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865A - 전하전달소자 - Google Patents

전하전달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865A
KR19990032865A KR1019970054044A KR19970054044A KR19990032865A KR 19990032865 A KR19990032865 A KR 19990032865A KR 1019970054044 A KR1019970054044 A KR 1019970054044A KR 19970054044 A KR19970054044 A KR 19970054044A KR 19990032865 A KR19990032865 A KR 1999003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gate
drain
silicon substrate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919B1 (ko
Inventor
심기철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7005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9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06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812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 lines or gate-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62Charge transfer devices
    • H01L29/765Charge-coupled devices
    • H01L29/768Charge-coupled device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6816Output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하공급원과 드레인(Drain)사이에 움직이는 게이트(gate)를 구성시켜 전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를 드레인으로 연속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전하전달소자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실리콘기판, 실리콘기판 위에 형성된 전하공급원, 전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를 공급받기 위한 드레인, 일측이 탄성빔에 의하여 지지되며 실리콘기판과 공극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하공급원과 드레인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게이트, 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동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전하공급원과 드레인 사이에 이동 가능한 가능한 게이트를 구비하므로서, 전하를 연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되어 안정적인 신호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하전달소자
본 발명은 전하전달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하공급원과 드레인(Drain)사이에 움직이는 게이트(gate)를 구성시켜 전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를 드레인으로 연속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전하전달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하전달소자는 CCD소자를 이용하는 메모리, 카메라, 비디오 등의 영상매체에 활용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전하전달소자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그 구성은 실리콘기판(8)상에 전하공급원(6)이 마련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드레인(drain)(7)이 마련된다. 또한 전하공급원(6)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charge)를 드레인(7)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게이트(gate)(1-5)가 실리콘기판(8)과 공극(9)을 형성한 채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하는 전하공급원(6)을 통하여 드레인(7)으로 전달되는 바, 게이트(1-5)에 바이어스(bias)전압을 걸면 게이트(1-5)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실리콘기판(8)상에 포텐샬 웰(potential well)(11-15)이 형성되어 전하공급원(6)으로부터 전하를 빼앗아 오게 된다. 즉, 일 예로 전하공급원(6)과 드레인(7)사이에는 1부터 5까지의 게이트가 구성된 경우, 각 게이트에 대응되는 위치의 실리콘기판(8)측을 11부터 15라 가정하고 드레인1에 바이어스전압을 걸면 실리콘기판에 포텐샬 웰 11이 형성되어 전하공급원(6)으로부터 전하를 빼앗아 오게 된다. 또한, 게이트1의 바이어스전압을 소거한 채 게이트2에 바이어스전압을 걸면 실리콘기판(8)에 포텐샬 웰 12가 형성되어 포텐샬 웰 11로부터 전하를 빼앗아오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 1부터 5까지 순차적으로 바이어스전압을 걸면 전하는 이에 대응되는 포텐샬 웰 11부터 15까지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결국 드레인으로의 전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전하전달소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종래 전하전달소자는 전하의 이동이 제조시 정의된 게이트의 패턴에 따라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하의 전하공급원에서 드레인까지 이동하는데 불연속적으로 전달되었다. 또한, 게이트와 게이트간 공간이 마련되어 제조시 전체적인 소자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게이트와 게이트사이의 영역은 전하를 보존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하공급원과 드레인 사이에 위치의 이동이 가능한 게이트를 구비하여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을 걸었을 경우 게이트에 대응되어 실리콘기판에 형성되는 포텐샬 웰의 이동으로, 전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하전달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하공급원과 드레인 사이에 위치의 이동이 가능한 게이트를 구비하여, 종래 게이트의 패턴을 생략하므로서 전하전달소자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전하전달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전하전달소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하전달소자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Ⅱ-Ⅱ의 단면도,
도 4a는 종래 전하전달소자에서의 전하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하전달소자의 전하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실리콘기판 25:전하공급원 26,32,36:콘텍트
27,33,37:인출선 30:게이트 31:탄성빔
35:드레인 40:가동전극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실리콘기판, 상기 실리콘기판 위에 형성된 전하공급원, 상기 전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를 공급받기 위한 드레인, 상기 전하공급원과 드레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하공급원에서 공급된 전하를 상기 드레인으로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가 마련된 전하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일측이 탄성빔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실리콘기판과 공극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를 상기 전하공급원과 상기 드레인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가동전극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하전달소자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Ⅱ-Ⅱ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전하전달소자에서의 전하흐름과 본 발명에 따른 전하전달소자에서의 전하흐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실리콘기판(20), 실리콘기판(20)위에 도핑 형성된 전하공급원(25), 전하공급원(2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를 공급받기 위한 드레인(35), 전하공급원(25)과 드레인(35)사이에 위치하여 전하공급원(25)에서 공급된 전하를 드레인(35)으로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30)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빔(31), 게이트(30)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정전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동전극(40), 그리고 전하공급원(25)과 드레인(35)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각각의 콘텍트(26,36) 및 인출선(interconnection)(27,37)이 형성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인 22는 게이트의 공극영역, 28,38은 절연층이다.
전술한 구성요소중 게이트(30)는 실리콘기판(20)위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탄성빔(31)으로 지지된다. 즉, 탄성빔(31)의 일측은 게이트(30)와 일체로 형성되어 게이트(30)가 실리콘기판(2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공극(34)을 갖도록 지지하며, 타측은 실리콘기판(20)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빔(31)의 타측에는 콘텍트(32) 및 인출선(33)이 마련되어 게이트(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가동전극(40)은 게이트(30)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동원으로, 이는 정전기력을 발생시켜 게이트(30)를 전하공급원(25)과 드레인(35)사이를 이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하전달소자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하전달소자는 전하의 흐름을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하를 전하공급원(25)에서 드레인(35)으로 전달하거나, 전하공급원(25)과 드레인(35) 사이에서 전하를 가두어 전하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즉, 가동전극(40)은 정전기력을 발생시켜 게이트(30)를 전하공급원(25)측으로 이동시키면, 전하공급원(25)과 게이트(30)는 소정거리 이격되는데, 게이트(30)에 바이어스전압이 걸리게 되면 게이트(30)와 대응되는 위치의 실리콘기판(20)에 포텐샬 웰(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하공급원(25)에 공급된 전하는 전계의 힘에 의하여 포텐샬 웰(21)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동전극(40)의 정전기력의 크기를 줄이게되면 되면 게이트(30)는 드레인(35)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게이트(30)의 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실리콘기판(20)에 형성되는 포텐샬 웰(21) 역시 실리콘기판(20)상에서 게이트(30)를 따라 드레인(35)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게이트(30)의 이동은 게이트(30)의 지지빔인 탄성빔(31)에 의한 것으로, 가동전극(40)에서 발생된 정전기력에 의하여 전하공급원(25)측으로 이동된 게이트(30)는 가동전극(40)의 정전기력이 약화되면서 탄성빔(31)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가동전극(31)의 극성을 바꿔 정전기력을 발생시키게되면 가동전극(40)과 게이트(30)간에 인력(attraction)이 작용하여 게이트(30)는 드레인(35)측으로 이동되며, 드레인(35)과 소정거리 가까워지면 포텐샬 웰(21)에 보존된 전하는 드레인(35)으로 이동되게된다. 따라서, 전하는 전하공급원(25)으로부터 드레인(35)으로 양호하게 전달되게된다.
또한, 가동전극(40)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전하를 전하공급원(25)과 드레인(35) 사이의 특정위치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즉, 가동전극(40)의 정전기력을 제어하여 게이트(30)가 전하공급원(25)과 드레인(35) 사이의 특정위치에 정지토록 하면 게이트(30)와 대응되는 위치의 실리콘기판(20)상에 포텐샬 웰(21)이 형성된다. 따라서, 포텐샬 월(21)에 보존된 전하 역시 특정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그리고 게이트(30)와 실리콘기판(35)상에 형성되는 공극(34)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이 공극(34)은 게이트(3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 및 공기층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30)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의 실리콘기판(20) 표면에 얇은 절연막을 형성시키는데, 석영(SiO2) 또는 규화질소(Si3N4), 또는 이의 복합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종래 전하전달소자에서의 전하흐름과 본 발명에 따른 전하전달소자에서의 전하흐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4a는 종래 전하전달소자에 의한 전하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이는 제조시 형성된 게이트의 패턴(G1-G5)에 따라 전하가 이동되므로서, 전하 이동이 불연속적으로 이동됨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하전달소자에 의한 전하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이는 게이트(30)가 전하공급원(25)과 드레인(35) 사이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므로서, 전하 역시 전하공급원(25)에서 드레인(35) 사이를 연속적으로 흐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하공급원과 드레인 사이에 이동 가능한 가능한 게이트를 구비하므로서, 전하를 연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되어 안정적인 신호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하공급원과 드레인 사이에 이동 가능한 게이트를 구비하므로서, 종래 게이트의 패턴에 따른 전하전달소자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실리콘기판, 상기 실리콘기판 위에 형성된 전하공급원, 상기 전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를 공급받기 위한 드레인, 상기 전하공급원과 드레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하공급원에서 공급된 전하를 상기 드레인으로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가 마련된 전하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일측이 탄성빔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실리콘기판과 공극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를 상기 전하공급원과 상기 드레인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가동전극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전달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전극은 상기 게이트에 정전기력을 가하여 인력과 청력에 의하여 상기 게이트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전달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전극은 상기 전하공급원과 상기 드레인의 어느 일측에 치우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전달소자.
KR1019970054044A 1997-10-21 1997-10-21 전하전달소자 KR100261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044A KR100261919B1 (ko) 1997-10-21 1997-10-21 전하전달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044A KR100261919B1 (ko) 1997-10-21 1997-10-21 전하전달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865A true KR19990032865A (ko) 1999-05-15
KR100261919B1 KR100261919B1 (ko) 2000-07-15

Family

ID=1952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044A KR100261919B1 (ko) 1997-10-21 1997-10-21 전하전달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9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1919B1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7326B2 (en) Electrostatic actuator and camera module using the same
US6784594B2 (en) Electrostatic actuat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5552925A (en) Electro-micro-mechanical shutters on transparent substrates
US5559368A (en) Dynamic threshold voltage mosfet having gate to body connection for ultra-low voltage operation
US6972884B2 (en) Mirror device, optical switch, electronic instrument and mirror device driving method
CA1163712A (en) Electrostatically deformographic switches
US4979149A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a micro-mechanical storage element
JP3966704B2 (ja) 静電アクチュエータ、静電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5505150A (ja) モノトニック動型−静型疑似nmos論理回路およびロジックゲートアレイ形成方法
JPH03225873A (ja) 半導体装置
JP2007149318A (ja) 機械的なスイッチを利用したメモリアレイ、その制御方法、機械的なスイッチを利用した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482728B2 (en) Electrostatic actuator including a switching circuit which selectively sets one of a moving mode and first and second holding mode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0261919B1 (ko) 전하전달소자
KR100192328B1 (ko) 양방향 수평전하 전송소자
JP2006344905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46757A (ja) イオン注入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529756B2 (ja) 静電アクチュエータ、静電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
CN113055556A (zh) 移动机构及其驱动方法、电子设备、成像模组
JP2000022125A (ja) 固体撮像素子
KR100419100B1 (ko) 반도체 장치
JP2002111960A (ja) 画像入力装置
JP2004160572A (ja) 保持機構を備えた微小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65667A (ja) 静電アクチュエータ
JPH04102106A (ja) 静電式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S58132687A (ja) 試料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