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729A -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729A
KR19990035729A KR1019970058549A KR19970058549A KR19990035729A KR 19990035729 A KR19990035729 A KR 19990035729A KR 1019970058549 A KR1019970058549 A KR 1019970058549A KR 19970058549 A KR19970058549 A KR 19970058549A KR 19990035729 A KR19990035729 A KR 19990035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heavy
cap
flexibl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834B1 (ko
Inventor
가쓰미 마쓰모또
Original Assignee
나가사와 노리아끼
가부시끼가이샤 세이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사와 노리아끼, 가부시끼가이샤 세이덴샤 filed Critical 나가사와 노리아끼
Publication of KR1999003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최내측 파이프와 플렉시블 래크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각 파이프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플렉시블 래크의 굴곡을 억제할 수 있는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플렉시블 래크 (35) 가 자유롭게 삽입통과될 수 있는 파이프의 내부에, 보다 소경의 파이프를 여러겹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하여 각 파이프 상단으로부터 내측 파이프를 돌출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각 파이프 (1, 2, 3 및 4) 상호는 착탈가능한 캡 (11, 13 및 15) 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각 파이프 (1, 2, 3 및 4) 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래크 (35) 가 자유롭게 삽입통과될 수 있는 중파이프 (12, 14 및 16) 를 고정하며, 이 중파이프의 지름을 최상단이 되는 파이프 (12) 의 지름부터 순차적으로 작게되도록 하여, 각 중파이프가 각각의 상단이 되는 파이프의 중파이프의 속으로 삽입통과가 가능하게 하고, 최상단이 되는 받침대 (20) 에 그 일단을 고정한 플렉시블 래크 (35) 의 타단을, 각 파이프의 중파이프에 삽입통과시켜 최하단이 되는 파이프의 외방으로 도출하여, 이 플렉시블 래크 (35) 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하는 상하이동장치에 연결한다.

Description

승강장치
본 발명은 야간조명용의 조명등 등을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조명등이나 안테나 등을 높은 곳에 지지하기 위해, 또는 상하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승강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승강장치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텔레스코프식으로 끼워맞춘 복수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신축 파이프군과, 이 파이프군의 최내측 파이프에 상단을 연결한 플렉시블 래크와, 이 래크를 상하이동시키는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승강장치이다.
도 1 에 나타낸 종래의 승강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51 은 신축파이프군으로, 이 신축 파이프군 (51) 은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된 4 개의 파이프 (511, 512, 513, 514) 로 이루어지고, 최내측 파이프 (514) 의 하단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플렉시블 래크 (52) 의 상단을 연결하고 있다. 53 은 플렉시블 래크 (52) 의 상하이동장치이고, 54 는 플렉시블 래크 (52) 의 수용드럼이며, 55 는 최내측 파이프 (514) 의 상단에 설치한 램프 등의 피지지물이다.
상기 상하이동장치 (53) 는 핸들 (56) 에 의해 회전하는 웜 기어 (57) 와, 이 웜 기어 (57) 와 맞물린 웜 기어 (58) 및 이 웜 기어 (58) 와 맞물린 기어 (58') 와, 웜 기어 (58) 와 동일축선 상에 설치된 기어 (59) 및 기어 (58') 와 동일축선 상에 설치된 기어 (59') 로 이루어진다. 기어 (59, 59') 는 플렉시블 래크 (52) 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피니온으로 작용한다.
상기한 종래의 승강장치는 지면상에 설치하는 대형의 장치부터 안테나나 조명등을 자동차상에 탑재하는 소형의 장치까지 여러 가지의 형식의 것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지상설치용의 승강장치의 경우, 플렉시블 래크 (52) 의 수용드럼 (54) 과 이 래크 상하이동장치 (53) 만을 일체의 것으로 조립해 두고, 신축 파이프군 (51) 은 목적지에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플렉시블 래크 (52) 로 밀어올릴 때, 최상단이 되는 파이프 (514) 및 그것에 이어지는 적당수의 파이프를 어느 정도 밀어올렸을 때, 이들의 자중에 의해, 이 플렉시블 래크 (52) 는 밀어올리는 힘과는 역방향의 힘을 받아, 플렉시블 래크 (52) 의 굴곡성에 의해 비뚤어지거나 하여, 파이프내에서 굴곡되려고 한다. 이 경우, 플렉시블 래크 (52) 의 강도의 문제이기 때문에, 플렉시블 래크 (52) 의 지름을 굵게 하면 해결할 수 있으나, 그렇게 하면 외부에서 플렉시블 래크 (52) 를 감아올려 수납하는 드럼등의 승강장치의 지름이 비약적으로 커져서, 전체의 규모가 대형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신축 파이프군 (51) 자체의 안내구성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상하이동의 동작이 원할하게 되지 않는 일이 있었다.
또, 파이프의 길이가 1 종류밖에 없으면, 최고높이가 결정되어 사용범위가 제한되어 버린다.
또한, 파이프를 따라 전달되는 빗물의 침입 등으로 각 파이프 내부의 보수점검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제거하여 최내측 파이프와 플렉시블 래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각 파이프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플렉시블 래크의 굴곡을 억제할 수 있는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청구항 1 기재의 승강장치에서는, 각 파이프 (1, 2, 3, 4) 상호는 착탈가능한 캡 (11, 13, 15) 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각 파이프 (1, 2, 3, 4) 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래크 (특수 감음 스프링 : 이하, 스프링이라 함) (35) 가 자유롭게 삽입통과될 수 있는 중파이프 (12, 14, 16) 를 고정하고, 이 중파이프 (12, 14, 16) 의 지름을 최상단이 되는 파이프 (12) 의 지름부터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하여, 각 중파이프가 각각의 상단이 되는 파이프의 중파이프의 속으로 삽입통과가 가능해진다.
승강장치의 조립시, 각 파이프 (1, 2, 3, 4) 를, 축방향길이를 선택하여 동심형상으로 배치하고, 중파이프의 중심을 통하여 스프링 (35)을 꺼내, 스프링 (35) 에 중심파이프 (10) 를 연결하고, 중심파이프 (10) 에 연결된 받침대 (20) 를 최상단 파이프 (1) 에 고착하고, 각 파이프 (1, 2, 3, 4) 의 상단에 각 캡 (11, 13, 15)을 고착한 후, 파이프군을 기어박스에 고정한다. 승강장치를 사용할 때, 스프링 (35) 을 밀어올리면, 파이프 (1) 부터 순차적으로 파이프 (4) 까지 상방이동하여 각 파이프 (1, 2, 3, 4) 가 신장된다. 스프링 (35) 은 신장되어도, 중파이프 (12, 14, 16) 로 안내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35) 은 문제가 될 정도로 굴곡되지 않는다.
[2] 청구항 2 기재의 승강장치는, 청구항 1 기재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캡을 파이프 하단의 슬라이딩 링과 맞닿는 부분과 파이프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으로 구성되고, 중앙에 파이프 삽입용의 개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캡의 파이프에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이프끼리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개구에 의해 파이프의 안내를 실시할 수 있다.
[3] 청구항 3 기재의 승강장치는, 청구항 2 기재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캡에, 파이프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대향면에 밀봉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표면을 따라 전달되는 빗물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4] 청구항 4 기재의 승강장치는,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중파이프를 상호 슬라이딩 접촉이 가능하게 하여, 각 파이프와 각 캡간, 각 파이프와 각 슬라이딩 링간 및 각 중파이프간을 각각 슬라이딩 안내구성으로 했으므로, 각 파이프간 및 각 중파이프간의 상하이동을 아주 원할하게 할 수 있다.
[5] 청구항 5 기재의 승강장치는,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캡을 고착한 파이프의 캡 근방에 개구를 설치하여, 캡 내부로 스프링에 저항하여 출몰가능하게 하고, 또한 파이프의 개구를 슬라이딩 링과 맞닿게 함으로써 밀봉 또는 도통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했기 때문에, 각 파이프를 신장하여 사용할 때, 각 파이프간의 간극에 침입한 빗물등을, 양 개구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6] 청구항 6 기재의 승강장치는,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파이프의 축방향 길이를 다르게 했으므로, 각 파이프에 대한 착탈가능한 각 캡 및 받침대를 통한 부착에 의해, 다른 파이프군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승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장치의 파이프군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장치의 기어박스 및 드럼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장치의 캡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3, 4 : 파이프 5, 6, 7 : 슬라이딩 링
8 : 저부 링 10 : 중심파이프
11, 13, 15 : 캡 12, 14, 16 : 중파이프
17 : 홀더 20 : 받침대
35 : 플렉시블 래크 (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장치의 파이프군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장치의 기어박스 및 드럼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장치의 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1, 2, 3 및 4 는 각각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파이프로서, 하부에서 상부로 순서대로 지름이 작아져 있어, 각 외측 파이프의 내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2 는 각 파이프 (1, 2, 3 및 4) 가 전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게다가, 각 파이프 (1, 2, 3 및 4) 는 각각 외측에 위치하는 파이프와 상호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탈되지 않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 파이프의 상단에 캡을 또 하단에 슬라이딩 링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단, 또는 각 파이프의 상하단에 각각 반전부와 착탈가능한 플랜지를 설치하는 수단등으로 구성한다.
최상단의 파이프 (1) 의 하단에는, 중앙에 개구를 갖는 슬라이딩 링 (5) 이 고착되어 있다. 고착의 수단으로서는, 파이프 (1) 의 외측의 나사부에의 나사결합 또는 파이프 (1) 의 외측에서의 나사볼트의 결합에 의해 고착된다. 또, 파이프 (2, 3) 도 각각의 하단에, 중앙에 개구를 갖는 슬라이딩 링 (6 및 7) 이 동일하게 착탈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최하단 파이프 (4) 의 하단에는, 저부 링 (8) 이 고정됨과 동시에, 홀더 (17) 가 착탈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각 슬라이딩 링 (5, 6, 7) 및 저부 링 (8) 의 개구지름은 순차적으로 작게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서는, 최상단 및 최하단의 슬라이딩 링과 도중의 슬라이딩 링의 형상이 다르지만, 닮음꼴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슬라이딩 링 (6, 7) 및 저부 링 (8) 의 각 개구의 내측에는 중파이프 (12, 14 및 16) 가 각각 세워 설치된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이들 각 중파이프는 중파이프 (16) 가 중파이프 (14) 의 속으로, 중파이프 (14) 가 중파이프 (12) 속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파이프 (2, 3 및 4) 의 상단에는, 캡 (11, 13 및 15) 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파이프 (1) 의 상단에는, 받침대 (20) 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캡 (11, 13 및 15) 및 받침대 (20) 의 고착수단으로서는 파이프 외측면에의 나사결합 또는 나사고정 등의 착탈가능한 수단 등으로 구성한다.
각 캡 (11, 13 및 15) 은 각 파이프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와 각 슬라이딩 링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빠짐방지부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대향하는 파이프의 외측과 미끄럼 접촉하는 개구를 갖는다.
또한, 캡은 도 4 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4 의 캡은 단면 ㄷ자 형상으로, 파이프 (2) 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를 갖고, 파이프 (1) 와의 대응부에 래버린스 (labylinth) 홈, O 링 등의 밀봉부 (46) 를 갖는다. 또, 필요에 따라, 물을 빼는 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물을 빼는 기구로서는, 파이프 (2) 의 캡 (11) 하단 근방에 설치한 개구 (44) 와, 캡 (11)에서 스프링 (41) 에 의해 소정부분이 돌출되어, 슬라이딩 링 (6) 에 의해 상방으로 압압되었을 때 파이프 (2) 의 개구와 연통하는 개구 (45) 를 구비한 슬라이더 (43) 로 구성된다. 또한, 도 4 에서 42 는 나사산이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단의 파이프 (1) 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래크로서의 특수 감음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35)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 (20) (도 2 참조) 에 연결된 중심 파이프 (10), 이 중심 파이프 (10) 의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나사 (21) 와, 그 나사 (21) 에 연결된 볼부 (22), 그 볼부 (22) 를 회동가능하고, 또한 빠짐 방지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부재 (23) 등의 착탈가능한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텔레스코프식의 파이프군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는, 특수 감음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35) 과, 모터에 벨트, V 풀리 (33), 웜 기어 (32) 를 통하여 연결된 래크기어 (31) 로 이루어진다. 이 래크기어 (31) 는 스프링 (35) 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기어박스 (30) 는 각 기어를 소정배치로 수납함과 동시에 홀더 (17) 를 얹어 놓아 고정하고, 드럼 (34) 에 놓여 고정되어 있다. 이 드럼 (34) 내에는 스프링 (35) 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수납되어 있다.
모터의 시동에 의해, 벨트, V 풀리 (33), 웜 기어 (32) 를 통하여 래크기어 (31) 를 정역회전시키고, 래크기어 (31) 와 맞물리는 스프링 (35)을 직선적으로 상하이동시켜, 중심 파이프 (10), 받침대 (20) 를 통하여 각 파이프 (1, 2, 3 및 4) 를 순차적으로 상하이동시킨다. 각 캡 (11, 13 및 15) 와 그것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링 (5, 6 및 7) 과의 접촉, 이탈에 의해 순차적으로 파이프 (1), 파이프 (2), 파이프 (3) 및 파이프 (4) 의 정역방향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각 파이프 (1, 2, 3 및 4) 의 안내는, 각 중파이프 끼리 또는 필요에 따라 중파이프 (12) 와 파이프 (1) 내주면과의 슬라이딩 접촉, 각 파이프와 각 슬라이딩 링과의 슬라이딩 접촉, 각 캡과 각 파이프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실시한다.
상하이동장치가 신장되었을 때, 최상단이 되는 받침대 (20) 에 고소 작업용의 조명장치 등의 기기를 적당히 설치한다.
각 파이프는 필요에 따라, 길이방향의 다른 파이프를 복수 설치해 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각 파이프 상호는 착탈가능한 캡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각 파이프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래크가 자유롭게 삽입통과될 수 있는 중파이프를 고정하고, 이 중파이프의 지름을 최상단이 되는 파이프의 지름부터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하여, 각 중파이프가 각각의 상단이 되는 파이프의 중파이프의 속으로 삽입통과할 수 있게 된다. 캡이 파이프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여러 가지 형태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승강장치의 조립시, 각 파이프를 축방향길이를 선택하여 동심형상으로 배치하고, 중파이프의 중심을 통하여 스프링을 꺼내, 스프링에 중심파이프를 연결하여, 중심파이프에 연결된 받침대를 최상단 파이프에 고착하고, 각 파이프의 상단에 각 캡을 고착한 후, 파이프군을 기어박스에 고정한다. 승강장치를 사용할 때, 스프링을 밀어올리면, 최상단 파이프부터 순차적으로 최하단 파이프까지 상방이동하여 각 파이프가 신장된다. 그 때 스프링은 신장되어도, 중파이프로 안내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은 문제가 될 정도로 구부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파이프군의 길이가 길어도 스프링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2]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캡을 파이프하단의 슬라이딩 링과 맞닿는 부분과 파이프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부분으로 구성하고, 중앙에 파이프 삽입용의 개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캡의 파이프에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이프끼리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개구에 의해 파이프의 안내를 실시할 수 있다.
[3]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캡에, 파이프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대향면에 밀봉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파이프 표면을 따라 전달되는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4]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중파이프를 상호 슬라이딩 접촉이 가능하게 하고, 각 파이프와 각 캡간, 각 파이프와 슬라딩 링간 및 각 파이프간을 각각 슬라이딩 안내구성으로 했으므로, 각 파이프간 및 각 중파이프간의 상하이동을 아주 원할하게 할 수 있다.
[5]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캡을 고착한 파이프의 캡 근방에 개구를 설치하고, 캡 내부로 스프링에 저항하여 출몰가능하게 하고, 또한 파이프의 개구를 슬라이딩 링과맞닿게 함으로써 밀봉 또는 도통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각 파이프를 신장하여 사용했을 때, 각 파이프간의 간극에 칩입한 빗물 등을, 양 개구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6]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파이프의 축방향 길이를 다르게 했으므로, 각 파이프에 대한 착탈가능한 각 캡 및 받침대를 통한 부착에 의해, 다른 파이프군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플렉시블 래크가 자유롭게 삽입통과될 수 있는 파이프의 내부에, 보다 소경의 파이프를 여러겹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삽입하여 각 파이프 상단으로부터 내측의 파이프를 돌출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각 파이프 상호는 착탈가능한 캡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각 파이프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래크가 자유롭게 삽입통과될 수 있는 중파이프를 고정하며, 이 중파이프의 지름을 최상단이 되는 파이프의 지름부터 순차적으로 작게되도록 하여, 상기 각 중파이프가 각각의 상단이 되는 파이프의 중파이프의 속으로 삽입통과할 수 있게 하고, 최상단이 되는 받침대에 그 일단을 고정한 플렉시블 래크의 타단을, 상기 각 파이프의 중파이프에 삽입통과시켜 최하단이 되는 파이프의 외방으로 도출하고, 상기 플렉시블 래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상하이동장치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파이프 하단의 슬라이딩 링과 맞닿는 부분과 상기 파이프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파이프 삽입용의 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파이프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대향면에 밀봉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호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각 파이프와 상기 캡간, 상기 각 파이프와 상기 각 슬라이딩 링간 및 상기 각 중파이프간을 각각 슬라이딩 안내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고착한 상기 파이프의 캡 근방에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캡 내부로 스프링에 저항하여 출몰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파이프의 개구를 상기 슬라이딩 링과 맞닿게 함으로써 밀봉 또는 도통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축방향 길이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KR1019970058549A 1997-10-15 1997-11-06 승강장치 KR100383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82417 1997-10-15
JP28241797A JP4043563B2 (ja) 1997-10-15 1997-10-15 昇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729A true KR19990035729A (ko) 1999-05-25
KR100383834B1 KR100383834B1 (ko) 2003-08-21

Family

ID=1765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549A KR100383834B1 (ko) 1997-10-15 1997-11-06 승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43563B2 (ko)
KR (1) KR1003838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12B1 (ko) * 2002-02-26 2004-06-07 조영채 무대소품 승강장치
KR100701650B1 (ko) * 2005-04-11 2007-03-30 강선우 출몰식 급수장치
WO2020218718A1 (ko) * 2019-04-23 2020-10-29 김도영 신축관
KR102450204B1 (ko) * 2021-10-08 2022-09-30 신종민 중량물 인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754A (ko) * 2002-04-10 2003-10-17 조숙자 천정부착형 높이조절장치
JP5111769B2 (ja) * 2006-02-10 2013-01-09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TW200738941A (en) 2006-02-10 2007-10-16 Toto Ltd Sanitary washing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JP4836631B2 (ja) * 2006-03-31 2011-12-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CN105442905A (zh) * 2015-12-03 2016-03-30 重庆瑜煌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钢管塔自动化装置
CN108442799B (zh) * 2018-03-27 2019-11-01 洛阳理工学院 一种活动式移动通信塔架
CN109202962A (zh) * 2018-10-23 2019-01-15 深圳市朗驰欣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器人用多级套筒式升降机构
US11396266B1 (en) * 2018-12-11 2022-07-26 Amazon Technologies, Inc. Autonomous mobile device with extensible mast
KR102154509B1 (ko) * 2020-04-03 2020-09-10 주식회사 위츠 승강식 cctv 메탈 폴 지주
CN111472599B (zh) * 2020-04-17 2021-12-24 深圳市深方科技有限公司 一种范围广的移动式5g信号塔
CN113915208A (zh) * 2021-10-12 2022-01-11 金到映 一种安全伸缩重型机械部件用伸缩管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12B1 (ko) * 2002-02-26 2004-06-07 조영채 무대소품 승강장치
KR100701650B1 (ko) * 2005-04-11 2007-03-30 강선우 출몰식 급수장치
WO2020218718A1 (ko) * 2019-04-23 2020-10-29 김도영 신축관
US11851308B2 (en) 2019-04-23 2023-12-26 Do Young Kim Telescopic pipe
KR102450204B1 (ko) * 2021-10-08 2022-09-30 신종민 중량물 인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20814A (ja) 1999-04-30
KR100383834B1 (ko) 2003-08-21
JP4043563B2 (ja)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5729A (ko) 승강장치
CA2339156C (e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trailer of a tractor-semitraler
JP4432108B2 (ja) 投光機
US5856862A (en) Boom camera crane
US4568808A (en) Telescopic isolating switch
US10184245B2 (en) Earthquake-resistant light tower with the tuned mass damper
US5850713A (en) Device raising and lowering apparatus
US5003442A (en) Movable lighting apparatus
KR100990238B1 (ko)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US20230408051A1 (en) Retractable Spotlight
US4813638A (en) Bipod mortar stand, comprising one support mechanism and one lifting mechanism
JP2008293948A (ja) 電灯交換機能付街路灯
CN115256323A (zh) 一种汽车离合器轴承座的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FI82544B (fi) Anordning foer fullstaendigt sluten belysningsarmatur.
KR100235184B1 (ko) 나선홈을 응용한 승하강 마스트
KR102403112B1 (ko) 조명기구 고정 시스템
CN219980346U (zh) 电缆桥架
JP3875445B2 (ja) 伸縮ポール
US2798680A (en) Lowering hanger with constant tension
CN220551854U (zh) 一种便携式隧道检修装置
KR820002305B1 (ko) 신축지주(伸縮支柱)
CN114872061B (zh) 一种车载式柔性检测机器人
CN216844328U (zh) 一种便于更换灯泡的厂矿灯
CN106090710A (zh) 一种led灯架
CN215001467U (zh) 一种舞台灯光旋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