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375A -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375A
KR19990035375A KR1019970057177A KR19970057177A KR19990035375A KR 19990035375 A KR19990035375 A KR 19990035375A KR 1019970057177 A KR1019970057177 A KR 1019970057177A KR 19970057177 A KR19970057177 A KR 19970057177A KR 19990035375 A KR19990035375 A KR 19990035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tact
vehicle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375A/ko
Publication of KR1999003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375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주정차 또는 후진시 발생할수 있는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범퍼의 소정위치에 물체접촉유무에 따라 작동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작동에 따라 전극을 전달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는 로드일단에 설치된 가변전극 및 그에 상응하는 고정전극과, 상기 가변전극 및 상기 고정전극의 전기적 접촉에 따라 경고등을 점, 소등 시키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주정차 또는 후진시 발생할수 있는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정차 또는 출발시 접촉사고가 자주 발생하므로 운전 미숙련자에게는 여간 곤혹스러운 일이 아닐수 없었고, 운전 숙련자에게 있어서도 자동차에 존재하는 사각지대 때문에 사고가 가끔 발생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차량 접촉사고 방지 장치를 살펴보면,
도 1 에 나타낸 바와같이 센서를 이용한 전자적경보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차량의 적소에 설치되어 광원을 조사하는 발광부(1)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광원이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 올 때 이를 감지하는 수광부(2)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된 광원에 의해 발생한 신호에 의해 계산된 값이 접촉사고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CPU(3)와, 상기 CPU(3)의 제어에 따라 시각 또는 청각으로 경보를 울려주는 경보부(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주정차 또는 차량 출발시 접촉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접촉사고 방지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발광부(1)는 광원을 물체에 조사하게 되고, 물체에 반사된 광원을 감지한 수광부(2)는 CPU(3)에 신호를 인가하여 경보부(4)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후방을 보기위해 카메라를 설치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차내에 구비된 모니터로 후방을 보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서는 공개실용신안 제87 - 16394호를 도 2 에 나타낸 바와같이 통상의 자동차(10)에 있어 후방엔 감시 카메라(50)가 이에 연결된 랙크기어(60)와 모터(70)에 의해 좌, 우회전이 가능하게끔 고정되고, 계기판(80)엔 모니터(20)를 설치, 이를 카메라(50)와 서로 연결하고, 계기판 일측에 카메라 회전보턴(30)과 원거리 조정 작동보턴(40)이 각각 착설됨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후방을 주시하기 위해서 후방에 랙크 기어(60)와 연결된 카메라(50)를 설치하고 상기 랙크기어(60)는 모터(70)의 랙크 기어와 맞물러 있어 조정 작동보턴(40)으로 조정한다.
이 때, 상기 카메라(50)와 연결된 모니터(20)는 카메라(50)를 통해 운전자에게 후방을 볼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구성은 상기 후방감시용 카메라를 차량의 트렁크 또는 뒷범퍼에 별도의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복잡한 구조로 장착하였기 때문에 조립시 작업이 불편하여 조립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원가가 상승되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하여 후방의 바닥면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물체와의 거리를 정확히 판단할수 없어 접촉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범퍼의 소정위치에 물체접촉유무에 따라 작동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작동에 따라 전극을 전달하는 로드를 형성하고, 상기 로드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는 로드일단에 설치된 가변전극 및 그에 상응하는 고정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가변전극 및 상기 고정전극의 전기적 접촉에 따라 경고등을 전등시키므로써, 차량 주정차시나 후진시 발생할수 있는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전자적 차량 접촉사고 방치 장치의 블록도.
도 2 는 종래의 차량 후방감시용 카메라의 장착구조.
도 3 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진 안정장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진 안정장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진 안정장치 작동전 단면상도.
도 6 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진 안정장치 작동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범퍼 102:접촉부
103:로드 104:하우징
105:가변전극 106:고정전극
107:경고등 108:탄성부재
109:배터리
본 발명의 차량용 후진 안정장치구조는 도 3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같이 범퍼(101)의 소정위치에 물체접촉유무에 따라 작동되는 접촉부(102)와, 상기 접촉부(102)의 작동에 따라 전극을 전달하는 로드(103)와, 상기 로드(103)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하우징(104)과, 상기 하우징(104)내에는 로드(103)일단에 설치된 가변전극(105) 및 그에 상응하는 고정전극(106)과, 상기 가변전극(105) 및 상기 고정전극(106)의 전기적 접촉에 따라 경고등(107)을 점, 소등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이 살펴보면,
도 6 에 나타낸 바와같이 운전자가 차내에서 차을 주정차시나 후진시 후방에 있는 물체와 거리를 측정할수 없으므로 범퍼(101)의 소정위치에 물체접촉유무에 따라 작동되는 접촉부(102)가 후방 물체와 접촉하면, 상기 접촉부(102)에 형성된 로드(103)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하우징(104)내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로드(103)일단에는 가변전극(10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4)에는 가변전극(105)과 접지되도록 고정전극(10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로드(103)에 설치된 가변전극(105)이 고정전극(106)과 접촉되면, 상기 고정전극(106)을 배터리(109)와 연결되어 있고, 이 배터리(109)에서 전원 공급받아 상기 고정전극(106)은 경고등(107)을 점, 소등하도록 되어 있어 운전석에 구비된 경고등(107)이 점등된다.
그리고, 도 5 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접촉부(102)가 후방의 물체와 떨어지면, 상기 접촉부(102)는 하우징(104)내에 설치된 탄성부재(108)에 의해 원위치 된다.
이 때, 상기 가변전극(105)과 접지된 고정전극(106)이 떨어지면서 운전석에 구비된 경고등(108)이 소등된다.
그리고, 운전자는 차량 주차시 후방을 안보고도 안전하게 후진을 할수 있다.
범퍼의 소정위치에 물체접촉유무에 따라 작동되는 접촉부를 설치하고, 상기 접촉부에 형성된 로드에는 가변전극을 설치하여 그에 상응하는 고정전극의 전기적 접촉에 따라 경고등을 점, 소등시키게 함으로써, 차량 주정차시나 후진시 발생하는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차량에 설치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범퍼(101)의 소정위치에 물체접촉유무에 따라 작동되는 접촉부(102)와,
    상기 접촉부(102)의 작동에 따라 전극을 전달하는 로드(103)와,
    상기 로드(103)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하우징(104)과,
    상기 하우징(104)내에는 로드(103)일단에 설치된 가변전극(105) 및 그에 상응하는 고정전극(106)과,
    상기 가변전극(105) 및 상기 고정전극(106)의 전기적 접촉에 따라 경고등(107)을 점,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진 안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4)내에는 상기 로드(103)를 형성한 접촉부(102)가 작동할수 있도록 탄성부재(10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
KR1019970057177A 1997-10-31 1997-10-31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 KR19990035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177A KR19990035375A (ko) 1997-10-31 1997-10-31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177A KR19990035375A (ko) 1997-10-31 1997-10-31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375A true KR19990035375A (ko) 1999-05-15

Family

ID=6608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177A KR19990035375A (ko) 1997-10-31 1997-10-31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3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70653A (ja) 距離計測装置
KR19990035375A (ko) 차량용 후진 안전장치
US7242287B1 (en) Vehicle warning system and method
KR200305415Y1 (ko) 차량후방위험 경보장치
KR0178257B1 (ko) 자동차의 좌우 사각지대 감지 방법
KR0152761B1 (ko) 급제동시 비상등 점멸제어장치
KR200141692Y1 (ko) 노면 돌출물 감지용 경고장치
GB2207401A (en) Collision prevention arrangement
KR0135438Y1 (ko) 자동차 램프의 자동시험장치
KR101854178B1 (ko) 스텔스 차량 알림 장치
KR0138075Y1 (ko) 차량의 후방조명장치
KR0148194B1 (ko) 차량 접속사고 방지장치
KR100260186B1 (ko) 후부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428217Y1 (ko) 차량용 후미시야확보장치
KR100204682B1 (ko) 자동차의 차선변경 안전표시장치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0125816Y1 (ko) 상용차 적재량 과적 경고장치
KR19980022642A (ko) 자동차의 차선변경 자동체크 장치 및 방법
KR19980049273U (ko) 차량의 타이어 펑크 경고장치
KR20210061481A (ko)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KR20040107253A (ko) 운전 사각지대 감지장치
KR19980023422U (ko) 자동차의 백미러 램프장치
KR19980038512A (ko) 차량의 주간 주행시 램프점등상태 경보장치
KR20040088272A (ko)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KR20010091374A (ko) 자동차의 전후진시 접촉표시 및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