 형성되어 있으며, 창틀섹션의 내부 및 중앙 섹션부인 10g"과 10g"'가 섹션부 10d'와 10d"와 대응하고, 그 외부 섹션부 10g'는 기본적으로 H-부, 즉, 두 개의 짧은 벽섹션 76과 77 및 그들을 연결하는 벽섹션 79를 가짐으로써 벽섹션 80이 제거된 부분으로 한정되고, 벽섹션 78로부터 단지 두 개의 가로대가 상부 요소 11과 같은 평면내에서 내부로 연장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탄성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재료로 되어 있는 덮개부 115가 창틀섹션 10g에 고정된다. 덮개부는 섹션부 10g'와 10g"'를 덮고, 한 쪽에서는 다리 22를 둘러싸는 이러한 다리부분을 가지고, 다른 쪽에서는 위로부터 섹션부 10g'상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가짐으로써, 제 위치에 지지된다. 덮개부 115의 상단면은 바깥으로 경사져 있다. 덮개부 115는 동시에 리프 프레임 2f와 함께 작용하는 실(seal)을 형성한다.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는 낮은 문지방 높이(threshold height)에 의하여 구별된다. 이러한 도면에서는, 접합 플로어(floor)의 각 높이는 116으로 표시된다.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문지방 높이가 예를 들면, 약 17mm로서 극단적으로 낮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21과 관련하여 새로운 형태의 횡대 연결(step connection)이 설명될 것이다.
간단한 부분도인 도 18에는 가로지르는 횡대(cross-step)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세 개의 횡대부 10e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관통진행 횡대부(through-going step section)가 수직대 35d를 형성하고, 수직대상에 있는 두 개의 횡대부는 가로방향으로 접합하는 수평 횡대 117를 형성한다. 횡대부 10e를 연결하기 위하여, 두 쌍의 구멍(hle) 118이 수직횡대 35d를 형성하는 횡대부 또는 그 곳에 위치하는 섹션부 10e"내에 제공된다. 각 쌍의 구멍 118은 서로 동축(coaxial)이며, 중앙 평면 M'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도 18에서는, 구멍의 쌍들이 이 도면의 기준면에 수직하게 서로의 뒤에 놓여있음으로써, 단 한 쌍의 구멍만을 볼 수 있다. 구멍 118은 두 개의 나사 채널을 가로지른다. 한 쌍의 각 구멍과 횡대 35d의 길이방향 연장부의 방향에 있는 다른 쌍의 대응 구멍 사이의 거리는 나사 채널 8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구멍 118에는, 양 단부가 섹션부 10e"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있고, 각각이 인접하는 횡대 117의 섹션부 10e의 나사채널 83내에 파묻히며, 그 곳에서 클램핑 지지부에 의하여 제 위치에 지지되는 연결핀 119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횡대 35d의 섹션부 10e" 및 117 사이의 횡단 연결은 핀 119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횡대 35d와 117의 섹션부 10e' 역시 핀 120에 의하여 연결된다. 횡대의 길이방향으로 오프셋(offset) 되어 있는 두 개의 구멍 121이 수직대 35(도 20)의 일부분인 10e의 섹션부 10e'의 두 길이방향 면내에 배치된다. 구멍 121은 섹션부 10e'상에 있는 두 개의 나사 채널 82만큼 떨어져 있다. 각각의 경우에, 핀 120은 수평 횡대 117의 섹션부 10e'에 있는 나사 채널 82내에 배치된다. 섹션부 10e'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핀 120 단부가 구멍 121속으로 진행한다. 유사하게, 횡단 접합부(cross joint)에서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단부에서, 횡대 35d와 117의 섹션부 10e'가 창틀 또는 이러한 창틀을 형성하는 부분 10d에 연결된다. 즉, 벽섹션 76과 77에 평행하고 벽섹션 78과 79의 평면에는수직인 구멍 121이 섹션부 10d' 또는 그에 위치하고 있는 벽섹션 78과 80내에 배치된다. 첫 번째 횡대 35d와 117가 핀 119와 120에 의해서 전술한 방식으로 횡단 접합부(cross joint)에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가로지르는 횡대 35d/117가 장착된다. 그 다음으로, 완성된 가로지르는 횡대가 이미 완성되어 있는 창틀에 사용된다. 그러면, 섹션부 10e'의 나사 채널 82내에 있는 핀이, 각 핀이 그 길이의 일부가 나사 채널 82내에 놓여지고, 핀 길이의 다른 부분이 구멍 121내에 놓일 때까지, 나사드라이버와 같은 적당한 공구에 의하여, 이러한 섹션부의 내부로부터 창틀 섹션부 10d'의 구멍 121 내부로 이동한다. 나사 채널 82 또는 그들의 슬롯이 뒤쪽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다는 사실에 의하여, 이러한 창틀 4d 및 횡대 117 사이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도 21은 횡대부 또는 섹션부 94' 및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 사이의 연결부를 도시한다. 섹션부 94'의 나사채널 82내에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핀을 사용하여 이러한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핀 120이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5내에 제공되어 있는 구멍 121로 눌려질 수 있도록, 나사 채널 82 및 그들의 슬롯이 구획 94의 내부로부터 접근가능하다.
도 22는 리프 1과 1d사이에 있는 도 4의 커프스(cuff) 42와 유사한 창문 커프스 42a를 도시한다. 금속부 44 대신, 약간 높은 금속부 44a가 사용되며, 이러한 금속부 44a는 다리 44a'를 가지고, 그 외부 표면이 도 2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창틀섹션 10의 외부 섹션부 10'의 벽섹션 13 외부표면까지 대략적으로 연장한다.
커프스(cuff) 디자인 42과 유사하게, 커프스 디자인 42a 또한 틸트 및 선회할 수 있는 창문 리프 1 및 리프 1a 대신 제공되고, 그 속에서 리프 프레임 2a이 수직대(vertical step)과 같은 단단한 대(step)를 형성하는 단단한 부분(solid field)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단면인 도 23 및 도 24는 수평 횡대(step) 122 또는 123 영역에 있는 창문 설비를 도시하고 있다. 횡대(step)는 예를 들면, 목재로 만들어진다. 횡대 122는 도 23에 있는 단단한 부분의 한 구성요소이다. 부분 44a에 대응하는 금속부 44b가 횡대 122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속부는 도 22의 하부 다리(leg)가 생략되고 굴곡부 124로 대체되었다는 점에서 부분 44a와 구분된다. 단단한 부분 84b의 외부 실(seal) 8 및 상기 굴곡부 사이에는, 비교적 넓은 슬롯 125이 있음으로써, 후방으로부터의 환기를 제공하고, 물이 배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전히, 외부 실(seal) 8은 부분 44b에 의하여 매우 큰 범위에 걸쳐 덮여있다.
도 24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리프 1이 횡대(step) 123에 연결되어 있다. 횡대 바깥에서는, 부분 44b에 대응되는 부분 44c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분 44c은 더 큰 폭을 가지고, 부분 44c상에 두 개의 외부 주변 실(seal) 19이 배열되어 있다는 점에서 부분 44b과 다르다.
물 집합채널 126이 횡대 123내에 형성되고, 그로부터 물이 양단부에서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경사 구멍 127을 통하여 배출된다. 각각의 경우에, 구멍 127은 부분 44c 뒤의 공간에서 끝난다. 하부 슬롯으로 물을 제거하는 것은 구획 가로대에 있는 대응 구멍 128에 의하여 보장된다.
도 25는 건축용 창유리, 즉, 창문 리프(leaf) 1i에 사용되는 창틀섹션 10d의 용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창문이 열려 있을 때에는 단열 창유리가 완전하게 보여지고, 창문이 닫혀져 있을 때에는 섹션부 10d'상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주변 실(seal) 81에 의해서 그 가장자리 부분만이 덮여지는 방식으로, 단열 창유리 3가 리프 프레임 2i상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단열 창유리 3를 보호하는 모서리 금속 지지부 129가 리프 프레임 2i에 고정되어 있다.
도 26은 모서리에서 외부 섹션부 10d' 후방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 부품 130과 함께 창틀섹션 10d을 도시한다.
모든 부분 10~10g 및 94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사출성형되고, 돌출부 20과 2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그루브 속으로 요소 11의 길이방향 가장자리가 연장될 수 있도록 적당한 장치내에서 요소 11과 합쳐지는 제 1 및 제 2 섹션부 10'~10g'와 10"~10g" 또는 94'와 94"로 생산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롤러(roller)를 가지는 장치를 사용하여, 요소 11의 가장자리가 돌출부 20과 21 사이에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외부 돌출부 20를 계속적으로 변형하거나, 내부 돌출부 21쪽으로 굽혀진다.
섹션부 10'와 10"은 각각,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과 같은 적당한 재료를 압출성형하여, 아래에 설명될 바와 같은 모든 벽섹션을 가진 하나의 조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섹션부 10'와 10"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PVC, 폴리아미드등과 같은 섬유보강 플라스틱(예를 들면, 유리섬유 및/또는 탄소섬유)과 같이 플라스틱 재료가 적당하다. 섹션부 10'와 10"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때에는, 후자는 중앙 섹션부 10"'를 가지는 하나의 조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섹션부 10',10", 10a', 10b', 10c', 10c", 10d', 10d", 10e', 10e", 10f', 10f", 10g', 10g", 94' 및 94"이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때에는, 분리요소 11은 고하중, 바람직하게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부분 10의 두 개의 인접 섹션부 10'를 모서리에서 연결하고,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하여 섹션부 10'에 있는 섹션부의 다리 131'와 고정되는 모서리 연결기(각진 부품)가 도 1 및 도 28에서 131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서리 연결기 131 또는 유사한 모서리 연결기가 다른 부분 10a~10g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러한 모서리 연결기에 의하여 강도 및 침입방지성이 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용 창문 및 프랜치창문은, 창문 또는 프랜치창문이 닫혀져 있을 때에는, 침입용 도구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간격이 창틀과 리프 프레임 사이에 전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침입자로부터 훌륭하게 보호될 수 있다.
수직단면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 29에는, 일반적으로 1j로 표시되고, 예를 들면, 창문 리프 1와 유사하게 설계되는 창문 리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창문 리프는 특히, 리프 프레임 2j 및 도 2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리프 프레임상에 제공되는 단열 창유리를 가진다.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틸팅 피팅(tilting fitting) 132을 사용함으로써, 창문 리프 1j가 창틀 4j내에서 틸팅 및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창틀은 도 29에서 매우 간략하게 나타나 있으며, 예를 들면 창틀섹션 10에 의하여 형성된다. 창틀 4j를 위하여, 예를 들면 창틀섹션 10c 또는 10d 와 같이 전술된 다른 창틀섹션이 사용될 수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유럽특허공개공보 번호 제 0 438 740호 공보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고, 여기서는 간략하게 나타나 있는 피팅(fitting) 132은, 리프 프레임 2j의 수평 및 수직부 사이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서, 거기에 위치하고 있는 움푹 꺼진 곳(fold) 5상에 배치되는 하부 회전 및 틸팅 베어링 133과, 로드 형상의 밀어내기 아암(push-out arm) 135을 가지는 노출장치(exhibition device) 134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 및 틸팅 베어링 133은 기본적으로, 각진 부품으로 설계되고 리프 프레임 2j에 고정되는 베어링부 136 및 창틀, 즉, 창문 개방부 영역에 있는 이러한 창틀의 하부 수직부에 고정되는 베어링부 137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형상을 하며, 그 원통축이 창문 리프 1j 평면에 평행하고 리프 프레임 2j의 하부 수평면에는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 138가 베어링부 136상에 주조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138는 그 하부에, 포켓 보어구멍(pocket borehole)으로 설계되고, 내부에서는 공동 볼(hollow ball)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의 하부 개방단 쪽으로 넓어지는 베어링 보어(bearing bore)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부 137은 베어링부 137상에 조정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자유단부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회저널(journal) 140을 갖추고 있어서, 선회 저널 140이 상기 베어링 보어내부로 끼워 맞춰진다. 피팅 132가 장착되면, 돌출부 138는 리프 프레임 2j에 있는 홈(recess) 141내에 수용된다. 홈 141은 리프 프레임 2j의 하부면상에서 개방되어 있다. 돌출부 138가 리프 프레임 2j의 하부면을 넘어서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돌출부 138이 이러한 홈 내부에 완전하게 수용된다. 예를 들면, 창틀섹션 10이 섹션부 10"상에 사용되고, 창틀섹션 10c이 섹션부 10c"상에 사용되며, 창틀섹션 10d이 섹션부 10d"상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베어링부 137는 창문의 내부에 더 가깝게 놓인 창틀섹션 부분, 특히 가로대 29상에 고정된다.
노출 장치(exhibition device) 134는, 밀어내기 아암 135의 제 1 단부에서 힌지 핀 143에 의하여 다리와 힌지(hinge)된다. 예를 들어, 창틀섹션 10, 10c 또는 10d가 섹션부 10", 10c" 또는 10d"상에 사용되는 때에는, 고정 모서리 142가 다른 다리로 창틀 4j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 핀 143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놓여 있는 제 2 단부로, 밀어내기 아암 135이, 움푹 꺼진 지역(fold) 5에 있는 리프 프레임 2j의 상부 수평부분에 비치되어 있는 미도시의 안내길(guideway)상에서 움푹 꺼진 곳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지지된다.
피팅 132은, 창문 손잡이가 작동될 때, 알려진 방법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움푹 꺼진 곳(fold) 5 내부로 안내되는 미도시의 연결 로드 145를 가지고, 움푹 꺼진 부분 5내에 배치되며, 피팅이 닫혀졌을 때, 창문 리프 1j를 닫기 위하여 리프 프레임 2j상에 배치되는 잠금 부품 147과 맞부딪히는 잠금요소 146 위에 설치되는 통상 사용되는 카프스 가로대(cuff rail) 144를 추가로 구비한다. 예를 들어, 창틀섹션 10, 10c 또는 10d가 사용되는 때에는, 이러한 잠금 부품 147은 섹션부 10", 10c" 또는 10d"상에, 특히, 각각 가로대(rail) 29상에 배치된다.
피팅이 닫혀진 위치 및 선회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잠금요소 146가 밀어내기 아암 135의 하면에 있는 잠금판 148과 함께 작동하며, 밀어내기 아암이 그의 제 2 단부 주위로 선회하지 못하도록 밀어내기 아암 135을 리프 프레임 2j 상에 고정시키고, 피팅이 선회위치에 있을 때에는, 창문 리프 1j가 선회핀 140과 힌지핀 143의 공통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고 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연결로드 145와 잠금요소 146을 가지는 커프스 가로대 144도 역시 리프 프레임 2j의 상부 수평부에 배치된다.
도 30과 유사한 도 31에는, 상부 노출장치 134 대신에, 돌출부 138a를 가지는 각진 베어링부 136a로 이루어지는 상부 베어링 133a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피팅 132와 구별되는 피팅 132a가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 138a는 리프 프레임의 홈(recess)내에 완전하게 수용된다. 베어링부 136a는 유사하게 베어링부 136의 상부 모서리에 고정된다. 돌출부 138a내에는, 특히 수동으로 작동되는 레버(lever) 150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선회저널 149이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 133a은, 베어링부 137에 대응하여 각각의 창틀섹션 상에 장착되고, 선회 저널(journal) 140대신에 베어링 보어(bearing bore) 151를 가지는 베어링부 137a를 포함하고, 창문 리프가 닫혀져 있거나, 창문 리프가 선회 위치에 있을 때, 베어링 보어 내에 선회저널 149이 파묻힌다. 선회 레버 150에 의하여, 선회 저널은 베어링 보어 151로부터 해제되는 방식으로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피팅 132a 또한 유럽특허공개 제 0 438 740호 공보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특히, 베어링부 136 및/또는 136a가 보이지 않게 움푹 꺼진 부분(fold) 5내에 고정되고, 돌출부 138 또는 138a도 창문 리프 내부쪽으로 밀폐되어 있는 홈(recess) 141내에 수용됨으로써, 하부 회전-틸팅(tilting) 베어링 133 및/또는 상부 베어링 133a이 시각적으로는 사실상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 피팅 132 또는 132a의 특징이다. 닫혀져 있는 창문 리프 1j가, 창틀 4j 내부표면과 동일한 높이의 덮개 없이, 그 내부표면과 함께 놓일 수 있다는 것이 피팅 132 또는 132a의 또 다른 특징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이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그 변용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베어링부 136과 137에 부착되는 방법에 있어서, 돌출부 138 및 선회저널 140은 바뀔 수 있다.
도면부호 목록
1, 1a, 1b, 1c, 1d, 1e, 1f, 1g, 1h, 1i, 1j : 창문 리프( 및 프랜치창문 리프)
2, 2a, 2b, 2c, 2d, 2e, 2f, 2g, 2h, 2i, 2j : 리프 프레임
3 : 단열 창유리 4, 4d, 4j : 창틀
5 : 움푹 꺼진 곳(fold) 6 : 홈(recess)
7 : 유리 스트립부(glass strip section)
8, 9 : 실(seal)
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 창틀섹션
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 섹션부
10", 10c", 10d", 10e", 10f", 10g" : 섹션부
10"', 10c"', 10d"', 10e"', 10f"', 10g"' : 섹션부
11 : 요소(열적 간격) 12 : 공동
13 ~ 16 : 벽섹션(구획벽) 17, 18 : 가로대(구획벽)
19 : 실(seal) 20, 21 : 돌출부 (부분돌출부)
22∼25 : 벽섹션(구획벽) 26, 27 : 굴곡부(구획 굴곡부)
28 ∼ 30 : 가로대(구획 가로대) 29' : 벽섹션
31 : 실(seal) 31' : 그루브(groove)
32, 33, 33c : 물 배출 개구 34 : 차폐물(덮개 스트립)
35, 35a, 35b : 횡대(step) 36 : 연결요소(연결부)
36' : 연장부 37, 38 : 다리(leg)
40 : 잠금요소 41 : 밀봉 스트립(밀봉부)
42, 42a : 창문 커프스(window cuff)
43 : 간격(gap) 44, 44a, 44b, 44c : 금속부
44a : 다리 45 : 홈(recess)
46 : 창틀 47 : 단열 재료
48 : 밀봉 스트립 49 : 간격
50 : 석벽(masonry) 51 : 홈
52 : 슬롯 53 : 리프 프레임
54 : 부분 55, 55a, 55b :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
56 : 벽섹션 56' : 벽
57~60 : 벽섹션 57', 58' : 가장자리(edge)
61 : 단부 62 : 그루브
63, 64 : 벽섹션 65 : 그루브
66, 66a : 지지클립 67 ~ 72 : 벽섹션
73 : 슬롯 74 : 잠금핀
75 : 실(seal) 76~80 : 벽섹션
81 : 실(seal) 82, 83 : 나사 채널(screw channel)
84, 84a, 84b : 단단한 영역(solid field)
85 : 패드(pad) 86 : 실(seal)
87 : 유리 스트립(glass strip) 88 : 홈
89 : 커프스(cuff) 90 : 커프스부(cuff section)
91, 92 : 벽섹션 93 : 횡대(step)
94, 94', 94", 94"' : 횡대부(step section)
95 : 실(seal) 96 : 덮개부
97 : 홈 98 :지지클립
98' : 다리(leg) 99 : 단단한 영역
100, 101 : 실(seal) 102 : 유리 스트립
103 : 유리 스트립 지지부 103', 103" : 다리(leg)
104 : 고정부(fastening section) 104', 104" : 다리(leg)
104"' : 클램핑부 105, 106 : 멈추개(detente)
107~109 : 벽섹션 108', 109' : 물 배출 개구/구멍
110 : 실(seal) 111 : 충전재(filling material)
112 : 가로대(rail) 113 : 굴곡부(bend)
114 : 물배출부(water repeller) 114' : 다리(leg)
115 : 덮개부 116 : 높이(level)
117 : 횡대(step) 118 : 구멍
119, 120 : 고정핀 121 : 구멍
122, 123 : 횡대(step) 124 : 굴곡부(bend)
125 : 슬롯 126 : 물 집합 채널
127, 128 : 구멍 129 : 지지부
130 : 밀봉부 131 : 모서리 연결기/각진 부품
131' : 다리(leg)
132, 132a : 회전-틸팅 피팅(rotation-tilting fitting)
133, 133a : 회전-틸팅 베어링 134 : 노출장치(exhibition device)
135 : 밀어내기 아암(push-out arm)
136, 136a, 137, 137a : 베어링부
138, 138a : 돌출부 139 : 베어링 보어(bearing bore)
140 : 선회 저널(pivot journal) 141 : 홈
142 : 고정 모서리(fastening angle)
143 : 힌지 핀 144 : 커프스 가로대(cuff rail)
145 : 연결 로드 146 : 잠금요소(locking element)
147 : 잠금 부품(locking piece) 148 : 잠금판
149 : 선회 저널(pivot journal) 150 : 레버(lever)
151 : 베어링 보어

Claims (48)

  1. 예를 들면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인접부로 구성되는 리프 프레임(2-2c)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1-1c)가 설치되는 창틀(4)로 이루어지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내에, 창틀(4, 4c)을 형성하는 창틀섹션(10, 10c)은, 상기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외측에 설치되고 덮개를 형성하는 제 1 섹션부(10', 10c')와,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개방부내에 장착되어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의 내측까지 연장하는 제 2 섹션부(10'', 10c'')와, 상기 제 1 섹션부 및 제 2 섹션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섹션부(10''', 10c''')를 가지고,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이 폐쇄되는 경우, 제 1 섹션부(10', 10c')가 외측의 리프 프레임(2, 2c)를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창문 리프(1, 1a, 1c)의 창유리는 실(seal)(8)이 제공되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스트립부(7)로 형성되는, 외부 유리 스트립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창틀 개방부 안으로 돌출한 그 자유단에 의해 창틀섹션(10)의 제 1 섹션부(10')는 상기 실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3. 예를 들면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인접부로 구성되는 리프 프레임(2-2g)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1-1i)가 설치되는 창틀(4, 4d)로 이루어지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으로, 상기 창틀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내에, 창틀(4d)을 형성하는 창틀섹션(10, 10c)은, 상기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외측에 설치되고 덮개를 형성하는 제 1 섹션부(10'-10f')와,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개방부내에 장착되어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의 내측까지 연장하는 제 2 섹션부(10''-10g'')와, 상기 제 1 섹션부 및 제 2 섹션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섹션부(10''', 10c''')를 가지고,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이 폐쇄되는 경우, 제 1 섹션부(10', 10c')가 리프 프레임(2-2g)의 외측에 설치되는 리프-프레임 외부(55, 55a, 55b)와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4. 제 3 항에 있어서,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이 그 외측의 리프 프레임(2d-2e-2g)를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는 적어도 하나의 실(75)를 통해 상기 창유리 외주 영역내의 리프 창유리에 기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은 창유리 리프용 외부 유리 스트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는 리프 프레임(2d-2g) 상의 지지 클립(66, 66a)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각 지지 클립(66, 66a)가 리프 프레임 외부의 뒷면에서 후방 카운터록(62, 65)으로부터 래스터 또는 벽섹션(70, 71)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은 벽 요부(60)을 가지고, 상기 리프가 폐쇄될 때 그 위에 창틀섹션의 제 1 섹션부(10'-10'g)가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지지 클립(66, 66a)은, 상기 리프 프레임의 슬롯(73) 내에 상기 리프의 평면과 수직인 잠금 가로대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섹션(72)를 가지고, 각 지지 클립(66, 66a)은 적어도 하나의 벽 섹션(72)를 관통하는 잠금 핀(7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핀(74)은 상기 리프 프레임의 외주에 형성되는 음푹 꺼진 곳(5)로부터 상기 리프 프레임으로 및 벽 섹션(72)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1.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전체 영역내에서 창틀(4, 4c, 4d)을 형성하는 창틀(10-10d)가 제 1, 제 2 및 제 3 섹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2.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3 섹션부(10'''-10g''')는 절연 요소로 설계되고 저 열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3 섹션부(10'''-10g''')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4.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섹션부(10'-10g'; 10''-10g'')는 각 창틀내에 금속 섹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섹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틀(4-4d)위의 유리용 실에 부가하여 외주변 실(19) 및 내주변 실(31)이 제공되어 함께 리프 프레임(2-2h)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틀 및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개방부를 둘러싸는 표면 사이의 통로를 덮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나무로 만들어지는 쉴드(3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틀 섹션(10, 10e)는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횡대(35, 35a, 35b, 35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횡대(35, 35a, 35b, 35d)는 함께 연결되는 창틀 섹션의 두 개의 일정 길이의 창틀 섹션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횡대(35)를 형성하는 상기 두 개의 일정 길이의 창틀 섹션은 연결 요소(36)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0.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 프레임(2b) 또는 상기 리프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기 나무 섹션은 인접 리프 프레임의 횡대(35b)의 영역내에 후자가 요부를 형성할 수 있는 형식으로 설계되어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내부로부터 보았을 경우 그 안에 횡대이 리프 프레임(2b)으로 완전히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1.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커프스(42, 42a)를 가지는 더블-리프 창문 또는 더블-리프 프랜치 창문으로 설계되고, 덮개를 형성하는 섹션(44, 44a, 44b, 44c, 90)은 리프 프레임(2a)의 수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2.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스 섹션(44)의 요부는 창틀의 수평 상부 영역 및 수형 하부 영역내의 창틀 섹션(10)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3.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 프레임(2-2i)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1-1i)는 창틀(4, 4c, 4d) 위에 축지 및/또는 경사지어 설치되고, 폐쇄시 리프(1-1i)는 바람직하게는 창틀(4, 4d)을 선회하고, 특히 상기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내측상에 덮개 없이 선회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폐쇄된 상태에서 리프(1-1i)는 그 리프 프레임의 내면내에 위치하거나 기본적으로는 상기 창틀 섹션의 내면(25)과의 공통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4.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 프레임(2i)의 창유리는 건축용 창유리이고, 리프(1i)가 폐쇄되는 경우 창틀섹션(10d)의 제 1 섹션부(10d')가 실(81)을 통해 그 외주에서 창유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5. 리프 프레임(2-2i; 94)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1-1i)가 설치되는 창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리프 프레임은, 예를 들면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인접부으로 구성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으로,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의 바깥쪽에 또는 상기 프랜치 창문의 안쪽에 설치되는 섹션부(10e', 94')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내에, 창틀(4, 4c, 4d)을 형성하는 섹션(10-10g; 94) 및/또는 리프 프레임을 형성하는 섹션(10-10g;94)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섹션부의 안쪽에 상기 섹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 모양의 나사 채널이 설치되어 도구 삽입용 그 슬롯을 통해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고, 상기 섹션부(10e', 94')를 상기 섹션부를 지나가는 다른 섹션부(10d', 10e')에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나사 채널(42)내에 설치되는 핀(120)이 다른 섹션(10d', 10e')내로 축운동에 의해 도입되는 홀(120)내로, 상기 핀이 나사 채널(82)의 그 길이부와 함께 및 홀(121)내의 그 길이의 다른 부분과 함께 설치되는 폭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섹션부(10e', 94')는 상기 창틀내에 또는 상기 리프 프레임내에 설치되는 횡대(35d, 93)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는 상기 리프 프레임상에 적어도 하나의 횡대(93)을 가지고, 횡대(93)은 횡대부(94)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횡대부(94)는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창유리(3)용 바깥쪽 덮개를 형성하는 제 1 섹션부(94')와, 상기 창문 또는 상기 프랜치 창문의 안쪽에 설치되는 제 2 섹션부(94'')와, 상기 제 1 및 제 2 섹션부를 연결하여 본질적으로는 횡대(93)의 영역에 인접한 창유리(3) 사이의 상기 리프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는 제 3 섹션부(9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8. 제 27 항에 있어서, 내부 덮개 스트립(96)은, 바람직하게는 클립형 지지 요소(98)의 도움으로, 제 2 섹션부(94'') 위에 놓이고, 상기 덮개 스트립은 내부 실(9)를 통해 상기 단부 영역내의 창유리 안쪽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2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물용 프랜치 창문내에 수평 하부 섹션을 형성하는 창틀 섹션(10f, 10g)는 제 1 섹션부(10f', 10g')의 영역내에 낮은 높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30. 제 29 항에 있어서, 이어진 제 3 섹션부(10g''')의 영역내에서 뿐만 아니라 제 1 섹션부(10g')의 영역내에 창틀의 수평 하부 섹션을 형성하는 창틀 섹션이 상부에서 덮개 섹션(115)에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31.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랜치 창문-프레임 외부 섹션(55b)은 워터 리펠러(114)를 형성하는 추가적인 섹션을 가지는 저부에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32.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식 부품(132a) 또는 회전-경사식 부품(132)은, 상기 리프(1j)의 회전측의 하부 및 상부 코너의 영역내에 설치되는 베어링(133, 133a, 134)을 가지면서 리프(1j) 및 케이싱(4j)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회전식 또는 회전-경사식 베어링으로 설계된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베어링은, 코너를 형성하고, 각진 부분으로부터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돌출부(138, 138a)를 가지는 리프 프레임(2j)의 양측에 음푹 꺼진 곳(5)내의 리프 프레임(2j) 위에 고정되는 제 1 앵귤러 베어링부(136, 136a)로부터 형성되고, 창틀 섹션(10, 10c, 10d)의 제 2 섹션부(10'', 10c'', 10d'')에 고정되는 제 2 베어링부(137, 137a)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양 베어링부는 베어링 보어(139, 151) 내에 삽입되는 피봇 저널(140, 149)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베어링 보어(139) 또는 피봇 저널(149)는 바람직하게는 리프 프레임(2j)의 요부내에 설치되고 리프 프레임(2j)에 의해 덮어지는 돌출부(138, 138a)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
  33. 리프 프레임(2-2c)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1-1c)는 상기 창틀위에 배치됨으로써, 리프 프레임(2-2c)이, 예를 들면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인접 섹션으로 구성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으로, 상기 창틀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내에, 창틀(4, 4c)을 형성하는 창틀 섹션(10, 10c)은, 덮개를 형성하는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제 1 섹션부(10', 10c')와,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개방부내에 장착되어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의 안쪽까지 연장되는 제 2 섹션부(10'', 10c'')와, 상기 제 1 및 제 2 섹션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 3 섹션부(10''', 10c''')를 가지고,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이 폐쇄되는 경우, 제 1 섹션부(10', 10c')가 바깥쪽의 리프 프레임(2-2c)를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
  34. 리프 프레임(2-2g)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1-1i)는 상기 창틀위에 배치됨으로써, 리프 프레임(2-2c)이, 예를 들면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인접 섹션으로 구성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으로, 상기 창틀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내에, 창틀을 형성하는 창틀 섹션(4d)은, 덮개를 형성하는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제 1 섹션부(10', 10f')와,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개방부내에 장착되어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의 안쪽까지 연장되는 제 2 섹션부(10'', 10g'')와, 상기 제 1 및 제 2 섹션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 3 섹션부(10''', 10g''')를 가지고, 제 1 섹션부(10'-10g')는,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이 폐쇄되는 경우 리프 프레임(2-2g)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에 겹쳐지는 형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3 섹션부(10'''-10g''')는 절연 요소를 설계되고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제 3 섹션부(10'''-10g''')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
  3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섹션부(10'-10g'; 10''-10g'')는 각각의 창틀 금속 섹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섹션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
  3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나무로 만들어지는 쉴드(34)가 상기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개방부를 둘러싸는 창틀(4) 및 표면 사이의 통로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
  3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틀 섹션(10, 10e)는 창문 도는 프랜치 창문 횡대(35, 35a, 35b, 35d)용 섹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
  40.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횡대(35, 35a, 35b, 35d)는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일정 길이를 가지는 창틀 섹션(10, 10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창문 또는 프랜치 창문 횡대(35)를 가지는 두 개의 일정 길이를 가지는 창틀 섹션은 연결 요소(36)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 창문의 창틀용 섹션.
  42.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가 그 바깥쪽에 있는 리프 프레임(2d-2e-2g)을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
  43. 제 42 항에 있어서, 리프 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는 리프 프레임(2d-2g) 위의 지지 클립(66, 66a)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서, 각 지지 클립(66, 66a)이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의 뒷면에 있는 후부 카운터록(62, 65)로부터 래스터링 또는 벽 섹션(70, 7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
  44. 제 42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55, 55a, 55b)은, 상기 리프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창틀 섹션의 제 1 섹션부(10'-10g')가 지지되는 움푹 들어간 벽 섹션(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
  4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지지 클립(66, 66a)은 고정 가로대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섹션(72)을 가져서 상기 리프 프레임의 슬롯(73)내에 리프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내에 설치되고, 각 지지 클립(66, 66a)는 벽 섹션(72)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핀(7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
  4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 모양의 나사 채널(82)은 상기 외부 섹션의 안쪽에 설치되고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그 슬롯을 통해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션 또는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
  4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션 또는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
  4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션 또는 리프-프레임 외부 섹션.
KR1019980700936A 1996-06-07 1997-05-30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 및 그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에 사용되는 섹션 KR199900362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122725 DE19622725C2 (de) 1996-03-12 1996-06-07 Gebäudefenster und/oder Gebäudefenstertür
DE19622725.9 1996-06-07
DE19721639 1997-05-23
DE19721639.0 1997-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268A true KR19990036268A (ko) 1999-05-25

Family

ID=2602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936A KR19990036268A (ko) 1996-06-07 1997-05-30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 및 그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에 사용되는 섹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43768B2 (ko)
JP (1) JPH11510868A (ko)
KR (1) KR19990036268A (ko)
AT (1) ATE317487T1 (ko)
CA (1) CA2228916A1 (ko)
DE (2) DE59712572D1 (ko)
NO (1) NO980525L (ko)
WO (1) WO19970478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18304U1 (de) * 1998-10-15 1998-12-24 Siegenia Frank Kg Mehrzweck-Bodenschwelle
AT406786B (de) * 1998-10-30 2000-09-25 Hubert Fosodeder Dichtungselement
FR2789113B1 (fr) * 1999-02-01 2001-04-13 Ouest Alu Amenagement de fenetre ou portes-fenetres a frappe, a ouvrant(s) cache(s) en trompe-l'oeil
NZ336456A (en) * 1999-06-25 2003-01-31 Fletcher Building Holdings Ltd double glazing assembly
DE10331382A1 (de) * 2003-07-11 2005-02-03 SCHÜCO International KG Verbundprofil mit Isoliersteg, insbesondere für Fenster, Türen und Fassaden
ITTO20040655A1 (it) * 2004-09-30 2004-12-30 Koaladesign S A S Di Aldo Vandini & C Serramento per finestre, porte-finestre e simili
DE202008005445U1 (de) 2008-04-18 2008-08-21 Roto Frank Ag Fenster, Tür o.dgl. mit stufenförmigem Flügelprofil
DE102008019791A1 (de) 2008-04-18 2009-10-22 Roto Frank Ag Fenster, Tür oder dgl. mit stufenförmigem Flügelprofil
BE1018876A3 (fr) 2009-09-04 2011-10-04 Coene Sprl Chassis passif.
IT1397966B1 (it) * 2010-02-11 2013-02-04 Doral Sistemi S A S Di Sica Amodio & C Sistema a giunto aperto per infissi in legno con cartellina di copertura esterna in alluminio a deflusso controllato delle infiltrazioni e senza contatto con il legno.
CN101832086A (zh) * 2010-05-07 2010-09-15 烟台冰轮塑业有限公司 一种生态木铝型材
CH703716B1 (de) * 2010-08-31 2014-10-31 4B Holding Ag Fenster- oder Türkonstruktion.
WO2015086886A1 (en) * 2013-12-12 2015-06-18 Nordiskt Material Ab Joint system for building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75683A (fr) * 1960-02-15 1961-11-10 Sabor Ets Porte
CH612468A5 (en) * 1974-09-02 1979-07-31 Moser Huber Rosa Light-metal outer frame
GB2073290A (en) * 1980-04-03 1981-10-14 Sapa Ab Thermally insulating windows
DE8229789U1 (de) 1982-10-23 1983-08-11 Borkhoff, Herbert, 6782 Rodalben Aluminium-rahmenverbundprofil-bausatz fuer fenster, tueren und fassaden
DE3325052A1 (de) 1983-07-12 1985-01-31 Kühl Bauelemente GmbH, 4630 Bochum Fenster mit holz-aluminiumrahmen
GB2143270A (en) * 1983-07-14 1985-02-06 Bkl Extrusions Ltd Window or door frame
GB2220020A (en) * 1988-06-24 1989-12-28 Bkl Extrusions Ltd Window or door frame
FR2668536B1 (fr) * 1990-10-29 1995-04-07 Pellerin Element d'encadrement au moins partiellement en bois a capotage etanche, pour fenetre, porte-fenetre ou analogue et article comprenant un tel element d'encadrement.
CH685401A5 (de) * 1992-03-13 1995-06-30 Hartmann & Co Ag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zweier Profile.
DE9311567U1 (de) * 1993-08-03 1993-11-11 Saelzer Sicherheitstechnik Tür oder Fenster
DE29504638U1 (de) 1995-03-18 1995-06-01 Bema Metallfassadenbau Gmbh Fassadenelement in Form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CH688938A5 (de) * 1995-11-21 1998-06-15 4B Holding Ag Fenster- oder tuerkonstruk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8916A1 (en) 1997-12-18
EP0843768B1 (de) 2006-02-08
EP0843768B2 (de) 2011-03-09
WO1997047844A2 (de) 1997-12-18
JPH11510868A (ja) 1999-09-21
DE59712572D1 (de) 2006-04-20
NO980525L (no) 1998-04-06
ATE317487T1 (de) 2006-02-15
DE19722527A1 (de) 1998-11-26
EP0843768A2 (de) 1998-05-27
NO980525D0 (no) 1998-02-06
WO1997047844A3 (de) 199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359B2 (en) Weeped end plug for sill assembly
CA2039650C (en) Self-draining threshold for an out-swinging door
KR19990036268A (ko) 건물용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 및 그 창문 및/또는 프랜치창문에 사용되는 섹션
CA2248120C (en) Modular glazing system
US4573287A (en) Double opening exterior french door and door improvements
US4583333A (en) Room addition construction
KR200436903Y1 (ko) 옆 바깥열기형 여닫이 창호
US5325648A (en) Composite exterior door structure
US20030005644A1 (en) Adjustable door with sealed threshold, hinge and frame
US6557309B1 (en) Jamb assembly
US4785581A (en) Tilt-in/tilt-out window assembly with improved weatherseal gasket
GB2259926A (en) Roofing component allowing varied roof angles
US4967507A (en) Window frame
DE10100101C1 (de) Holz-Alu-Fenster
US3844077A (en) Building wall assembly with weepage channels
EP1710384A2 (en) Water-tightness profiles for metallic doors and windows
WO1991019877A1 (en) Frame for windows or doors and window casement
CA2218091A1 (en) Window assembly
US4553364A (en) Window sash and frame molded of fibrous material
US4571899A (en) Room addition construction
EP0797711B1 (en) Profile-member system
US5631088A (en) Windows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windows
US6550204B1 (en) Composite door construction
JPH0315751Y2 (ko)
GB2216580A (en) A composite section frame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