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664Y1 -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664Y1
KR0140664Y1 KR2019960023755U KR19960023755U KR0140664Y1 KR 0140664 Y1 KR0140664 Y1 KR 0140664Y1 KR 2019960023755 U KR2019960023755 U KR 2019960023755U KR 19960023755 U KR19960023755 U KR 19960023755U KR 0140664 Y1 KR0140664 Y1 KR 0140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door
rainwater
vent
cowl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0357U (ko
Inventor
안철우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23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664Y1/ko
Publication of KR199800103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3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6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7Water drainage or guide means not integral with roof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카울 벤트 그릴을 갖는 카울패널 하부의 에어컨 벤트 도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벤트 도어 상에 얹혀 고정되고 상측 벤트 도어 측으로 개방 형성된 3면을 갖는 지지상판과, 상기 지지상판의 차체 전방측에 하측으로 몸체 연장되어 상기 카울 벤트 그릴을 통해 들어와 떨어지는 물방울의 기울기를 갖는 물방울 방지벽과, 상기 물방울 방지벽과 같은 기울기를 갖고 중간부에 개방된 상기 벤트 도어 측으로 높게 형성하고 그 반대측으로 낮게 형성한 낙차부를 갖고 빗물을 유도하여 모으는 빗물 안내벽과, 상기 물방울 방지벽과 빗물 안내벽이 몸체 연장되어 모인 빗물을 배출구가 있는 에어컨 벤트 도어 측으로 다량으로 빠르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일정 기울기를 갖는 원형관부를 구비함으로서, 에어컨 벤트 도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차량의 우천 주행 시에도 어퍼 대시패널 일측의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본 고안의 목적은 카울 벤트 그릴을 통해 들어온 빗물이나 물방울이 물방울 방지벽을 타고 흘러 하강하고 대향 측의 빗물 안내벽에서 흐르는 빗물은 낙차부에 의해 내측으로 안내 유도되어 하부의 원형관부 내에서 합쳐져 조그만 물줄기를 형성시켜 배출구로 유출시킴으로써, 에어컨 벤트 도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차량의 우천 주행 시에도 어퍼 대시패널 일측의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카울패널(COWL PANEL)은 좌·우의 프런트 필러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보디의 비틀림 강성(TORSIONAL RIGIDIDITY)을 보강하기 위한 중요한 부분이다.
중형차 이상과 소형차의 경우, 카울의 구조는 앞에 것이 부재가 밀폐 단면인데 대하여 뒤에 것은 부재가 간단한 간막이판으로 되어 있다. 이 차이는 중형차 이상의 것은 좌·우필러의 간격이 길므로 보다 큰 강성을 필요로 하고 밀폐 단면을 이용하여 외기를 차안에 집어넣는데 좋다는 점이 있다.
한편, 소형차 등의 경우는 계기판 자체에도 강성을 갖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밀폐단면의 부재를 쓰는 것보다도 경제적인 한장의 패널로 충분하다는 데 있다.
이러한 카울패널은, 차량의 윈드시일드 글라스(WINDSHIELD GRESS)를 하단에서 지탱하는 패널로서, 후드의 윈드시일드 글라스와 접하는 부분과 윈드시일드 글라스의 하단부가 접하는 부분이다.
이런, 카울패널 부위에는 또한 와이퍼 시스템이 장착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장착되며, 차량의 좌·우를 프론트에서 연결하는 구조물로, 바디의 벤딩(BENDING)과 비틀림 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후드와 앞유리가 만나는 부위이기 때문에 스타일링에 상당히 민감하여 서로 다른 스타일링 차량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카울패널을 갖게 된다.
이런 윈드시일드 글라스 하부에는 카울 벤트 그릴이 형성되고, 그 하부의 벤트 도어의 열림작용으로 차내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어,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수시로 차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차량의 후드 끝단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도 1a나 도 1b와 같이 카울패널(40) 하부의 대시패널 커버(10)의 구조는, 우천시의 차량 주행시에 강우의 양이 많고 차량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카울 벤트 그릴(41)로 유입된 물이 폭포 마냥 탑 대시패널(61)로 다시 유입되고, 그 물이 벌크헤드 플레이트(50)와 어퍼 대시패널(62)에 떨어지며, 이때 떨어지며 튀겨진 물방울들이 에어컨 모터(70)의 가동시, 카울 벤트 그릴(41) 하부의 개방된 에어컨 벤트 도어(30)로 빨려 들어가서 에어컨 필터(71)를 오염시키고 곰팡이 및 박테리아를 번식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오염시켜 운전자와 탑승자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켜서 건강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카울 벤트 그릴을 갖는 카울패널 하부의 에어컨 벤트 도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벤트 도어 상에 얹혀 고정되고 상측 벤트 도어 측으로 개방 형성된 3면을 갖는 지지상판과, 상기 지지상판의 차체 전방측에 하측으로 몸체 연장되어 상기 카울 벤트 그릴을 통해 들어와 떨어지는 물방울의 기울기를 갖는 물방울 방지벽과, 상기 물방울 방지벽과 같은 기울기를 갖고 중간부에 개방된 상기 벤트 도어 측으로 높게 형성하고 그 반대측으로 낮게 형성한 낙차부를 갖고 빗물을 유도하여 모으는 빗물 안내벽과, 상기 물방울 방지벽과 빗물 안내벽이 몸체 연장되어 모인 빗물을 배출구가 있는 에어컨 벤트 도어 측으로 다량으로 빠르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일정 기울기를 갖는 원형관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a는 종래 대시패널 커버가 설치된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종단면도.
도 1b는 종래 대시패널 커버가 설치된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대시패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 대시패널 커버가 설치된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 대시패널 커버가 설치된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대시패널 커버 11: 지지상판
12: 물방울 방지벽 13: 빗물 안내벽
14: 낙차부 15: 원형관부
20: 배출구 30: 에어컨 벤트 도어
40: 카울패널 41: 카울 벤트 그릴
50: 버크헤드 플레이트 61: 탑 대시패널
62: 어퍼 대시패널 70: 에어컨 모터
71: 에어컨 필터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대시패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 대시패널 커버가 설치된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 대시패널 커버가 설치된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횡단면도로, 에어컨 벤트 도어(30) 상에 얹혀 고정되고 상측 벤트 도어(30)측으로 개방 형성된 3면을 갖는 지지상판(11)과; 상기 지지상판(11)의 차체 전방측에 하측으로 몸체 연장되어 상기 카울 벤트 그릴(41)을 통해 들어와 떨어지는 물방울의 기울기를 갖는 물방울 방지벽(12)과; 상기 물방울 방지벽(12)과 같은 기울기를 갖고 중간부에 개방된 상기 벤트 도어(30)측으로 높게 형성하고 그 반대측으로 낮게 형성한 낙차부(14)를 갖고 빗물을 유도하여 모으는 빗물 안내벽(13)과; 상기 물방울 방지벽(12)과 빗물 안내벽(13)이 몸체 연장되어 모인 빗물을 배출구(20)가 있는 에어컨 벤트 도어(30)측으로 다량으로 빠르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일정 기울기를 갖는 원형관부(15)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물방울 방지벽(12)은 일정한 기울기로 낙하하는 물방울의 튀김을 방지하고, 빗물 안내벽(13)의 낙차부(14)는 개방측이 높고 내측을 낮게 형성시켜 빗물 안내벽(13)을 타고 흐르는 빗물을 내측으로 모이도록 하여 배출구(20) 측으로 기울게 형성된 원형관부(15)를 통해 모인 빗물을 물방울의 튀김이 없이 방류하게 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우천이 운전자가 에어컨 모터(70)를 가동시키고 주행하면, 차량 카울패널(40)의 카울 밴트 그릴(41)을 통해 빗물이 흘러들어 카울패널(40) 내부 하측의 탑 대시패널(61)에 얹혀진 대시패널 커버(10)로 빗방울들이 튀며 떨어져 모여들게 된다.
이때, 벌크헤드 플레이트(50)의 물방울 방지벽(12) 측으로 튀는 물방울들은 튀어 떨어지는 각도와 유사한 기울기를 갖는 물방울 방지벽(12)에 부딪히면, 물방울은 튀지 않고 벽면을 타고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상기 물방울 방지벽(12)의 대향 측의 빗물 안내벽(13)측으로 떨어지거나 튀는 물방울들은 빗물 안내벽(13)의 벽면을 타고 흐르다가 중간부에 내측으로 기울어진, 일정 기울기를 갖는 낙차부(14)에서 물방울들은 대시패널 커버(10)의 내측으로 안내 유도되어 하부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차체 전방측의 물방울 방지벽(12)을 흘러내리는 빗물과 낙차부(14)의 기울기로 인해 내측 하부로 흐르는 빗물이 서로 합쳐 모이는 원형관부(15)에서는, 벽면에 부딪히는 힘에 의해 낱알들인 물방울들로 사방으로 튀어 오른 빗물이 모여 조그만 물줄기를 형성하게 되고, 이 물줄기는 일정한 기울기로 배출구(20) 측으로 기운 원형관부()의 안내를 받아 어퍼 대시패널(62)의 하면에 조그만 물줄기를 이루며 에어컨 벤트 도어(30)를 그냥 거쳐 배출구(20)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조그만 물줄기를 이룬 빗물이 어퍼 대시패널(62)의 바닥면에 떨어지면서 물방울이 튀지 않고 물줄기로 흐르게 되어, 에어컨 벤트 도어(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차량의 우천 주행시에도 배출구(20) 측에 위치한 에어컨 벤트 도어(30)안으로는 물방울이 전혀 들어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카울 벤트 그릴을 통해 들어온 빗물이나 물방울이 물방울 방지벽을 타고 흘러 하강하고 대향 측의 빗물 안내벽에서 흐르는 빗물은 낙차부에 의해 내측으로 안내 유도되어 하부의 원형관부 내에서 합쳐져 조그만 물줄기를 형성시켜 배출구로 유출시킴으로써, 에어컨 벤트 도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차량의 우천 주행시에도 어퍼 대시패널 일측의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 카울 벤트 그릴(41)을 갖는 카울패널(40) 하부의 에어컨 벤트 도어(30)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벤트 도어(30) 상에 얹혀 고정되고 상측 벤트 도어(30)측으로 개방 형성된 3면을 갖는 지지상판(11)과;
    상기 지지상판(11)의 차체 전방측에 하측으로 몸체 연장되어 상기 카울 벤트 그릴(41)을 통해 들어와 떨어지는 물방울의 기울기를 갖는 물방울 방지벽(12)과;
    상기 물방울 방지벽(12)과 같은 기울기를 갖고 중간부에 개방된 상기 벤트 도어(30)측으로 높게 형성하고 그 반대측으로 낮게 형성한 낙차부(14)를 갖고 빗물을 유도하여 모으는 빗물 안내벽(13)과;
    상기 물방울 방지벽(12)과 빗물 안내벽(13)이 몸체 연장되어 모인 빗물을 배출구(20)가 있는 에어컨 벤트 도어(30)측으로 다량으로 빠르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일정 기울기를 갖는 원형관부(1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KR2019960023755U 1996-08-05 1996-08-05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KR0140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755U KR0140664Y1 (ko) 1996-08-05 1996-08-05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755U KR0140664Y1 (ko) 1996-08-05 1996-08-05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357U KR19980010357U (ko) 1998-05-15
KR0140664Y1 true KR0140664Y1 (ko) 1999-04-01

Family

ID=1946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755U KR0140664Y1 (ko) 1996-08-05 1996-08-05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6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594B1 (ko) 2014-10-30 2016-05-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기능 분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357U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3779A (en) Vehicle body
US4956979A (en) Heating and/or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S6317646B2 (ko)
US3421174A (en) Windshield wiper system recessed in automobile air intake
JP6121200B2 (ja) 車両の空調用気液分離構造
KR0140664Y1 (ko) 에어컨 벤트 도어로의 빗물 누수방지를 위한 대시패널 커버의 빗물 유도구조
US20060232106A1 (en) Unit area in a motor vehicle
JP4490471B2 (ja) 自動車の外気導入構造
JPS63487Y2 (ko)
KR100953547B1 (ko) 공조케이스
SU1736808A1 (ru) Передн часть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8877403U (zh) 进气组件及车辆
JP3106847B2 (ja) 空調用外気取入構造
JP2000168374A (ja) エアーインテークダクト構造
JPH0231295Y2 (ko)
US20240132157A1 (en) Cowl vent grille with a flow block
JPS6213847Y2 (ko)
KR19980041008U (ko) 자동차 대시판넬 탑의 누수방지수단
KR0129196Y1 (ko) 자동차용 카울 가니시 빗물제거구조
KR200160386Y1 (ko) 자동차 대쉬패널의 드레인 플러그
KR0121683Y1 (ko) 자동차의 카울구조
JPH0728059Y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CN117120325A (zh) 带有流动阻止功能的前围通风口格栅
CN115230615A (zh) 一种车辆前围空调进气排水装置
KR100309037B1 (ko) 자동차의카울에어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