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068A -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068A
KR19990034068A KR1019970055549A KR19970055549A KR19990034068A KR 19990034068 A KR19990034068 A KR 19990034068A KR 1019970055549 A KR1019970055549 A KR 1019970055549A KR 19970055549 A KR19970055549 A KR 19970055549A KR 19990034068 A KR19990034068 A KR 19990034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ston
windshield
wip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1061B1 (ko
Inventor
윤주웅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5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0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water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와이퍼의 작동과 동시에 유체를 흡입하여 자동차의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윈드쉴드(100)의 가장자리(110)에 마련되고 소정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와이퍼(200)의 작동에 의해 윈드쉴드(100)의 가장자리(110)로 모아진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310)이 복수로 형성된 레인거터(300)와; 이 레인거터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배출수단은 레인거터와 연결되는 흡입구(410)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420)를 가지는 메인케이싱(400)과, 메인케이싱과 연통되며 피스톤(510)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케이싱(500)과,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피스톤의 왕복이동에 따라 메인케이싱에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된다. 또한 이동수단은 피스톤(510)으로부터 연장되는 피스톤로드(511)의 단부가 와이퍼(200)의 링크부(210)에 연결되어서, 와이퍼(200)의 동작에 따라 피스톤(510)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와이퍼(200)의 동작과 동시에 흡입 및 배출동작이 진행되어 윈드쉴드(100)의 유체를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함은 물론이고, 주행중에도 유체가 측면 윈도우로 발산되지 않으므로 윈도우 개방시에도 차내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안전운전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Description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본 발명은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우천시 자동차 운행중에 빗물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차내의 습기제거가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자동차 운행중에는 온도차 및 탑승자의 호흡이나 공기중의 습한 공기로 인하여 윈드쉴드 글래스의 내측이나 운전석 주위의 윈도우에 습기가 발생됨으로써, 운전자의 주위 시야를 차단하게 되는 데, 이러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냉난방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윈도우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냉난방장치를 작동시켜서 습기를 제거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특히, 고속 운전중에는 그 사용이 어려우며, 통상 운전중에는 짧은 시간에 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윈도우를 개방시켜서 습기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천시 자동차 운행중에 윈도우(10)를 개방시키게 되면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20)에 작동되는 와이퍼(30)에 의해 윈드쉴드 글래스(20)의 가장자리(21)로 빗물이 모이게 되고, 이러한 빗물은 자동차의 운행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으로 개방된 윈도우(10)로 유입되게 되므로써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차내를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윈드쉴드 글래스(20)가 먼지등으로 더러워졌을 때는 윈드쉴드 글래스에 와셔액을 분사시켜 윈드쉴드 글래스를 청소하게 되며, 이때 와이퍼(30)의 작동에 의해 윈드쉴드 글래스(20)의 가장자리에는 잔류 와셔액이 발생되는 데, 이로인하여 윈드쉴드 글래스의 가장자리(21)에 먼지등이 달라붙게 되므로써, 운전자의 주위 시야를 방해하게 되므로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째, 와이퍼의 작동시 윈드쉴드 글래스의 가장자리에 모이는 잔류 유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윈드쉴드 글래스의 청결을 유지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위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유체의 흐름이 윈드쉴드의 하방으로 흡입되도록 하여 도어 윈도우를 개방시에도 측면으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윈도우의 신속한 습기 제거가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윈드쉴드에서 유체흐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2는 본 발명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가 장착되는 요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3은 본 발명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4는 본 발명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에서 유체흡입시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에서 유체배출시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윈드쉴드 200...와이퍼
300...레인거터 400...메인케이싱
410...흡입구 420...배출구
500...서브케이싱 510...피스톤
600...가이드판 700...밸브부재
710...스프링부재 730,740...제1,2헤드부
800...흡입플레이트 810...흡입공
900...배출플레이트 910...배출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는 윈드쉴드의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소정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와이퍼의 작동에 의해 윈드쉴드의 가장자리로 모아진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복수로 형성된 레인거터(raingutter)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레인거터와 연결되는 흡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메인케이싱과;
상기 메인케이싱과 연통되며 피스톤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케이싱과;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피스톤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케이싱에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된다.
또한 상기 메인케이싱은 이 메인케이싱의 중앙부 내주면에 마련되며 중심부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축공의 주위에는 복수의 유체구멍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의 양단에 각각 제1,2헤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케이싱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가능한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의 상하 승강구간을 제한시키도록 상기 밸브부재의 상하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며, 유체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흡입공과 배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흡입플레이트 및 배출플레이트;가 구비되어 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연장되는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상기 와이퍼의 링크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와이퍼의 작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자동차의 운행중에 비가 오거나 또는 윈드쉴드를 청소하기 위해 와셔액을 분사시켜 와이퍼를 작동시에 와이퍼의 작동으로 윈드쉴드의 가장자리에 모이는 유체가 유체의 유입공이 형성된 레이거터에 의해 흡입되게 되므로써, 윈드쉴드를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어의 창문을 개방시킨 상태로 운전하여도 차내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실내의 습기제거에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윈드쉴드(windshield;10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소정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와이퍼(200)의 작동에 의해 윈드쉴드(100)의 가장자리(110)로 모아진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310)이 복수로 형성된 레인거터(300)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레인거터(100)와 연결되는 흡입구(410)와 유체가 자동차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배출구(420)를 가지는 메인케이싱(400)과, 상기 메인케이싱(400)과 연통되며 피스톤(510)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케이싱(500)과, 상기 피스톤(510)을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피스톤(510)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케이싱(400)에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케이싱(400)의 중앙부 내주면에 마련되며 중심부에는 축공(610)이 형성되고 이 축공(610)의 주위에는 복수의 유체구멍(620)이 형성되는 가이드판(600)과, 상기 축공(610)에 삽입되는 지지축(720)과 이 지지축의 양단에 각각 제1,2헤드부(730,740)가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510)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케이싱(400)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가능한 밸브부재(700)와, 상기 밸브부재(700)의 상하 승강구간을 제한시키도록 상기 밸브부재(700)의 상하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며 유체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흡입공(810)과 배출공(910)이 각각 형성되는 흡입플레이트(800) 및 배출플레이트(900)가 상기 메인케이싱(4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피스톤(510)으로부터 연장되는 피스톤로드(511)의 단부가 상기 와이퍼(200)의 링크부(210)에 연결되어서 상기 와이퍼(2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510)이 좌우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도3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600)의 축공(610)에 삽입되는 밸브부재(700)의 지지축(720)에는 제1헤드부(730)와 가이드판(600) 사이에 스프링부재(710)가 결합되어 와이퍼(200) 및 피스톤(510)의 동작이 없을때는 밸브부재(700)가 스프링부재(710)의 탄성력에 의해 흡입공(810) 및 배출공(910)을 탄성적으로 밀폐시키는 구조로써, 피스톤(510)의 팽창작용이 끝남과 동시에 밸브부재(700)에 의해 흡입공(810) 및 배출공(910)이 밀폐되므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에서 레인거터(300)와 메인케이싱(400)은 소정의 연결호스(411)에 의해 연결되며 또한 메인케이싱(400)의 배출구(420)로부터 배수파이프(421)를 소정길이 연장형성하여 자동차의 측면이나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윈드쉴드(100)에 소정의 유체가 발생되면 운전자가 와이퍼(200)를 작동시키게 되고, 와이퍼(200)의 작동에 의해 소정의 유체가 윈드쉴드(100)의 가장자리로 모이게 된다.
이때, 레인거터(300)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공(310)을 통해 유체가 흡입되어 메인케이싱(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와이퍼(200)의 좌우동작에 의해 피스톤(510)이 왕복운동하게 되는데, 도4를 참조하면, 와이퍼(200)가 윈드쉴드(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함과 동시에 피스톤(510)은 서브케이싱(500)의 내부공간을 팽창시켜서 흡입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밸브부재(700)가 피스톤(510)의 흡입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제1,2헤드부(730,740)가 흡입공(810) 및 배출공(910)으로부터 개방되면서 유체가 흡입공(810)을 통해 메인케이싱(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퍼(200)가 윈드쉴드(100)의 하방으로 위치되면 피스톤(510)은 압축되며, 이와 동시에 밸브부재(700)가 흡입공(810) 및 배출공(910)을 밀폐시키게 되므로써, 메인케이싱(400)에 유입된 유체는 배출구(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윈드쉴드(10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입공(310)이 형성된 레인거터(300)에 의해 윈드쉴드(100)의 가장자리(110)에 모인 유체를 흡입하여 윈드쉴드(10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메인케이싱(40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가능하여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써, 자동차의 안전운행이 보장된다.
둘째, 윈드쉴드(100)의 잔류 유체를 피스톤(510)이 내장된 서브케이싱(500)에 의해 윈드쉴드(100)의 하방으로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석의 윈도우를 개방시에도 차내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윈도우를 개방시키는 방법으로 차내의 신속한 습기 제거가 가능하게 되어 차내의 습기 제거는 물론이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은,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윈드쉴드의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소정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와이퍼의 작동에 의해 윈드쉴드의 가장자리로 모아진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복수로 형성된 레인거터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레인거터와 연결되는 흡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메인케이싱과;
    상기 메인케이싱과 연통되며 피스톤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케이싱과;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피스톤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케이싱에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싱의 중앙부 내주면에 마련되며 중심부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축공의 주위에는 복수의 유체구멍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의 양단에 각각 제1,2헤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케이싱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가능한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의 상하 승강구간을 제한시키도록 상기 밸브부재의 상하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며, 유체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흡입공과 배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흡입플레이트 및 배출플레이트;가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연장되는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상기 와이퍼의 링크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와이퍼의 작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쉴드의 유체밸출장치.
KR1019970055549A 1997-10-28 1997-10-28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KR100291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549A KR100291061B1 (ko) 1997-10-28 1997-10-28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549A KR100291061B1 (ko) 1997-10-28 1997-10-28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068A true KR19990034068A (ko) 1999-05-15
KR100291061B1 KR100291061B1 (ko) 2001-06-01

Family

ID=3752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549A KR100291061B1 (ko) 1997-10-28 1997-10-28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24B1 (ko) * 2011-12-07 2013-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빗물 배수기능이 구비된 윈드쉴드 글라스의 사이드 몰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8863B1 (en) 2020-12-08 2022-05-24 Honda Motor Co., Ltd. Retractable gutter system for a vehicle
US11396267B2 (en) 2020-12-11 2022-07-26 Honda Motor Co., Ltd. Pivoting gutter system for a vehicle
US11440488B2 (en) 2021-01-12 2022-09-13 Honda Motor Co., Ltd. Active gutter, deflector, and guard for a vehicle
US11453443B2 (en) 2021-02-25 2022-09-27 Honda Motor Co., Ltd. A-pillar surface of a vehicle
US11518446B2 (en) 2021-03-29 2022-12-06 Honda Motor Co., Ltd. Pivoting gutter for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24B1 (ko) * 2011-12-07 2013-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빗물 배수기능이 구비된 윈드쉴드 글라스의 사이드 몰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1061B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4437B (zh) 一种车辆车窗清洁装置
KR19990034068A (ko) 윈드쉴드의 유체배출장치
US7257855B2 (en) Device for washing side windows of a vehicle
CN2498035Y (zh) 隐形风闸雨刷
CN105984434B (zh) 增强的刮水器总成
CN107336689A (zh) 一种汽车气流式智能内外雨刷系统
GB2326084A (en) Motor vehicle with washing device for sliding side window
KR19980010798U (ko) 전방유리 빗물 배수장치
CN110481509A (zh) 一种汽车侧车窗清洁装置及使用方法
JPH02299958A (ja) 車両ウィンドの付着物除去装置
JP3027818U (ja) 車両のフロントガラス用雨滴付着防止器
CN218287677U (zh) 一种适用于矿用电铲的气动雨刮装置
KR0140664Y1 (ko)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JPH0735212U (ja) ウインドウオッシャ装置
CN207644344U (zh) 喷气式雨刷器
CN218907178U (zh) 一种新型可伸缩雨刮器
CN209870038U (zh) 过滤器
CN112124255B (zh) 一种用于前挡风玻璃与机舱盖间隙扫吹的装置及方法
KR100633424B1 (ko) 빗방울 제거용 자동차 사이드밀러
CN2570123Y (zh) 汽车挡风玻璃除雨器
KR100391338B1 (ko) 자동차용 와이퍼 구조
KR100512443B1 (ko) 자동차의 에어 브러쉬형 와이퍼
CN115520144A (zh) 一种风窗玻璃刮水装置
KR20160139417A (ko) 고압공기분사와 초음파에 의한 자동차 와이퍼 시스템
CN118025075A (zh) 一种全新的气体雨刮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