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534A -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 협상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 협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534A
KR19990033534A KR1019970054909A KR19970054909A KR19990033534A KR 19990033534 A KR19990033534 A KR 19990033534A KR 1019970054909 A KR1019970054909 A KR 1019970054909A KR 19970054909 A KR19970054909 A KR 19970054909A KR 19990033534 A KR19990033534 A KR 1999003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user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943B1 (ko
Inventor
신영석
오현주
박동선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5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9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4Automatic deployment of services triggered by the service manager, e.g. service implementation by automatic configuration of network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91Access to open networks; Ingress point selection, e.g. ISP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 협상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시스템의 능력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단말의 멀티미디어 능력 표현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특성 표현을 통해 단말 능력과 서비스 능력사이의 단말 협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받는 제 1 단계;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능력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사이에서 단말 협상을 통해 서비스를 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이용됨.

Description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 협상 방법
본 발명은 개방형 통신망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사용자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사이의 단말 협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가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능력을 항상 수용하고 있어야 하며, 그러한 멀티미디어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술 수준이 진보하면서 다양한 매체가 출현함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 협상 방법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능력에 적합한 단말 시스템을 위한 필요성을 증대하고 있다. 현재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단독 사용자 서비스 참여 형태에서 다수 사용자 서비스 참여 형태로 다양화됨에 따라 여러 사용자의 단말 능력 및 서비스 능력사이에서 이를 협상해 주는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즉, 서비스 사용자는 항상 하나의 단말만을 사용하지 않으며 이동에 따라 또는 일정한 위치에서도 여러 가지 다양한 단말을 사용할 수 있고, 일정 범위내에서는 항상 사용하는 단말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접속하는 다양한 단말 시스템에 대해 유동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며, 단말의 멀티미디어 능력 표현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특성 표현을 통해 단말 능력과 서비스 능력사이의 협상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시스템의 능력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단말의 멀티미디어 능력 표현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특성 표현을 통해 단말 능력과 서비스 능력사이의 협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 협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도 1의 서비스 사용자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사이의 객체 콤퍼넌트들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의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설정의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협상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서비스 관리 시스템 101 : 서비스 가입자
102 : 서비스 사용자 103 : 서비스 제공자
104 : 가입자 관리부 105 : 서비스 관리부
106 : 사용자 관리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받는 제 1 단계;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능력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사이에서 단말 협상을 통해 서비스를 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서비스 사용자, 서비스 가입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관계를 나타낸다.
서비스 제공자(103)는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시 참조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특징 및 제한점 등을 서비스 관리부(105)에 등록하며 서비스 가입자(101)는 서비스 제공자(103)가 인증하는 고유한 식별자(identifier)를 가지고 서비스에 가입한다.
또한 서비스 가입자(101)는 서비스 사용자(102)에게 서비스 가입자(101)가 가입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서비스 사용자(102)는 상응하는 서비스 가입자(101)에 의한 권한이 부여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비스 사용자(102)는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서비스 권한이 부여되고 서비스 사용자(102)의 고유한 식별자를 서비스 제공자(103)로부터 인증받는다.
분산처리환경위에서 개발 및 운용되는 개방형 통신망은 서비스 구조를 통해 서비스 사용자(102), 서비스 가입자(101) 및 서비스 제공자(103)사이의 관계 및 기능을 규정한다. 또한 개방형 통신망에서 서비스 사용자(102)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 가입자 관리부(104), 사용자 관리부(106) 및 서비스 관리부(105)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될 수 있다.
가입자 관리부(104)는 가입자의 관리하에 있는 서비스 사용자(102) 및 사용자 그룹들에 대한 서비스 이용 권한 및 제한점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서비스 가입자(101)는 서비스 가입자(101)의 관리하에 있는 서비스 사용자(102)들의 권한 및 제한점들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차별적으로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106)는 서비스 사용자(102)가 이용하는 단말에 대한 관리 기능도 함께 포함하고 있으며, 서비스 사용자(102)가 설정한 서비스 이용상의 제한점 등의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서비스 사용자(102)는 서비스 사용자(102)가 원하는 서비스 초기 접속 메뉴나 서비스 이용상의 기호 등을 등록하여 서비스 사용자(102)의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 관리부(105)는 서비스 제공자(103)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기능과 특징,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제한점, 단말기 및 접속 위치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도 2 는 도 1의 서비스 사용자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사이의 객체 콤퍼넌트들의 구성도이다.
서비스 사용자 시스템(201)과 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비동기 전송 모드 통신망에 연결되며 객체 지향 개념에 입각한 분산처리환경위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개방형 통신망의 서비스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사용자 시스템(201)과 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은 객체 콤포넌트들로 구현되어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가입 관리 기능, 서비스 접속 기능 및 서비스 제공 기능 등을 제공한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User Application) 객체(204)는 서비스 사용자 시스템(201)에 위치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와 관계하여 수행된다.
제공자 에이전트(Provider Agent) 객체(205)는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고 액세스 세션을 초기화하는 객체로서 사용자 인증에 대한 요구와 서비스 설정에 대한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의 사용자 관리부는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객체(207), 사용자 매니저(User Manager) 객체(208), 사용 콘텍스트(Usage Context) 객체(209) 및 사용자 프로화일(Personal Profile) 객체(210)로 구성된다.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207)는 사용자의 모든 요구 내용에 대하여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대신하여 요청하고 처리하는 객체로서 사용자마다 하나씩 생성된다.
사용자 매니저 객체(208)는 서비스 사용자와 관련된 프로화일 정보를 관리하는 객체로서 사용자 프로화일의 전달 요청과 저장 요청을 수행한다. 사용자 프로화일 정보는 서비스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 서비스 정보 및 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 콘텍스트 객체(209)는 사용자가 현재 이용중이거나 기존에 이용했던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객체로서 사용자 단말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 프로화일 객체(210)는 서비스 사용자의 서비스 프로화일을 관리하는 객체로서 사용자 에이전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용자의 기호가 서비스 초기화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202)의 가입자 관리부는 가입 에이전트(Subscription Agent) 객체(211) 및 가입 매니저(Subscription Manager) 객체(212)로 구성된다.
가입 에이전트 객체(211)는 가입자 관리와 관련된 모든 기능을 총괄하는 객체로서 가입자당 하나씩 생성되고, 가입 매니저 객체(212)는 가입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객체이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관리부는 서비스의 특징 및 제한 내용과 같은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객체인 서비스 타입 매니저(Service Type Manager) 객체(213)로 구성된다.
초기 에이전트(Initial Agent) 객체(206)는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password) 등의 사용자 인증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207)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매니저 객체(208), 서비스 타입 매니저 객체(212) 및 가입 매니저 객체(213)는 항상 존재하는 객체로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반면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207), 사용 콘텍스트 객체(209), 사용자 프로화일 객체(210) 및 가입 에이전트 객체(211)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이후에 생성되는 객체로서 서비스 타입 매니저 객체(213), 가입 매니저 객체(212) 및 사용자 매니저 객체(208)로부터 상응하는 정보를 가져와서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단말 능력 표현을 위해 다음의 [표 1]과 같은 형식을 이용하고 있다.
단말 능력은 사용자 프로화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매니저 객체(208)에 항상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 사용 콘텍스트 객체(209)에 사용자에 대한 단말 정보가 전달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단말 정보는 단말 설정시나 서비스 선택에 따른 단말 협상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며 변경된 정보는 서비스 종료시 사용자 매니저 객체(208)에 다시 저장된다. 단말 능력은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ID와 단말의 ID로 구분되고,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 접속점이 필요하며, 이용가능한 오디오 타입은 스테레오 타입 및 모노 타입으로 구분된다. 또한 이용가능한 비디오 타입은 MPEG, JPEG, NTSC, PAL 타입 등에 대해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코덱 보드 능력에 따라 제공가능한 비디오 타입이 기술된다. 단말주소는 단말을 통신망에서 구분하는 주소가 기술되며, 단말의 타입은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의 타입이 구분된다.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 타입은 비동기 전송 모드망, 종합 정보 통신망, 인터넷 등의 망이 구분된다. 단말의 상태는 비활성(lock) 상태인지 활성(active) 상태인지를 구분한다.
또한, 서비스 능력 표현을 위하여 다음의 [표 2]와 같은 형식을 이용하고 있다.
서비스 능력은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징 및 제한점 등을 서비스 관리 기능에 등록할 때 사용된다. 이 정보는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시 참조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참조된 서비스 능력은 서비스 가입 정보에 포함되어 가입 매니저 객체(212)에 저장되며,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종료되었을때, 가입 에이전트 객체(211)에 의해 요구되어 사용자 프로화일 객체(210)에 저장된다. 서비스 능력을 표현하는 요소로는 서비스 타입과 제공자 ID, 서비스 오디오 타입, 서비스 비디오 타입, 서비스 제공 영역과 서비스 속성이 있다. 서비스 타입은 서비스의 이름을 표현하며, 각 서비스당 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는 이름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화상회의 서비스나 화이트보드 서비스 등이 이름이 되어 구분될 수 있다. 제공자 ID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의 ID를 기술하는 부분으로서 동일한 서비스일지라고 속성을 달리하여 여러 제공자가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서비스 오디오 타입은 서비스가 사용하는 오디오 타입을 구분지으며, 서비스 비디오 타입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서비스 오디오 타입과 서비스 비디오 타입은 제공가능한 타입을 모두 기술하여야 한다.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망 영역을 기술하며, 영역안에서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한다.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속성으로 인하여, 이외의 특정 서비스에 국한된 서비스 속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서비스 속성을 표현할 수 있는 요소를 사용한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를 통해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로 로그인(login)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인증을 요구하면(301),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의 인증 요구를 초기 에이전트 객체로 전달하고(302), 초기 에이전트 객체에서 사용자의 로그인 및 패스워드를 확인하여(303)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 및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로 각각 인증 실패 결과를 전달하고(304, 305) 초기화 상태로 복귀한다(300).
그러나 인증이 확인되면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를 생성하여(306) 초기 에이전트 객체가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초기화 즉,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 정보 구성을 요구하면(307)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가입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가입 에이전트 객체를 생성하여(308)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가입 정보의 초기화를 요구한다(309). 또한 가입 에이전트 객체는 가입 매니저 객체로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정보를 요구하면(310) 가입 매니저 객체는 가입 에이전트 객체로 상응하는 가입 정보를 전달하고(311), 가입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전달한다(312).
그리고나서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매니저 객체로 사용자 프로화일 정보 전달을 요구하여(313), 사용자 매니저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사용자 프로화일 정보를 전달하면(314),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 콘텍스트 객체 및 사용자 프로화일 객체를 생성하여(315, 317) 단말 정보 및 서비스 프로화일 정보를 각각 사용 콘텍스트 객체 및 사용자 프로화일 객체에 저장하고(316, 318),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초기 에이전트 객체로 초기화가 종료되었음을 전달한다(319).
또한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였음을 전달하고(320),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로 사용자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전달한다(321).
전술한 절차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과 함께 사용자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전달하고 사용자에 관련된 단말 정보 및 가입자 정보가 동적으로 구성되어 단말 협상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설정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서비스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 전달 과정이 수행된다.
먼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는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로 사용자가 이용중인 단말의 설정 정보 및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의 사용자 환경 정보를 요구하면(401)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의 요구를 전달한다(402).
그리고나서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 콘텍스트 객체로 현재 사용자가 이용중인 단말 정보를 요구하여(403) 사용 콘텍스트 객체에서 단말 정보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404) 단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 콘텍스트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널(null) 정보를 전달하고(405), 단말 정보가 존재한다면 사용 콘텍스트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단말 정보를 전달한다(406). 또한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프로화일 객체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요구하여(407) 사용자 프로화일 객체가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서비스 목록을 전달하면(408),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로 단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을 전달하고(409)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로 전달한다(410).
그리고나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에 의해 지시된 단말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411) 단말 정보가 일치하면 단말 설정을 종료하고(415), 단말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 정보를 입력한 후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는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로 단말 정보 등록을 요구한다(412). 또한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단말 정보 등록 요구를 전달하고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 콘텍스트 객체로 단말 정보 등록 요구를 전달하여(413) 사용 콘텍스트 객체가 단말 정보 등록 요구에 응하여 단말 정보를 등록하면(414) 단말 설정을 종료한다(415).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협상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서비스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서비스 목록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였을 때 현재 사용자의 단말 능력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협상 과정이 진행된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는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로 서비스 세션 설정을 요구하고(501),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서비스 세션 설정을 요구하며(502),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프로화일 객체로 서비스 세션 설정 정보를 요구하면(503), 사용자 프로화일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전달한다(504). 또한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 콘텍스트 객체로 단말 정보를 요구하고(505) 사용 콘텍스트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단말 정보를 전달한다(506).
이때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가 현재 사용자 단말 능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판단하여(507) 단말 능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면 서비스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고(513), 단말 능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으면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는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로 단말 협상 요구를 전달하고(508), 제공자 에이전트 객체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로 단말 협상 요구를 전달하여(509)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가 서비스 세션 설정을 수정 유무를 판단하여(510) 서비스 세션 설정을 수정하지 않으면 서비스 세션 설정을 취소하고(512) 서비스 설정을 수정하면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객체는 사용자 에이전트 객체로 수정된 서비스 세션 설정을 전달하여(511) 서비스 세션 설정을 수행한다(513).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될 때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시스템의 능력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협상 방법을 다루고 있으며, 단말에 대한 정보의 저장에 따라 단말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의 항상 변경을 수시로 수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산처리환경위에서 객체 컴포넌트로 구성된 각 객체를 통해 단말 관리, 사용자 관리, 가입자 관리 및 서비스 관리가 효과적으로 운용하고 단말 정보, 서비스 정보 및 가입 정보가 저장되어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어 사용자 환경을 구성함으로써 서비스 정보 및 단말 정보의 접근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는 단말 능력에 적합한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받는 제 1 단계;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능력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사이에서 단말 협상을 통해 서비스를 설정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 협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사용자가 로그인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인증을 요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로그인 및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 초기화 상태로 복귀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 협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사용자가 로그인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인증을 요구하는 제 4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내에서 사용자의 로그인 및 패스워드가 확인되면 정보 구성을 요구하고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가입 정보의 초기화를 요구하는 제 5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내에서 가입 정보 및 사용자 프로화일 정보를 전달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내에서 단말 정보 및 서비스 프로화일 정보를 저장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 협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자 환경 정보를 요구하는 제 8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단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을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 9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단말 정보와 상기 단말 시스템에 의해 지시된 단말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 10 단계; 및
    단말 정보가 일치하면 단말 설정을 종료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 협상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자 환경 정보를 요구하는 제 8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단말 정보 및 서비스 목록을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 9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단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시된 단말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 10 단계;
    단말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단말 정보를 입력한 후 단말 정보 등록을 요구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단말 정보를 등록하면 단말 설정을 종료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 협상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서비스 세션 설정을 요구하는 제 13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서비스 설정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단말 능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판단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단말 능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면 서비스 세션 설정을 종료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 협상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서비스 세션 설정을 요구하는 제 13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서비스 설정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단말 능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판단하는 제 14 단계;
    단말 능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면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로 단말 협상을 요구하는 제 15 단계;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설정을 수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 16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설정을 수정하면 변경된 서비스 설정을 수행하는 제 1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 협상 방법.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서비스 세션 설정을 요구하는 제 13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서비스 설정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의 단말 능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판단하는 제 14 단계;
    단말 능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면 상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로 단말 협상을 요구하는 제 15 단계;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설정을 수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 16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설정을 수정하지 않으면 서비스 세션 설정을 취소하는 제 1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 협상 방법.
KR1019970054909A 1997-10-24 1997-10-24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협상방법 KR10026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909A KR100262943B1 (ko) 1997-10-24 1997-10-24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협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909A KR100262943B1 (ko) 1997-10-24 1997-10-24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협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534A true KR19990033534A (ko) 1999-05-15
KR100262943B1 KR100262943B1 (ko) 2000-08-01

Family

ID=1952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909A KR100262943B1 (ko) 1997-10-24 1997-10-24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협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369A (ko) * 1999-12-31 2001-07-11 구자홍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510908B1 (ko) * 2002-11-21 2005-08-25 류봉균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보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2943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4600B2 (en) Network-independent connection management
US8300557B2 (en) Breakout rooms in a distributed conferencing environment
US72665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computer for real-time communication
US200300144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ultimedia conferencing services on a real-time communications platform
KR100876197B1 (ko) Sip 이벤트 패키지의 정의를 이용하여 특정 콘텍스트내의 자원의 질의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
EP3691180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push message
US20060117380A1 (en) Method enabling multiple sessions and applications in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KR100982761B1 (ko) 동적 컨텐츠 전송 방법, 개인화된 동적 컨텐츠 인에이블러, 및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
US200302278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essage-based applications and applications provider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2248306B1 (en)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EP0964588A2 (en) A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with discrete terminal mobility and remote user registration
EP2067302A1 (en) Distributable, scalable, pluggable conferencing architecture
Heijenk et al. Communication systems supporting multimedia multi-user applications
KR100262943B1 (ko) 개방형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협상방법
EP2671366B1 (en) Determining a location address for shared data
JP2004013424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US20090178121A1 (en) Method For Restricting Access To Data Of Group Members And Group Management Computers
KR100216581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사용자의 액세스 세션 접속 방법
KR100345444B1 (ko) 개방형 통신망에서 단말의 멀티미디어 장치 특성에 따른 서비스 설정방법
JP4339894B2 (ja) 移動体コネクションブローカ
US7170899B2 (en) Method of setting up a call with a predetermined set of required service and/or characteristics, and a corresponding network
Farley et al. The Ret Reference Point definition and a prototype implementation
US20220400229A1 (en) Conference creation method, terminal, server end, and storage medium
JP2004356897A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提供システム
EP0964587A2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reas in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