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849A -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849A
KR19990033849A KR1019970055283A KR19970055283A KR19990033849A KR 19990033849 A KR19990033849 A KR 19990033849A KR 1019970055283 A KR1019970055283 A KR 1019970055283A KR 19970055283 A KR19970055283 A KR 19970055283A KR 19990033849 A KR19990033849 A KR 19990033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tor
housing
casing
assembly structure
blow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경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849A/ko
Publication of KR1999003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849A/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블로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를 포용하고 있는 하우징을 케이싱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는 구동모터(2)와; 구동모터(2)와 연결되어 구동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팬(4)과; 구동모터(2)를 포용하며, 하단부에는 등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결합돌기(12)들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돌기(12)와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주면을 따라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리브(14)가 형성되며, 이 탄성리브(14)의 한부분에는 체결편(16)이 결합돌기(1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10)과; 일측면에 팬(4)이 삽입되는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1)의 단부에는 결합돌기(12)들이 통과할 만한 등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다수개의 걸림편(22)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공(21)과 인접한 위치에는 브라케트(24)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브라케트(24)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안내홈(25)과 체결홈(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홈(25)의 내측면은 체결홈(26)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케이싱(2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블로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를 포용하고 있는 하우징을 케이싱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에어콘 시스템에 사용되는 블로워는 저온화된 증발기에 공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대기 중의 공기 또는 실내의 공기를 구동모터에 의해 팬을 회전시켜 증발기의 주위로 압송한다. 이와 같이 증발기의 주위를 통과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저온 제습한 공기로 변화되어 실내로 유입되므로서 차내를 쾌적하게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를 설명하면, 하우징(6)과 케이싱(8)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하우징(6)은 구동모터(2)를 포용하고 있으며, 구동모터(2)에는 팬(4)이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6)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6)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공(6a)들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8)에는 팬(4)이 삽입되는 삽입공(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공(8a)의 주변에는 하우징(6)의 결합공(6a)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체결공(8b)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6)을 케이싱(8)에 조립할 때는 결합공(6a)과 체결공(8b)이 관통되도록 하우징(6)을 케이싱(8)에 얹혀 놓고 나사(9)로 체결하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는 다수개의 나사(9)에 의해 하우징(6)을 케이싱(8)에 조립하기 때문에 하우징(6)을 케이싱(8)에 조립하거나 분리할 때, 항상 별도의 공구 즉, 드라이버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다수개의 나사(9)들을 풀고 조이다보면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공구없이 하우징을 케이싱에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을 케이싱에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나사를 풀고 조여야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킨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구동모터 4: 팬
10: 하우징 12: 결합돌기
14: 리브 16: 체결편
20: 케이싱 22: 걸림편
23: 홈 24: 브라케트
25: 안내홈 26: 체결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구동모터를 포용하며, 하단부에는 등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결합돌기들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돌기와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주면을 따라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리브가 형성되며, 이 리브의 한부분에는 체결편이 결합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과; 일측면에 팬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의 단부에는 결합돌기들이 통과할 만한 등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다수개의 걸림편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공과 인접한 위치에는 브라케트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브라케트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안내홈과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홈의 내측면은 체결홈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케이싱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를 설명하면, 하우징(10)과 케이싱(20)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하우징(10)은 구동모터(2)를 포용하고 있으며, 구동모터(2)에는 팬(4)이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10)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하단부에는 적당한 등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결합돌기(12)들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결합돌기(12)와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리브(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리브(14)의 일측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체결편(16)이 결합돌기(1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결합돌기(12)와 탄성리브(14)의 간격은 케이싱(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케이싱(20)의 두께보다 약간 커야 된다.
케이싱(20)에는 팬(4)이 삽입되는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21)의 단부에는 하우징(10)의 결합돌기(12)들이 통과할 만한 등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다수개의 걸림편(22)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편(22)과 걸림편(22)의 사이에는 하우징(10)의 결합돌기(12)가 통과하는 홈(23)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삽입공(21)과 인접한 위치에는 브라케트(24)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브라케트(24)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안내홈(25)과 체결홈(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듯이 안내홈(25)의 내측면은 상기 체결홈(26)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져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의 조립관계를 설명한다.
하우징(10)을 케이싱(20)에 조립하려면, 하우징(10)에서 돌출되어 있는 팬(4)을 케이싱(20)의 삽입공(21)에 삽입시킬 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결합돌기(12)들이 케이싱(20)의 걸림편(22)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23)들에 삽입되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체결편(16)은 케이싱(20)에 형성된 브라케트(24)의 안내홈(25)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때, 하우징(10)의 탄성리브(14)는 케이싱(20)의 삽입공(21)의 주변에 얹혀지게 된다. 그런 다음, 하우징(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리브(14)에 의해 탄성력을 보유하는 체결편(16)은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25)의 경사면을 따라 휘어지면서 안내되어 체결홈(26)에 안착 고정되게 되고, 하우징(10)의 결합돌기(12)들은 회전하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0)의 걸림편(22)들의 저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체결편(16)이 체결홈(26)에 안착 고정되어 케이싱(20)에 조립되는 하우징(10)의 좌우측 회전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결합돌기(12)들이 걸림편(22)들에 저면에 위치하여 하우징(10)이 케이싱(2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려 있기 때문에 하우징(10)은 케이싱(20)에 유동이 없도록 조립 고정된다.
반대로, 하우징(10)을 케이싱(2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체결홈(26)에 안착되어 있는 체결편(16)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하우징(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하우징(10)의 결합돌기(12)들이 케이싱(20)의 홈(23)들의 저면에 위치하게 되고, 하우징(10)을 케이싱(20)으로부터 빼내 분리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수정예 및 다른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되는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수정예들 및 실시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는 하우징의 결합돌기와 케이싱의 걸림편 그리고, 하우징의 체결편과 케이싱의 체결홈들의 협동에 의해 하우징을 케이싱에 별도의 공구 없이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켰으며, 종래의 나사조립에 비해 작업비용 및 작업시간도 단축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구동모터(2)와;
    상기 구동모터(2)와 연결되어 구동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팬(4)과;
    상기 구동모터(2)를 포용하며, 하단부에는 등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결합돌기(12)들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2)와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주면을 따라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리브(14)가 형성되며, 이 탄성리브(14)의 한부분에는 체결편(16)이 상기 결합돌기(1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10)과;
    일측면에 상기 팬(4)이 삽입되는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1)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2)들이 통과할 만한 등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다수개의 걸림편(22)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21)과 인접한 위치에는 브라케트(24)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브라케트(24)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안내홈(25)과 체결홈(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25)의 내측면은 상기 체결홈(26)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케이싱(20)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
KR1019970055283A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 KR19990033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83A KR19990033849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83A KR19990033849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849A true KR19990033849A (ko) 1999-05-15

Family

ID=6604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283A KR19990033849A (ko) 1997-10-27 1997-10-27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8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480A1 (ko) * 2019-07-23 2021-01-28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480A1 (ko) * 2019-07-23 2021-01-28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3088A (en) Grill assembly for portable fan
US5352094A (en) Grill assembly for portable fan
US6032478A (en) Air conditioner outdoor section construction
KR19990033849A (ko) 자동차의 블로워 조립구조
US6023939A (en) Fan and motor assembly for an air conditioner
KR200161129Y1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조립구조
KR100701929B1 (ko) 패키지 에어컨의 디스플레이 부품 체결구조
US6065733A (en) Motor mount for an air conditioner
JP3789541B2 (ja) 空気調和機
JPH0930381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における配管クランプ具
JPH0635807Y2 (ja) 車両の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JPH0248772Y2 (ko)
KR200162959Y1 (ko) 분리형 에어콘 실내기의 컨트럴 박스
JPS6334997Y2 (ko)
KR970002494Y1 (ko) 버스의 에어컨 그릴 결합구조
KR200228368Y1 (ko) 에어콘실외기의사이드커버고정구조
KR013402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의 표시부 구조
KR100529151B1 (ko) 히터컨트롤 스위치의 결합구조
KR0132041Y1 (ko) 자동차의 에어콘 콘트롤스위치 하우징 조립구조
JPH07158920A (ja) パイプ用換気扇
KR100217122B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58226Y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온도감지부 고정구조
JPH0325071Y2 (ko)
JPH0744235Y2 (ja) 温風乾燥装置における壁面取付構造
JPS5823688Y2 (ja) 室内換気ル−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